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817Y1 -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817Y1
KR910005817Y1 KR2019880020344D KR8820334D KR910005817Y1 KR 910005817 Y1 KR910005817 Y1 KR 910005817Y1 KR 2019880020344 D KR2019880020344 D KR 2019880020344D KR 8820334 D KR8820334 D KR 8820334D KR 910005817 Y1 KR910005817 Y1 KR 910005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diode
circuit
transformer
electric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344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주
Original Assignee
서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주 filed Critical 서정주
Priority to KR2019880020344D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17Y1/ko

Links

Landscapes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격 방지 장치의 블럭 다이어 그램.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격 방지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1: 펄스 발생회로 M2: 펄스 검출회로
M3: 과전압 검출회로 M4: 용접전원 제어회로
IC1: 플립플롭 IC2, IC3: NAND게이트
IC4, IC5: 포토 커플러 C1-C10: 콘덴서
T2: 트랜스 D1-D8: 다이오드
TR1, TR2: 트랜지스터 R1-R13: 저항
VR1-VR3: 가변저항 L1: 코일
ZD1, ZD2: 정전압 다이오드 RY1, RY2: 릴레이
본 고안은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음파대 고주파 펄스의 특수한 흐름을 이용하여 용접봉을 피 용접물에 접촉시켰을 경우에만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용접작업중 감전사고와 같은 전기적 충격을 방지토록 되어진 전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 용접기는 상용 주파수의 전원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용접트랜스의 코일은 그 리액턴스가 큰 편이다.
따라서 상기 용접트랜스의 코일에 초음파대의 고주파 펄스를 인가할 경우 초음파대의 고주파는 상용주파수보다 300 내지 500배이상 높으므로 그 전류의 흐름은 상용주파수 전류의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인 300분의 1 내지 500분의 1정도밖에 흐르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초음파대 고주파펄스를 이용하여 용접봉을 피 용접물에 접촉시켰을 경우에만 용접이 되도록 하고, 용접봉을 피 용접물부터 떼어냈을 경우에는 용접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되는 과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용접트랜스의 1차측에 인가되는 용접전원을 자동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되어진 것으로 이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격 방지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으로서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펄스 발생회로(M1)의 출력측 및 펄스 검출회로(M2)의 입력측을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펄스 검출회로(M2)의 출력측이 플립플롭(IC1)의 일측 입력단자(S)로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고전압 검출회로(M3)의 입력측을 연결하여 그 출력측이 상기 플립플롭(IC1)의 타측 입력단자(R)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플립플롭(IC1)의 일측 출력단자(Q)을 상기 펄스 발생회로(M1)의 입력측에 연결하는 한편, 타측 출력단자를 상기 용접트랜스(T1)의 1차측과 연결된 용접 전원 제어회로(M4)에 연결한 것으로 미 설명부호 1은 용접봉홀더, 2는 용접봉, 3은 피 용접물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격 방지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펄스 발생회로(M1)는 콘덴서(C1-C4), 트랜스(T2), 다이오드(D2-D4), 트랜지스터(TR2), 저항(R2-R5), NAND 게이트 (IC2, IC3) 및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되어 있고, 펄스 검출회로(M2)는 코일(L1), 다이오드(D5-D6), 콘덴서(C5, C6), 저항(R6, R7), 정전압 다이오드(ZD1), 가변저항(VR2) 및 포토 커플러(IC4)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전압 검출회로(M3)는 저항(R8-R13), 콘덴서(C7-C10), 다이오드(D7-D8), 정전압 다이오드(ZD2), 가변저항(VR3) 및 포토커플러(IC5)로 구성되어 있고, 용접전원 제어회로(M4)는 저항(R1), 트랜지스터(TR1), 다이오드(D1) 및 릴레이(RY1, RY2)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펄스 발생회로(M1)는 저항(R5) 및 콘덴서(C4)로 된 적분회로를 통하여 NAND 게이트(IC3)의 일측 입력단자로 로직 1의 신호가 인가되면 발진을 하고, 로직 0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NAND 게이트(IC3)의 출력이 로직 1로 되어 발진을 정지하게 되는데 그 발진 주파수는 41KHz로 NAND 게이트(IC2)의 출력 측에서 구형파 펄스가 얻어지고 그 출력이 트랜지스터(TR2)를 스위칭시켜 트랜스(T2)의 2차 측으로 고주파 교류출력전압(25V)이 유기되도록 한다.
여기서 다이오드(D3, D4) 및 가변저항(VR1)은 듀티 비를 가변시키기 위한 것이고, 저항(R4)은 NAND 게이트(IC3)의 타측 입력단자로 귀환되는 과전압을 차단시키기 위한 보호저항이다.
상기트랜스(T2)의 2차 측이 용접트랜스(T1)의 2차측과 직접 연결될 경우 용접봉(2)을 피용접물(3)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용접트랜스(T1)의 1차측에 구성된 용접전원 제어회로(M4)내 릴레이(RY2)의 접점이 온상태로 되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콘덴서(C1) 및 펄스 검출회로(M2)내 코일(L1)로서 상기 코일(L1) 양단간의 전압강하를 검출하여 용접전원 제어회로(M4)내 릴레이(RY2)의 접점을 온시키게 되는데 용접봉(2)을 피용접물(3)에 접촉시키기 이전에는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으로 통하는 임피던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펄스 발생회로(M1)로 부터의 고주파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다가 용접봉(2)을 피용접물(3)에 접촉시키는 순간 홀더(1) , 용접봉(2) 및 피용접물(3)로 이어지는 폐회로를 통하여 급격히 전류가 흘러 펄스 검출회로(M2)내 코일(L1)에 전압강하가 생기게 된다.
펄스 검출회로(M2)는 상기 코일(L1)에 강하된 전압을 다이오드(D5)로 반파 정류하고 콘덴서(C3)로 여파하여 정전압 다이오드(ZD1)로 일정전압을 유지시킨 후 포토 커플러(IC4)내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을 로직 1로 만들게 된다.
상기 로직 1의 신호는 플립플롭(IC1)의 일측 입력단자(S)로 인가되어 플립플롭(IC1)을 세트상태로 만들게 되며, 상기 플립플롭(IC1)이 세트상태로 되면 그 일측 출력단자(Q)가 로직 1로 되어 용접전원 제어회로(M4)내 트랜지스터(TR1)를 온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에따라 보조릴레이(RY1) 및 주릴레이(RY2)의 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용접트랜스(T1)의 1차측으로 AC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동시에 플립플롭(IC1)의 타측 출력단자는 로직 0로 되어 펄스 발생회로(M1) 내 NAND 게이트(IC3)의 일측 입력단자를 로직 0로 만들게 되며, 이에따라 펄스 발생회로(M1)에서의 발진은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펄스 검출회로(M2)내 콘덴서(C1)는 고주파 잡음에 의한 플립플롭(IC1)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용접봉(2)이 피용접물(3)에 접촉되었을시 펄스 발생회로(M1)로 부터의 고주파 전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 검출회로(M2)로만 흐르고, 과전압 검출회로(M3)에는 자체 임피던스가 매우 크고 또한 콘덴서(C7)로 차단하기 때문에 거의 흐르지 않게되어 플립플롭(IC1)의 양측 입력단자(S, R)로 동시에 로직 1의 신호가 가해지지 않는다.
용접이 완료된 후 피 용접물(3)로 부터 용접봉(2)을 떼게되면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무 부하로 인한 과전압이 유기되어 과전압 검출회로(M3)내 저항(R8, R9)에 분압되어지는데 과전압 검출회로(M3)에서는 상기저항(R9)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펄스 검출회로(M2)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이오드(D7)로 반파 정류하고 콘덴서(C8)로 여파하여 정전압 다이오드(ZD2)로 일정전압을 유지시킨후 포토 커플러(IC5)내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을 로직 1로 만들게 된다.
상기 로직 1의 신호는 저항(R12)및 콘덴서(C9)로 된 적분회로에 의하여 1초간 지연된 후 플립플롭(IC1)의 타측 입력단자(R)로 인가되어 플립플롭(IC1)을 리세트 상태로 만들게 되며, 상기 플립플롭(IC1)이 리세트 상태로 되면 그 일측 출력단자(Q)가 로직 0으로 되어 용접전원 제어회로(M4)내 트랜지스터(TR1)를 오프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에따라 보조릴레이(RY1) 및 주릴레이(RY2)의 접점이 오프상태로 되어 용접트랜스(T1)의 1차측으로 공급되는 AC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플립플롭(IC1)의 타측 출력단자는 로직 1으로 되어 펄스 발생회로(M1)내 NAND 게이트(IC3)의 일측 입력단자를 로직 1으로 만들게되며, 이에따라 펄스 발생회로(M1)에서의 발진이 개시될 수 있게된다.
여기서 용접전원 제어회로(M4)내 릴레이(RY2)의 접점이 오프되는 순간과 펄스 발생회로(M1)의 발진이 시작되는 시점이 일치하게 되면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축적되었던 전압과 펄스 발생회로(M1)내 트랜스(T2)에서 얻어지는 전압이 합성되어 오동작을 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덴서(C4) 및 저항(R5)으로된 적분회로로 축적된 에너지를 방출시킨 후 발진을 재개토록 하였다.
또한 콘덴서(C10) 및 저항(R13)은 전원 투입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용접중에는 저항(R9)에서 전압이 검출되지 않게 되므로 플립플롭(IC1)은 세트상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용접봉(2)를 피용접물(3)에 접촉시켰을 경우에만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용접봉(2)을 피용접물(3)로 부터 떼어냈을 경우에는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되는 과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용접트랜스(T1)의 1차측에 인가되는 AC 전원을 자동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용접작업중 감전사고와 같은 전기적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됨과 동시에 절연저항이 수MΩ인 포토커플러 (IC4, IC5)를 사용하므로써 전자회로, 특히 각 IC소자의 보호를 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콘덴서(C1-C4), 트랜스(T2), 다이오드(D2-D4), 트랜지스터(TR2), 저항(R2-R5), NAND 게이트 (IC2, IC3) 및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된 펄스 발생회로(M1)의 출력측 및 코일(L1), 다이오드(D5-D6), 콘덴서(C5, C6), 저항(R6, R7), 정전압 다이오드 (ZD1), 가변저항(VR2) 및 포토커플러(IC4)로 구성된 펄스 검출회로(M2)의 입력측을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펄스 검출회로(M2)의 출력측이 플립플롭(IC1)의 일측 입력단자(S)로 연결되도록 하고 , 또한 상기 용접트랜스(T1)의 2차측에 저항(R8-R13), 콘덴서(C7-C10), 다이오드 (D7-D8), 정전압 다이오드(ZD2), 가변저항( R3) 및 포토커플러(IC5)로 구성된 과전압 검출회로(M3)의 입력측을 연결하여 그 출력측이 상기 플립플롭(IC1)의 타측 입력단자(R)로 연결되도록 과전압 검출회로(M3)의 일측 출력단자(Q)를 상기 펄스 발생회로(M1)의 입력측에 연결하는 한편, 타측 출력단자를 저항(R1), 트랜지스터(TR1), 다이오드(D1) 및 릴레이(RY1, RY2)로 구성되어 상기 용접트랜스(T1)의 1차측과 연결된 용접전원 제어회로(M4)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용접기의 전격방지장치.
KR2019880020344D 1988-12-09 1988-12-09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KR910005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344D KR910005817Y1 (ko) 1988-12-09 1988-12-09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344D KR910005817Y1 (ko) 1988-12-09 1988-12-09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17Y1 true KR910005817Y1 (ko) 1991-08-05

Family

ID=1928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344D KR910005817Y1 (ko) 1988-12-09 1988-12-09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8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9826A (en) Regulate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US3973171A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grounded neutral detection
US4492925A (en) Testing and evaluating circuit for proximity switches in machine control means
US4396879A (en) Coupled series and parallel resonant circuit, in particular for electric fence apparatus
US5032968A (en) Switching power source with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US4496939A (en) Power indicator apparatus for a DC to DC flyback converter
KR910005817Y1 (ko) 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US4277811A (en) Static type circuit breaker
KR900013699A (ko) 전원 회로
US4055793A (en) Electrical load controller
US3244854A (en) Stored energy stud welder
KR890006444Y1 (ko) 교류 아크 용접기용 전격 방지장치
JP2558114B2 (ja) 電源瞬断検出装置
KR820001255B1 (ko) 아아크 용접기의 전격 방지장치
SU11697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варочной цепью при дуговой сварке
KR810002024Y1 (ko) 전기용접기의 무접점 개폐장치
SU792463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м моторным короткозамыкателем
JPH0341895Y2 (ko)
SU12043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ммутации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JPH0716314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US3479481A (en) Welding circuit
KR880002944Y1 (ko) 전기용접기의 전격방지회로
RU1484240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ного отключени в сет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SU1269936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напр жени холостого хода сварочно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SU1483437A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