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131Y1 -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 Google Patents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131Y1
KR910004131Y1 KR2019880009452U KR880009452U KR910004131Y1 KR 910004131 Y1 KR910004131 Y1 KR 910004131Y1 KR 2019880009452 U KR2019880009452 U KR 2019880009452U KR 880009452 U KR880009452 U KR 880009452U KR 910004131 Y1 KR910004131 Y1 KR 910004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voltage
circuit
remote receiver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4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02105U (en
Inventor
박승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131Y1/en
Publication of KR900002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0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13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3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enters an active or inactiv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원격수신기의 스탠 바이회로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1 is a conventional circuit diagram.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트랜스포머 200 : 브리지 정류회로100: transformer 200: bridge rectifier circuit

300,301 : 제1, 제2정전압 회로부 400 : 원격수신기300,301: first and second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400: remote receiver

500 : 스위칭부 600 : 플립플롭500: switching unit 600: flip-flop

Q1-Q7 : 트랜지스터 C1-C10 : 캐패시터Q1-Q7: Transistor C1-C10: Capacitor

R1-R10 : 저항 D1-D7 : 다이오드R1-R10: resistor D1-D7: diode

ZD1,ZD2 : 제너다이오드 401 : 광변환회로ZD1, ZD2: Zener Diode 401: Optical Conversion Circuit

402 : 원격수신회로402: remote receiving circuit

본 고안은 리모트 콘트롤(Remote Control)회로를 구비한 가전제품에 있어서, 별도의 서브 트랜스포머가 없이도 원격수신기에 공급전원을 인가하여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원격 수신기의 스탠바이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circuit of a remote receiver capable of maintaining a standby state by applying a power supply to a remote receiver in a home appliance having a remote control circuit.

통상적으로 리모트 콘트롤 회로는 운용자가 운용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이나 생산라인의 시스템등을 원격 제어가능 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원격송신기와 원격수신기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 회로의 원격수신기는 가전제품이나 생산 라인 시스템에 내장되어 가전제품이나 생산라인시스템의 전원이 오프되었을 경우에도 원격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온(ON)상태에서 오프(OFF)시키며 기타 다른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 즉 스탠바이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In general, a remote control circuit allows an operator to control a home appliance or a system of a production line at a remote controllable distance,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a remote transmitter and a remote receiver. The remote receiver of the remote control circuit is embedded in a home appliance or a production line system, and even when the home appliance or a production line system is turned off, the power is turned on or turned on by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transmitter. The standby state, or standby state, should be maintained so as to generate a function control signal that turns off from the ON state and controls other functions.

상기 원격 수신기를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도는 제 1 도에 나타나 있다.A conventional circuit diagram for keeping the remote receiver in a standby state is shown in FIG.

상기 제 1 도는 입력단(IN1, IN2)으로부터 입력되는 공급전원을 제어대상인 본체가 필요로 하는 동작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메인 트랜스포머(Main Transformer)(10)와, 상기 입력단(IN2)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트랜스포머(10)로 인가되는 공급전원을 릴레이 구동신호에 따라 스위칭하기 위한 릴레이(70)와, 상기 입력단(IN1, IN2)의 공급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릴레이(70) 및 원격수신기(40)에 동작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트랜스포머(20)와, 상기 서브 트랜스포머(20)와 상기 릴레이(70) 및 원격수신기(40)간에 연결되어 상기 서브 트랜스포머(20)의 출력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기 위한 다이오드(D1) 및 캐패시터(C1)와, 상기 원격 수신기(40)의 출력단(OUT)의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를 베이스로 입력하여 상기 릴레이(70)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main transformer 10 for converting the supply power input from the input terminals IN1 and IN2 into an operating voltage required by a main body to be controlled, and the main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2. A relay 70 for switching the supply power applied to the transformer 10 according to the relay driving signal and a supply power of the input terminals IN1 and IN2 to be operated to operate the relay 70 and the remote receiver 40. A diode for rectifying and smooth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ub-transformer 20 is connected between the sub-transformer 20 for providing a voltage and the sub-transformer 20 and the relay 70 and the remote receiver 40. D1), capacitor C1, and transistor Q1 for driving the relay 70 by inputting the relay drive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remote receiver 40 as a base.

상기 제 1 도의 동작을 간략히 기술하면, 상기 원격 수신기(40) 및 상기 릴레이(70)는 상기 서브 트랜스포머(20)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Briefly describing the operation of FIG. 1, the remote receiver 40 and the relay 70 maintain a standby state by the operating voltage provided from the sub-transformer 20.

여기서 상기 메인 트랜스포머(10)의 출력전압은 상기 본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이므로 상기 서브 트랜스포머(20)의 전압보다 더 큰 전압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원격수신기(40)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원격송신기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단(OUT)으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출력단(OUT)의 출력이 "하이"하고 하면,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상기 릴레이(70)가 온된다.Here,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transformer 10 is a voltage for operating the main bod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oltage greater than the voltage of the sub-transformer 20. The remote receiver 40 outputs a relay driving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OUT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remote transmitter (not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output of the output terminal OUT is "high",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and the relay 70 is turned on.

따라서 상기 입력단(IN1,IN2)의 공급전원은 메인 트렌스포머(10)에 입력되고, 상기 메인 트랜스포머(10)는 제어대상인 본체가 필요로 하는 동작 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원격수신기(40)의 출력단(OUT)이 "로우"이면,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어 상기 릴레이(70)가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트랜스포머(10)에는 공급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본체가 동작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supply power of the input terminals IN1 and IN2 is input to the main transformer 10, and the main transformer 10 provides an operating voltage required by the main body to be controlled. On the contrary, when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remote receiver 40 is "low",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ff and the relay 70 is turned off. Therefore, since the main power supply is not applied to the main transformer 10, the main body does not operat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회로는 릴레이(70)를 사용하여 본체에 인가되는 공급전원을 제어하였으므로, 접점불량 및 오동작의 발생을 종종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70)를 사용중에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릴레이(70) 및 상기 원격수신기(40)를 항상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서브 트랜스포머(30)를 별도로 마련해 주어야 하는 원격적인 부담을 안고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ircuit uses the relay 70 to control the supply power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thus often causes contact failure and malfunction.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lay 70 must be replaced during use, and the remote burden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sub-transformer 30 to keep the relay 70 and the remote receiver 40 in a standby state at all times. Was hugging.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모트 콘트롤 회로를 구비한 가전제품에 있어서 단일의 메인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본체 및 원격수신기에 동작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전원공급제어를 반도체소자를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모트콘트롤 스탠바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circuit that can supply an operating voltage to a main body and a remote receiver using a single main transformer in a home appliance having a remote control circuit, and can use power supply control semi-permanently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provide a standby circuit.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1차측코일(N1)의 3단자중 두 단자로 교류공급전원을 입력하여 2차측코일(N2)의 다수의 단자들을 통해 소정의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트랜스포머(10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최외각의 양쪽 출력단자(OT1,OT2)간에 접속되어 상기 양쪽 출력단자 사이의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기 위한 브리지 정류회로(20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중간 출력단자(OT2)를 기점으로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200)의 양단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200)의 출력을 평활시킨 제1,2직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캐패시터(C1,C2)와, 상기 캐패시터(C1,C2)의 제1,2직류 전압을 인가되는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1-2정전압 회로부(300,301)와, 외부의 원격송신기로부터 광신호를 입력하여 단일 펄스형태의 전원제어신호 및 기타 기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원격수신기(400)와, 상기 원격수신기(400)에 연결되어 운용자가 조작할때마다 단일 펄스형태의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칭부(500)와, 상기 스위칭부(500)나 상기 원격수신기(400)로부터 단일 펄스의 상기 전원제어신호가 인가될때마다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600)과,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제4출력단자(OT4)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교류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원격수신기(400) 및 스위칭부(500) 그리고 플립플롭(600)을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 전압을 인가하는 다이오드(D5) 및 캐패시터(C9)와, 상기 제1-2정전압회로부(300,301)를 상기 전원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5,Q6)와, 상기 트랜지스터(Q5,Q6)와 상기 플립플롭(600)간에 연결되어 상기 플립플롭(600)의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5,Q6)를 제어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되어 있다.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former 10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AC voltage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by inputting the AC supply power to two of the three terminals of the primary side coil N1. ) And a bridge rectifier circuit 200 connected between both output terminals OT1 and OT2 at the outermost sides of the secondary coil N2 of the transformer 100 for full-wave rectifying an AC voltage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The output of the bridge rectifying circuit 200 is smoothed by being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of both ends of the bridge rectifying circuit 200 starting from the intermediate output terminal OT2 of the secondary coil N2 of the transformer 100. Capacitors C1 and C2 for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DC voltages, and for maintaining and outputting the first and second DC voltages of the capacitors C1 and C2 at constant voltages according to the applied power supply control signals, respectively. 1-2 constant voltage circuit section 300, 301 and an external remote transmitter section And a remote control receiver 400 which inputs an optical signal to generate a single pulsed power supply control signal and other function control signals, and is connected to the remote receiver 400 so that a single pulsed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operated by the operator. A flip-flop 600 for generating a power supply control signal each time a switching unit 500 for generating a power supply signal is applied from the switching unit 500 or the remote receiver 400 and a single pulse; Rectifying and smoothing a predetermined AC voltage input from the fourth output terminal OT4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of the transformer 100 to allow the remote receiver 400, the switching unit 500, and the flip-flop 600. Diodes (D5) and capacitors (C9) for applying an operating voltage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and transistors (Q5, Q6) for driving the 1-2 constant voltage circuit parts (300, 301)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respectively. ) And the above A transistor Q7 is connected between the transistors Q5 and Q6 and the flip-flop 600 to control the transistors Q5 and Q6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of the flip-flop 600. .

이하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상기 트랜스포머(100)는 외부의 공급전원에 따라 1차측코일(N1)의 입력단자(IT1-IT3)중 제3입력단자(IT3)를 공통으로 제1입력단자(IT1) 또는 제2입력단자(IT2)를 통해 115VAC나 230VAC인 상용공급 전원을 입력하여 미리 설정된 권선비로써 2차측 코일(N2)에 소정 교류 전압을 출력한다.The transformer 100 has a first input terminal IT1 or a second input terminal common with the third input terminal IT3 among the input terminals IT1-IT3 of the primary coil N1 according to an external supply power. It inputs the commercial supply power of 115VAC or 230VAC through IT2) and outputs a predetermined AC voltage to the secondary coil N2 at a predetermined turns ratio.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최외각의 제1출력단자(OT1)와 제2출력단자(OT2)사이에 접속된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200)는 상기 제1 및 제2출력단자(OT1,OT2)사이에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전파정류하여 두 라인(1,2)을 통해 출력한다.The bridge rectifier circuit 200 connected between the outermost first output terminal OT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T2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of the transformer 10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outputs. The AC voltage output between the terminals OT1 and OT2 is full-wave rectified and output through the two lines 1 and 2.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중간출력단자(OT3)를 기점으로 상기 두 라인(1,2)사이에 접속된 두 개의 캐패시터(C1,C2)는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200)와 함께 평활회로의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두라인(1,2)상의 교류전압을 서로 상반된 부호의 동일절대치를 갖는 맥류성분의 제1,2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The two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between the two lines 1 and 2 starting from the intermediate output terminal OT3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of the transformer 100 are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200. In addition, by acting as a smoothing circuit, the AC voltage on the two lines (1, 2) is conv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C voltages of the pulse current component having the same absolute value of opposite signs.

상기 라인(1)과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중간출력단자(OT3) 상기 캐패시터(C1)와 병렬로 접속된 제1정전압회로부(300)는 상기 캐패시터(C1)의 양단전압인 라인(1)상의 상기 제1직류전압을 입력하여 상기 제1직류전압중에 포함된 맥류성분을 제거한 다음 라인(3)을 통해 출력단(B+)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라인(2)과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중간출력단자(OT3)에 상기 캐패시터(C2)와 병렬로 접속된 제2정전압회로부(301)도 상기 캐패시터(C2)의 양단전압인 라인(2)상의 상기 제2직류전압을 입력하여 상기 제2직류전압중에 포함된 맥류성분을 제거한 다음 라인(4)을 통해 출력단(B-)으로 출력한다.The first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300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termediate output terminal OT3 and the capacitor C1 of the secondary coil N2 of the line 1 and the transformer 100 has both ends of the capacitor C1. The first direct current voltage on the line 1, which is a voltage, is input to remove the pulsat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first direct current voltage, and then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B + through the line 3. The capacitor C2 also has a second constant voltage circuit 301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C2 to an intermediate output terminal OT3 of the secondary coil N2 of the line 2 and the transformer 100. The second DC voltage on the line 2, which is the voltage at both ends of V, is input to remove the pulsating component included in the second DC voltage, and then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B- through the line 4.

여기서 상기 제1-2정전압회로부(300,301)는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됨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1-2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s 300 and 301 are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한편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제4출력단자(OT2)로부터 소정교류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D5) 및 캐패시터(C9)는 다이오드(D5)의 작용에 의해 상기 소정교류 전압을 반파정류하고 캐패시터(C9)의 작용에 의해 평활화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ode D5 and the capacitor C9 rectifying and smoothing a predetermined AC voltage from the fourth output terminal OT2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of the transformer 100 are operated by the diode D5. The AC voltage is half-wave rectified and smoothed by the action of the capacitor C9.

상기 다이오드(D5) 및 캐패시터(C9)의 출력 직류전압은 상기 원격수신기(400), 스위칭부(500), 플립플롭(600),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에 각각 공급되어 회로를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킨다.The output DC voltages of the diode D5 and the capacitor C9 are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remote receiver 400, the switching unit 500, the flip-flop 600, and the collectors of the transistor Q7 to maintain the circuit in the standby state. Let's do it.

상기 스위칭부(500)는 운용자가 조작할 때마다 전원스위치(SW1)에 의해 로우논리상태의 단일 펄스를 발생하여 반전소자(I1)에 의해 반전시킨 후 하이논리상태의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다이오드(D6)를 통해 라인(6)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라인(5)상의 상기 출력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스탠바이 상태인 상기 원격수신기(400)도 상기 원격송신기로부터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광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하이논리 상태의 단일 펄스인 전원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라인(6)으로 출력하는데, 이를 설명하면 광변환회로(401)가 원격송신기로부터 무선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원격수신회로(402)에 출력한다. 상기 원격수신회로(402)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논리 로직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전원 제어단자(SPT)에 하이논리 상태의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다이오드(D7)를 통해 라인(6)으로 출력한다.The switching unit 500 generates a single logic in a low logic state by the power switch SW1 every time the operator operates, inverts the inversion by the inversion element I1, and generates a power control signal in a high logic state. Output to line 6 via (D6). In addition, the remote receiver 400, which is in the standby state by receiving the output DC voltage on the line 5, receives a power control signal that is a single pulse in a high logic state whenever an optical signal for controlling power is input from the remote transmitter. It generates and outputs to the line 6, which describes the optical conversion circuit 401 converts the optical signal wirelessly input from the remote transmitt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remote receiving circuit 402. The remote receiving circuit 402 generates the power control signal in a high logic state to a power control terminal SPT by processing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logic logic, and outputs the power control signal to the line 6 through the diode D7.

여기서 상기 원격수신회로(402)는 집적회로인 IC로 구성되며 상기 광변환회로(401)는 포토 커플러로 흔히 구성된다.Here, the remote receiving circuit 402 is composed of an IC which is an integrated circuit, and the optical conversion circuit 401 is often composed of a photo coupler.

따라서 상기 라인(6)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칭부(500) 또는 상기 원격수신기(400)에서 제공되는데, 이는 운용자가 외부의 원격송신기 또는 내부의 전원스위치(SW1)를 편리한 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라인(6)으로 입력되는 상기 전원제어 신호를 클럭단자(CLK)로 입력하는 플립플롭(600)은 상기 전원제어 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상기 라인(5)상에 공통으로 접속된 두 입력단자(J.K)의 하이논리 상태에 의해 출력단자(Q)의 논리상태를 반전시킨 전원공급 제어 신호를 저항(R10)를 통해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로 인가한다.Therefore, the power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line 6 is provided by the switching unit 500 or the remote receiver 400, which allows the operator to conveniently operate an external remote transmitter or an internal power switch SW1. Do it. Therefore, the flip-flop 600 for inputting the power control signal input to the line 6 to the clock terminal CLK has two inputs commonly connected to the line 5 each time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pplied.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n which the logic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Q is inverted by the high logic state of the terminal JK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7 through the resistor R10.

여기서 상기 플립플롭(600)은 JK플립플롭으로써 동작하여 상기 출력단(Q)이 "하이"로 되어 있을 때 상기 클럭단자(CLK)로 상기 전원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7)를 턴오프 시킨다. 반대로 "로우"로 되어 있을 때 상기 전원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7)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립플롭(600)의 리세트단자(R)와 상기 라인(5)사이에 접속되어 미분회로의 형태를 이루는 콘덴서(C9) 및 저항(R7)은 초기에 직류 전압이 인가될 때 미분펄스를 발생하여 플립플롭(600)의 리세트 단자(R)에 인가함으로서 플립플롭(600)을 초기화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The flip-flop 600 operates as a JK flip-flop to turn off the transistor Q7 when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clock terminal CLK when the output terminal Q is "high". On the contrary, when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input while being "low", the transistor Q7 is turned on. The capacitor C9 and the resistor R7 connected between the reset terminal R of the flip-flop 600 and the line 5 to form a differential circuit are initially subjected to differential pulses when a DC voltage is applied.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reset terminal R of the flip-flop 600 to initialize the flip-flop 600.

상기 플립플롭(600)의 출력단자(Q)로부터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저항(R10)을 통해 입력하는 상기 트랜지스터(Q7)는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함으로써 상기 라인(5)상의 상기 직류전압을 라인(7)상으로 전송하거나 차단한다.The transistor Q7 which inputs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from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flip-flop 600 through the resistor R10 is turned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state of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The DC voltage on (5) is transmitted or interrupted on line (7).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7)가 턴온 또는 턴오프될 경우에 이와 연결된 트랜지스터(Q5,Q6)도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2정전압회로부(300,301)에 연결된 본체가 필요로 하는 출력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7,Q5,Q6)는 무접점 스위치 소자로써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트랜지스터(Q5)는 라인(7)상에 상기 직류전압이 인가될 때 콜렉터에 접속되어진 저항(R4)과 에미터에 접속된 저항(R5)을 통해 전류통로를 형성하여 제1정전압회로부(300)의 트랜지스터(Q2)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라인(1)상의 직류전압을 라인(3)을 통해 출력단(B+)으로 공급시킨다.Therefore, when the transistor Q7 is turned on or turned off, the transistors Q5 and Q6 connected thereto are also turned on or turned off to supply output voltages required by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s 300 and 301. Or block. That is, the transistors Q7, Q5, and Q6 operate as solid state switch elements. The transistor Q5 forms a current path through the resistor R4 connected to the collector and the resistor R5 connected to the emitter when the DC voltage is applied on the line 7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300. By operating the transistor Q2 of), the DC voltage on the line 1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B + through the line 3.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면 차례로 상기 제2정전압회로부(301)의 트랜지스터(Q3) 및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어 상기 라인(2)상의 직류 전압은 출력단(B-)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어대상인 본체에 공급전원이 인가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istor Q6 is turned on, the transistors Q3 and Q4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301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the DC voltage on the line 2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B−. Therefore, the supply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body to be controll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제어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실행함으로써 릴레이 사용시 보다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이점과, 메인트랜스 하나만을 이용하여 원격수신부 및 스위칭, 플립플롭등에 동작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서브트랜스포머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lifespan can be semi-permanently extended by using the transistor to control the power on or off by using a transistor, and the operation power supply for the remote receiver, switching, flip-flop, etc. using only one main transformer. By supplying this, the standby state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onventional subtransformer is not required.

Claims (1)

1차측코일(N1)의 3단자중 두 단자로 교류공급전원을 입력하여 2차측코일(N2)의 다수의 단자들을 통해 소정의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트랜스포머(10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최외각의 양쪽 출력단자(OT1,OT2)간에 접속되어 상기 양쪽 출력단자 사이의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기 위한 브리지 정류회로(20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중간 출력단자(OT3)를 기점으로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200)의 양단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200)의 출력을 평활시킨 제1,2직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캐패시터(C1,C2)와, 상기 캐패시터(C1,C2)의 제1,2직류 전압을 인가되는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1-2정전압 회로부(300,301)와, 외부의 원격송신기로부터 광신호를 입력하여 단일 펄스형태의 전원제어신호 및 기타 기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원격수신기(400)와, 상기 원격수신기(400)에 연결되어 운용자가 조작할때마다 단일 펄스형태의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칭부(500)와, 상기 스위칭부(500)나 상기 원격수신기(400)로부터 단일 펄스형태의 전원제어신호가 인가될때마다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600)을 구비한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코일(N2)중 제4출력단자(OT4)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교류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원격수신기(400) 및 스위칭부(500) 그리고 플립플롭(600)을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 전압을 인가하는 다이오드(D5) 및 캐패시터(C9)와, 상기 제1-2정전압회로부(300,301)를 상기 전원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5,Q6)와, 상기 트랜지스터(Q5,Q6)와 상기 플립플롭(600)간에 연결되어 상기 플립플롭(600)의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5,Q6)를 제어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수신기의 스탠바이 회로.Transformer 10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AC voltage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by inputting the AC supply power to two of the three terminals of the primary side coil (N1),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20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most output terminals OT1 and OT2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for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AC voltage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100. Generating first and second DC voltages connected between both output terminals of the bridge rectifying circuit 200 starting from the middle output terminal OT3 of the coil N2 to smooth the output of the bridge rectifying circuit 200. First and second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s 300 and 301 for maintaining and outputting the capacitors C1 and C2 and the first and second DC voltages of the capacitors C1 and C2 at constant voltages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Single pulse by inputting optical signal from external remote transmitter Remote receiver 400 for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and other function control signal of the state, and the switch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remote receiver 400 for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of a single pulse type whenever the operator operates And a flip-flop (600) for generating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whenever a single pulse power control signal is applied from the switching unit (500) or the remote receiver (400). Rectifying and smoothing a predetermined AC voltage input from the fourth output terminal OT4 of the secondary side coil N2 of 100 to standby the remote receiver 400, the switching unit 500, and the flip-flop 600. A diode (D5) and a capacitor (C9) for applying an operating voltage to maintain the voltage, a transistor (Q5, Q6) for driving the first-second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300, 301)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respectively; The transition And a transistor Q7 connected between the Q5 and Q6 and the flip-flop 600 to control the transistors Q5 and Q6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of the flip-flop 600. Standby circuit of a remote receiver.
KR2019880009452U 1988-06-21 1988-06-21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KR9100041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452U KR910004131Y1 (en) 1988-06-21 1988-06-21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452U KR910004131Y1 (en) 1988-06-21 1988-06-21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05U KR900002105U (en) 1990-01-19
KR910004131Y1 true KR910004131Y1 (en) 1991-06-15

Family

ID=1927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452U KR910004131Y1 (en) 1988-06-21 1988-06-21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13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05U (en)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13540A (en) Feed device of power supply
US3418557A (en) Voltage control system involving timed energization of a pair of power handling transistors
KR930024262A (en) Phase difference synchronization control circuit of parallel SMPS
US4025863A (en) Regulating electric power circuit arrangement
US3350620A (en) Voltage converter circuits with shiftable tap on primary winding
JPS63178765A (en) High voltage integrated circuit electric source controller with primary edge detector
KR910004131Y1 (en) Stand-by circuit of remote receiver
US5247242A (en) Output module
US3343062A (en) Regulated phase controlled power supply
JPS5849108B2 (en) Dengen Sochi
US3089077A (en) Transistor converters
JPS62284Y2 (en)
JPH07264846A (en) Switching power supply
KR100198535B1 (en) Power switching device
SU1723651A1 (en) Device for control over a c electric motor
KR960003739Y1 (en) Source on/off control circuit
JPH088705Y2 (en) Electric curtain drive circuit
KR890001043Y1 (en) Conversion of ac power
KR0180763B1 (en) Power control circuit
SU393809A1 (en) LOGICAL ELEMENT INVERTER REPEATER
KR920007134Y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er
KR100684571B1 (en) Controll circuit for power source
US3328666A (en) Rectifying and wave shaping circuit
KR950012707B1 (en) Syncros pulse generater of alternative souce
JPH06245550A (en) Power suppl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