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869Y1 - 물리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물리 운동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869Y1
KR910006869Y1 KR2019890018150U KR890018150U KR910006869Y1 KR 910006869 Y1 KR910006869 Y1 KR 910006869Y1 KR 2019890018150 U KR2019890018150 U KR 2019890018150U KR 890018150 U KR890018150 U KR 890018150U KR 910006869 Y1 KR910006869 Y1 KR 910006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main body
cylinder
inner cylind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639U (ko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김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2019890013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269Y1/ko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홍 filed Critical 김철홍
Priority to KR2019890018150U priority patent/KR910006869Y1/ko
Publication of KR910008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리 운동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배기구
3 : 흡기구 5 : 외통체
5' : 내통체 6 : 탄발스프링
7 : 패킹 51, 51' : 덮개판
52 : 결합공 52' : 흡기관
53 : 흡기공 53' : 통기공
본 고안은 인체의 피로한 부분이나 멍든 부분, 특히 해면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시 공기의 유통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반복적인 작동을 통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물리운동기구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물리 운동기구를 보면 기구본체를 인체의 일부분에 밀착시킨 후 에어스포이드 펌프로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내서 진공상태를 만들어 주며, 본체를 피부로 부터 분리시키고져 할때에는 강제로 기구를 피부로부터 떼주었는데, 이때는 본체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강한 통증이 수반되었음은 물론 피부가 손상되는 경우도 허다하였고, 또 떼어내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점등의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기구본체의 상면에 공기 밸브를 부설하여 이 밸브의 조작으로 진공상태인 본체내에 공기를 흡입시켜 주므로 본체를 통중없이 간편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기구본체(1)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저면에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되게 투명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배기구(2)를, 중앙에는 흡기구(3)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에는 에어스포이드 펌프등과 같은 에어배출수단에 연결된 튜우브(4)의 단부를 결합 또는 분리토록 하고, 흡기구에는 에어 공급수단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공급수단은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적정크기의 공급외통체(5)와 내통체(5'), 이들 통체의 상부에 고정되게 부착하는 덮개판(51)(51') 및 이 덮개판 사이에 개재시킨 탄발스프링(6)으로 구성하며, 상기 내외통체는 각기 원통형상으로 되게 성형함과 동시에 그 크기를 각기 달리하여 내통체(5')가 외통체(5)내에 결합되게 하고 이 외통체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공(52)을 뚫어 상기 내통체의 저면 중앙에 하향 연설한 흡기관(52')을 관통되게 결합하여 그 하단을 상기 흡기구에 결착하며, 외통체의 상주면에는 흡기공(53)을 내통체의 저면에는 통기공(53')을 각각 뚫어주고 외통체의 내저면에는 패킹(7)을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2도(a)에서 보는 바와같이 외통체(5)는 탄발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되기 때문에 패킹(7)을 매개로 상기 외통체의 내저면과 내통체(5')의 저면이 밀착되므로 통기공(53')이 막히게 되어 이 통기공을 통한 에어의 유통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시에는 본체(1)의 하단부를 인체의 필요한 부위의 피부에 밀착시킨 다음 에어스포이드 펌프등과 같은 에어배출수단을 조작하여 튜우브(4)를 통해 본체(1)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면 밀폐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피부(A)가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순환이 촉진되며, 또 근육을 풀어주는 작용이 진행된다.
이러한 상태를 적정시간 지속되게 한 다음에는 제2도 (b)에서 보는 바와같이 외통체(5)의 상부를 눌러 하강시켜 주면 탄발스프링(6)은 압축되고 상기 외통체의 내저면과 내통체(5')의 저면 사이가 격리되므로 외부 공기가 흡기공(53)을 통해 상기 외통체내로 흡입되어 통기공(53')과 내통체(5')내를 거쳐 흡기관(52')을 통해 진공상태의 본체(1)내를 신속하게 흡입되며, 이런 작용에 의해 진공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본체(1)를 통증없이 간편용이하게 피부로 부터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후 외통체(5)를 눌러 주지 않으면 압축되었던 탄발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 외통체는 다시 상승되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는 본 고안은 사용시 본체(1)를 피부에 밀착시켜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되게 만들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진공상태를 해제시켜 주는 횟수는 3분에 30회 이상 100회 정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시 본체(1)의 상면에 부설한 에어공급수단의 조작으로 진공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주므로 상기 본체를 피부로 부터 통증없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 이런 점에 의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저면이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성형하는 기구본체(1), 이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시킨 에어배출수단 연결용 튜우브를 결합하는 배기구(2),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에 돌출시킨 흡기구(3), 이 흡기구에 결합하는 에어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에어공급수단은 상부가 개방되게 성형한 원통형상의 외통체(5), 이 외통체보다는 작고 그 내부에 결합되는 내통체(5'), 이들 통체의 상부에 고정 부착하는 덮개판(51),(51')과 이들 사이에 개재시킨 탄발스프링(6), 상기 외통체의 내저면에 부착한 패킹(7)으로 구성하며, 상기 외통체의 상주면에는 흡기공(53)을 내통체의 저면에는 통기공(53')을 각각 뚫고 외통체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공(5)을 뚫어 내통체의 저면 중앙에 하향 연설한 흡기관(52')을 관통되게 결합하고, 이 흡기관의 하단은 본체(1)의 흡기구(3)에 결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운동기구.
KR2019890018150U 1989-09-26 1989-11-30 물리 운동기구 KR910006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992U KR910006269Y1 (ko) 1989-09-26 1989-09-26 전조등 스위치
KR2019890018150U KR910006869Y1 (ko) 1989-11-30 1989-11-30 물리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150U KR910006869Y1 (ko) 1989-11-30 1989-11-30 물리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39U KR910008639U (ko) 1991-06-27
KR910006869Y1 true KR910006869Y1 (ko) 1991-09-16

Family

ID=701878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992U KR910006269Y1 (ko) 1989-09-26 1989-09-26 전조등 스위치
KR2019890018150U KR910006869Y1 (ko) 1989-09-26 1989-11-30 물리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992U KR910006269Y1 (ko) 1989-09-26 1989-09-26 전조등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100062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663A (ko) * 2000-09-26 2002-04-01 김근기 식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663A (ko) * 2000-09-26 2002-04-01 김근기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69Y1 (ko) 1991-08-22
KR910005711U (ko) 1991-04-22
KR910008639U (ko)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968A (en) Portable vacuum massage device
US5318548A (en) Mucus extractor
EP0245876B1 (en) Aspirator
KR20050046738A (ko) 자극 특성을 갖는 수동 착유기
KR20190121529A (ko) 부항컵
KR910006869Y1 (ko) 물리 운동기구
US5167621A (en) Fluid extractors
KR200167073Y1 (ko) 부항기용 마사지구
KR100336492B1 (ko) 부항기용 부항캡
KR200181530Y1 (ko) 부항기용 부항캡
KR200264423Y1 (ko) 부항단지
KR200400379Y1 (ko) 쑥뜸 장치
KR200395374Y1 (ko) 부항기용 자동펌핑기구
JPH0443223Y2 (ko)
KR850002288Y1 (ko) 피부 운동기를 겸한 부항기
KR200368708Y1 (ko) 음경 발기 보조기구용 안전밸브
KR200317386Y1 (ko) 휴대용적층식부항
KR20240000333U (ko) 전자식 부항컵
KR820000687Y1 (ko) 유 착 기(乳搾器)
KR200243263Y1 (ko) 부항기
SU119761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ссажа вымени животных
KR900005450Y1 (ko) 부항기용 흡착구
KR200302241Y1 (ko) 분리 방지기능을 갖는 부항컵
RU2082438C1 (ru) Медицинская банка
CN2327382Y (zh) 多功能保健负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