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05Y1 -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05Y1
KR910005905Y1 KR2019880000615U KR880000615U KR910005905Y1 KR 910005905 Y1 KR910005905 Y1 KR 910005905Y1 KR 2019880000615 U KR2019880000615 U KR 2019880000615U KR 880000615 U KR880000615 U KR 880000615U KR 910005905 Y1 KR910005905 Y1 KR 910005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float
toilet
val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463U (ko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송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공석 filed Critical 송공석
Priority to KR201988000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905Y1/ko
Publication of KR890016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at Valv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제 1 도는 플로트 밸브의 사용 상태 예시도.
제 2 도는 종래 플로트 밸브의 단면 구성도.
제 3 도는 이 고안 플로트 밸브의 닫힌 상태 단면 구성도.
제 4 도는 이 고안 플로트 밸부의 열린 상태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밸브몸체 22 : 용수공급관
22' : 안내관 23 : 플로트아암
24 : 밸브로드 25 : 밸브캡
26 : 디스크스프링 27 : 링
28 : 밸브플레이트 29 : 조립홀
30 : 굴곡부 31 : 용수용통실
32 : 중공실
이 고안은 양변기의 급수용 밸브 특히 플로트밸브(FLOAT VALVE)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로트 밸브는 제 2 도에 인용된 바와 같이 급수관(1) 상단의 밸브몸체(10)에 밸브시트(11)를, 밸브캡(12)의 중앙에는 플로트 아암에 접속되는 밸브로드(13)를 보유하고 있고, 밸브캡(12)과 밸브몸체(1)의 사이에 수밀패킹(14)을 끼웠으며, 밸브 로드의 저단에는 프렝티 하우징(15')을 형성하여 밸브 플레이트(15)를 장착하였고, 밸브로드상의 홈(16')에는 부동칼라(16) 및 누구 방지용 "0"링(17)을 장착시킨 것이었다.
이와 같은 플로트 밸브는 양변기 수조내의 수위가 낮아져 플로트 아암의 밸브로드에서 분리 되었을때 급수관의 수압이 밸브로드를 밀어 올려 유로를 개방시키는 것이며, 유로가 개방되었을때 용수가 밸브내에 채워지면서 "0"링 밸브캡의 내면에 닿기까지 부동칼라를 들어 올리는 것이고, 이때 급수관(1)에서 공급되는 용수는 안내관(1')을 통하여 수조를 채우고 "0"링은 수압으로 밸브캡에 밀착되어 누수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고 ,수조에 채워진 용수의 수위가 놓아져 플로트 아암이 밸브로드(13)를 강하시킴으로써 유로를 차단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플로트 밸브의 결점은 수밀패킹 부동 플레이트 또는 밸브플레이트와 같은 밸브의 부품들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제작, 조립하는데에 자재 또는 인력의 소요가 커지며, 밸브의 개방 동작은 수압과 부동칼라의 유체 저항에만 의존되어 수압이 미약할때에는 유로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0"링이 장기 사용으로 열화, 부식되면 밸브캡 상에서 심한 누수가 이루어져 용수가 넘치거나 낙수음이 발생되고 또한 밸브로드가 플로트 아암과 분리되었다가 일시에 접속될때 충격음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이 고안은 개량된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품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또한 신속간편하며, 장기 사용시에도 확실한 동작을 유지할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이 고안에서는 밸브내부의 부품을 간결하게 취합시켰고, 밸브로드가 물에 젖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되게 하였으며, 또한 밸브로드는 스프링의 탄성으로 동작되게끔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몸체(21)는 용수 급수관(22) 및 안내관(22')의 공통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로트 아암(23)에 접속된 밸브로드(24)는 밸브캡(25)상에 의지되어 있다.
이 고안에서 디스크스프링(26)은 다음과 같은 독특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외변에 일체화된 링(27)은 밸브 몸체(21)와 밸브캡(25)사이에 끼워져 밸브를 용수 유통실(31)과 중공실(32)로 구획하고 있으며, 디스크의 중앙에 일체화된 밸브 플레이트(28)는 밸브시트(28')에 대응되어 있고 상면에는 밸브로드(24)가 고정되는 조립홀(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은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재이고, 중앙에는 유연설을 높이기 위한 고리형 굴곡부(30)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의 플로트 밸브는 밸브로드(24)가 물에 잠기지 않는다. 즉 디스크 스프링(26)은 밸브의 내부를 용수 공급관(22)과 안내관(22')을 공통 접속시키는 용수 공통실(31) 및 중공실로 구획하므로 밸브로드(24)는 물에 젖지 아니하여 언제든지 민감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임은 물론 밸브캡 상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링(27)은 밸브몸체(21)와 밸브캡(25)의 접속부 틈을 막고 있어 이들의 접속부에서 물이 새는 것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밸브로드(21)은 플로트 아암(23)과 접속상태를 지속하면서 동작된다. 즉 밸브 플레이트(28)가 밸브시트(28')에 접속되었을때 디스크 스프링(26)은 중앙이 쳐져 탄력을 보유하는 상태이므로, 수조내의 수위가 떨어져 플로트 아암(23)의 미단이 상승될때 밸브로드(24)는 디스크 스프링(26)의 복귀 탄력 및 디스크 스프링(26)의 전면에 가해지는 수압으로 플로트 아암(23)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플로트 아암(23)이 밸브로드(24)를 내려 누를때 밸브 플레이트(28)는 밸브시트(28')에 밀접되어 용수 공급관(22)과 안내관(22')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고안은 링(27), 밸브 플레이트 및 조립홀(29)을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의 갯수가 줄어들고 밸브로드의 형태가 간결해져 그 제작이나 조립이 훨씬 쉬워지는 것이며, 밸브는 상부의 중공실과 저부의 용수 유통실로 구획되어 누수 또는 낙수음이 근본적으로 제거됨은 물론 밸브로드의 동작이 확실해 지는 것이고, 밸브로드는 디스크 스프링의 탄력 및 수압으로 동작되어 밸브로드와 플로트 아암이 분리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밸브로드의 충격음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밸브몸체(21)와 밸브캡(25)사이에 외변의 링(27)을 보유하는 디스크 스프링(26)을 개재하여 상부의 중공실(32)과 저부의 용수 유통실(31)로 구획하고, 디스크 스프링(26)의 중앙 밸브플레이트(28)를 그 상부에 밸브로드(24)고정용 조립홀(29)을 형성시킨 양변기의 플로트 밸브.
KR2019880000615U 1988-01-26 1988-01-26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KR910005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615U KR910005905Y1 (ko) 1988-01-26 1988-01-26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615U KR910005905Y1 (ko) 1988-01-26 1988-01-26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63U KR890016463U (ko) 1989-08-19
KR910005905Y1 true KR910005905Y1 (ko) 1991-08-12

Family

ID=1927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615U KR910005905Y1 (ko) 1988-01-26 1988-01-26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9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63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68315A (en) Amusement device
US2752936A (en) Float supply valves
KR940000684A (ko) 표층액배출장치
US3107747A (en) Closet tank fittings with silencing means
US3027134A (en) Noiseless valve
US4431024A (en) Float-controlled valve for toilet flush tanks
KR910005905Y1 (ko) 양변기용 플로트 밸브
US3154794A (en) Flush valve
ES2029437A6 (es) Desgradador hidroneumatico para cisternas de inodoros.
US3211172A (en) Closet tank fittings
US2895707A (en) Valve construction
US4114208A (en) Water closet flush valve
KR900005023U (ko) On, off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US2086637A (en) Silencing and antisiphoning means for water closets
US3811464A (en) Ballcock
US2752938A (en) Tank refilling valve
US827716A (en) Flushing-tank.
US2756437A (en) Flapper flush valves
IT1150380B (it) Sciacquone per il lavaggio del water-closed
US3378856A (en) Float valve guide for water closet tank
US2905949A (en) Flush valve assembly
US2210331A (en) Float actuated valve mechanism
SU804796A1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222937Y (zh) 液位自动控制阀
KR960004763Y1 (ko) 가스보일러의 자동 공기배출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