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170Y1 -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 Google Patents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170Y1
KR910004170Y1 KR2019880016674U KR880016674U KR910004170Y1 KR 910004170 Y1 KR910004170 Y1 KR 910004170Y1 KR 2019880016674 U KR2019880016674 U KR 2019880016674U KR 880016674 U KR880016674 U KR 880016674U KR 910004170 Y1 KR910004170 Y1 KR 910004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loose
leaf
filing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247U (ko
Inventor
론 광-웬
Original Assignee
론 광-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론 광-웬 filed Critical 론 광-웬
Priority to KR2019880016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170Y1/ko
Publication of KR900008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3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having a set of rods within a set of tubes for a substantial distance when closed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제 1 도는 본고안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 2a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판의 상면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판의 저면사시도, (c)는 제 2a 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d)는 제 2a 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앨범의 사시도와 저면사시도,
제 4a, b 도는 본 고안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화일의 장착판에 대한 상면사시도와 저면사시도.
제 5a, b 도는 본 고안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에 화일링하는 기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장착판의 상면사시도와 그 저면사시도.
제 6 도는 제 4 도에 따른 화일의 장착판의 측면도, 제 7 도는 종래 제 1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8 도는 종래 제 2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9 도는 종래 제 3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루스리프식화일링장치 2 : 루스리프
20 : 루스리프식앨범 11, 110, 120 : 장착판
111 : 돌기홈 112 : 돌기
113 : 돌출부 114 : 오목구멍
115, 116, 121 : 얇은판부분 117, 118 : 돌기부
119 : 종이나 서류 12 : 가요성하판
본 고안은 용지를 쉽게 편철할 수 있도록 된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스리프식 앨범이나 화일등을 철하는 방법은, 고정식방법에서와 가이 스테플러나 철끝 또는 풀등을 가지고 일체로 철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거나 불필요해진 페이지를 뽑아내고 새로운 것으로 다시 바꾸어 주는 가제식(加제除式)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루스리프식 화일링방법은 대체로 제 7 도나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깥표지와 안표지 사이에 화일링할 수 있는 두께나 고정연결구의 크기가 제한을 받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화일링되는 페이지 수를 일정범위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 결점으로 되고 있다.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루스리프 한쪽 가장자리 양측면을 따라 상, 하 서로 교대로 각각 힌지 구조를 형성시켜 놓고서 이들 힌지에 루스리프를 서로 끼워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 시판되고 있는바, 물론 이와 같은 서류화일링방법으로서도 페이지수에 제한없이 얼마든지 페이지수를 늘려 화일링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힌지결합이 서로 견고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힌지핀과 힌지파이프와의 칫수가 서로 꼭 맞춰지도록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상기 힌지핀과 힌지파이프 사이의 틈새가 긴밀히 접촉시켜 지도록 해야만 하고, 또 루스리프를 추가하거나 교체할 때 가늘고 긴 힌지핀을 꺼내거나 끼워 주기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만일 힌지핀이 구부러지게 되면 고치기가 어렵다고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화일링되는 용지의 페이지수에 제한받지 않고, 루스리프를 쉽게 가제하거나 또는 교환할 수 있는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띠모양의 장착판이 다수개 겹쳐지면서 상, 하 2개의 각 장착판이 그들 상호간의 접촉면 폭방향을 따라 자유로히 착탈시킬 수 있도록 긴밀히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 하 장착판의 양쪽끝부위는 스냅방식으로 상기 접촉면의 수직방향으로 따라 자유로히 착탈시켜 질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한쪽 가장자리부쪽에 띠모양의 장착판이 고정되면서, 이 장착판의 상하 양면에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1쌍 이상의 돌기홈과 돌기로 구성된 결합수단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장착판의 상, 하 양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이 상의 돌출부와 오목구멍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개의 루스리프를 여러겹 겹쳐 각 루스리프의 한쪽 가장자리부쪽으로 폭방향을 따라 상, 하 루스리프를 서로 착탈될 수 있도록 결합시킨 다음, 수직방향에 대해 서로 스탭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주게 되면, 루스리프가 상호 결합시켜져서 루스리프식으로 화일링을 해 줄 수 있게 되는바, 예컨대 앨범등에서 유용하게 쓰일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일링장치의 각 장착판의 긴변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얇은 판부분을 연장 시키고서, 이들 각 얇은 판부분에 그 폭방향을 따라 서로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돌기부를 상, 하 대응되게 형성시켜 주게되면 화일과 같은 독립된 화일링장치가 만들어지게 되어, 편칭작업으로 구멍이 뚫려진 종이나 서류를 서로 대응되게 끼워맞춰진 상기 돌기부에 끼워 화일링 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장착판의 얇은 판부분에는 인접한 장착판의 얇은판부분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가용성 돌기편을 형성시켜 줄수도 있는데,그렇게 하면 종이와 서류를 별도로 펀칭해서 구멍을 뚫어주지 않아도 화일에 화일링 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 화일링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일링장치(1)는 주로 띠모양의 장착판(11)을 여러개 겹쳐 사용하게 된다.
즉,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장착판(11)은 그 양쪽면에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폭 방향을 따라 1쌍 이상의 사다리꼴형 돌기홈(111)과 돌기(112)와 같은 결합수단(제 2a, b, c 도 참조)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또 양쪽면의 수직방향을 따라 1쌍 이상의 돌출부(113)와 이 돌출부(113)가 끼워져 삽입되는 오목구멍(114)과 같은 결합수단(제 2a, b, d 도 참조)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화일링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 하 2개의 장착판(11)을 각각 그들에 형성된 사다리꼴형의 돌기홈(11)과 돌기(112)를 서로 대응시켜가면서 그들 접촉면의 폭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시켜 2개의 장착판(11)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각각의 돌출부(113)를 그에 대응하는 오목구멍(114)에 끼워넣게 되면 2개의 장착판(11)이 스냅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지게 된다.
상기 화일링장치는 상기 돌기홈(111)과 돌기(112)의 연결수단으로 각 장착판(11)의 폭방향으로 착탈되도록 이동시켜 결합시키고, 또 상기 돌출부(113)와 오목구멍(114)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으로 장착판(11)을 결합시킨 다음 다시 장착판(11)을 스냅 맞춤식으로 체결시켜 주게 되면 장착판(11)의 폭방향으로의 착탈이동이 제지되게 됨으로써 장착판(11)의 결합이 아주 견고해지게 된다. 또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113)와 오목구멍(114)은 띠 모양의 장착판(11) 양끝에 1쌍씩 2쌍만 형성시켜 줌으로써, 필요한 장착판(11)을 꺼내려고 할때 먼저 상기 장착판(11)의 양끝에 형성된 돌출부(113)와 오목구멍(114)의 결합을 해제시켜 주고 나서 장착판(11)을 그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때와는 반대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켜 장착판(11)에 형성된 모든 돌기홈(111)과 돌기(112)의 연결수단의 결합을 풀어주게 되면, 장착판(11)의 체결에 해제되어 있어 특정 장착판(11)의 착탈이 상당히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태양으로서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장착판(11)의 긴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얇은 판부분(115)을 연장형성시켜 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 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앨범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이 앨범(20)의 각 루스리프(2)는 화일링수단으로서의 띠모양의 장착판(11)과 한쪽 가장자리부가 비닐등의 가용성재료(21)에 의해 장착판(11)의 얇은판부분(5)과 결합되는 보올지로 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올지(22)에 겹쳐져 사진등을 보호해 주기 위해 투명층을 설치해 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한쪽 가장자리부에 띠 모양의 장착판(11)이 고정되고, 이들 장착판(11)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1쌍이 상의 돌기홈(111)과 돌기(112)의 연결수단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또 장착판(11)의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113)와 오목구멍(114)의 연결수단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여러개의 루스리프(2)가 서로 겹쳐 결합되어 있다(제 2 도 참조).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겉표지나 안표지를 갖춘 루스리프를 화일링하는 수단으로서의 장착판은, 설계에 따라 그 외측의 한쪽면을 평면으로 하고, 다른쪽에만 돌기홈(11)과 돌기(112)와 같은 연결수단 및 돌출부(113)와 오목구멍(114)과 같은 연결 수단을 형성시켜 이들 한쪽만을 대응결합시켜 주어도 된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화일장착판(110)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각 화일의 상, 하 2개의 장착판(110)에 각각 형성된 얇은 판부분(116)의 사이에 필요에 따라 장착판(110)의 폭방향으로 서로 자유로히 착탈되면서 끼워맞춰질 수 있는 돌기부(117, 118)가 상, 하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이 돌기부(117, 118)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장착판(110)을 상, 하 서로 결합시켜 화일(10)을 이루게 한 다음, 상기 돌기부(117, 118)를 서로 결합시켜 줌으로써 여러개의 기둥(A)이 되게 하고, 이 기둥(A)에다 펀칭으로 구멍이 뚫려진 종이나 서류(119)를 상, 하 장착판(110)의 얇은판부분(116) 사이에 겹쳐 삽입고정시켜 화일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5 도는 화일장착판(120)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이 실시상태는 상기 각 장착판(120)의 얇은 판부분(121) 하면에 인접된 장착판의 얇은판부분에 맞닿을 수 있도록 가요성 돌기편(122)이 형성된 것인바, 이렇게 하면 종이나 서류를 펀칭하여 구멍을 뚫지 않아도 화일에 화일링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띠모양의 장착판(11, 110)이 여러개 겹쳐지면서 이들 각 장착판(11, 110)의 상, 하가 서로 접촉면의 폭방향을 따라 자유로히 착탈될 수 있도록 돌기홈(111)과 돌기(112)와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켜 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서류나 용지의 페이지수에 제한받지 않고, 또 루스리프를 쉽게 추가하거나 교환해 줄 수 있도록 된 앨범등과 같은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여러개의 띠모양 장착판(11, 110, 120)에 의해 중복해서 겹쳐지면서, 이들 상, 하 2개의 장착판(11, 110, 120)이 서로 접촉면의 폭방향으로 따라 자유로히 착탈되고 돌기홈(111)과 돌기(112)에 의해 체결되도록 된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11, 110, 120)의 상, 하 양단부가 돌출부(113)와 오목구멍(114)와 같은 스냅 맞춤식결합으로 상기 장착판(11, 110, 120)의 접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쉽게 착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판(11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를 따라 얇은 판부분(116)이 연장 형성되고, 이 얇은판부분(116)에는 폭방향을 따라 서로 자유로히 착탈되도록 끼워질 수 있는 돌기부(117, 118)가 상, 하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판(12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에 얇은판부분(121)이 연장 형성되고, 이들 각 얇은판부분(121)에 인접한 장착판(12)의 얇은판부분(121)에 맞닿아 질 수 있도록 가요성 돌기편(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스리프식 화일링장치.
KR2019880016674U 1988-10-11 1988-10-11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KR910004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674U KR910004170Y1 (ko) 1988-10-11 1988-10-11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674U KR910004170Y1 (ko) 1988-10-11 1988-10-11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247U KR900008247U (ko) 1990-05-01
KR910004170Y1 true KR910004170Y1 (ko) 1991-06-17

Family

ID=1928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674U KR910004170Y1 (ko) 1988-10-11 1988-10-11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1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247U (ko) 199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924B2 (en) Back plate and file cover for ring binder
KR940005910B1 (ko) 책자결속방법 및 바인다
CA2598537A1 (en) Binding system, sheet for appliance in a binding system and use of a binding system
ES556349A0 (es) Un sistema mejorado para encuadernar hojas perforadas.
KR910004170Y1 (ko) 루스리프(loose-leaf)식 화일링 장치
US4435906A (en) Perforating jig
US4699538A (en) File system and method of organizing documents therein
US2347278A (en) Loose-leaf binder
US5713604A (en) Paper binding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GB1395117A (en) Means for assembling files
JP4443720B2 (ja) ファイリング用具
US2526975A (en) Fastener for paper files
US20050135872A1 (en) Paper binding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061736B2 (en) Longitudinally articulated view binder spines for easy spine labeling
KR200439754Y1 (ko) 링 제본물 바인더 커버
US1958058A (en) Pamphlet binder
US4930926A (en) Binder for removable leaves
KR200238602Y1 (ko) 서류 파일
US4743134A (en) Sliding loose-leaf binder
KR200448994Y1 (ko) 바인더용 스프링 결속구
KR200377313Y1 (ko) 서류 제본용 바인더 링
JPS6210155Y2 (ko)
JP3102930U (ja) 綴じ込みファイル
JPS5936474Y2 (ja) ル−ズリ−フバインダ−の保護板構造
US20120082504A1 (en) Loose-leaf b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