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68Y1 -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68Y1
KR910006268Y1 KR2019870010302U KR870010302U KR910006268Y1 KR 910006268 Y1 KR910006268 Y1 KR 910006268Y1 KR 2019870010302 U KR2019870010302 U KR 2019870010302U KR 870010302 U KR870010302 U KR 870010302U KR 910006268 Y1 KR910006268 Y1 KR 910006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trigger
interlocking rod
lock leve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190U (ko
Inventor
정하문
Original Assignee
유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효민 filed Critical 유효민
Priority to KR2019870010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268Y1/ko
Publication of KR890001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68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공기총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제1도 "A"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3도 및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제3도는 본 고안의 록크레버가 잠겨지지 않은 상태의 작용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록크레버가 잠긴 상태의 작용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크레버의 이동 고정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4도의 (a)는 제2도 B부분의 확대 횡단면도, 제4도의 (b)는 제3도 B' 부분의 확대 횡단면도, 제4도의 (c)는 제5도 B"부분의 확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공기관 3 : 노리쇠
3a : 걸림홈 3b : 걸림턱
5 : 방아쇠 6 : 스프링
7 : 연동간 7a : 고정돌기
10 : 축수편 10b,10c : 요홈
11 : 축핀 12 : 록크레버
12a : 록크면 12b : 해제면
13 : 스프링 14 : 고정볼
본 고안은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리쇠의 후진 작동에 따라 안전자물쇠를 록크시킬 수 있게 되고 방아쇠의 당김동작과 같은 일련의 동작으로 안전자물쇠의 록크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기총에는 여러 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안전자물쇠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같은 종래의 안전자물쇠 장치는 통상, 그 조작부가 총대의 하부 즉, 방아쇠울의 전·후방에 노출 설치되거나 또는 노리쇠가 내장되는 압축공기관의 후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안전자물쇠 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는 먼저 노리쇠 손잡이를 당기어 노리쇠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그 자물쇠의 조작부를 인위적으로 밀고 당기거나 또는 누름으로써 자물쇠를 록크하게 되고, 방아쇠를 당기기에 앞서 록크된 자물쇠를 해제할 경우에도 별개의 동작으로 자물쇠를 풀은 다음에야 방아쇠의 격발이 가능하게 되므로, 그 취급사용이 번거롭고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여 개폐되는 안전자물쇠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부주의로 인하여 자물쇠를 잠그지 않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을 갖게 되고, 또한 신속한 기회 포착을 요하는 실제의 사격에 있어서도 자물쇠의 록크상태를 미쳐 깨닫지 못하고 목표물에 대하여 조준 격발하는 사례가 종종 유발됨으로써 그 발사의 결정적인 시기를 놓치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단점과 문제점를 갖지 않은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탄알의 장진을 위하여 노리쇠를 후진 작동시킴과 동시에 안전자물쇠가 자동적으로 록크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방아쇠를 당기는 일련의 동작으로 자물쇠의 록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하여 자물쇠의 록크해제를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자물쇠 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자물쇠 장치가 구비된 공기총의 전체 측면도이고, 제2도는 그 자물쇠 장치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링(2)으로 탄력 설치되는 노리쇠(3)가 압축공기관(1)의 후단부에 내장되고, 그 압축공기관(1) 하측의 축지편(4)에 유착되는 방아쇠(5)의 상측부에는 스프링(6)으로 상향 탄지되는 연동간(7)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연동간(7)의 선단부 상측에는 노리쇠(3)의 하측 주면 중간부 및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홈(3a) 및 걸림턱(3b)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7a)가 돌출 형성된 공기총의 격발 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자물쇠 장치는 상기 방아쇠(5)용 축지편(4)의 전방에 평행하게 인접 설치되는 축수편(10)과 그 축수편(10)에 축핀(11)으로 유착되는 록크레버(12)로 구성된다.
상기한 축수편(10)은 ㄷ 자형으로 절곡된 몸체의 상단이 압축공기관(1)의 하측주면에 용착 고정되어 있고 그 절곡축수편(10)의 전방 상측부에는 소정폭의 절결부(10')가 형성되어 있어 그 절결부(10')를 통하여 상기한 방아쇠 연동간(7)의 선단부가 전방으로 관출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 축수편(10)의 일측벽(10a) 내면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고 작은 폭을 가지는 두 개의 요홈(10b) (10c)이 그 측벽(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축수편(10)에 유착되는 록크레버(12)는 그 몸체의 중간 상측부가 상기 축수편(10)의 양측벽(10a) (10a')사이에 끼워져 있고 그 몸체의 중간부가 양측벽(10a) (10a')의 하단 후측 모서리부 사이에 걸쳐 끼워진 상기 축핀(11)으로 유착되어 그 축핀(11)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그 록크레버(12)의 상단에는 그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록크면(12a)과 그 록크면(12a)에 대하여 소정경사각을 갖도록 절결된 해제면(12b)이 각기 형성되어 있어, 이들 록크면(12a)과 해제면(12b)이 그 상부에 위치하는 방아쇠 연동간(7)의 하단에 각기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록크레버(12) 몸체의 상측부 즉, 상기 록크면(12a)과 해제면(12b)이 형성된 몸체의 상단 하측부에는 소정구경을 가지는 삽입공(12c)이 그 몸체의 양측면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공(12c)에는 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되는 고정볼(14)이 설치되어 있어 삽입공(12c)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볼(14)의 외주면부가 상기 축수편(10)의 각 요홈(10b) (10c)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설치되는 록크레버(12)의 하단은 방아쇠(5)의 하단부가 관출되는 총대(20)의 하부 즉, 방아쇠울(21)의 내부로 소정길이 만큼 노출되어 그 하단부가 방아쇠(5)의 전방에 인접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c는 노리쇠(3)이 작동용 손잡이이고, 8은 노리쇠(3)의 전진 작동시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동작되어 압축공기관(1) 내부의 압축공기를 총열(9)의 내부로 분사시키는 공기배출기의 격침 밸브봉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안전자물쇠 장치의 동작 상태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2도는 스프링(2)의 탄성으로 노리쇠(3)가 전진되어 그 선단부가 격침 밸브봉(8)의 후단에 접촉되 격발후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에는 방아쇠 연동간(7)의 고정돌기(7a)가 노리쇠(3)의 하측 주면에 접촉되어 있고, 그 연동간(7)의 하측에 설치된 록크레버(12)가 그 축핀(1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어 그 상단의 해제면(12b)이 상기 연동간(7)의 하단에 접촉됨과 아울러,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13)으로 탄력 지지된 고정볼(14)의 외측구면 중앙부가 축수편(10)의 일측벽(10a) 전방에 형성된 전방요홈(10b)의 외측주연부 즉, 전방 요홈(10b)의 경계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다.
이와같이 상태에서 노리쇠(3)를 소폭 후퇴시키어 그 중간의 걸림홈(3a)을 상기 연동간(7)의 고정돌기(7a) 상측에 일치시키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동간(7)을 탄지하는 스프링(6)의 탄성으로 그 고정돌기(7a)가 중간 걸림홈(3a)에 끼워져 후진된 노리쇠(3)를 정지시키게 되며, 또한 이때에 상기 록크레버(12)의 해제면(12b)에 접촉되어 있던 연동간(7)의 하단부가 그 해제면(12b)의 후단을 약간 누르게 되므로, 축수편(10)에 유착된 록레버(12)는 상기 연동간(7)의 회동폭만큼 소폭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전방요홈(10b)의 경계면에 접촉되어 있던 고정볼(14)이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요홈(10b)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록크레버(12)의 고정위치를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그 록크레버(12)상단의 해제면(12b)과 상기 연동간(7)의 하단 사이에는 소정폭의 여유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자물쇠 즉, 록크레버(12)가 잠겨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방아쇠(5)의 당김에 의한 연동간(7)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물쇠를 잠글 필요가 없을 때 예를들어 연속으로 사격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에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통상의 사용시 즉 노리쇠(3)의 후진과 더불어 반드시 자물쇠를 채우고자할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리쇠(3)를 완전히 후진시키게 되는 바, 노리쇠(3)의 완전 후진에 따른 록크레버(12)의 자동 잠김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 노리쇠(3)를 후진시키게 되면 그 중간걸림홈(3a)에 끼워져 있던 상기 연동간(7)의 고정돌기(7a)가 걸림홈(3a)으로얼마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그 노리쇠(3)의 하측 주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노리쇠(3)가 완전히 당겨짐에 따라 그 노리쇠(3) 선단의 걸림턱(3b)부가 고정돌기(7a)부에 일치하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6)의 탄성으로 연동간(7)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고정돌기(7a)가 걸림턱(3b) 전방의 공간부로 급속히 밀려 들어가 그 걸림턱(3b)의 전면에 걸리게 되며 이와 동시에 그 연동간(7)과 일체로 형성된 방아쇠(5)를 시계방향 즉, 전방으로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회전되는 방아쇠(5)는 그 하측 전면부로써 방아쇠(5)의 전방에 위치하던 록크레버(12)의 하단후측를 순간적으로 격타하게 되므로, 상기 제3도(제5도의 가상선)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있던 록크레버(12)가 축핀(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상단의 록크면(12a)이 연동간(7)의 하단에 접촉하게 되며 이에따라 그 연동간(7)이 하향 회동할 수 없도록 고정시키게됨으로써 사수는 자물쇠를 채우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거도 자동적으로 자물쇠를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록크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있던 고정볼(14)이 축수편(10)의 전방요홈(10b)으로부터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제4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후방요홈(10c)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록크레버(12)에 의한 연동간(7)의 록크상태를 확실하게 안정되 보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자물쇠가 잠겨진 상태에서, 격발을 위하여 방아쇠를 당기고자할 경우에는, 통상의 격발시와 같은 방법으로 총대(20)를 잡고 사수의 인지를 방아쇠울(21)의 내부로 끼워 넣어 인지의 끝부분으로 총대(20)의 하부로 노출된 록크레버(12)의 하단을 당김과 동시에 그 당김동작에 이어지는 연속 동작으로 방아쇠(5)를 당길 수 있게 되므로, 록크레버(12)의 해제 작동과 방아쇠(5)의 격발동작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번거로운 별도 조작에 의한 자물쇠의 해제동작이 필요없이 자물쇠의 풀음 동작과 격발동작을 거의 일련의 연속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는 후진된 노리쇠를 고정시키는 방아쇠 연동간의 하부에 그 방아쇠 회전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간단한 구조의 록크레버를 설치하여 노리쇠의 후진작동과 더불어 안전 자물쇠의 록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방아쇠 당김 동작에 앞선 일련의 동작으로 자물쇠의 록크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조작에 의해 안전자물쇠의 일일이 잠그고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없애고 부주의로 인해 자물쇠를 잠그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자물쇠 장치가 구비된 공기총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따라 총기의 취급사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를 완벽히 배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압축공기관(1)의 하부에 유착되는 방아쇠(5)의 상측에 스프링(6)으로 탄력 지지되는 연동간(7)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연동간(7)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7a)에 후진된 노리쇠(3)의 걸림홈(3a) 및 걸림턱(3b)이 걸려 고정되게한 공기총의 격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5)의 유착부 전방에 설치한 축수편(10)에 상기 연동간(7)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록크면(12a)과 해제면(12b)이 상단에 구비된 록크레버(12)의 중간부를 축핀(11)으로 유착하여, 공지의 방아쇠울(21) 내부로 노출시킨 록크레버(12)의 하단부가 상기 방아쇠(5)의 하측 전방에 인접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레버(12)는 그 상측부에 형성된 삽입홈(12c)에 상기 축수편(10)의 내측벽에 형성된 수직요홈(10b) (10c)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고정볼(14)이 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의 안전자물쇠 장치.
KR2019870010302U 1987-06-22 1987-06-22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KR910006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302U KR910006268Y1 (ko) 1987-06-22 1987-06-22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302U KR910006268Y1 (ko) 1987-06-22 1987-06-22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190U KR890001190U (ko) 1989-03-17
KR910006268Y1 true KR910006268Y1 (ko) 1991-08-22

Family

ID=1926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302U KR910006268Y1 (ko) 1987-06-22 1987-06-22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2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190U (ko) 198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79107A (en) Gun lock
US4721092A (en) Trigger device for cross bows, with automatically activated safety means
US6240670B1 (en) Locking mechanism for firearms
US4391058A (en) Trigger and firing mechanism for bolt action rifle
US4512099A (en) Gun locking device
US5596976A (en) Trigger device for crossbows, with automatically activated safely means
US4672762A (en) Safety device in a repeating rifle
US20030183068A1 (en) Closed bolt firing delayed blowback automatic handgun firearm
US5417001A (en) Firing mechanism for fire arms
US5821445A (en) Loading lever assembly for hand-operated firearms
US4173964A (en) Safety for the trigger mechanism of a gun
KR100486979B1 (ko) 권총
US4133128A (en) Safety device for rifles
US4658529A (en) Firing pin safety mechanism
US200801048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integral firearms safety lock mechanism
US4305218A (en) Safety mechanism for a firearm
US4462179A (en) Chamber alignment and safety system for a firearms
US2856718A (en) Safety mechanism for firearms
US6055759A (en) Trigger lock
US4461110A (en) Safety latch arrangement for use in a firearm
US6405470B1 (en) Firearm safety lock
US5421114A (en) Gun with improved barrel locking means and rebounding hammer
US4000575A (en) Means for retraction of lower firing pin of over-and-under firearm
KR910006268Y1 (ko) 공기총의 안전 자물쇠 장치
US4843748A (en) Fire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