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05Y1 - 자동 등 밀이기 - Google Patents

자동 등 밀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05Y1
KR910006105Y1 KR2019880012005U KR880012005U KR910006105Y1 KR 910006105 Y1 KR910006105 Y1 KR 910006105Y1 KR 2019880012005 U KR2019880012005 U KR 2019880012005U KR 880012005 U KR880012005 U KR 880012005U KR 910006105 Y1 KR910006105 Y1 KR 910006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case
handle
rotar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502U (ko
Inventor
원동석
Original Assignee
원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동석 filed Critical 원동석
Priority to KR2019880012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05Y1/ko
Publication of KR900002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등 밀이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B-B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가"부 상세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C-C선 단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승강판 위치고정장치의 분리사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승강판의 사시도.
제 9 도는 본 고안의 작동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때밀이 수단 101 : 구동모터
102, 104 : 회전풀리 103 : 벨트
105 : 회전축 106 : 회전판
107 : 지지대 108 : 수직레버
109 : 수평레버 110 : 회전마찰구
111 : 고정마찰구 112 : 피니언
113 : 랙크 114 : 로드
115 : 설치공간부 116 : 압축스프링체
200 : 승하강 수단 201 : 승강판
202, 202' : 슬라이더 203 : 랙크부
204 : 가이드공 205 : 핸들
206 : 손잡이 207 : 피니언
208 : 가이드바 300 : 손잡이대
본 고안은 자동등밀이기에 관한것으로,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시키게되면 내부에 설치된 단락회로와 타이머의 동작으로 일정시간동안 모터를 구동시켜서, 마찰구가 회전하면서 승하강 이송되도록 하므로서 자동으로 등을 밀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용신안공고번호 제81-282호와 같이 전방에 마찰구가 설치된 회전축의 말단부를 케이스내에 삽입설치하여 그 말단부에 풀리를 회전자재토록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 사이를 벨트로서 연결하여서 된 것에, 금전투입구를 구비한 전원공급기 내에 공지한 타이머와 스위치 및 릴레이를 설치하여 도통함에 따라 릴레이가 접점되어 모터를 구동시키므로서 마찰구를 회전시켜 등을 닦을 수 있도록 한것이다.
그러나, 이는 마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한곳에서만 회전토록 설치하여 있으므로해서, 사용자(등을 밀고자 하는 사람)는 회전하고 있는 마찰구에 등을 밀착시키면서 양팔을 뒤로하여 손잡이를 잡은상태에서 등을 닦기위하여 마치 가벼운 부위를 긁기위하여 벽에 등을 대고 비벼대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앉았다 일어섰다 하면서 등을 상하 좌우로 움직여서 등을 닦아야 하는 매우 큰 불편함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체형이 크거나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사용상 불편함이 더욱더 극심하여 사실상 자동 등밀이기의 구실을 제대로 발휘하질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등밀이용 마찰구가 승하강 동작됨과 동시 자체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 하면서, 체형이 크고 작음에 개의치않고 등을 닦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승강판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시켜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마찰구를 회동시키는 자동 등밀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중앙과 그 양측에는 회전마찰구 및 고정마찰구가 각각 승하강 안내될 장공(1)(2)이 길이방향으로 각기 형성되고, 그 하방양측에는 승강판 승하강 안내용 절개구(3)를 구비함과 동시, 일측 측벽 소정위치에는 동전 투입구(4)와 스위치 작용부(5) 그리고 마찰포인출구(6)를 형성하면서 상부일측에는 환기용팬(7)을 부설한 닥트(8)를 설치한 장방체의 케이스(10)가 설치되었으며, 케이스(10)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구동모터(101)에는 회전풀리(102)를 축설하고 케이스내부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설치대(9)상의 지지대(107)에 취부된 회전축(105)의 전방에는 회전판(106)이 결합설치되었고, 후방 말단부에는 회전풀리(104)가 축설되어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풀리(102)와 벨트(103)연결하였다.
전방에 마찰포(114a)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면서 피니언(112)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마찰구(110)와, 상기 회전판(106)의 편심부 사이를 수직레버(108)로서 회동가능토록 연결하고, 수직레버(108)가 결합된 회전마찰구(110) 말단부에는 양측에 마찰로(114a)가 착탈식으로 결합된 고정마찰구(111)를 각각 취부한 수평레버(109)중앙부를 회동 가능토록 결합시켜 각각의 마찰구(110)(111)가 각각의 장공(1)(2)내에서 승하강 안내토록 회전 마찰구(110)와 고정마찰구(111)에 베어링(117)은 축설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마찰구(110)에 형성된 피니언(112)과 치합된 랙크(113)를 중앙부 장공(2) 후면 일측에 고정설치하여 회전마찰구(110)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하였다.
또한, 도면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 후방에 안내공(209)을 형성한 슬라이더(202)(202')를 부설하고 전방바닥면 양측에 가이드공(205)을 형성한 승강판(201)을 상기 케이스전면 절개부(3)로 양측 슬라이더(202)(202')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안내공(209)으로는, 케이스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바(208)가 삽입관통 안내되고, 전방 바닥면 가이드공(204)내로는 케이스 전방축 천정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절곡된 형태로 부설된 손잡이대(300)가 관통설치되었으며, 상기 승강판(201)의 일측 슬라이더(202')의 후면에는 랙크부(203)를 형성하여 설치대(9) 하방으로 하향 설치된 지지대(210)에 상기 랙크부(203)와 치합될 피니언(207)이 축설된 핸들(205)이 설치되었고, 핸들(205)의 슬라이드홈(205a)에는 돌기(205b)를 돌설하면서 손잡이(206) 대향부에 키홈(206a)을 형성함과 동시 케이스 측벽(10a)에는 손잡이 말단부가 삽입된 록킹공(211)과 위치 표지부(212)가 적어도 1개이상 형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등을 자동으로 닦기위해서는 승강판(201)위에 올라 섰을때 회전마찰구(110)와 고정마찰구(111)의 승하강행정내에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어 마찰될 수 있도록 케이스 측벽(10a)에 설치된 핸들의 손잡이(106)를 돌리게 되면 핸들(105) 말단부에 설치된 피니언(207)이 설치대(9) 하방으로 하향설치된 지지대(210)상에서 회전하게 되어 그와 치합된 슬라이더(202') 후면의 랙크부(203)를 승하강 이송시키게 되는데, 양측 슬라이더(202)(202')는 케이스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바(208)를 따라 승하강 안내되면서 전방 바닥을 양측 가이드공(204) 내로 관통되어 손잡이 기능과 승강판의 안내작용 뿐만아니라 철봉의 기능을 갖추고있어 체력단련에도 도움되는 손잡이대(300)에 의해 승강판(201)상에 올라선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안내작용 하는 승강판(201)이 승하강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도록 손잡이(206)를 회전시켜 승강판의 높이를 조절한 후 승강판(201)상에 사용자가 올라섰을 경우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승강판(201)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206)를 측벽(10a)상에 표시된 위치표시부(212)와 위치를 일치시킨후 손잡이(206)를 밀어넣게 되면 위치표시부 동일위치에 형성된 록킹공(211)내로 손잡이(206)가 삽입되게 되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한 승강판(201)의 하강을 방지토록 한것이다.
이때, 핸들의 슬라이드 홈(205a)내로 돌설된 돌기(205b)와 슬라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드 되는 손잡이(206)에 키홈(206a)이 서로 삽입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안내토록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신장에 적합하도록 승강판(201)의 높이를 조절한 후 동전투입구(4)에 동전을 투입하게되면 1차스위치(91)가 접점을 이루면서 마찰포 자동인출장치(92)를 동작시켜 자판기내에 내장된 마찰포가 마찰포인출구(6)를 통하여 인출되게된다.
이렇게 인출된 마찰포(114a)를 도면 제 5 도와 같이 로드(114) 전방에 씌운후 스위치 작동부(5)를 누르게 되면 2차스위치(93)가 접점을 이루면서 타이머(94)를 동작시켜 Q1, Q2를 동작시키고 이를 릴레이(RY)를 동작시켜 Y1을 접점시켜서, AC전원을 도통시키므로 구동모터(M)가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용으로 구동모터(101)가 구동되게 되면, 구동모터(101)의 회전풀리(102)와 회전축(105)에 축설된 회전풀리(104)를 벨트(103)로서 상호연결하여서 구동모터(101)의 회전력이 회전축(105)를 통하여 회전(106)을 돌려주게 된다.
이와같이 회전판(106)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106)의 편심위치와, 선단에 회전로드(114)와 그 내측에 피니언(112)이 취부된 회전마찰구(110)의 피니언(112) 후면 수직레버(108)로서 회동가능토록 연결하고, 그 후면 양측 선단부에 고정마찰구(111)가 설치된 수평레버(109)의 중앙부를 회동가능토록 연결한다.
이때, 회전마찰구(110)의 피니언(112)과 치합될 랙크(113)가 회전마찰구가 승하강될 장공(2) 후면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판(106)의 회전력으로 회전판(106) 편심위치에 회동가능토록 연결된 수직레버(108)의 말단부는 선회하게되면 회전마찰구(110)가 취부된 수직레버(108) 선단부는 도면 제 3 도, 5 도,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마찰구 승하강용 장공(2)내에서 베어링(117)을 축설한 회전마찰구(110)가 승하강 이송되면서 상기 랙크(113)와 치합된 피니언(112)이 회전하게 되어 피니언 내측에 평면부를 구비한 설치공간부(115a)의 압축스프링체(116)에 의해 탄설되면서 평면부(114b)를 가진로드(114)를 회전시켜 그 선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된 마찰포(114a)를 비롯한 회전마찰구(110)가 선회운동 하면서 승하강 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레버(108)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면서 그 후방에 수평레버(109) 중앙부가 결합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서 수직레버(108)의 하강과 동시 베어링(117)이 축설된 양측 고정마찰구(111)가 양측 장공(1)에 안내되면서 동시에 승하강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마찰구(110)와 고정마찰구(111)의 설치 공간부(115)내에는 평면부(114b)를 가진 로드(114)의 말단부가 압축 스프링체(116)에 의해 탄동설치되어 있으므로해서 탄력적으로 등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천정상부에는 케이스(10) 내에 수용되는 습기를 환기시키기위한 환기용팬(7)을 설치하여 건조한 외부 공기를 닥트(8)를 통해 내장된 부품에 습기를 차단시켜 원활한 작동이 이뤄지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을 동전투입구로 동전만 넣어주면 중앙에 위치한 회전마찰구는 승하강과 더불어 회전운동을 동시에 행하고 그양측의 고정마찰구를 통한 승하강운동하게 되어 자동으로 등을 닦을 수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판을 설치 하므로해서 키가 작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신장의 차이에 개의치 않고 있으며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등을 자동으로 닦을 수 있어 대중목욕탕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3)

  1.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시켜 내재된 타이머와 단락 회로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그와 연동되는 마찰구로서 등을 닦을 수 있는 자동 등 밀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장방체의 케이스(10) 내측바닥면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01)의 회전풀리(102)와 케이스 내측 소정높이의 지지대(9)상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된 회전판(106) 후방 회전풀리(104) 사이를 벨트(103)로서 연결하고, 케이스 전면 중앙측 장공(2)내에서 승하강 운동과 더불어 선회 안내토록 장공후면에 설치된 랙크(113)와 치합될 피니언(112)를 구비한 회전마찰구(110)와, 상기 회전판(106) 편심부 사이를 수직레버(108)로서 회동가능토록 연결하고, 그 후방에는 양측 장공(1)내에서 승하강 안내될 한쌍의 고정마찰구(111)를 설치한 수평 레버(109) 중앙부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때밀이 수단(100)과; 양측 후방에 가이드바(208)를 관통시킨 슬라이더(202)(202')의 일측 후면에는 랙크부(203)를 형성하고, 전면양측 바닥면에는 손잡이대(300) 삽입관통 가이드공(204)이 형성된 승강판(201)을 형성하여 말단부에 상기 랙크부(203)와 치합된 피니언(207)을 축설한 핸들(205)을 지지대(210)에 선회 자재토록 설치된 승하강 수단(200)과; 케이스 전면양측에 상기 승강판(201)의 가이드공 내로 삽입관통하면서, 케이스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절곡 결합된 손잡이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등밀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마찰구(110)와 고정마찰구(111)는, 전방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찰포(114a)를 설치하고, 후방평면부(114b)를 구비한 로드(114)가, 내부에 평면부(115a)를 형성한 설치공간부(115)내의 압축스프링체(116)로서 탄동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등밀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10) 상부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내재부품을 습기로부터 차단 시키기 위한 환기팬(7)을 구비한 닥트(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등밀이기.
KR2019880012005U 1988-07-26 1988-07-26 자동 등 밀이기 KR910006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005U KR910006105Y1 (ko) 1988-07-26 1988-07-26 자동 등 밀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005U KR910006105Y1 (ko) 1988-07-26 1988-07-26 자동 등 밀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02U KR900002502U (ko) 1990-02-06
KR910006105Y1 true KR910006105Y1 (ko) 1991-08-17

Family

ID=1927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005U KR910006105Y1 (ko) 1988-07-26 1988-07-26 자동 등 밀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46B1 (ko) * 2022-08-16 2023-02-23 최석재 세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02U (ko) 199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0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1504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US3831217A (en) Automatic shoe polishing machine
KR910006105Y1 (ko) 자동 등 밀이기
CN114098490A (zh) 干燥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748539B1 (ko) 흡입부 위치조절 가능한 배기 후드
JP2002065548A (ja) 昇降式食器洗いまたは乾燥機
CN115736686A (zh) 一种可除雾烘干的镜柜及其使用方法
KR0156706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N115104976A (zh) 清洗装置及清洗机器人
CN207041489U (zh) 一种电动拖把
CN219846274U (zh) 一种淋浴器
CN210138121U (zh) 拖把自动清洗机及其专用拖把
CN214569889U (zh) 一种电梯用操控装置
CN218588922U (zh) 双滚筒拖地模组及扫地机
KR900004831Y1 (ko) 유동식 요람
JPH0711754Y2 (ja) 洗濯機兼用洗槽
CN116548891B (zh) 一种往返式辊轮毛刷智能鞋底清洁机
CN218484169U (zh) 一种平衡摇摆机构及其可拆卸式摇床
CN218972736U (zh) 一种吸油烟机
CN220777296U (zh) 一种白茶加工用萎凋装置
JPH0418624Y2 (ko)
WO2022228487A1 (zh) 清洁设备
US3231916A (en) Electric shoe polisher and cleaner
JP4297134B2 (ja) パチンコ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