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04Y1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04Y1
KR910006104Y1 KR2019880013260U KR880013260U KR910006104Y1 KR 910006104 Y1 KR910006104 Y1 KR 910006104Y1 KR 2019880013260 U KR2019880013260 U KR 2019880013260U KR 880013260 U KR880013260 U KR 880013260U KR 910006104 Y1 KR910006104 Y1 KR 910006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cap
spou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485U (ko
Inventor
정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 키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 키,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 키
Priority to KR2019880013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04Y1/ko
Publication of KR900004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용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포장용기 외관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절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체 2 : 손잡이
2a : 홀딩밴드 2b, 2c : 마개밴드
2d : 베이스 3 : 캡
4 : 격벽 6, 6' : 주출구
8, 8' : 통로 9 : 결착공
10 : 그립퍼 11, 12 : 마개
13, 13' : 돌기 15, 15' : 스톱퍼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체내를 2분할로 구획하여 이종의 내용물을 넣도록함과 아울러 용기체 캡에 각각의 주출구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른 내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포장용기는 1종의 내용물만을 넣도록되어 있어서, 예컨대 샴푸와 린스, 로션과 스킨 등과 같이 동시 사용이 빈번한 내용물도 각각 별개의 용기에 넣어 포장해 왔다.
이와같이 용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내용물을 각각의 용기에 넣어 사용함으로서, 전기한 내용물의 경우 샴푸를 사용한 후에 니스를 사용하기 위하여서는 린스 용기의 캡을 열어 내용물을 주출시켜야 했다.
따라서,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고, 용기가 다수개인 경우 보관시에도 점유 용적이 크게되어 공간활용의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려면 내부가 2분할된 용기에 각각 별도의 주출구를 구비한 뚜껑을 부착하면 되지만 이럴 경우 구조적으로 대단히 복잡해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출원인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1987년 19475호로 제안한 용기뚜껑은 주출구를 개폐할 수 있고, 손잡이도 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부가 2분할된 용기의 뚜껑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87년 19475호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부가 2분할 되고, 각각 독립된 주출구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내용물을 넣도록 그 내부가 분할 구획된 용기체와 이들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주출구가 각각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포장용기의 외관사시도로서, 부호(1)은 용기체(2)는 손잡이(3)은 캡을 표시한다.
용기체(1)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중앙이 격벽(4)에 의해 제1실(a)와 제2실(2b)로 분할 구획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캡(3)을 협지시키기 위한 용축부(5)가 돌출되어 있다.
제1실(1a)의 상측과 제2실(2b)의 상측에는 주출구(6)(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캡(3)은 그 하측으로 용기체(1)과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부(7)이 형성되어 전기한 용출부(5)에 강제끼워 맞춤으로 협지되어 있다.
또한, 캡(3)에는 주출구(6)(6')의 외주로 끼워지는 통로(8)(8')가 뚫어져 있다.
캡(3)의 연결부(7) 상측부에는 전기한 손잡이(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착공(9)가 뚫어져 있다. 이 결착공(9)에는 손잡이(2)에 형성된 그립퍼(10)이 관통되어 결착된다.
손잡이(2)는 무한궤적을 이루는 밴드형태로 형성되어 홀딩밴드(2a)와 그 양측으로 연속되는 마개밴드(2b)(2c), 그리고 이들 밴드(2b)(2c) 사이에 연속되는 베이스(2d)로 구성된다.
홀딩밴드(2a), 마개밴드(2b)(2c) 베이스(2d) 각각의 상호 연결점(A)(B)(C)(D)는 여타 부위의 두께보다 다소 얇게 형성되어 절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마개밴드(2b)(2c)에는 통로(8)(8')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막는마개(1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한 홀딩밴드(2a)는 내측면에 1쌍의 돌기(13)(13')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마개밴드(2b)(2c)의 단부 외측으로 전개용돌기(14)(14')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2d)의 내측면에는 전기한 홀딩밴드(2a)의 돌기(13)(13')와 대응하는 1쌍의 스톱퍼(15)(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용기체(1)이 제1실(1a)과 제2실(1b)로 구획 분리되어짐에 따라 다른 내용물 예컨대 샴푸와 린스 또는 로션과 스킨을 각각 넣을 수 있게 된다.
제1실(1a)에 샴푸가 들어있고, 제2실(1b)에 린스가 들어있다고 하면 샴푸사용시에는 전개용돌기(14)를 화살표방향으로 제껴올려 마개밴드(2b)가 연결점(B)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함으로서 마개(11)이 통로(8)에서 빠져나와 제 1 도 일점쇄선의 도시와 같이 주출구(6)이 개방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린스 사용시에는 전개용 돌기(14')를 제껴올려 마개밴드(2c)가 연결점(c)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함으로서 마개(12)가 통로(8')에서 빠져나와 주출구(6')가 개방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용기는 이종의 내용물을 담아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주출구를 각각 별개로 형성시킴과 아울러 손잡이의 절첩에 따라 주출구가 개폐되도록함으로서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실용성이 한층 부여된 고안이라 하겠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이 격벽에 의해 구획분리되어 형성되는 포장용기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3 도의 도시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자상의 접합면을 갖는 분할용기체(1a')(1b')를 서로 접합하여 그 위에 전기한 구성과 동일한 캡(3)이 씌워지도록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분할용기(1a')(1b')에 주출구(6)(6')를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내용물을 주출시킬수 있게 된다.
분할용기체(1a')(1b')는 서로 접착할 수도 있으며, 접합면에 홈과 레일을 형성하여 끼워맞춤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Claims (2)

  1. 주출구(6)(6')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 내측이 격벽(4)에 의해 국획분리되는 용기체(1)과, 전기한 주출구(6)(6')의 외주측으로 끼워지는 통로(8)(8')가 뚫려지고, 그 상측부에 결착공(9)가 뚫어진 캡(3)과, 내측에 돌기(13)(13')를 보유하는 홀딩밴드(2a)와 외측으로 마개(11)(12)를 돌출시킨 마개밴드(2b)(2c)와 내측에 스톱퍼(15)(15')를 돌출시키고 외측에 전기한 결착공(9)로 관통되는 그립퍼(10)이 돌출 형성된 베이스(2d)로 무한궤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체(1)은 평면이자상의 접합면을 갖는 분할용기체(1a')(1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2019880013260U 1988-08-12 1988-08-12 포장용기 KR910006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260U KR910006104Y1 (ko) 1988-08-12 1988-08-12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260U KR910006104Y1 (ko) 1988-08-12 1988-08-12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85U KR900004485U (ko) 1990-03-06
KR910006104Y1 true KR910006104Y1 (ko) 1991-08-17

Family

ID=1927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260U KR910006104Y1 (ko) 1988-08-12 1988-08-12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85U (ko) 199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641B2 (en) Device for the combined presentation of two items
KR200390095Y1 (ko)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KR910002434B1 (ko) 포장용기의 주출구
JPH031419Y2 (ko)
US6193427B1 (en) Device for distributing a pasty, in particular, cosmetic,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is device
JP3024067B2 (ja) 透明なケア製品用容器
US20130134161A1 (en) Dual compartment package for dispensing fluids
US3081926A (en)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DE69938332D1 (de) Spenderverpackung für flüssige Produkt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890596A (en) Thermoplastic tray for mixing at least two products at time of use
EP3609795A1 (en) Liquid container having integrated auxiliary flask
CA2320789A1 (en) Hybrid beverage container
KR910006104Y1 (ko) 포장용기
KR200283390Y1 (ko) 이중용기
JPH0339411Y2 (ko)
JP3764036B2 (ja) 二連チューブ容器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JPH0642708U (ja) キャップ
JPS6013814Y2 (ja) 二液収納容器
KR20190004439A (ko) 이중 튜브 뚜껑
JPS6316351Y2 (ko)
JPS6216975Y2 (ko)
KR200176038Y1 (ko) 튜브용기
JPH0454940Y2 (ko)
JPS6040434Y2 (ja) 袋体内蔵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