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14Y1 - 필름의 현상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의 현상처리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5914Y1 KR910005914Y1 KR2019890001270U KR890001270U KR910005914Y1 KR 910005914 Y1 KR910005914 Y1 KR 910005914Y1 KR 2019890001270 U KR2019890001270 U KR 2019890001270U KR 890001270 U KR890001270 U KR 890001270U KR 910005914 Y1 KR910005914 Y1 KR 9100059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developing
- container
- processing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3—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long films or prints in the shape of strips, e.g. fed by rolle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현상처리장치를 촬영현상기의 현상부에 조립한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수액용기와 유도처리틀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주요부를 1부 확대한 부분 단면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Ⅳ-Ⅳ에서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현상실 벽면의 일부 정면도.
제 6 도는 현상만을 행할 경우의 현상기에 조립한 것으로서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본 고안은 촬영한 필름을 현상하는 필름의 현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현상기는 현상을 하기 위하여 현상실내에 현상액, 정착액, 세정액 등을 넣는 복수의 액저장용기(Tank)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의 현상진로는 상기한 각 탱크내에 순서대로 상하 방향으로 사행하면서 들어가고 나오도록 구성되어야만 했다.
이 방법은 각 액탱크내의 액의 교환탱크내 청소에 힘이 들며, 또 현상진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가 까다롭고 현상기 Film Jam 발생이 많다. 더욱이 액조와 현상진로에 많은 공간을 필요하게 되며 소형화에도 한도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현상실내에 필름의 진도에 따라서 가늘고 길게 뻗히고 내부로 일정간격으로 전후방향으로 복수 구획된 수액용기를 설치해서 이 수액용기내에 필름이 양측변을 유도하는 마주보는 면에 유도홈(Guide Groove)을 만들고 또 상기 구획벽을 걸치는 하단으로부터의 삽입을 가지는 두개의 측벽을 가진 유도처리틀을 장치하고 상기 유도처리틀에는 측벽의 유도홈의 바로 밑을 따라서, 또 전기수액용기의 각 구획내 또는 바로 상부에 개개로 양측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처리판을 설치하고 상기 각 처리판에는 수액기의 각 구획바닥을 관통하는 상하방향 노즐의 상단을 위로 한 노출구를 설치하고 현상실내에 있는 현상액들의 처리액을 담은 복수의 용기에서 뻗힌 금액관을 각기 펌프를 거쳐서 앞서 노즐의 하단에 연결함과 동시에 각 구획의 바닥의 드레인(Drain)과 각 용기를 반려관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실(1)의 벽면(1')에 가늘게 뻗히고 또 내부가 소정간격으로 전후방향으로 된 격벽(2)에 의해서 복수구획(3)으로 칸막이된 수액 용기(4)를 (2)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이 수액용기(4)내에 필름(F)의 양측변을 유도하고 마주보는 유도홈(5)와 (5)를 마주보는 면에 보유하고, 격벽(2)에 걸치는 수직절단부(6)를 가지는 두개의 측벽(7)과(7)을 장치한 유도처리틀(8)을 거의 수평으로 설치하고, 유도처리틀(8)에는 측벽가이드(5)(5)의 바로 밑에 연해서, 또 수액용기(4)의 각 구획(3) 내부 또는 바로 위에서 양측벽(7)과 (7)을 H형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처리판(9)을 설치하고 상기 각 처리판(9)에는 수액용기(4)의 각 구획바닥을 관통하는 상하방향의 노즐(10)의 상단을 위로 한 노출구(11)을 설치하고 현상실안에는 그 밖의 현상액등 처리액을 넣는 용기(12)를 격납하고 각 용기내로 통하는 급액관(12)와 액반려관(14)를 설치하고, 각 급액관(13)은 펌프(15)를 거쳐서 수액용기의 각 구회(3)의 노즐(10)의 하단에 접속하고, 액반려관(14)는 각 구회(3)의 드레인(16)의 하단에 접속한다.
여기서 수액용기(4)의 구획(3)은 4개가 있으므로 편의상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3a, 3b, 3c, 3d로 하고 구획 3a의 노즐(10)과 드레인(16)에 급액관과 반려관을 접속하는 용기를 12a라 하고 이와 같은 요령으로 급액관과 반력관을 접속하는 용기를 각각 12b, 12c 및 12d라고 한다.
따라서 종래 방식대로 촬영부(17)에서 윤전식으로 자료를 촬영하고 촬영부안을 간헐적으로 진행하는 노광된 필름은 로라(18)에서 방향을 하향으로 바꾸고 촬영부 출구에 차광 연통된 현상통로(19)에 진입하고, 로라(20)에 의해서 촬영부에서와 같은 속도로 간헐적으로 아래로 송출된 다음 한쌍의 전향로라(21)에 의해서 진로를 직각으로 바꾼 후 유동처리틀(8)의 전단을 향해서, 양측변을 측벽(7)에 있는 유도홈(5)를 따라서 수평으로 진행한다.
위 전향로라(21)은 촬영부의 촬영속도보다 느림이 속도차로 인해서 촬영부에서 현상부에 여분으로 공급되는 후속필름은 로라(20)과 (21)사이에 있는 저장부(22)내에 사행상으로 굽어서 진입하고 여기서 체류함.
한편 전술한 용기 12a안에는 현상액, 12b에는 정착액, 12c에는 세정수, 12d는 세정수를 넣고 용기내의 액을 각 급액관(13), 펌프(15)로 빨아내서 수액용기(4)의 각 구획 3a, 3b, 3c, 3d의 바닥을 관통한 각 노즐(10)에 하부로부터 공급되어 노즐 상단에서 넘쳐 흘러 유도철틀(8)의 각 처리판(9)의 상면을 따라서 슬러 전후단으로부터 각 구획(3)내에 흘러 떨어져 드레인(16) 반려관(14)로 각 용기에 돌아와서 순환한다.
그러므로 유도처리틀(8)의 각 처리판(9)의 상면에 근접해서 필름 F가 진행할때 각 처리판(9) 위를 흐르는 액은 처리판 상면과 필름 하면의 노광면 사이에서 액막을 형성하며 그것으로 인하여 구획 3a 및 구획 3b 처리판 상을 통과시 수세된다.
그 다음 유도처리틀의 후단을 나오면 송풍기(23)의 온풍을 받아서 건조된 다음 로라(21)과 같은 속도의 로라(24)에 의해서 진로를 밑으로 바꾸고 현상신과는 격리된 릴(25)에 감겨지거나, 그 아래쪽에 있는 서랍(26)안에 모아진다.
릴(25)에 감기기 위해서 릴은 한쌍의 구동로라상에 외접해서 실려서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로라(24)로부터 밑으로 흘러 나오는 필름을 손으로 릴에 감은 다음 릴을 구동로라상에 얹으면 된다.
그런 다음 현상이 완료된 시점에서 서랍(26)을 밖으로 뽑아내서 안에 있는 현상의 끝난 필름이나 릴에 감겨져 있는 필름은 릴체 들어낼 수가 있다.
펌프(15)는 각 용기 12a, 12b, 12c, 12d용의 4대를 한 모타로 구동하도록 해도 좋고 구동시켜도 좋다.
또, 용기와 펌프 또는 펌프와 노즐(10)사이에 전열 히타로 가열할수 있는 가온유로(27)을 설치해서 각 액을 이 가온유로(27)에 통해서 액의 온도를 예컨데 30℃로 유지하도록 히타를 온도 제어하면 겨울철에도 외부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서 필름의 현상시 불순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좋다.
가온유로(27)은 히타로 가열되는 알미늄합금의 기둥에 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을 이 경우 4개 개설해서 구성돼 있다.
그리고 액이 더러워지거나 현상, 정착능력이 떨어지게 될 경우에는 현상실의 문(1')를 열어서 급액관 반려관을 접속한 부분을 용기에서 떼내어 새로운 액을 담은 용기와 교환하고 관의 접속부를 새용기에 부착시킨다.
용기는 도시된 것처럼 현상실 바닥에 얕은 상자(12')내에 일괄 해서 넣어두면 교환을 쉽게 할수 있다.
수액용기(4)유도처리틀(8)은 필요에 따라 벽면(1')로부터 간단히 분리해내서 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 수액용기(4)는 벽면(`1')에 복수개의 집게나사(29)를 죄어서 고정하고 있다.
또, 제4, 제5에 표시하듯이 유도처리틀(8)의 전후에는 양측변(7)의 상부를 뚫은축(30)을 설치하고 그 선단에는 끝잡이(30')를 향해서 직경을 축소한 태파(31)을 고정함과 동시에 끝잡이(30')와 유도처리틀의 앞쪽측벽(7)사이에 스프링(32)를 두어서 축(30)을 스프링(32)로 앞쪽으로 당기고, 벽면(1')에는 기 축(30)과 대응하는 위치에 태파(Tapper)(31)의 대경부가 통할수 있는 대경공(33)을 위해, 또 태파(31)이 통할수 없는 소경공(34)를 밑에 개설하고, 이 양공을 축(30)이 통할수 있는 상하방향의 긴공(35)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수액용기(4)를 벽면(1')에 끝잡이나사(29)로 설치한 다음 끝잡이축(30)의 티파(31)를 벽면의 대경공(33)에 통하고 스프링(32)를 눌러서 축(30)을 밀어넣고 축(30)을 긴공(55)에 따라 내려서 삽입을 석방하면 축(30)은 스프링(32)가 견인하므로 앞방향으로 돌아온다.
이때 태파(31)은 소경공(34)안에 벽면(1')의 배후부터 넣어서 도중에서 정지시켜서 유도처리틀(8)을 수액용기(4)에 장치한 상태로 벽면에 고정시킨다.
벽면(1')에서 떼어낼때는 상기의 조작을 역으로 행해서 유도처리틀(8)을 수액용기(4)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태파(31)을 대경공(33)을 통해서 앞쪽으로 빼서 리해 낸 다음 끝잡이나사(29)를 풀어서 수액기(4)를 벽면(1')에서 분리시킨다.
또 본 현상장치는 별도의 촬영기로 촬영한 필름도 현상할 수 있게 필름을 유도처리틀(8)의 전단에 송출하는 전향로라(21)을 향해서 직진시키는 보조통로(36)이 설치돼 있다.
이 보조통로(36)은 현상실(1)의 측벽에 통해 있으므로 도중에 소래노이드(Solenoid) SOL1으로 조작되는 샷사(37)을 설치하고 보통때는 샷다(37)로 통로(36)을 차단해서 현상실내에 빛의 진입을 방지한다. 샷다(37)과 전향로라(21)사이에는 로라(21)과 동속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송출용 로라(38)을 설치함과 동시에 현상실의 측벽 외면에는 촬영이 끝난 필름을 감아들이는 릴(39)를 회전이 자재롭게 지지하는 작은 상자(40)을 힌지(41)로 고정시키고 제 1 도 처럼 작은상자(40)의 자유단을 조이고 크람프(Clamp)(42) 등으로 현상실측벽에 붙여서 상자(40)의 측면을 현상실의 측벽외면에 밀착시켰을 때 상자(40)의 측면에 있는 필름의 출구(43)은 보조통로(36)에 통하게 된다.
현상을 행하는 데는 상자(40)의 정면뚜껑(44)를 열고 작은상자 안에 촬영이 끝난 필름을 감아들인 릴(39)를 상자속에 돌출하는 축에 꼽아서 회전자재를 지지하고 현상전용스위치 SW1를 눌러서 ON으로 한다. 그러면 소래노이드 SOL1은 샷다(37)을 열고, 쌍로라(38)(21)(34)는 회전하므로 릴(39)의 필름의 끝을 출구(43)으로부터 보조통로(36)에 손으로 밀어 꼽고, 필름의 끝이 쌍로라(38)에서 당기는 것을 확인하고 뚜껑(44)를 닫는다.
이로 인하여 필름을 릴(39)로부터 감아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정착, 수세, 건조해서 릴(25)로 감아들이거나, 서랍(26)에 넣게 된다. 또, 이 릴(39)에 감기는 필름은 감긴후에 마지막부분 대여섯바뀌는 노광돼고 괜찮게 여분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릴(39)를 상자내에 셋트하고 필름을 잡아 댕겨서 그 끝단을 출구(43)으로부터 보조통로(36)에 꼽아 넣어도 촬영한 상이 노광되는 수는 없다.
이처럼 촬영기(17)로 촬영한 필름과 다른 촬영기로 따로 촬영한 필름의 쌍방을 현상하여야 할 경우 한쪽 필름을 현상하고 있을때는 다른 한쪽 필름은 현상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상통로(19)에도 보조통로(36)과 교차하는 바로 앞에서 센사 SI을 설치하고 촬영, 현상을 일괄해서 행하는 필름을 현상중에는 센사 S1으로 필름을 감지하고 상자(40)내의 필름을 현상하기 위하여 앞서 말한 스위치SW1을 눌러도 샷다(37)은 열리지 않게 되어 있다.
또, 보조(36)에는 송출로라(38)에 센사 S2를 설치하고 작은 상자(40)안에 있는 필름을 현상중에도 이 센사 S2에서 필름을 감지해서 촬영, 현상 일관용스위치를 눌러도 저장부(22)에서 필름을 현상속도로 끌어내는 로라(45)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전술한 센사 S2는 상자내 필름을 현상할 때에 각 용기 12a, 12b, 12c, 12d로부터 펌프(15)로 흡출돼서 순환하는 현상액등이 소정의 적당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만 송출용로라(38)의 회전을 허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적당한 온도에 도달할때까지 로라(38)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전술한 센사 S1에도 같은 기능을 갖게 해서 촬영현상을 일관해서 행하는 필름을 현상한 경우에는 액체온도가 소정의 적온에 도달할 때까지 인출용로라(45)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좋지만 여기서는 그 기능을 센사 S2 앞쪽에 있는 센사 S3에게 부여하고 있다.
상기 인출용로라(45)와 센사 S3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촬영, 현상을 일관해서 할 당초 촬영부(17)에서 필름을 보내고 로라(20)이 촬영속도로 현상통로(19)안을 밑으로 보내고 인출용로라(45)가 이것을 받아서 필름 앞끝을 센사 S3이 감지하였을때 상기 인출용로라(45)의 회전을 일단 정지시킴과 동시에 그때까지, 제 1 도 파선처럼 기립해서 저장부(22)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게이트(46)을 소래노이드로 열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촬영속도로 계속 보내지는 후속필름의 저장부(22)로 접어서 들어가게 하고 여기서 유치한다.
또, 이 센사(53)은 필름선단을 감지해서 인출용로라(45)가 회전해서 현상부에 보내는 필름의 길이를 검출하는 로타리 앤코다(Rotary Encorder)을 검출태세로 리셋트한다.
여기에 대응해서 로라(20)에도 송출하는 필름의 길이를 검출하는 로타리 앤코다(48)을 설치해서 송출로라(20)의 직하의 센사 S4로 로타리 앤코다(48)을 검출태세로 리셋트한다.
저장부(22)에 모을 수 있느 필름의 길이는 5m로 정해서 있으므로 로타리 앤코다(48)이 검출한 로라(20)에 의한 필름의 길이에서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필름의 길이는 판명하므로 그것이 5m가 되면 촬영중지의 경고표시를 한다.
그리고 나서 촬영현상 스위치 SW2를 눌러서 저장된 필름을 1m정도 저장부에서 당겨내서 로라(45)가 현상부에 보냈을 경우에 촬영가능토록 한다.
이것은 일출용로라(45)가 저장부(22)로부터 인출하는 필름의 길이를 로타리앤코다(47)이 검출하므로 그 값을 로라(20)에서 구동되는 로타리 앤코다의 값에서 감산함으로써 행해진다.
1회분 자료를 전부 촬영이 끝나도 촬영속도로 필름의 진행은 계속되며 최종의 촬영프레임 후 적당한 길이의 여백을 가지며 이 여백의 후단이 소래노이드 SOL2로 작동되는 절단기(49)의 절단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필름을 보냈을 경우 로라(20)은 회전을 정지하고 필름의 진행이 정지된다.
물론 그간 필름을 현상속도로 진행시켜서 현상을 연속적으로 행하고 저장부(22)내에 필름이 없어지고 송출로라(20)과 인출로라(45)사이에서 필름이 긴장되면 센사 S5가 감지해서 소래노이드 SOL2를 작동해서 캇타(49)로 필름을 절단한다.
그리고 현상한 필름의 절단기(49)로 절단된 말미가 현상통로(19)의 마란에 있는 센사 S6을 통과하면 현상모드는 끝나고, 현상부의 각 로라를 구동하는 모타, 송풍기(23) 및 펌프 구동모터, 가온유로의 히타 전원이 OFF된다.
이상이 고안의 현상처리장치를 촬영, 현상기의 현상부에 조립하여 그 촬영, 현상기의 작동을 같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그러한 촬영현상기내에 조립한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6 도에 표시하듯이 현상만을 단독으로 행하는 현상기에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 보조통로(36)에 상당한 롤로(36)에 현상통로의 입구부분이 되고 촬영부에서 오는 통로가 없으므로 송출로타리, 캇타(24)는 생략 가능하다.
또, 각 처리판(9)의 전후단부의 상면은 하대로 하향 구배로 사면(91)로 하고 소속한 구획에 액을 원활하게 흘러 내려가도록 한다. 또, 각 처리판의 상방에는 유도처리틀(8)의 양측변(7), (7)을 각 처리판과 같이 H형으로 연결하는 전후방향으로 분단된 연결벽(50)을 설치하고 현상하려는 필름의 진행을 정지시켜서 액온도의 상승을 기다리는 동안 각 노즐(10)으로부터 위쪽으로 흘러 넘치는 액을 각 연결벽의 하면에서 맞고 각 연결벽에서 수액용기의 소속구획에 흘러 떨어져서 되돌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현상할 필름의 양측변을 유도처리틀(8)의 양측변(7), (7)의 대향하는 가이드홈(5)(5)에 따라서 필름을 직진시키고 필름하면 바로 아래처리판(9)의 상면에 개구한 노즐(10)에서 흘러 나오는 현상액, 정착액, 세정수를 필름에 접촉시켜서 필름을 현상, 정착, 수세해서, 각 처리한 액을 처리판상에서 수액용기의 소속구획에 흘러내려서 용기에 돌려 보내면서 펌프로 순환시킨다.
이를 위해서 각 처리액의 액조를 현상실내에 가지런히 설치하면 종래의 순서대로 상하로 사행해서 필름을 잠기게하고 끌어올리는 일을 반복해서 하는 현상, 정착, 수세에 비해서 필름의 진행이 대단히 간략화 됨과 동시에 액의 교환이 용이하게 되며, 또 Film Jam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장치의 점유공간의 아주 작아도 돼 전체적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는 등의 실용적인 효과를 갖은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현상실내에 필름의 진로에 따라서 길게 뻗혀있고 또 내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된 구획벽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복수 구획된 액받이 용기를 설치하고, 이 액받이 용기안에 필름의 양변을 유도하는 유도홈을 서로 마주보게 하고, 또 상기 구획벽을 걸치는 하단으로부터 수직절단부를 가지는 두개의 측벽을 갖춘 유도처리틀을 장치하고 상기 유도처리틀에는 측별의 유도홈의 바로 밑에 또 전기 액받이용기의 각 구획내 또는 바로 위에 양 측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처리판을 설치하여, 상기 각 처리판에는 전기 액받이용기의 각 구획의 바닥을 관통하는 상, 하 방향의 노즐의 상단을 상면에 노출시킨 노출구를 설치하고 현상실내에 설치한 복수의 용기에 놓은 현상액등 처리액을 용기에서 급액관과 펌프를 통하여 전기노즐의 하단에 연결함과 동시에 각 구획 바닥의 드래인과 각 용기를 연결한 관으로 액을 다시 돌려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름의 현상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01270U KR910005914Y1 (ko) | 1989-02-04 | 1989-02-04 | 필름의 현상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01270U KR910005914Y1 (ko) | 1989-02-04 | 1989-02-04 | 필름의 현상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6061U KR900016061U (ko) | 1990-09-03 |
KR910005914Y1 true KR910005914Y1 (ko) | 1991-08-12 |
Family
ID=1928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01270U KR910005914Y1 (ko) | 1989-02-04 | 1989-02-04 | 필름의 현상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5914Y1 (ko) |
-
1989
- 1989-02-04 KR KR2019890001270U patent/KR9100059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6061U (ko) | 1990-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347496B2 (ko) | ||
US4613223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ith a liquid a sheet of flexible photographic material having a photographic emulsion on one face thereof | |
US4734728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sheet films | |
KR910005914Y1 (ko) | 필름의 현상처리 장치 | |
US4888608A (en) | Photographic developing machine | |
US572199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 | |
US2075010A (en) | Dry cleaning apparatus and fluid circulating system therefor | |
US4910546A (en) | Film processing device | |
EP0450842B1 (en) | Camera and film developer system | |
US3550520A (en) | Device for automatic developing of photographic sensitive surfaces | |
JPH0157334B2 (ko) | ||
US3383996A (en) | Portable daylight film processor | |
US3672290A (en) | Film processing apparatus | |
US4143959A (en) | Compact X-ray film processor | |
US1894092A (en) | Print treating apparatus | |
US3149551A (en) | Continuous film processor | |
US3041953A (en) | Film developing apparatus | |
US6217238B1 (en) | Photographic film processor and method of developing film | |
EP1293827A1 (en) | Rotating processor for photographic material | |
US3824615A (en) | Automatic film processor wash tanks having washed squeegee rollers | |
JPH0538356Y2 (ko) | ||
JP3366954B2 (ja) | フイルム処理機における液槽蓋装置 | |
JPH0350510Y2 (ko) | ||
US20040213562A1 (en) | Transfer assembly and a dryer operationally associated with the transfer assembly | |
US5387959A (en) | Unit for developing photographic pa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