KR910007149B1 -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149B1
KR910007149B1 KR1019880009035A KR880009035A KR910007149B1 KR 910007149 B1 KR910007149 B1 KR 910007149B1 KR 1019880009035 A KR1019880009035 A KR 1019880009035A KR 880009035 A KR880009035 A KR 880009035A KR 910007149 B1 KR910007149 B1 KR 91000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ld
container cap
press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488A (ko
Inventor
디. 칼레낙 로버트
이. 디르킹 스탠리
Original Assignee
볼 코오포레이션
길버트 유진 알버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 코오포레이션, 길버트 유진 알버딩 filed Critical 볼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0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금속제캡의 일부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금속제캡에서의 2개의 압인가공면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3도는 중앙판넬링의 부분 확대단면도로서 압인가공면을 점선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제3도의 도면을 여러가지 다른 참조부호로 나타낸 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을 산술적 계산방법으로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치수와 금속조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의 부분 확대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굴곡면이 냉간가공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9도는 좌굴강도와 돔 깊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라인 A는 금속제캡을 2번 압인가공했을 때의 궤적이고, 라인 B는 금속제캡을 1번 압인가공하였을 때의 궤적이며.
제10도는 좌굴강도와 냉간가공되는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라인 C는 금속제캡을 2번 압인가공하였을때의 궤적이고, 라인 D는 금속제캡을 1번 압인가공하였을 때의 궤적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캡 12 : 중앙판넬
14 : 축심 16 : 환형가장자리부
18 : 굴곡링 20 : 안쪽경사부
22 : 연결부 23 : 반경
24 : 경상북 26 : 굴곡부
28 : 모서리부 30 : 사선
32 : 두께 34 : 아아치형길이
36 : 볼록면 37, 38 : 압인가공면
39 : 총곡면길이 40 : 아아치부
41: 비압인가공부 42 : 아아치길이부
43 : 비압인가공부 44 : 외측면
45 : 내측면 46 : 압인가공각
48 : 축 50 : 압인가공각
52 : 두께 54 : 볼록면
56 : 두께 58, 60 : 주변영역
62 : 냉간가공영역 64, 66, 67, 68, 70 : 주변영역
72, 74 : 압인가공각 78 : 셀
84 : 반경 86, 88 : 최대길이
90:오버랩각 92:전체각
94, 96 : 단면적 98 : 오버랩단면적
100 : 단면적 102, 104, 106 : 각
108 : 곡면 110, 112, 114 : 압인공구
118,120,122,124 : 길이 126, 128, 130, 132 : 면적
134 : 전체각 136 : 반경
본 발명은 금속제음료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도를 증대시킨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음료용기는 팩킹산업부분에서 매우 경쟁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바, 현재 미국이란 나라에서만도 1년에 대략 700억개 이상의 음료용기가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엄청난 숫자의 음료용기의 생산으로 말미암아 이들 음료용기의 캡에 사용되는 금속두께를 조금만이라도 줄여주게 된다며 매년 수백만달러를 절약할 수가 있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캡은 평면형상을 갖는 중앙판넬과, 이 판넬주위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중앙판넬링, 이 중앙판넬링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된 안쪽경사부, 상기 중앙판넬링으로부터 안쪽경상부끝으로 연결되어 있는 굴곡연결부, 이 굴곡연결부에 연결되어 윗쪽으로 뻗어 있는 바깥쪽경사부 및 용기본체를 2중으로 밀봉시켜 주는 굴곡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용기에 있어서 그 강도를 제한하는 요인중의 하나는 캡의 좌굴을 일으키게 되는 내부압력으로서, 이와 같이 캡의 좌굴이 일어나게 되는 내부압력치가 바로 상기 용기캡의 좌굴강도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좌굴현상은 용기캡의 안쪽경사부와 바깥쪽경사부 및 중앙판넬과 함께 용기캡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한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는바, 이는 음료용기캡의 균일한 원형상태가 이 캡안에서부터 가해지는 액체의 압력에 의하여 파괴되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또 캡의 좌굴강도는 좌굴에 대한 캡의 저항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용기캡의 좌굴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는바, 미국특허 제3,774,801호에는 음료용기캡의 좌굴강도를 증가시켜주기 위해 상기 중앙판넬의 돔(dome)형상을 매우 복잡하게 형성시킨 방법이 게재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3,441,170호에는 압력을 가하여 캡을 돔형상으로 만들되, 캡의 안쪽경사부와 바깥쪽경사부에 충분한 좌굴력이 가해지지 않고 중앙판넬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중앙판넬링의 안쪽을 압인가공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한 바의 좌굴이 일어 나더라도 음료용기의 측벽과 캡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상기 압인가공된 부분이 힌지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4,031,837호에는 안쪽경사부와 바깥쪽경사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굴곡연결부의 반경을 줄여주고 또 상기 내측경사부를 거의 수직이 되도록 각도를 증가시켜 주는 한편, 상기 굴곡연결부를 중앙판넬로부터 아랫쪽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4,217,843호에는 상기 안쪽경사부와 바깥쪽경사부가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하고 중앙판넬링이 안쪽반경을 줄이면서 중앙판넬부분을 스트레칭(stretching)시켜 중앙판넬이 돔(dome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중앙판넬링의 안쪽반경을 압인가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판넬의 돔형상은 풀탭오프너(Pull tap opener)를 부착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만들어 줌으로써 음료용기의 좌굴강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의 방법들에서 돔형상은 모든 필요없는 잉여부분을 제거하여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중앙판넬부를 스트레칭해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미국특허 제4,434,641호와 제4, 577,774호에는 중앙판넬링의 외부표면을 압인가공하여 음료용기캡의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바 이들 특허에 의하면 상기 압인가공은 용기의 바깥부분에 전환 프레스와 같은 기계를 사용하여 1번의 기계적인 프레싱작업을 하여 소정의 제한된 부분의 두께를 줄여줄수 있도록 부분변형시키든가 또는 냉간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즉, 압인가공이란 중앙판넬을 돔형상으로 압축가공하는 작업을 말한 것으로서 상기 특허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돔형상은 꺽쇠패드(hold-down pad )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음료용기캡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외측주변부를 갖추고 있는 중앙판넬과, 이 중앙판넬의 주변에 배치되는 한편 아래방향으로 굴곡되면서 압인되지 않은 아아치형부분을 갖춘 굴곡부와 함께 볼록한 바깥표면을 이루고 있는 중앙판넬, 상기 중앙판넬링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내려와 있는 안쪽경사부, 이 안쪽경사부에 이어져 윗쪽으로 굴곡되고 캡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는블록한 반경을 갖는 연결부, 이 연결부로부터 윗쪽으로 뻗어있는 바깥쪽경사부 및 바깥아랫쪽으로 굴곡되고 음료용기의 외측벽과 캡을 이중으로 밀봉시켜 주는 바깥굴곡부를 갖춘 형태의 음료용기의 캡으로서 그 강도가 증가된 음료용기의 캡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앙판넬링의 볼록면중의 한쪽부분이 용기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압인 냉간가공하여 제1주변영역이 구비되는 하나인 압인면을 형성시키고, 다음에 상기 볼록면중의 나머지부분도 용기축에 대해 또 다른 각도로 압인가공하여 냉간가공해 줌으로써 상기 제1주변영역과 다른 제2압인면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인가공각의 조절 즉, 상기 제1압인가공과 제2압인가공 사이의 압인가공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압인가공 후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도 조절해 줌으로써 좌굴강도가 상당히 증가되게 되는데, 이러한 좌굴강도의 증가는 밴드부의 응력장(應力場)이 상호 교차하기 때문에 얻어지게 되고, 또 냉간가공의 결과로 재질의 경도와 인장강도도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은 종래의 압인가공되지 않은 음료용기의 캡보다 좌굴압력이 크고 또 종래의 선행기술로 압인가공해서 얻어진 좌굴압력보다도 크게 된다.
또 미국특허 제4,434,641과 제4,577,774호에서 단일 압인면을 압인가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좌굴압력보다도 캡외부면의 전체 곡면길이를 압인가공함으로써 더 큰 좌굴압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체 곡면길이라는 것은 중앙판넬링의 거의 대부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안쪽경사부와 중앙판넬의 일부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냉간가공된 부분의 단면적이 중앙판넬링의 안쪽반경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현(弦)으로 정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의 가공단면보다 훨씬 더 많은 단면적이 냉간가공되게 되고, 냉간가공된 두 금속면 사이와 그 아래에서 좁은 구간의 응력장이 서로 교차하도록 함으로써, 큰 좌굴강도가 얻어지게 되는데, 이 좁은 응력장의 교차구간은 상기 중앙판넬을 에워싸는 강도증가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력장의 교차구간은 음료용기의 중심축 방향 혹은 이 중심축에 대한 일정각도 이상으로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냉간가공하는 단계에 의해 상호교차하여 형성되는 영역으로 특징지워지는데, 이는 드로잉이나 로울링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주변의 금속구조와는 전혀 다르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금속조직(또는 섬유조직)은 기계적인 드로잉 또는 로울링의 주된 방향으로 일어나는 결정학적 슬립면의 배열에 기인하게 되는 함유물과 캐비티, 제2상구조입자, 격자벤딩 및 분열의 배열상태를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구조들은 금속재료에서 기계적특성을 나타내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들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캡구조에서 보다 놀라울 정도의 좌굴저항이 증대되게 되며, 이러한 현상들은 비록 만족할만한 이유가 명백하게 설명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러한 좌굴저항의 증가는 기계적인 스트레칭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방향으로 중복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얻어진다고 생각되는바, 상기 응력장의 교차구간은 그 주변금속과의 연속성 또는 그 기계적인 구조의 동일성이 서로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호 X로 표시된 부분은 압인가공에 의해 냉간가공되지 않은 캡부분의 기계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부호 Y부분은 한쪽방향(용기축에 대하여 하나의 각도만)으로만 압인가공하여 냉간가공시킨 캡부분의 기계적인 구조를 나타내며, 부호 Z부분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압인가공한 결과 만들어진 응력장에 의한 금속조직이 대칭을 이루고 있는 밴드(band )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밴드부는 용기내부로부터 유체압력을 받게될 때 한쪽방향으로만 냉간가공된 메탈 또는 압인가공되지 않은 메탈과는 그 특성이 서로 달라, 음료용기캡이 균일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좌굴현상에 대한 저항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는 상기 밴드내에서 일반적인 기계적조직의 연속성이 변하여 비등방성이 감소 혹은 제거됨에 따라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넓은 범위의 금속에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기계적인 구조를 나타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압인가공된 부분의 금속 즉 교차응력이 작용하는 밴드부는 가공경화처리과정을 거침에 따라 압인가공되지 않은 부분보다 강도가 크게되고, 인장강도가 높아지게 되어 그 증가된 강도에 부합하는 두께만큼 그 재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증가된 강도는 압인가공을 통하여 얻어지는 좌굴에 대한 저항력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을 알루미늄 합금(AA 5182)의 캡에 적용시킨 결과, 압인가공에 의하여 감소되는 두께는 일반적으로 원재질두께의 약25∼40% 정도에 달하였다.
그런데 가공경화 특성을 달리하거나 혹은 기타 다른 연성을 갖는 금속합금들은 허용할 수 없는 부대효과를 초래하지 않는 한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서 그 압인가공량을 달리해야한다.
한편, 음료용기캡의 외부표면을 상기한 바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별도의 냉간가공으로 압인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첫번째 가공에 있어서는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 길이부분과 중앙판넬 또는 안쪽경사부의 외부표면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압인면을 형성시키고, 두번째 가공에 있어서는 상기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부분외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제1가공면의 인접부분의 바깥표면을 포함하는 제2압인면을 형성시킨다. 즉 첫번째 가공에서는 중앙판넬부분을 가공하고 그 다음 두번째 가공에서는 안쪽경사부의 일부를 가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임의의 압인가공각이 선택되면 두번째 가공단계에서 상기 첫번째 압인면의 일부가 이 두번째 압인면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2개의 압인면을 겹쳐서 가공하게 되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재성형된 제2압인면을 2차 냉간가공된 주변부라 칭한다.
그런데 만일 상기 압인가공각을 크게 변화시켜 주게되면, 상기 제1및 제2압인면 사이에 압인가공되지 아니한 중앙판넬부분이 남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압인가공각을 선택하면 두번 냉간가공된 부분에서 최대한의 잇점을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압인가공면의 아래에서 교차응력장이 존재하여야만 상기 2차 냉간가공면 즉 벤드부의 잇점을 얻게 되는 반면에 1차와 2차의 압인가공각을 크게 달리하면 중앙판넬과 안쪽경사부의 대부분을 가공시킬 수 있으므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냉간가공을 통해 제1실시예와 같이 분리된 2개의 압인면을 가공하지 않고 곡면을 만들게 되는데, 이 냉간가공된 곡면은 캡의 내측면 형상을 따라 이루어지거나 혹은 캡외 측면의 압인되지 아니한 형상을 따라 이루어지게 되며 균일한 압인가공응력이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곡면압인냉간가공은 일정한 잔류응력에 대해 종래기술에 의하거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얻어질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단면적을 가공시켜줄 수가 있고, 또 일정한 비가공부의 길이를 갖는 조건하에서도 상기한 종래 특허에 의하거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 훨씬 더 많은 단면적을 가공시켜 줄 수가 있다.
상기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곡면압인가공도 역시 응력장이 교차하는 부분을 만들게 되며 이 곡면압인가공을 2차 냉간가공효과를 얻고 또 요구되는 프레스용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단계로 나누어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 따라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일정한 두께의 금속을 이용하는 음료용기캡에서 요구되어지는 좌굴강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얇은 재질이나 강도가 낮은 재질을 냉간가공하여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고, 종래의 것보다 곡면길이를 크게 할 수 있고, 또 가공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음료용기의 몸체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캡에 그대로 사용하거나 기타 강철 및 알루미늄 합금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캡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비압인곡면길이에 대한 단면적을 종래의 단면적보다 크게 냉간가공할 수 있고 볼록한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 길이부분을 2부분으로 나누어 제1및 제2압인가공단계로 냉간가공하여 중앙판넬링을 갖춘 끝부분을 구비시킴으로써 캡의 좌굴 저항을 증가시키고, 첫번째의 압인가공으로 중앙판넬과 인접한 부분과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길이의 제1부분을 냉간가공함으로써 캡끝부위의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며, 또 다른 두번째의 압인가공으로 안쪽경사부와 인접한 부분과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길이부분의 나머지 부분을 냉간가공함으로써 좌굴저항을 증가시켜 주는 음료용기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번의 압인가공으로 상기 중앙판넬과 일정한 부분과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부의 제1부분을 냉간가공함으로써 강도특성을 향상시키고, 또 다른 2번째의 압인가공으로 안쪽경사부와 인접한 부분과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부의 잔여부분을 냉간가공하도록 하여 상기 2번 압인가공으로써 중앙판넬링의 아아치형부 전체를 냉간가공하도록 한 음료용기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캡은 캡의 안쪽부분과, 이 안쪽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안쪽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외측부분 및, 상기 캡의 안쪽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굴곡링으로 이루어지되, 이 굴곡링이 상기 캡의 안쪽 부분 및 외측부분과의 사이에 배열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고, 또 이 굴곡링은 제1평면을 형성시켜 이 제1면을 압인가공하고, 또 이 제1면과 겹쳐지면서 나란하게 배열된 제2면을 압인가공함으로써 교차응력장을 형성시켜 캡의 안쪽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부재를 강화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금속제캡의 단면에 조직적인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굴곡환상링을 구비시키는 한편, 이 굴곡환상링을 여러 방향으로 가공하여 구조의 연속성과 조직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응력장이 서로 교차되는 변형의 밴드부를 형성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캡(10)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의 축심(14)에 수직하게 배열되고 환형가장자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중앙판넬(12)과, 이 중앙판넬(12)과 일체로 되고 상기 환형가장자리부(16)로부터 아랫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굴곡링 (18), 이 굴곡링(18)과 일체로 되어 그 아랫쪽으로 뻗어져 캡의 외측부분을 이루고 있는 안쪽경사부(20), 이 안쪽경사부(20)와 일체로 되고 내경부(23)를 갖추고 있는 곡면연결부(22), 상기 연결부(22)가 일체로 되며 윗쪽방향으로 뻗어 있는 바깥쪽경사부(24) 및, 상기 바깥쪽경사부(24)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깥쪽 원주가장자리에서 아랫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모서리부(28)를 갖추고 있는 굴곡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된 음료용기캡(10)의 각 부분들은 각각의 명칭과 고유참조번호를 가지면서 서로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참조부호 30의 선분으로 상기 각각의 부분들이 서로 끝나는 경계부 및 이웃부분과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굴곡링(18)을 제외한 금속제용기캡(10)의 나머지부분은 압인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두께(32)로 되어 있고, 상기 굴곡링(18)이 초기 압인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볼록면(36)을 갖추고서 적절한 아아치부(3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3도 내지 제6도에 선분(30)으로 압인가공면(37,38)의 경계선을 구획지우고 있는바, 예컨대 제3도에서 2단계의 압인가공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상기 압인가공면(37,38)은 상기 아아치형길이(34)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또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인가공면(37)을 굴곡링(18)의 아아치부(40)와 중앙판넬(12)의 비압인가공부(41)까지 포함할 수도 있고, 또 상기 압인가공면(38)을 굴곡링(18)의 아아치부(42)와 안쪽경사부(20)의 비압인가공부(43)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용기캡(10)은 중앙판넬 (12)과, 굴곡링(18), 안쪽경사부(20), 곡면연결부(22), 바깥쪽경사부(24) 및 외측굴곡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면(44)과 내측면(45)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인가공면(37)은 음료용기의 축심(14)과 평행한 축(48)에 대해 소정의 압인가공각(46)을 이루고 있고, 상기 압인가공면(38)도 상기의 평행축 (48)에 대해 소정의 압인가공각(50)을 이루고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인가공각(46,50)들의 연장선이 음료용기캡(10)의 외측면(44)에 대한 축심(14)과 만나도록 되어 있다.
또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굴곡링(18)의 한 쪽은 이 링(18)의 볼록면(54)과 상기 압인면(37)사이의 두께가 압인가공 후의 두께(52)가 되도록 압인가공되고 또 상기 굴곡링(18)의 다른 한쪽도 상기 볼록면(54)과 상기 압인가공면(38)사이의 두께가 압인가공 후의 두께가(56)가 되도록 압인가공된다.
제2도 내지 4도중 특히 제4도에서, 상기 두 압인가공면(37,38)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캡(10)의 전체비압인곡면길이(39)는 제1주변영역 (58)과 제2주변영역(60) 및 제3주변영역 즉 2중냉간가공영역(62)으로 이루어지고, 이 2중냉간가공영역(62)은 양쪽의 냉간가공이 서로 교차되는 영역으로써 응력이 2중으로 걸리게 되는 밴드영역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5도와 같이, 압인가공단계는 상기 압인가공면(37,38)중에 어느쪽을 먼저 가공하든 관계없지만 상기 압인가공면(37)이 먼저 가공되어진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면, 제1단계에서 압인가공되는 부분은 냉간가공주변영역(64)과 2중 냉간가공주변영역(66)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영역(64,66)이 합하여져 주변영역(67)을 이루게 된다. 다음에 제2차 냉간가공단계에서 압인가공되는 부분은 압인가공 혹은 냉간가공되는 주변영역(68)과, 압인가공면(38)의 일부이면서 재압인가공되는 주변영역(66)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재압인가공되는 주변영역(66)과 상기 주변영역(68)이 합쳐져 냉간가공주변영역(70)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압인가공면(37)이 먼저 가공되면, 상기 주변영역(66)은 압인가공면(37)의 일부이면서 압인가공면(38)의 일부가 되므로 2중으로 냉간가공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압인가공각(46,50)의 차이가 커지면 상기 주변영역(67,70) 사이의 오버랩(overlap)구간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2중냉간가공영역(66)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2도와 제5도에 의하여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만일 상기 압인가공각(46,50)사이의 차이가 충분하게 커진다면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주변영역(67,70)사이가 압인가공되지 않게 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비록 압인가공이 각각 분리되어 이루어지더라고 상기 분리되는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교차영역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지만 상기 응력장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중앙판넬(12)의 외측면(44)으로부터 측정하여 압인가공면(37)의 가공각(46)을 90°도에서부터 52˚도까지 변화시키거나 가공각(72)을 0°도에서부터 38°도까지 변화시켜 가공하고, 또 상기 외측면(44)으로부터 측정하여 상기 압인가공면(38)의 가공각 (50)을 30°도에서부터 75°도까지 변화시키거나 가공각(74)을 60°도에서부터 15°도 까지 변화시켜 가공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시험에 사용된 금속 (AA 5182 알루미늄합금) 의 두께는 0.287mm이고 압인가공 후의 두께(52,56)는 0.114mm에서부터 0.241mm까지의 범위로 변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금속으로 풀탭오픈너(76)없는 음료용기캡(10)이나 셀(78)을 1회에 또는 단 1번의 프레스가공으로 만들어낸 것을 사용하였는바, 상기 셀(78)의 평균 좌굴강도(레이놀드타입 좌굴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는 압인가공 하지 않은 상태로 7.087kg/cm2이고 표준편차는 0.137kg/cm2이다.
이에 반해 종래의 방법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특징지워지는 셀을 단일 압인가공하였을때의 평균 좌굴압력은 7.892gk/cm2이고 표준편차는 0.130kg/cm2이다.
상기의 셀을 2중으로 압인가공하여 압인가공각(72)이 10°도 또는 17.5°로 되게 하고 압인가공각(74)이 25°도 또는 60°도로 되게 하였을 때 10개의 음료용기를 36회 시험한 결과 그 표준편차가 0.137kg/cm2이고 평균 좌굴압력은 8.392kg/cm2로 나타났다.
따라서 2중압인가공으로 가공한 음료용기의 평균 좌굴압력값은 압인가공되지 않은 음료용기보다 1.305kg/cm2만큼 높게 나타났고 종래의 미국특허에 의한 단일압인가공으로 가공된 용기보다 약 0.5kg/cm2만큼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중압인가공을 통하여 단일압인가공보다 큰 좌굴강도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압인가공을 통하여 얻은 좌굴강도의 증가는 곧바로 냉간가공양의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냉간가공양은 압인가공면이 형성될 때 변화되는 대략적인 금속의 단면적에 의하여 측정함으로써 결정지울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0도는 상술한 바에 따라 음료용기캡에 대해 단일압인가공(곡선D)이나 2중압인가공한 (곡선 C)을 통하여 냉간가공된 금속의 대략적인 양의 함수로서 좌굴강도를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선형곡선화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의 구성도에 따르면 냉간가공양은 동일하되 좌굴강도는 단일압인가공보다 2중압인가공한 것이 약 43% 의 증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바 이는 95% 의 신뢰도를 가진다.
상기 설명한 음료용기에 대한 예는 동일한 압인가공각(72)을 갖는 두압인가공에 관하여 다루었는 바 동일한 압인가공각으로 단일압인가공을 하여 최종적으로 가공후에 가공두께(52)를 비교하여 본 결과 이 음료용기캡에는 좌굴강도의 증가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2중압인가공이 강도면에서 좋은 효과를 얻는 메카니즘이며 종래의 메카니즘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고 하나 이상의 여러방향으로 압인가공함으로써 좌굴강도가 보다 높게 얻어지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좌굴강도는 돔깊이를 증가시킴에 따라서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돔깊이는 탭오버차임(Tab-over-chime ) 문제로 제한을 받게 되고 이는 최대허용돔깊이는 음료용기캡 윗쪽으로 설치되는 풀탭오픈너(76)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풀탭오픈너를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기되게 되는 문제다.
따라서 2개의 압인면을 갖도록 압인가공된 음료용기는 돔깊이의 증가에 대한 좌굴강도의 증가비가 종래의 방법에 비해 냉간가공된 음료용기보다 26.7% 만큼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관계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바, 즉 이는 종래 미국특허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험한 음료용기캡과 2중압인가공하여 처리된 음료용기캡들의 실험데이타를 분석하여 최소자승법으로 선형곡선화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들 2세트의 데이타의 변화를 분석하면 종래 미국특허에 의해 얻어진 잇점보다 2중압인가공을 사용하여 얻은 잇점이 크며 그 신뢰도 또한 97.5% 에 달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상기 탭오버차임은 음료용기의 내면에 유체압력이 가해지게 될 때 중앙판넬부위가 부풀게 되는 양을 제한하게 되며, 또 이러한 부풀림은 일반적인 금속용기에 2중으로 밀봉시킨 캡에 의해 그 양이 결정되게 되고, 또 이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내부압력의 함수로서 오픈너(76)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운반하는데 야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부풀림임계압력을 가능한한 높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탭오픈너(76)와 기타 다른 개구수단을 갖춘 음료용기캡(10)들은 5148 알루미늄합금으로 2중압인가공하여 만든것은 종래의 기술로 만든 것보다 부풀림에 대해 더 큰 저항을 갖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예컨대 풀탭오픈너(76)의 최대허용범위를 2.54mm로 선택한다면, 종래 미국특허의 방법에따라 처리한 캡은 2중압인가공법으로 처리한 동일한 캡보다 0.703kg/cm2정도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풀탭오픈너(76)와 기타 다른 개구수단을 갖춘 캡(10)을 각각 0.25mm 와 0.26mm의 두께를 갖는 5182 알루미늄합금으로 표준생산방법으로 만들어 이들 캡의 일부를 본 발명에 따라 10°도의 압인가공각과 80°도의 원뿔각 및 52°의 압인가공각과 38°도의 압인가공각으로 2중압인가공하여 압인가공 후의 두께(52,56)가 대략 0.18mm가 되게 하고, 기타 나머지 부분은 압인가공시키지 않았다.
이 결과, 상기 음료용기캡은 2중압인가공부분의 좌굴강도가 비압인가공부분보다 평균 1.097kg/cm2(표준편차 0.155kg/cm2) 컸으며, 종래 미국특허에 따라 단일압인가공으로 처리된 캡은 비압인가공법으로 처리된 캡보다 0.352∼0.492kg/cm2이상 초과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시도되어온 방법은 비록 좌굴압력을 최적화상태로 증가시키는 것이 불충분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된 방법은 아주 적은 표준편차로 좌굴압력을 충분하게 개선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제음료용기캡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질은 알루미늄 협회 약정기호인 AA 5XXX (여기서 X는 0에서 9까지의 점수)를 사용하는데, 이들 합금계열은 비합금계열보다 높은 강도를 갖고 또 마그네늄합금의 고용체의 특성을 지니는바, 이 AA5XXX 계열합금은 고강도 합금이며 보다 높은 가공경화율을 갖추고 있다.
통상적으로 인발 및 압인(iron)된 음료용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알루미늄합금은 AA3XXX 계열합금으로서 이 합금들은 망간을 포함하고 있고, 주로 2단계 석출입자의 형성으로 강화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계열의 알루미늄은 AA5XXX 계열의 알루미늄합금보다 강도면에서는 약하지만 가공성이 좋고 일반적으로 가공경화율도 낮다.
또 상기와 같이 압인이나 인발가공으로 용기와 용기캡을 만드는데 여러 강철합금이 사용되어 왔는바, 강철은 철에 카본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강화되는 고용체를 이루면서 합금의 성분이나 열처리 또는 기계적인 처리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용체합금과 석출경화합금을 포함한 것을 나타내는 시험결과는 이러한 본 발명의 합금들의 각 카테고리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7도는 여러가지 기계적인 관계의 이해를 돕기위한 것으로 냉각가공면에 대한 호의 해당각도(80,82)는
α=2cos-1([Ro-h]/Ro)
여기서 Ro =중앙판넬링의 비압인된 외측반경(84)
h =냉간가공된 최대깊이 또는 현(弦) 높이(86, 또는 88)
가 된다. 또 두 냉간가공면(37,38)의 중복각 또는 2중압인가공량(90)은 다음과 같다.
αd121/2+α2/2
여기서 θ1=압인가공각(72)
θ2=압인가공각(74)
α1=압인가공각(72)의 대(對)각
α2=압인가공각(74)의 대(對)각
여기서 만일 α1과 α2가 겹치게 되면, 두 압인가공면(37,38)과 대(對)각 즉 전체각(92)은 대략 다음과 같다.
α12- θ12/2+α1/2
또 냉간가공된 캡(10)의 비압인가공된 곡면의 총길이(39)는 대략 다음과 같다.
L=Ro α1
여기서 α1=각(92)
또 각 압인가공면(37 또는 38)의 단면적(94 또는 96)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cos-1은 라디안임)
두 압인면적(94,96)의 오버랩면적(98)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ho=Ro(1-cosαd/2)이고 cos-1은 라디안임.
한편, 제7도에서 두 단면적(94,96)의 압인가공에 의해 형성된 단면적(100)으 단면적(94)과 단면적(96)의 합에서 오버랩면적(98)을 뺀값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주어진 공식을 사용하여, 두 압인가공면(37,38)에 의해 형성된 비압인가공부분의 총곡선길이(39)는 압인가공각(72,74)이 15°정도 차이가 날 때 가공 후의 두께(52 또는 56)는 동일하지만 단일압인면(37 또는 38)의 가공에 의해 산출된 길이보다는 23.9% 만큼 크게 된다.
따라서 비록 상기 압인가공각(72,74)의 작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단일압인 가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2중압인가공이 재질을 더 많이 냉간가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두 압인가공면(37,38)에 의하여 냉간가공된 총 단면적(100)은 압인가공각 (72,74)이 단지15°정도 차이가 날때 단일압인가공면(37또는 38)에 의해 가공된 면적보다 33.9% 만큼 더 크게 나타난다. 또 제7도에서 안쪽경사부(20)가 각도(102)만큼 아랫쪽으로 구부러져서 압인가공될 때 각도(104)만큼 구부러지게 되고 또 중앙판넬(12)은 압인가공될 때 각도(106)만큼 구부러지게 된다.
한편,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냉간가공곡면(108)은 음료용기캡(109)의 외측면(44)을 이루고 이 압인가공된 곡면(108)은 하나 또는 2이상의 압인공구(110,112,114)에 의해 가공되게 되는 바, 이러한 공구들을 사용하여 곡면을 압인가공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캡이 설계된대로 굴곡되어 가공되어지게 된다.
또 상기 압인가공된 곡면(108)부분은 그 압인가공된 부분 즉 가공 후의 두께(116)가 일정하게 되고, 이 압인가공된 곡면(108)의 압인되지 않은 총곡면길이 (118)는 굴곡링(18)에서의 곡면부(124)뿐만 아니라 안쪽경사부(20)의 압인곡면부 (122)와 중앙판넬(12)의 압인곡면부(120) 이루어지며 상기 압인가공면(108)은 중앙판넬(12)의 제1차 냉간가공주변부 즉 제1주변부영역(128)과 안쪽경사부(20)의 제2차 냉간가공주변부 즉 제2주변부영역(130) 및 굴곡링(18)의 제3차 냉간가공주변부 즉 제3주변부영역(132)들을 포함하는 총 냉간가공단면적(126)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압인가공된 곡면(108)의 형성에 의해 감소되는 두께 부분만 총냉간가공단면적(126)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즉, A=1/2θt(Ro2-Rr2)
여기서 θt: 압인가공면의 전체각(134)
Rr : 반경(136)
이 공식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의 공식에서 압인가공두께(52,56)를 이용한 계산방법과 동일하게 압인가공두께(116)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압인가공된 곡선의 총단면적(126)은 제1실시예에서 단일압인면(37또는 38)으로 달성되었던 면적보다 약 61% 가 더 크게 나타났고, 또 상기 표면(37,38)이 제1실시예에서의 계산에 사용된 압인가공각과 동일한 각도를 이룰 때 그 2중압인가공면(37,38)에 의해 이루어지는 면적보다 49% 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요약해 보면,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제1압인가공면(37)과 제2압인가공면(38)을 구분지워 냉간가공하게 되고 그 압인가공깊이는 최대길이 (86,88)에서부터 외측면(44)으로 뻗은선분(148,150)과 만나는 반경구형부(138,140,142,144)의 "제로"까지 변화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는 좌굴압력이 증가됨과 더불어, 좌굴강도와 돔높이의 비도 증가되고 또 2개의 압인가공면(37,38)을 구비하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단일압인면(37 또는 38)보다 용기캡(10)의 전체 비압인부분의 길이가 더 크도록 압인가공되며, 상기 단일압인면(37 또는 38)은 현(148또는 150)으로 구획지워져 내측면(45)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반경구형부 (138,140 또는 142,144)에서 외측면과 교차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일정한 압인가공두께(52또는 56)에 대해 단일압인가공면(37 또는 38)에 의한 단면적(94 또는 96)보다 훨씬 더 큰 단면적이 압인가공되고, 굴곡링부에 만들어진 초기변형은 2번째에 가해지는 압인가공과 동시에 혹은 연이어서 일어나게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초기변형과 오버랩되거나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상부압인가공각은 예컨대 수평에서 측정하여 0° 에서 45° 까지이고 하부압인각은 5°에서 90°까지의 범위에 있게 되며, 이 상부와 하부압인면들 사이에 오버랩되는 양은 0% 에서 95%까지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40% 정도이다.
한편, 제8도의 제2실시예에서는 압인가공면(108)을 곡선으로 냉간가공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곡면(108)은 단일압인가공면(37또한 38)의 압인가공에 의한 것보다 큰 곡면길이(118)를 갖게되고, 또 일반적으로 압인가공 후의 두께(116)가 일정한 두께로 되며, 냉간가공깊이(152) 또한 일정하게 되는 한편, 단일압인가공면(37 또는 38)에 의한 단면적(94 또는 96)보다 큰 냉간가공단면적(126)과, 압인가공면(37,38)을 냉간가공하여 형성되는 총단면적(100)들보다 큰 총냉간가공단면적(126)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곡면을 압인가공함에 의해 냉간가공된 굴곡링부분을 응력이 교차되 넓은 구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제8도는 곡면을 압인가공하기 위해 총냉간가공된 단면적(126)이 예컨대 압인가공되지 않은 면(36)과 동일 반경구형부(138,140)에서 상기 가공면(36)을 가로지르는 현(148)사이에 있게되는 단면적(154)보다 61%가 더 크게 된다.
일반적으로 판금으로 형성시키는 압력용기의 기본적인 용기형태를 형성시키고 이 부분완성된 용기(78)를 개구형을 갖추고 또 플탭오픈너(76)를 부착시키기 위한 리베트를 갖춘 컨버어션프레스로 전단하여 완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컨버어션프레스는 다중 프레스단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용기(78)가 다음 공정이 수행하기 위한 새공구를 갖춘 단계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판넬링(18)의 일반적인 영역에 3번의 압인공정이 행하여 지도록 함으로써 2번의 압인공정에 행하여지는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한다.
한편, 음료용기의 캡(10)을 만들기 위한 바람직한 재질은 AA 5182 알루미늄합금이지만, AA 3004와 기타 금속 또는 강철같은 다른 알루미늄합금도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측벽이 구비한 용기에 캡(10)을 부착시키는 공정은 용기 끝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Claims (16)

  1. 중앙판넬(12)과, 이 중앙판넬(12)을 둘러싸고서 일정거리만큼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는 안쪽경사부(20) 및, 상기 중앙판넬(12)을 둘러싸고 있는 굴곡링(18)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굴곡링(18)이 상기 중앙판넬(12)과 안쪽경사부(2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과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시켜줌과 더불어 이 굴곡링(18)에 응력장이 교차하는 밴드부(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품의 음료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장이 교차하는 밴드부(90)는 서로 달리 가공되는 압인가공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별개로 가공되는 압인가공면은 서로 중복되어져 2중냉간가공된 부분이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5. 중앙판넬(12)과, 이 판넬(12)을 둘러싸고서 일정거리만큼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는 안쪽경사부(20), 상기 중앙판넬(12)을 둘러싸고서 상기 중앙판넬(12)과 안쪽경사부(2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과 일체를 이루는 굴곡링(18), 상기 굴곡링(18)의 제1주변영역을 포함하는 제1냉간가공주변영역(67), 상기 굴곡링(18)의 제2주변영역을 포함하는 제2냉간가공주변영역(70) 및, 이들 주변영역(67,70)을 포함하는 2중냉간가공영역(62)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가공주변영역(67,70)들중의 한쪽영역은 상기 중앙판넬(12)과 안쪽경사부(20)중의 한쪽주변영역에 포함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간가공주변영역 (67)은 상기 중앙판넬(12)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간가공주변영역(70)은 상기 안쪽경사부(20)의 주변영역을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내측면(45)과 외측면(44)을 구비하면서, 상기 내측면(45)은 굴곡된 볼록면(5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면(44)은 2개의 냉간가공된 주변영역(67,70)중 1개의 냉간가공주변영역(67 또는 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내측면(45)과 외측면(44)이 구비되되 상기 내측면(45)에는 굴곡된 블록면(54)이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면(44)에는 2개의 냉간가공주변영역(67,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가공된 주변영역 (67,70)중 한쪽영역은 상기 중앙판넬(12)과 안쪽경사부(20)중의 한쪽주변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캡.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간가공주변영역(67)은 제1압인가공각(72)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상부가 잘린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냉간가공주변영역(70)은 제2압인가공각(74)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냉간가공주변영역(67)과 동일한게 상부가 잘린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것을 음료용기캡.
  13. 중앙판넬(12)과, 이 중앙판넬(12)을 둘러싸고서 일정거리만큼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는 안쪽경사부(20)및, 상기 중앙판넬(12)을 둘러싸고 있는 굴곡링(18)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굴곡링(18)이 상기 중앙판넬(12) 및 안쪽경사부(2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이들 중앙판넬(12) 과 안쪽경사부(2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중앙판넬 (12)을 둘러싸는 보강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굴곡링(18)에 응력장이 교차하는 밴드부(90)를 형성시켜줌으로써 강도가 증가된 금속제의 음료용기캡을 만드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90)는 별개의 압인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압인가공공정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금속제음료용기캡은 알루미늄합금계열 AA 3XXX 또는AA 5XXX 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제조방법.
KR1019880009035A 1987-07-20 1988-07-20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 KR910007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38487A 1987-07-20 1987-07-20
US075384 1987-07-20
US075,384 1987-07-20
US07/130,257 US4832223A (en) 1987-07-20 1987-12-08 Container closure with increased strength
US130,257 1987-12-08
US130257 199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488A KR890009488A (ko) 1989-08-02
KR910007149B1 true KR910007149B1 (ko) 1991-09-18

Family

ID=2675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035A KR910007149B1 (ko) 1987-07-20 1988-07-20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32223A (ko)
EP (1) EP0303837B1 (ko)
JP (1) JPS6445251A (ko)
KR (1) KR910007149B1 (ko)
CN (1) CN1014311B (ko)
AU (1) AU610903B2 (ko)
CA (1) CA1309957C (ko)
DE (1) DE3879034T2 (ko)
ES (1) ES2039013T3 (ko)
GR (1) GR3007313T3 (ko)
IL (1) IL86867A (ko)
MX (1) MX1677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459A (en) * 1989-11-28 1992-04-14 Atlantic Richfield Company Method of forming aluminum alloy sheet
US5149238A (en) * 1991-01-30 1992-09-22 The Stolle Corporation Pressure resistant sheet metal end closure
US5152421A (en) * 1991-09-12 1992-10-06 Krause Arthur A Beverage can end with reduced material requirements
JPH08411U (ja) * 1991-11-20 1996-02-27 孝 穴井 アルミ飲料缶の飲み口の改良
US5590807A (en) * 1992-10-02 1997-01-07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Reformed container end
US5950858A (en) * 1993-02-18 1999-09-14 Sergeant; David Robert Container end closure
DE59300795D1 (de) * 1993-10-08 1995-12-21 Schmalbach Lubec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eiterbehandlung eines Verschlussdeckels aus Blech.
US6223931B1 (en) * 1993-10-08 2001-05-01 Schmalbach-Lubeca Ag Closure end made of sheet
US6024239A (en) * 1997-07-03 2000-02-15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End closure with improved openability
US8490825B2 (en) * 1999-12-08 2013-07-23 Metal Container Corporation Can lid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a can lid closure to a can body
US6702538B1 (en) * 2000-02-15 2004-03-09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n end with minimal warpage
US20020113069A1 (en) * 2000-12-27 2002-08-22 Forrest Randy G. Can end for a container
US6386013B1 (en) 2001-06-12 2002-05-14 Container Solutions, Inc. Container end with thin lip
US6686883B2 (en) * 2001-06-28 2004-02-03 Micro Ft Co., Ltd. Antenna
US6419110B1 (en) 2001-07-03 2002-07-16 Container Development, Ltd. Double-seamed can end and method for forming
US7819275B2 (en) * 2001-07-03 2010-10-26 Container Development, Ltd. Can shell and double-seamed can end
US7556168B2 (en) * 2001-08-16 2009-07-07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with fold
US6772900B2 (en) * 2001-08-16 2004-08-10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US7004345B2 (en) 2001-08-16 2006-02-28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US7644833B2 (en) * 2001-08-16 2010-01-12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US6748789B2 (en) 2001-10-19 2004-06-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Reformed can end for a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591392B2 (en) * 2002-04-22 2009-09-22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an end
EP1361164A1 (en) * 2002-04-22 2003-11-12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an end
WO2006036934A2 (en) * 2004-09-27 2006-04-06 Ball Corporation Container end closure
US7506779B2 (en) * 2005-07-01 2009-03-24 Ba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ing bead in a container end closure
EP1813540A1 (en) * 2006-01-30 2007-08-01 Impress Group B.V. Can end for a can and such can
US8875936B2 (en) * 2007-04-20 2014-11-04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with negatively angled wall
US8011527B2 (en) * 2007-08-10 2011-09-06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with countersink
US8973780B2 (en) 2007-08-10 2015-03-10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with reinforcing bead
US20090180999A1 (en) * 2008-01-11 2009-07-16 U.S. Nutraceuticals, Llc D/B/A Valensa International Method of preventing, controlling and ameliora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using cranberry derivative and d-mannose composition
JP5042941B2 (ja) * 2008-08-11 2012-10-03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缶蓋
US9566634B2 (en) 2010-06-07 2017-02-14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produced from downgauged blank
US8727169B2 (en) 2010-11-18 2014-05-20 Ball Corporation Metallic beverage can end closure with offset countersink
US9821928B2 (en) 2012-05-14 2017-11-21 Rexam Beverage Can Company Can end
JP6320398B2 (ja) 2012-10-18 2018-05-09 ストール マシーナリ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Stolle Machinery Company, LLC 圧印加工されたパネルアール部を有するエンドクロージャ及びリフォーム工程
WO2014149768A1 (en) 2013-03-15 2014-09-25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a ring pull actuated secondary vent
EP3174807A4 (en) * 2014-07-30 2018-03-21 Ball Corporation Vented container end closure
JP6012804B1 (ja) * 2015-03-31 2016-10-25 東洋製罐株式会社 缶体
CN106927113A (zh) * 2017-04-21 2017-07-07 厦门保沣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高耐压强度的易拉盖、易拉罐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1170A (en) * 1967-03-03 1969-04-29 Continental Can Co Coined bead for improved fill characteristics
US3406866A (en) * 1967-06-16 1968-10-22 Continental Can Co Container panel with antifracture score
US3774801A (en) * 1971-02-22 1973-11-27 American Can Co Reinforced metal can end
US3894652A (en) * 1972-03-21 1975-07-15 Fraze Ermal C Easy-open can end construction
US4027612A (en) * 1975-07-16 1977-06-07 Continental Can Company, Inc.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scored metal flap areas
US4031837A (en) * 1976-05-21 1977-06-28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hod of reforming a can end
US4109599A (en) * 1977-11-04 1978-08-29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hod of forming a pressure resistant end shell for a container
US4448322A (en) * 1978-12-08 1984-05-15 National Can Corporation Metal container end
US4215795A (en) * 1979-02-02 1980-08-05 Owens-Illinois, Inc. End structure for a can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354784A (en) * 1979-08-27 1982-10-19 Boise Casca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non-silver scored metal end
US4254890A (en) * 1979-08-27 1981-03-10 Boise Cascade Corporation Non-sliver scored metal end
US4467933A (en) * 1981-10-16 1984-08-28 American Can Company Warp resistant closure for sanitary cans
US4577774A (en) * 1982-03-11 1986-03-25 Ball Corporation Buckle resistance for metal container closures
US4434641A (en) * 1982-03-11 1984-03-06 Ball Corporation Buckle resistance for metal container closures
US4559801A (en) * 1983-10-26 1985-12-24 Ball Corporation Increased strength for metal beverage closure through reforming
US4571978A (en) * 1984-02-14 1986-02-25 Metal Box P.L.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ed can end
US4606472A (en) * 1984-02-14 1986-08-19 Metal Box, P.L.C. Reinforced can e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32223A (en) 1989-05-23
JPH0419094B2 (ko) 1992-03-30
JPS6445251A (en) 1989-02-17
EP0303837B1 (en) 1993-03-10
EP0303837A2 (en) 1989-02-22
CN1014311B (zh) 1991-10-16
AU1863288A (en) 1989-01-27
IL86867A (en) 1991-09-16
ES2039013T3 (es) 1993-08-16
IL86867A0 (en) 1988-11-30
CN1030727A (zh) 1989-02-01
MX167718B (es) 1993-04-07
AU610903B2 (en) 1991-05-30
EP0303837A3 (en) 1990-01-17
DE3879034D1 (de) 1993-04-15
KR890009488A (ko) 1989-08-02
DE3879034T2 (de) 1993-07-15
CA1309957C (en) 1992-11-10
GR3007313T3 (ko) 199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149B1 (ko) 음료용기의 캡과 그 제조방법
AU660892B2 (en) Thread forming screw for forming an internal thread in a low ductility material
EP1601580B1 (en) Modified score for smooth openability
US4215795A (en) End structure for a can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02626A (en) Easy opening container component
JPH0446817B2 (ko)
Pedersen et al. Case crushing of carburized and hardened gears
US6047583A (en) Seal bead for superplastic forming of aluminum sheet
US3946683A (en) Tabless container opening device and method and tools for forming the same
WO1993009890A1 (en) Improving fatigue life of holes
CA1146488A (en) Beverage can lid able to withstand pressure
US4027612A (en)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scored metal flap areas
US3912114A (en) Digitally openable container closure
DE10060421A1 (de) Aus Aluminium hergestellter Festsitz-Niet
CA1104429A (en) Method for the making of can ends
US3650006A (en) Score manufacture
EP1044886A1 (en) Easily openable can lid with excellent openability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977341A (en) Easy opening container component
US4043481A (en) Scored metal flap areas
US4228722A (en) Upset bolt
EP0262767B1 (en) Easily openable easy open end
US3701330A (en) Method and tool for forming a score
US3687099A (en) Scoring metal container components
US3693568A (en) Method of forming heat exchanger fin collars
JPH0689768B2 (ja) 高力ボルト・ナット・座金の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