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611Y1 -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611Y1
KR910006611Y1 KR2019880012117U KR880012117U KR910006611Y1 KR 910006611 Y1 KR910006611 Y1 KR 910006611Y1 KR 2019880012117 U KR2019880012117 U KR 2019880012117U KR 880012117 U KR880012117 U KR 880012117U KR 910006611 Y1 KR910006611 Y1 KR 910006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heating
boil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291U (ko
Inventor
손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2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611Y1/ko
Publication of KR900003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량감지수단 2 : 본체
3 : 다이아프램 7 : 수압밸브
10 : 개폐수단 11 : 작동봉
12 : 난방용수 패킹 13 : 온수패킹
14, 16, 17 : 스프링
본 고안은 온수를 겸한 난방용 보일러에 있어서, 난방용수와 온수가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한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겸용 난방용 보일러는 하나의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시켜 이를 난방배관으로 순환시키므로서 난방용으로 사용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온수배관으로 공급시키므로서 온수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일러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서 난방용수와 온수를 동시에 계속 공급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난방용수를 사용할때에는 온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난방용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면서 용도에 따라 교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보일러의 파이프에 난방수용 밸브와 온수용 밸브를 별도로 설치하여 각각을 개폐시키면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서는 난방수나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때 각각의 밸브를 수동으로 일일이 열거나 닫아 주어야 하므로 신속한 전환이 되지 않음은 물론 3방향 연결변과 개폐용 밸브를 보일러의 파이프에 난방수용과 온수용으로 구별하여 각각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온수에서 난방용수로 전환하거나 난방용수에서 온수로 전환하면서 온수나 난방용수의 개폐용 밸브를 닫아주지 않은때에는 보일러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동시에 보일러가 과열되는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보일러의 급수밸브의 개폐에 따라 온수관이나 난방용수관만 개방시키도록 한 보일러의 온수나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온수겸용 난방용 보일러에 있어서, 급수밸브에 의해 공급되는 유량이 바뀌고 그 유량에 따라 다이아프램을 작동시키도록 한 유량감지수단과, 유량감지수단의 다이아프램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하면서 온수패킹이나 난방용수 패킹을 개폐시키도록 한 개폐수단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급수밸브를 닫으면 유향 감지수단의 본체의 내부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 다이아프램을 작동시키지 못하고, 이에 따라 개폐수단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봉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난방용수 패킹은 열리고 온수패킹이 닫히면서 난방용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밸브를 열게되면 유향감지수단의 본체의 내부로 많은물이 공급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작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개폐수단의 작동봉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난방용수 패킹을 닫아주는 동시에 온수패킹만 열어주어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급수밸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부의 물을 공급받거나 순환되는 난방용수가 공급되는 유량감지수단(1)은 공급되는 물의 양에 의해 본체(2)의 내부에 부착된 다이아프램(3)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다이아프램(3)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하는 개폐수단(10)의 작동봉(11)이 난방용수패킹(12)과 온수패킹(13)을 교호로 개폐시키도록 한 것으로, 물공급관(4)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유량조절나사(5)에 의해 어느정도 제어되면서 유량감지수단(1)의 본체(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그 유량에 따라 제1공급통로(2a)로만 흐르거나, 스프링(6)이 탄지된 수압밸브(7)를 개방시켜 제2공급통로(2b)로도 흐르면서 다이아프램(3)이 부착된 내부에서 보일러 공급관(8)을 통하여 보일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진다.
유량감지수단(1)의 본체(2)와 사이에 0-링(21)이 끼워진 채 결합되며,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보일러 연결관(22)을 통하여 중앙(20a)으로 공급되고, 좌, 우측 공급실(20b), (20c)에서 난방수 공급수 공급관(23)과 온수 공급관(24)이 연결된 3방향 밸브체(20)에 개폐수단(10)의 작동봉(11)이 구비되도록 하고, 일측이 다이아프램(3)의 고정홈(3a)에 끼워져 같이 연동하는 작동봉(11)의 소정위치에는 온수패킹(13)을 고정하고, 온수패킹(13)과의 사이에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14)이 탄지된 채 작동봉(11)에 삽입된 난방수패킹(12)은 가이더(15)와 같이 스프링(16)에 의해 우측으로 탄성을 받도록 하여 난방수패킹(12)과 온수 패킹(13)이 좌, 우측 공급실(20b), (20c)을 교대로 개폐시키도록 하며, 스프링(17)에 의해 우측으로 탄성을 받는 작동봉(11)의 타측은 3방향 밸브체(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온수순환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18)를 온/오프시키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5는 중앙(20a)의 압력이 높아질 때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압력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일러의 수조에서 가열된 온수를 필요에 따라 난방용수나 온수로 전환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난방수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물공급관(4)의 급수밸브를 잠그게 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의 물은 공급되지 않게되고,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봉(11)과 다이아프램(3)이 우측으로 밀려나게 되므로서 온수패킹(13)은 스프링(14)에 의해 중앙부(20a)의 온수공급관(24)측을 막게됨과 동시에 난방용수패킹(12)은 스프링(16)과 가이더(15)에 의해 난방수공급관(23)을 개방하게 된다.
즉,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때에는 다이아프램(3)과 일측이 결합된 작동봉(11)을 우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7)의 탄성력이 본체(2)의 압력보다 강하므로서 다이아프램(3)은 원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봉(11)에 고정된 온수패킹(13)은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3방향 밸브체(20)의 중앙부(20a)과 우측공급실(20c)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난방용수패킹(12)은 온수패킹(13)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3방향 밸브체(20)의 중앙부(20a)와 좌측공급실(20b)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도시된 보일러의 수조에서 가열되어 보일러 연결관(22)을 통하여 중앙부(20a)로 공급되는 가열온수는 좌측공급실(20b)을 거쳐 난방수공급관(23)을 통하여 난방배관으로 순환되므로서 난방용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주방이나 목욕탕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물공급관(4)의 급수밸브를 열어주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의 물이 물공급관(4)으로 공급되고, 그 수압에 의하여 수압밸브(7)의 스프링(6)이 밀리면서 제1공급통로(2a)와 제2공급통로(2b)를 통하여 본체(2)의 내부로 많은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때 작동봉(11)을 우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7)의 탄성력은 순환온수의 수압보다는 세고,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보다는 약하게 구성하였으므로 본체(2)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다이아프램(3)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작동봉(11)이 스프링(17)을 압축시켜면서 좌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물은 보일러 공급관(8)을 통하여 보일러의 수조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개폐수단(10)의 작동봉(11)이 좌측으로 이동되므로 인해 이에 고정된 온수패킹(13)이 스프링(14)를 압축하면서 3방향 밸브체(20)의 중앙부(20a)와 우측공급실(20c)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스프링(14)이 난방용수패킹(12)을 좌측으로 밀게되므로서 난방용수패킹(12)은 중앙부(12a)와, 좌측공급실(20b)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보일러에서 가열되어 보일러 연결관(22)을 통하여 중앙부(20a)로 공급되는 가열온수는 우측공급실(20c)을 거쳐 온수 공급관(24)을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서 온수로 이용되는 것이다.
한편, 작동봉(11)이 좌측으로 이동되어지면서 마이크로 스위치(18)를 온시키게 되어 온수순환펌프를 동작시키게 되므로서 온수가 원활히 공급되어지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만 개방시키도록 한 급수밸브로 유량감지수단(1)의 본체(2)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고, 유량감지수단(1)의 다아이프램(3)이 유압에 의해 작동하면서 개폐수단(10)의 작동봉(11)을 좌, 우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작동봉(11)에 구비된 온수패킹(12)과 난방용수패킹(13)이 3방향 밸브체(20)의 중앙부(20a)와 좌, 우측 공급실(20b), (20c)을 교대로 개방 또는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급수밸브를 닫으면, 난방용수패킹(13)만 개방되면서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급수밸브를 열면 온수패킹(13)만 개방되면서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안정되게 작동함은 물론, 온수나 난방용수 밸브를 일일이 개폐시키지 않고 급수밸브에 의해 온수나 난방용수를 간단히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온수겸용 난방용 보일러에 있어서, 물공급관(4)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라 온수 또는 난방용수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유량감지수단(1)과, 유량감지수단(1)의 작동에 따라 난방용수 패킹(12)과 온수패킹(13)을 교대로 개방시키도록 한 개폐수단(10)으로 구성된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량감지수단(1)은 본에(2)의 일측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수량에 따라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공급통로(2a) 및 수압밸브(7)를 갖는 제2공급통로(2b)와, 상기 제1공급통로(2a)와 제2공급통로(2b)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아프램(3)을 갖추어서 구성된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전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개폐수단(10)은 다이아프램(3)과 스프링(16)(17)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작동봉(11)에 난방용수 패킹(12)과 온수패킹(13)을 사이에 스프링(14)을 탄지한채 축착 또는 고정하여서된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전환장치.
KR2019880012117U 1988-07-27 1988-07-27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KR910006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117U KR910006611Y1 (ko) 1988-07-27 1988-07-27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117U KR910006611Y1 (ko) 1988-07-27 1988-07-27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291U KR900003291U (ko) 1990-02-07
KR910006611Y1 true KR910006611Y1 (ko) 1991-08-26

Family

ID=1927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117U KR910006611Y1 (ko) 1988-07-27 1988-07-27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6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291U (ko)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9034A (en) On-demand hot water system
AU570463B2 (en) Faucet system
US4160461A (en) Water and energy conservation system
US4224962A (en) Change valve
ES2097637T3 (es) Dispositivo de control automatico de una valvula de limitacion de flujo.
KR910006611Y1 (ko) 보일러의 온수와 난방용수 자동 전환장치
DE50014641D1 (de) Zweiwegeventil für ein flüssigkeitsführendes Haushaltgerät
SE9203179L (sv) Omkopplingsventil med luftningsanordning
JP2002513126A (ja) 水コンディショナー弁のための二重カム駆動
US6354813B1 (en) Hydraulically activated three-way-valve
DK162540B (da) Ventil til brugsvand
JPS6157974B2 (ko)
FR2755208A3 (fr) Regulateur de pression avec blocage contre les fuites de gaz
DK0973083T3 (da) Blandeventil
ES511213A0 (es) Perfeccionamientos en valvulas controladora del flujo de fluidos.
SE9003910D0 (sv) Termostatventil
JP7132265B2 (ja) 逆止弁および給湯機
EP1598588A1 (en) Bi-thermal boiler with anti-'water hammer' arrangement in the bypass circuit
JPS6315691Y2 (ko)
WO2002050460A1 (en) Electrically controlled hydraulic valve, in particular for hot water heaters
KR200297736Y1 (ko) 온냉수조절이 가능한 자폐식 밸브
SU1555581A1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бытовой газовой аппаратуры
EP0751450A1 (en) Hot water thermoregulating valve
IT1249124B (it) Macchina per caffe' bivalente, capace di erogare caffe' espresso e caffe' filtro, ad uso industriale e domestico
DE59007094D1 (de) 2-Wege-Stromve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