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408Y1 - 푸쉬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408Y1
KR910005408Y1 KR2019890002991U KR890002991U KR910005408Y1 KR 910005408 Y1 KR910005408 Y1 KR 910005408Y1 KR 2019890002991 U KR2019890002991 U KR 2019890002991U KR 890002991 U KR890002991 U KR 890002991U KR 910005408 Y1 KR910005408 Y1 KR 910005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elastic piece
push button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749U (ko
Inventor
남선우
Original Assignee
정풍물산 주식회사
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풍물산 주식회사, 이명 filed Critical 정풍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2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408Y1/ko
Publication of KR900017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7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
제 1 도는 본 고안 푸쉬버튼 스위치의 분린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푸쉬버튼 스위치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제 3 도는 접점이 단락되어진 상태의 본 고안 푸쉬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제 4 도는 접점이 개방되어진 상태의 본 고안 푸쉬버튼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하트형캠홈
3 : 작동간 4, 5 : 연결핀
6 : 탄성편 7 : 가동부
8, 9 : 접점 10 : 덮개
11 : 지지부 12 : 구동편
13 : 코일스프링 16 : 지지구멍
18 : 안내홈
본 고안은 음향기기 및 가전제품등에 쓰여지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내부에서 접점을 연결 시키는 탄성편이 곡선형으로 적곡되어 형성된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기기 및 가전제품등에 사용되는 푸쉬버튼스위치는 본체내에 탄성편이 설치되어, 이 탄성편이 접혀지거나 펴짐으로서 접점의 단락(短絡)과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본체내부에서 접점들을 연결시키는 탄성편이 그 접혀진 부위가 일정각으로 꺽여져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1개의 탄성편만으로는 접점의 연결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한편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접점들 사이에 탄성편을 2개이상 설치해야만 하게 됨으로써 구조상 문제점이 있었고, 그때문에 푸쉬버튼스위치를 제조함에 있어 비용이 많이 들게되고, 또 스위치의 조립도 어려워지게 된다고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본체의 덮개 위에는 구동핀이 설치되게 되어 이 구동편이 작동간의 캠홈과 연게된 상태에서 동작하게 됨으로써 작동간을 단계적으로 로크시키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구동핀을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판스프링이라던가 별도의 고정부재가 사용되고 있었다.
즉, 구동핀을 고정시키시 위해 본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외에 다른 판스프링을 하나 더 본체에 설치시켜야 하고, 또 이 판스링을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를 연장시켜 고정부재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본체와 별개의 고정부재를 본체에다 설치해 놓아야 했었다. 따라서 스위치를 제조할 때의 조립이 복잡해지고 그로말미암아 스위치의 제조비용이 비싸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탄성편의 접혀진 절곡부위를 곡선형으로 만들어 스위치 본체내에 1개의 탄성편만 설치하면서 본체의 덮개에다 지지구멍과 안내홈을 형성시켜 구동핀이 본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소화됨과 더불어 제조비용도 싸지도록된 푸쉬버튼스위치를 재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푸쉬버튼스위치는, 연결핀(4), (5)과탄성편(6)이 설치된 본체(1)에 하트형 캠홈(2)이 형성된 작동간(3)이 결합되도록 된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6)이 곡선형으로 접혀져 형성되고, 상기 본체(1)에는 지지구멍(16)과 안내홈(18)이 형성되며, 본체(1)의 덮개(10)위에 설치되는형 구동핀(12)은 그 지지부(11)가 계단식으로 절곡되어져 이 지지부(11)가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코일스프링(13)의 반지름방향으로 눌려져 구동핀(12)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푸쉬버튼스위치는, 본체(1)내부에 있는 탄성편(6)의 접혀진 부위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성편(6)을 1개만 설치하더라도 접점의 단락과 개방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 푸쉬버튼스위치의 분리사시도로서, 본체(1)에 2개의 연결핀(4) (5)이 설치되면서 그중1개의 연결핀(4)에는 곡선형으로 절곡시켜진 탄성편(6)이 접속되게 된다.
또 이 탄성편(6)의 가동부(7)와 다른1개의 연결핀(5)에는 각각 접점(8), (9)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가동부(7)가 이동함에 따라 접점(8)과 접점(9)이 서로 단락되거나 개방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본체(1)에는 덮개(10)가 씌워지면서 이 덮개(10)에 지지구멍(16)과 안내홈(18) 형성되어져 있는 바, 이들 지지구멍(16)과 안내홈(18)을 통해서 구동핀(12)이 끼워져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핀(12) 그 지지부(11)가 계단식으로 절곡되어져 있어서, 작동간(3)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2)과 상응하여 동작하게 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 푸쉬버튼스위치가 조립된 상태를 종단면도로 도시해 놓은것인바 구동핀(12)이 그 지지부(11)가 덮개(10)의 지지구멍(16)에 끼워지고, 작동부(15)는 안내홈(18)을 통해 하트형 캠홈(2)내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는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코일스프링(13)의 반지름방향으로 눌려져 구동핀(12)이 덮개(10)윗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4 도는 접점이 개방된 상태의 푸쉬버튼스위치 평면도로서, 작동간(3)밑부분에 형성된 접동부(14)가 탄성편(6)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있는데, 여기서 상기 탄성편(6)은 그 접혀진 부위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각도로 예리하게 꺾여 형성된 탄성편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편(6)의 고정부(17)와 가동부(7)는, 상기 작동간(3)의 접동부(14)에 의해 설치간격이 좁혀지게 되므로 탄성편(6)과 연결핀(5)의 접점들(8), (9)이 서로 떨어져 있게 된다.
제 3 도는 상기 접동부(14)의 이동에 의해 접점(8), (9) 이 단락되어진 상태의 푸쉬버튼스위치의 평면도로서, 상기 탄성편(6)의 가동부(7)가 원상태로 복귀시켜지게 되면, 탄성편(6)이 접점(8)과 연결핀(5)의 접점(9)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푸쉬버튼스위치는 탄성편(6)이 곡선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접점들(8), (9)이 하나의 탄성편(6)만으로도 서로 연결시켜지게 되고, 또 구동편(12)이 단순히 코일 스프링(13)에 의해서만 지지시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스위치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위치의 조립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핀(4), (5)과 탄성핀(6)이 설치된 본체(1)와, 구동핀(12)이 설치되는 덮개(10) 및, 하트형 캠홈(2)이 형성된 작동간(3)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간(3)의 미끄럼동작으로 접점(8) (9)의 단락과 개방이 이루어 지도록된 푸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6)이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10)에는 지지구멍(16)과 안내홈(18)이 형성되며, 이 지지구멍(16)과 안내홈(18)을 통해 덮개(10)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편(12)은 그지지부(11)가 계단식으로 절곡되어져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므로써 덮개(10) 윗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스위치.
KR2019890002991U 1989-03-17 1989-03-17 푸쉬버튼 스위치 KR910005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991U KR910005408Y1 (ko) 1989-03-17 1989-03-17 푸쉬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991U KR910005408Y1 (ko) 1989-03-17 1989-03-17 푸쉬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49U KR900017749U (ko) 1990-10-05
KR910005408Y1 true KR910005408Y1 (ko) 1991-07-25

Family

ID=1928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991U KR910005408Y1 (ko) 1989-03-17 1989-03-17 푸쉬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4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749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03237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one-piece actuator and spring arm structure
US3403236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one-piece actuator and spring arm structure
KR890004818Y1 (ko)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US8193461B2 (en) Electrical switch, particularly of microswitch design
US3983341A (en) Simplified slide switch
US4092504A (en) Electrical slide switch with self-centering flexible contact
US4694130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with unitary spring and contact
KR20040077418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910019080A (ko) 발광 푸시버튼
US4837411A (en) Spring switch
KR910005408Y1 (ko) 푸쉬버튼 스위치
KR100195824B1 (ko) 레버 스위치
JP382068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4152556A (en) Noise suppression pushbutton interlocked switch assembly
US3487184A (en) Overtravel mechanism for snap-action switch
US4144419A (en) Push-button actuated slide switch
EP0024922A1 (en) Snap action switches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US6399910B1 (en) Switch assembly incorporating deflectable spring contact
CA1266873A (en) Cammed wire snap switch
JP388529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4281229A (en) Buzzer switch
JP2589914Y2 (ja) スイッチ
KR0126043Y1 (ko) 노브가변형 슬라이드 스위치
KR960002205B1 (ko) 자동카메라용 릴리즈 버튼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