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857Y1 - 집어등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집어등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857Y1
KR910004857Y1 KR2019890003710U KR890003710U KR910004857Y1 KR 910004857 Y1 KR910004857 Y1 KR 910004857Y1 KR 2019890003710 U KR2019890003710 U KR 2019890003710U KR 890003710 U KR890003710 U KR 890003710U KR 910004857 Y1 KR910004857 Y1 KR 910004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lamp
support bod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3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411U (ko
Inventor
강영식
Original Assignee
남북전기 주식회사
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북전기 주식회사, 강영식 filed Critical 남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3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857Y1/ko
Publication of KR900016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어등용 지지대
제 1 도는 본 고안 지지대의 요부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지지대의 실시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 지지대의 요부작동도.
제 4 도는 종래 지지대의 사시도.
본 고안은 집어등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업의 야간조업시에 선박의 마스트 사이에 강선을 연결하고, 이 강선에 집어등을 매달수 있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박의 마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강선(30)을 지지모마체(31)에 형성된 상측구멍(32)에 끼우고, 하측구멍(33)에는 전력선(34)을 끼워서 지지몸체(31)의 일측에 나사고정된 링(35)에 끼워진 집어등(37)용 소켓(36)에 전력선(34)을 연결하고, 집어등(37)의 돌출단부(37')는 지지몸체(31)의 타측에 고착된 캡(38)에 끼워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집어등을 선박에서 최대한 높이 매달되 해양의 바람에 견딜수 있도록 된 것이나, 집어등(37)의 수명이 다되거나 또는 집어등(37)의 필라멘트등의 단선시에는 집어등을 갈아 끼우기 위하여서는 사다리를 강선(30) 가까이에 설치하고, 사람이 사다리에 올라가서 링(35)을 고정한 나사를 풀고 캡(38)에서 돌출단부(37')를 뽑은 연후에 소켓(36)에서 집어등(37)을 뽑고 다시 새로운 집어등(37)을 갈아 끼우도록 하고 있으나, 집어등(37)의 크기가 클뿐아니라 나사 착탈작업을 해야하므로 흔들거리는 선박에서의 집어등 교환작업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대몸체의 일측에 캡봉에 나사고정하되 캡봉이 지지대 몸체의 일측에서 축지할 수 있도록 캡봉에 호형 장공을 형성하여 나비너트로 고정하므로서 집어등의 교환이 용이한 집어등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지지대는 강선통공(1)과 전력선통공(2)이 형성된 종대(3) 및 이 종대(3)를 나사고정하는 횡대(4')로 이루어진 지지몸체(4)의 일측단부에 (5)에 링(6)을 나사고정한 집어등용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몸체(4)의 타측단부에는 축지용 구멍(7)과 그 밑에 호형장공(8)이 형성된 캡봉(9)을 나사(10)와 나비너트(11)로 고정하여된 구성으로서 여기에서 미설명부호 12 : 캡, 13,13' : 지지몸체(4)와 캡봉(9)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 14 : 강선, 15 : 전력선, 16 : 소켓, 17 : 집어등, 18 : 집어등돌기, 19 : 축지용구멍(7)에 끼워지는 나사(10)고정용 너트이다.
이러한 본 고안 지지대의 작용효과는 제 2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몸체(4)의 강선통공(1)에 강선(14)을 통과시켜 지지몸체(4)를 강선(14)에 메달고, 전력선통공(2)에 전력선(15)을 통과시켜 소켓(16)에 전력선(15)을 연결하고 이소켓(16)을 링(6)에 끼워 지지몸체(4)의 일측단부(5)에 나사로 고정하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어서 이러한 구성의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집어등(17)의 소켓(16)에 나사식으로 착탈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캡봉(9)의 길이(ℓ1)는 일측단부(5)의 길이(ℓ2)보다 길게 되어 있어 소켓(16)에 집어등(17)을 끼우고, 집어등(17)의 돌기(18)를 캡(12)에 끼운상태(제 2 도)에서는 집어등(17)이 약간 경사지게 되어 소켓(16)이 캡(12)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우천시에는 빗물이 소켓(16)내로 스며들지 못한다.
또한 본 고안 지지대에서 집어등(17)을 뺄때에는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한손으로 나비너트(11)를 풀고, 캡봉(9)을 제 3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시키면 집어등(17)의 돌기(18)가 캡(12)에서 빠지게 되며, 이상태에서 집어등(17)을 회전시키면 소켓(16)에서 집어등(17)이 빠진다.
이후 새로운 집어등(17)을 소켓(16)에 끼워 회전하여 소켓(16)의 내부 전극에 집어등(17)의 전극을 접속한후 캡봉(9)을 제 3 도에서 실선위치로 이동시켜 캡(12)내에 집어등돌기(18)를 끼운후 나비너트(11)를 잠그면 집어등(17)의 교환이 간단하게 이루어 진다.
이때 캡봉(9)의 축지 회전은 축지용구멍(7)에 끼워진 나사(10)를 축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과격한 축지 회전은 호형장공(8)에 의하여 제한되어 거의 한손으로 교환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집어등을 설치한 상태에서 손쉽게 집어등의 교환작업을 할 수 있어 조업중에도 집어등을 간단히 교환활수 있다.

Claims (1)

  1. 강선통공(1)과 전력선통공(2)이 형성된 종대(3) 및 이 종대(3)를 나사 고정하는 횡대(4')로 된 지지몸체(4)의 일측단부(5)에 링(6)을 나사 고정한 집어등용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몸체(4)의 타측단부에는 축지용구멍(7)과 그 밑에 호형장공(8)이 형성된 캡봉(9)을 나사(10)와 나비너트(11)로 고정하여된 집어등용 지지대.
KR2019890003710U 1989-03-30 1989-03-30 집어등용 지지대 KR910004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710U KR910004857Y1 (ko) 1989-03-30 1989-03-30 집어등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3710U KR910004857Y1 (ko) 1989-03-30 1989-03-30 집어등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411U KR900016411U (ko) 1990-10-05
KR910004857Y1 true KR910004857Y1 (ko) 1991-07-08

Family

ID=1928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3710U KR910004857Y1 (ko) 1989-03-30 1989-03-30 집어등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718A2 (ko) * 2008-08-08 2010-02-1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집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718A2 (ko) * 2008-08-08 2010-02-1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집어시스템
WO2010016718A3 (ko) * 2008-08-08 2010-06-17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집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411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6059A (en) Lighted fishing rod
US5156369A (en) Beach umbrella
CA1289360C (en) Electrically operated fishing jigger
US4739575A (en) Fishing pole holder mount
CA1264834A (en) Light signalling fishing accessory
KR910004857Y1 (ko) 집어등용 지지대
DE915713C (de) Feuchtraumfassung
KR101427899B1 (ko)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DE69005409T3 (de) Bissanzeiger.
KR20100008476U (ko) 낚싯대에 장착 사용할 수 있는 엘이디 램프
US2962831A (en) Signal device for bobber
CN209390896U (zh) 一种外置提手异形抄网
US20090077858A1 (en) Bobber and sinker for fishing
US3016649A (en) Device for recovering fish lures and the like
KR880002397Y1 (ko) 전등갓 커버의 착탈장치
CN217684489U (zh) 便于携带的钓鱼灯
KR0136827Y1 (ko) 릴 낚시대용 미끼 연결고리
KR940007349Y1 (ko) 집어등 램프
KR200207845Y1 (ko) 발광체를 가지는 낚시 받침대
CN213127693U (zh) 一种新型渔具支架
CN220211566U (zh) 一种钓鱼水下视频监控装置
CN219974051U (zh) 一种带有抗强风结构的复合材料电力杆塔
CN215489177U (zh) 一种led灯可旋转安装装置
JPH0597071U (ja) 集魚灯用電線接続金具
CN208676157U (zh) 一种钓鱼用电子发光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