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50Y1 -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 Google Patents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50Y1
KR910004350Y1 KR2019880015637U KR880015637U KR910004350Y1 KR 910004350 Y1 KR910004350 Y1 KR 910004350Y1 KR 2019880015637 U KR2019880015637 U KR 2019880015637U KR 880015637 U KR880015637 U KR 880015637U KR 910004350 Y1 KR910004350 Y1 KR 910004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electrode
support
fitting grooves
cath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442U (ko
Inventor
어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5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350Y1/ko
Publication of KR900007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4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4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계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
제 3 도는 종래 공업용 케소오드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종래 케소오드조립체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애자 11 : 끼움홈
20 : 지지구 21 : 걸림편
S : 케소오드의 슬리이브 G : 제 1 전극
본 고안은 공업용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캔형 제 1 전극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소오드지지용 애자의 흔들림이 없도록 구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에는 가정용 케소오드조립체와는 달리 케소오드 고정용 애자(碍子)가 채용되어서 케소오드의 고정위치가 안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칼라브라운관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반적인 구조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CAN)형 제 1 전극(G1)의 내측에는, 3개의 케소오드 슬리이브(S)(S)(S)가 그 몸체에 인라인형으로 관통설치되고, 배면의 상하연부에 사다리꼴의 끼움홈(11)(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사기질의 애자(10)가 끼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의 전극(G) 내측에 끼워진 애자(10)를 고정시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단에 상기 사다리꼴 끼움홈(11)(11)에 대응되는 걸림편(21)(21)이 형성된 지지구(20)가 전극(G)의 개방부 내측 상하에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케소오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곧게 형성되어 있고, 제 4 도에 다소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지만은 끼움홈(11)에 걸림편(21)이 끼워졌을 때에는 유격이 발생된다.
즉 상기한 애자(10)의 끼움홈(11)(11)은 제작당시에 설정되고, 또한 지지구(20)의 양측단 걸림편(21)(21)간의 간격도 설정된다. 따라서 그 간격들이 고정된 끼움홈(11)(11)과 걸림편(21)(21)간의 치합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21)의 좌우에 약간의 유격이 의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전극(G)에 대한 애자(10)의 유동이 불가피하게 허용되며, 결과적으로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전극(G)과 케소오드간의 상대위치가 변동됨으로서 화이트 밸런스등이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극에 대한 케소오드 지지용 애자의 흔들림을 최대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전극과 케소오드간의 위치변동에 따른 전자총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공업용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캔형의 제 1 전극, 3개의 케소오드, 상기 케소오드들을 상기 전극 내측의 각 소정위치에 셋팅시키며 그 후면 상하에 각각 한쌍의 끼움홈이 형성된 애자, 상기 애자를 전극내측에 밀착고정시키도록 그 양측단에 상기 기움홈에 대응되는 걸림편을 갖춘 지지구 등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애자에 형성된 끼움홈간의 간격보다, 이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약간 크게 하여서, 상기 전내측에 끼워진 애자에 지지구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양측 끼움홈의 외측가장자리에 지지구 양측의 끼움편의 외측단부가 탄압밀착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캔형 제 1 전극(G)내측에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형의 애자(10)가 설치되고, 그 후측면에는 케소오드 슬리이브(S)(S)(S)의 후단부가 돌출 설치되는 한편 그 상하에는 일정간격의 사다리 끼움홈(1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애자(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구(20)의 중간부위가 v형으로 절곡되며 그 양측단에는 상기 끼움홈(11)(11)에 대응되는 사다리꼴의 걸림편(21)(21)이 형성되고 이들의 실제간격은 상기 끼움홈(11)(11)간의 간격보다 약간 크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이 지지구(20)의 중간부위가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편(21)(21)간의 직선거리는 상기 끼움홈(11)(11)간의 간격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걸림편간의 간격이 끼움홈간의 간격보다 길어진채 V형으로 절곡된 지지구(20)가 전극(G)내측에 결합이 되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형의 지지구(20)(20)가 곧게 펴진상태로 전극의 내측면 상하에 각각 저항용접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제 2 도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20) 몸체가 곧게 퍼짐에 따라 기움홈(11)(11)의 외측 가장자리가 걸림편(21)(21)의외측단부와 밀착된다. 즉 V형의 지지구(20)가 그 양측단의 걸편(11)(11)이 애자(10)의 끼움홈(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극(G)의 내측면에 곧게 펴진후 용접되기 때문에 애자(10)가 지지구(20)에 의해 탄압지지된다.
따라서 전극에 대한 애자의 고정위치가 매우 확고하게 되어서 외부충격에 대하여 매우 강한 내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캔형 전극에 대하여 애자를 매우 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케소오드와 전극간의 위치변동이 극소화된다. 따라서 케소오드와 전극간의 위치변동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브라운관의 성능이 일정수준이상으로 보장된다.

Claims (1)

  1. 캔형의 제 1 전극(G), 3개의 케소오드, 상기 케소오드들을 상기 전극내의 각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며, 그 후면 상하에 각각 한쌍의 끼움홈(11)(11)이 형성된 애자(10), 상기 애자(10)를 상기 전극(G)의 내측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그 양단에 상기 끼움홈(11)(11)에 대응되는 걸림편(21)(21)을 갖춘 지지구(20)등을 구비하여 된 칼라 브라운관의 케소오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20)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편(21)(21)간의 간격이 이에 대응되는 상기 애자(10)의 끼움홈(11)(11)간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걸림편(21)간의 직선 간격이 상기 끼움홈(11)(11)간의 간격과 사실상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구(20)를 소정형상으로 밴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KR2019880015637U 1988-09-23 1988-09-23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KR910004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637U KR910004350Y1 (ko) 1988-09-23 1988-09-23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637U KR910004350Y1 (ko) 1988-09-23 1988-09-23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442U KR900007442U (ko) 1990-04-04
KR910004350Y1 true KR910004350Y1 (ko) 1991-06-29

Family

ID=1927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637U KR910004350Y1 (ko) 1988-09-23 1988-09-23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3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442U (ko) 199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350Y1 (ko) 칼라브라운관의 케소오드조립체
KR910005832Y1 (ko) 전자총용 음극 구조체
KR940004793Y1 (ko) 코일쎄퍼레이터의 인너암(inner arm)취부구조
KR910005185Y1 (ko) 칼라브라운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US4998041A (en) Deflection yoke with cross-arm structure to reduce beam mis-landing
CA1089911A (en) Electron gun improvement
KR910002933Y1 (ko) 음극선관용 전극
KR950004351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0408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94000117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200214318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KR970006008Y1 (ko) 칼라음극 선관의 자기시일드 고정장치
KR200159696Y1 (ko) 마스크와 프레임의 용접구조
KR890006374Y1 (ko) 편향 요크의 보정편
KR94000654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890005713Y1 (ko) 편향요크(Deflection Yoke)의 크로스아암(CROSS ARM)과 코일쎄퍼레이터의 취부구조
KR91000583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KR880002990Y1 (ko) 편향요크의 링홀더
KR970004209Y1 (ko) 스피커의 조립구조
KR93000479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06621Y1 (ko) 편향요크의 코마 프리 어셈블리 고정부 구조
KR200240122Y1 (ko) 코일세퍼레이터의 자성편 이중 취부구조
KR950006124Y1 (ko) 편향요크의 보정철편 취부구조
KR92000582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보조지지체
KR910002935Y1 (ko) 음극선관용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