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857B1 - Coiler - Google Patents

C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857B1
KR910003857B1 KR1019860011436A KR860011436A KR910003857B1 KR 910003857 B1 KR910003857 B1 KR 910003857B1 KR 1019860011436 A KR1019860011436 A KR 1019860011436A KR 860011436 A KR860011436 A KR 860011436A KR 910003857 B1 KR910003857 B1 KR 91000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mandrel
coiler
ba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07142A (en
Inventor
다께히교 오끼
후미오 후꾸시마
가쯔스께 가와나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아까즈 마사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아까즈 마사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6001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857B1/en
Publication of KR88000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코 일 러Coiler

제 1 도 및 제 2 도 본 발명에 의한 코일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작업 개념도.1 and 2 is a working conceptu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띠판 압연설비내에 설치된 종래의 코일러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iler installed in a strip rolling mill.

제 4 도는 멘드릴에 띠판이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is wound on the mandrel.

제 4(a) 도는 제 4 도에서 α=0에 접근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4 (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FIG. 4 approaches α = 0.

제 5a 도는 띠판이 감겨 굵어진 두께와 띠판 및 원형가이드의 간극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Fig. 5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a band wound and the gap between the band and the circular guide.

제 6 도는 띠판 선단이 멘드릴을 한바퀴 돌아서 포개어 감겨질때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ituation when the band end is wrapped around the mandrel.

제 7 도 제 12 도는 종래의 코일러를 각각 예시한 기구 개념도.7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echanism each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iler.

제 9(a) 도는 제 9 도의 A방향에서 본 취합부분을 도시한 정면도.Fig. 9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ssembled portion seen in the direction A of Fig. 9;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띠판 6C : 원형가이드1: Band 6C: Round guide

7 : 유니트로울러 8 : 멘드릴7: unit roller 8: mendrill

9d : 제1프레임 9e : 제2프레임9d: first frame 9e: second frame

10 : 허용최대코일 13c, 13d : 실린더10: Maximum allowable coil 13c, 13d: Cylinder

본 발명은, 띠판 압연설비(帶板在延設備)에 있어서 감겨지는 띠판을 유니트로울러로 멘드릴(mandrel)에 눌러붙임과 동시에 원형가이드로 안내하는 형식의 코일러(coiler)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er of a type in which a band wound on a band rolling facility is pressed onto a mandrel with a unit roller and guided by a circular guide.

코일러는 압연된 띠판을 감아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 또는 출하를 하기위하여 띠판을 감는 설비이다. 이 코일러로서는, 띠판을 멘드릴에 유니트로울러로 눌러붙임과 동시에 원형가이드로 안내하는 형식의 유니트로울러식(unit roller 式)의 것, 멘드릴의 외주에 띠판이 따를 수 있도록 벨트를 배치한 벨트 래퍼식(Belt Wrapper 式)의 것, 벨트 대신에 로울러 체인을 배치한 체인래퍼식(chain wrapper 式)의 것, 혹은 띠판의 선단이 멘드릴에 도달했을 때에 띠판선단의 진행을 일시 정지시켜서 멘드릴 외주에 착설한 그립퍼에 띠판 선단을 파지시키는 형식의 그립퍼식(Gripper 式)의 것 등이 알려져 있다.The coiler is a facility that winds the rolled strip and winds the strip in order to transport or ship the next step. The coiler is a unit roller type in which the band plate is pressed onto the mandrel with the unit roller and guided by a circular guide, and the belt is disposed so that the band plate can follow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drel. Of belt wrappers, of chain wrappers with roller chains instead of belts, or when the tip of the band reaches the mandrel. Gripper-type etc. of the type which hold | grips the front-end | tip of a strip | belt in a gripper built on the outer periphery are known.

또한, 상기 유니트로울러식의 코일러에는, 1기의 코일러에 장비되는 복수개의 유니트로울러가 각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가진 로울러 독립개폐식의 것과, 링크기구 또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복수 개의 유니트로울러를 1기의 작동기를 개재해서 개폐시키는 형식의 로울러 연동 개폐식의 것이 있다.In addition, the unit roller-type coiler includes a roller-independent opening and closing type that ha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rollers equipped in one coiler, and a plurality of unit rollers by a link mechanism or a slide mechanism. There is a roller interlocking opening / closing type of opening and closing via one actuator.

이와같은 종래의 코일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된 띠판(1)은 로울러테이블(2)위로 운반되어서 1쌍의 핀치로울(3a)(3b)에 의해 끌려 들어간다. 그리하여 게이트(4)와 에이프런(5) 및 오우버마이드(6a)와 드로우트(throat)가이드(6b)의 사이로 안내되어, 복수 개의 유니트로울러(7)에 의해서 멘드릴(8)의 외주에 눌려진다. 띠판(1)의 선단이 맨드릴(8)에 도달한 후, 띠판(1)은 그 진입 속도 보다도 빠른 주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멘들릴(8)과 유니트로울러(7)및 멘드릴(8)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원형가이드(6c)에 의해서 멘드릴(8)외주에 따르도록 눌려굽혀지면서, 멘드릴(8)의 외주에 감겨져 포개지게 된다.As shown in FIG. 3 showing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coiler, the rolled strip 1 is carried on the roller table 2 and drawn by a pair of pinch rolls 3a and 3b. Thus, it is guided between the gate 4, the apron 5, the overburden 6a and the draw guide 6b, and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drel 8 by a plurality of unit rollers 7. Lose. After the tip of the band plate 1 reaches the mandrel 8, the band plate 1 is with the mandrel 8, the unit roller 7 and the mandrel 8 rotating at a circumferential speed faster than the entry speed thereof. While being pressed and ben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drel 8 by the circular guide 6c which does not rotate integrally, it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drel 8 and is overlaid.

유니트로울러(7)는, 띠판(1)이 유니트로울러(7)가 설치된곳에 도달하여 띠판(1)을 멘들릴(8)에 눌러붙이는 시점에서부터, 그 외주 속도가 띠판(1)의 통판(通板)속도 와 같아지도록 제어되나, 멘드릴(8)의 외주속도는 띠판(1)이 멘드릴(8)에 일체적으로 감겨질때 까지는 띠판(1)의 진행속도 보다도 빠른속도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멘드릴(8)의 외주에 위치하는 띠판(1)은, 유니트로울러(7)로 멘드릴(8)에 눌려지므로서, 멘드릴(8)의 외주에 수회겹쳐 감겨진후에 멘드릴(8)에 일체적으로 감기게 된다.As for the unit roller 7, when the band plate 1 reaches the place where the unit roller 7 is installed and presses the band plate 1 to the mendrel 8, the outer peripheral speed is the plate of the band plate 1 I) It is controlled to be equal to the speed, 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mandrel 8 is maintained at a speed higher than the traveling speed of the band plate 1 until the band plate 1 is integrally wound on the mendrel 8. Thus, the band plate 1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ndrel 8 is pressed by the unit roller 7 to the mandrel 8, and thus, after being wound several time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ndrel 8, the mandrel ( 8) integrally wound.

띠판(1)의 멘드릴(8)에 감겨진후에는, 유니트로울러(7)는 통상, 띠판(1)을 눌러붙일 필요가 없어지므로, 멘드릴(8)로 권취가능한 허용 최대코일(10)의 바깥쪽까지 유니트로울러(7)가 물러나게 된다.After being wound on the mendrel 8 of the band plate 1, the unit roller 7 is usually not required to press the band plate 1, so that the permissible maximum coil 10 that can be wound by the mendrel 8 The unit roller (7) retreats to the outside.

코일러에 있어서는, 멘드릴(8)에 띠판(1)의 감기는 성능을 향상시켜서 띠판(1)의 표면에 생길 우려가 있는 스쳐서 생긴 상처를 줄이기 위하여, 띠판(1)이 멘드릴(8)에 감겨질때 까지의 감기는 횟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 띠판(1)선단부로 인하여 단차상(段差床)이 생기는 띠판(1)의 감겨서 포개진 부분에 유니트로울러(7)가 충격 적으로 올라타지 않도록 유니트로울러(7)의 응답성을 행상시켜, 상기 단차상이 생기는 띠판(1)의 감겨 포개진 부분에 유니트로울러가 올라타 생기는 타상(打傷)을 줄이는 방법으로 제품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유니트로울러(7)의 위치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멘드릴(8)의 직경방향으로의 유니트로울러(7)의 순간이동속도 즉 응답속도를 빠르게하는 일이 필요 하며, 또, 유니트로울러(7)의 위치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니트로울러(7)와 그 지지기구와의 멘드릴(8)의 직경방향의 관성반력(慣性反力)을 줄이는 일이 필요하다.In the coile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nding the band 1 on the mandrel 8 and to reduce the scratches that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band 1, the band 1 is the mendrel 8.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number of colds before winding up. In addition,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7 is prevented from being shocked on the unit roller 7 on the wound and overlapped portion of the band plate 1, which is caused by the end of the band plate 1. In this wa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coil in such a way as to reduce the scratches generated by the unit rollers on the woun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band plate 1 in which the stepped phases occur. Therefor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er 7,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stantaneous movement speed, that is, the response speed of the unit roller 7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andrel 8, and also the unit roller ( When the position of 7) is not controlle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ertia reaction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andrel 8 between the unit roller 7 and its supporting mechanism.

띠판(1)의 멘드릴(8)에 감기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띠판(1)이 1회째 감겼을 때의 띠판(1)의 멘드릴(8)의 외주와의 사이에 느슨해지는 것을 가능한한 줄일필요가 있다. 또, 유니트로울러(7)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니트로울러(7)와 그 저지프레임과의 중량을 줄이고, 또 유니트로울러(7)의 개폐 이동방향을 멘드릴(8)의 외주면의 법선(法線)방향으로 근사하게 접근시켜서, 띠판(1)이 감겨져 굵어짐에 따른 유니트로울러(7)의 이동량을 적게하는 일등이 필요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nding the mendrel 8 of the band plate 1, it is possible to loosen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endrel 8 of the band plate 1 when the band board 1 is wound once. There is a need to reduce one. In order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7, the weight of the unit roller 7 and its jersey frame is reduc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unit roller 7 is normal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ndrel 8. It is necessary to approximate the direction in the direction,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unit roller 7 as the band plate 1 is wound and becomes thicker.

이하, 종래 코일러 가운데서 로울러 독립개폐식의 것에 대해서 제 7 도 제 12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나, 이들 코일러는 1기의 코일러에 장비되는 복수개의 유니트로울러(7)와 원형가이드(6c)중, 멘드릴(8)에 진입해온 띠판(1)의 선단부를 최초로 누르는 유니트로울러 및 최초로 가이드 하는 원형가드 및 그 것들의 지지프레임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나머지의 상기 각 요소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In the following, a conventional independent type of roller among the coil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FIG. 12. However, these coilers are a plurality of unit rollers 7 and circular guides 6c provided in one coiler. In addition, only the unit rollers for the first pressing of the front end of the band plate 1 entering the mendrel 8 and the circular guard for guiding the first and the supporting frame thereof are shown, and the rest of the above elements are not shown.

제 7 도에 도시한 것은, 유니트로울러(7)의 회전측 베어링부와 원형가이드(6c)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이것들은 코일러하우징(18)상에서 프레임베어링(16)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주프레임(9a)에 고정되고, 코일러하우징(18)에 트러니언(trunnion)(14)으로 지지된 액압실린더(13)에 의해서 개폐작동 하는 형식의 것으로서, 로울러 독립개폐형의 코일러로서는 가장 일반적인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rotating side bearing portion of the unit roller 7 and the circular guide 6c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se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bearing 16 on the coiler housing 18. It is a type fixed to the main frame 9a and opened and closed by a hydraulic cylinder 13 supported by a trunnion 14 to the coiler housing 18, and is the most common as a roller-opening and closing type coiler. will be.

제 8 도에 도시한 것은, 제 7 도에 도시한 코일러의 유니트로울러(7)의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니트로울러(7)를 질량이 작은 로울러 프레임(9b)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지지하는 한편, 주프레임(9a)와 로울러 프레임(9b)과의 사이에 완충용의 스프링(15)을 짜넣은 것이다. 이 코일러에 있어서는, 원형가이드(6c)는 주프레임(9a)에 일체형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주프레임(9a)에 대한 로울러프레임(9b)의 이동 거리를 크게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8, in order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7 of the coiler shown in FIG. 7, the unit roller 7 is integrally supported using a roller frame 9b having a small mass.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spring 15 is incorporated between the main frame 9a and the roller frame 9b. In this coiler, since the circular guide 6c is integrally supported by the main frame 9a, there exists a fault which cannot mov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oller frame 9b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9a.

제 9 도에 도시한것은, 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된 로울러 프레임(9b)에 보조 원형가이드(17)를 고정해서 부착하고, 이 보조 원형가이드의 하류쪽에 또한 주프레임(9a)에 일체형으로 지지된 원형가이드(6c)를 취부한 형식을 도시하며, 로울러(7)에 외력이 가해진경우 스프링(15)이 압축되어 로울러 프레임(9b)에 고정부착된 보조원형가이드(17)는 원형가이드(6c)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대이동에서 보조원형가이드(17)과 원형가이드(16)의 간섭하는 취합부분을 제 9(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절치형상으로 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한것으로 제 8 도에 도시한 것의 불편을 어느정도 완화한 것이다.9, the auxiliary circular guide 17 is fixedly attached to the roller frame 9b supported by the spring 15, and integrally with the main frame 9a downstream of this auxiliary circular guide. It shows a type in which the supported circular guide 6c is mount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ller 7, the auxiliary circular guide 17 fixed to the roller frame 9b by the spring 15 is compressed. Relative to 6c). In this relative movement, as shown in FIG. 9 (a), the interfering collecting portions of the auxiliary circular guide 17 and the circular guide 16 are incited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some extent.

제 10 도에 도시한것은, 유니트로울러(7)의 지지 및 개폐작동을 원형가이드(6c)와 별개로 분리하여 설치하므로서, 유니트로울러(7)의 응답성을 개선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0,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7 is improved by installing and supporting the unit roller 7 separately from the circular guide 6c.

제 11 도에 도시한것은, 제 8 도의 코일러에 있어서의 스프일(15)대신에 또는 스프링과 병설해서 액압실린더(13)를 짜넣은 형식의 것이며, 띠판(1)의 선단부로 인하여 단차상이 생기는 띠판(1)의 감겨 포개진 부분에 유니트로울러(7)가 충격적으로 올라타지 않도록, 유니트로울러(7)의 위치를 액압실리더(13)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11 is of the type which incorporated the hydraulic cylinder 13 instead of the spring 15 in the coiler of FIG. 8, or in parallel with the spring, and has a step difference due to the distal end of the band plate 1. As shown in FIG. The hydraulic cylinder 13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er 7 so that the unit roller 7 does not ride on the wound and overlapped portion of the band plate 1 to be shocked.

제 12 도에 도시한것은, 주프레임(9a)이 2개의 아암(11)으로 구성되는 링크 기구에 의해 개폐작동 하는 형식의 것이다.12, the main frame 9a is of the type which opens and closes by the link mechanism which consists of two arms 11. As shown in FIG.

종래의 각종 코일러에서는, 유니트로울러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일과 멘드릴에 대한 띠판의 감길성을 향상시키는 두 가지점에 있어서, 어느것도 기구 구조상의 제약때문에 대폭적으로 개선하는것이 곤란했다. 다음에 이들 문제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의거 설명한다.In various conventional coilers, it has been difficult to significantly improve both of them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mechanism structure, in terms of improving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and improving the coiling ability of the belt. Next, in order to analyze these problems more concretely, it demonstrates based on FIG. 4 thru | or FIG.

제 4 도에 도시한 코일러에서는, 유니트로울러(7)또는 원형가이드(6c)에 개폐작동시의 회전 중심인 프레임 베어링(16)이 허용 최대코일(10)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제 9 도에 도시한 형식의 코일러와 같이 보조 원형가이드(17)를 부착해서 허용 최대코일(10)의 안쪽에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라도, 원형가이드(6c) 그 자체의 회동중심인 프레임베어링(16)은 허용 최대코일(10)의 바깥쪽에 있다. 이 제 4 도의 코일러에 있어서 유니트로울러(7)의 응답성을 향상시킬려면, 유니트로울러(7)의 이동 방향과 이 유니트로울러(7)의 측심과 멘드릴(8)의 측심을 연결한 선분(線分)이 이루는 각도 α를 영(0)도에 접슨시키지 않으면 안된다.In the coiler shown in FIG. 4, the unit roller 7 or the circular guide 6c is provided with a frame bearing 16, which is a rotation center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n the outside of the allowable maximum coil 10. Although the auxiliary circular guide 17 can be attached and rotated from the inside of the allowable maximum coil 10 like the coiler of the type shown in FIG. 9, the frame bearing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ircular guide 6c itself ( 16 is outside the permissible maximum coil 10. In order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7 in the coiler of FIG. 4,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it roller 7 with the side core of the unit roller 7 and the side core of the mandrel 8 is shown. The angle α formed by the line must be folded to zero degrees.

즉 로울러의 응답성은 로울러(7)의 이동시간에 의해 좌우된다. 이것은 로울러의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응답성이 향상되게되고, 제 4 도에 도시한 α를 영으로 하고, 로울러가 멘드릴(8)의 중신과 로울러(7)의 중심을 잇는 선상을 이동하는 경우가 응답성이 좋게된다. 특히 로울러(7)의 위치를 제어하는 코일러에 있어서는 제 4 도에 나타낸 α를 영에 가깝게 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각도α를 영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원형가이드(6c)와 로울러(7)의 회동지점인 프레임 베어링(16)을 허용 최대코일(10)의 외측에서, 즉 제 4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면중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상태를 제 4(a) 도에 도시한다. 제 4(a) 도에 있어서 로울러(7)및 원형가이드(6c)의 위치는 띠판(1)의 권취초기 상태이고 로울러(77)및 원형가이드(6cc)의 위치는 띠판(1)의 전취도중의 단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로울러(7)및 원형가이드가 동일로울러 취부되어 프레임베어링(16)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띠판(1)의 감긴두께에 의해 로울러(7)가 로울러(77)의 위치까지 이동한 각도(β1)과 원형가이드(6c)가 원형가이드(6cc)까지 이동한 각도(β2)는 같게된다. 이때 원형가이드(6c)의 선단과 띠판(1)외주면 사이의 틈새ε1과, 띠판(1)이 감겨질때의 원형가이드(6cc)선단과 띠판(1)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ε2에는 차이가 생기나 제 4a 도와 같이 프레임베어링(16)을 제 4 도의 도면중 좌측으로 이동시킨경우의 틈새는ε2〈ε1으로된다.In other words, the responsiveness of the roller depends on the movement time of the roller 7. This means that the smaller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ller is, the more responsive it is. When α is shown in FIG. 4, the roller moves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mendrel 8 and the center of the roller 7. Is responsive. Especially in the coiler which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roller 7, it is preferable to make alpha shown in FIG. 4 near zero, and to improve responsiveness. Here, in order to bring the angle α close to zero, the frame bearing 16, which is the pivot point of the circular guide 6c and the roller 7, is located outside the allowable maximum coil 10, i.e., in the state shown in FIG. To the left. This state is shown in FIG. 4 (a). In Fig. 4 (a), the position of the roller 7 and the circular guide 6c is the initial state of the winding of the band plate 1, and the position of the roller 77 and the circular guide 6cc is taken during the prerolling of the band plate 1. It shows an enlarged step. That is, since the roller 7 and the circular guide are mounted in the same roller and rotate around the frame bearing 16, the angle at which the roller 7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77 by the wound thickness of the band plate 1 is β1. ) And the circular guide (6c) to the circular guide (6cc) the angle (β2) is the same. At this time, the gap ε1 between the tip of the circular guide 6c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late 1 and the gap ε2 between the end of the circular guide 6cc when the band 1 is woun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late 1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 4A, the gap in the case where the frame bearing 16 is mov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of Fig. 4 becomes ε2 <

이 상태를 제 5 도에 도시하며 a는 프레임베어링(16)이 제 4 도에 가까은 상태이고 b,c는 점차 프레임베어링(16)을 제 4 도의 도면중 좌측으로 이동시킨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띠판(1)의 감겨 굵어진 두께 h와, 띠판(1)의 외주면과 원형가이드(6c)의 선단부와의 간격(ε)과의 관계는 a,b,c순으로 작아져서, c의 상태는 원형 가이드(6c)선단이 띠판(1)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간 상태이고, 이 경우에는 기구로서 성립되지 않게된다. 제 8 도 및 제 9 도 및 제 11 도에 도시한 형식의 코일러와 같이, 원형가이드(6c)와 일체가된 주프레임(9a)에 유니트로울러(7)를 지지하는 로울러프레임(9b)을 착설한 형식의 것에 있어서도, 주프레임(9a)에 대한 멘드릴(8)직경 방행으로의 유니트로울러(7)의 이동 기능 거리가 작기때문에, h와 ε의 관계는 마찬가지이며, α를 작게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This state is shown in FIG. 5, where a is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bearing 16 is close to FIG. 4, and b and c are the states in which the frame bearing 16 is gradually moved to the left in the figure of FIG.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h of the strip 1 and the thickness of the strip 1 and the gap ε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ip 1 and the tip of the circular guide 6c is reduced in the order of a, b, c, The state of c is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circular guide 6c penetrates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 plate 1, and in this case, it does not hold as a mechanism. Like the coiler of the type shown in FIGS. 8, 9 and 11, the roller frame 9b for supporting the unit roller 7 in the main frame 9a integrated with the circular guide 6c is mounted. Even in the form of a built-in type, since the moving function distance of the unit roller 7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endrel 8 relative to the main frame 9a is small, the relationship between h and ε is the same, and α can be made small. There was no flaw.

제 6 도에 있어서, 띠판(1)의 선단부가 멘드릴(8)을 1회전해서 포개어 감겨질때의 띠판(1)의 선단부와 멘드릴(8)의 외주면과의 간격 δ과, 멘드릴(8)쪽의 회전중심에 대한 이 멘드릴(8)쪽의 드로우트 가이드(6b)의 단부와 제1번째의 유니트로울러(7)의 회전중심이 이루는 각도 β와의 관계는, 각도 β가 작으면 작을수록, 띠판(1)의 느슨해짐의 지표치(指標値) δ가 작아진다.In FIG. 6, the space | interval (delta) betwee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board | plate board 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ndrel 8, and the mendrel 8 whe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board | plate 1 is rolled up by winding the mendrel 8 one tur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d of the draw guide 6b on the side of the mandrel 8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unit roller 7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ide of the mandrel 8 is small when the angle β is small. The lower the index value δ of loosening of the band plate 1 becomes.

또, δ값이 작아질수록 멘드릴(8)에 대한 띠판(1)의 1회재 감겼을때의 느슨해짐은 작아지고, 멘드릴(8)에 대한 띠판(1)의 감기는 성능은 향상된다.In addition, the smaller the value of δ, the smaller the loosening of the band 1 on the mendrel 8 once, and the better the winding performance of the band 1 on the mendrel 8. .

그러나, 종래형식의 코일러에 있어서 각도 β를 작게하기 위해서 유니트로울러(7)의 위치를 드로우트 가이드(6b)쪽으로 접근시킬려고 하면, 프레임베어링(16)을 제 4 도중, 좌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각도 α가 점점 증가하게 되어서 유니트로울러(7)의 응답성이 나빠져서, 결과적으로 각도 β를 작게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iler, if the position of the unit roller 7 is to approach the draw guide 6b in order to reduce the angle β, the frame bearing 16 cannot move to the left during the fourth time. Therefore, the angle α gradually increases, and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7 worsens, and as a result, the angle β cannot be reduc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코일러에 있어서의 상술한 여러가지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유니트로울러의 응답성과 멘드릴에 대한 띠판의 감겨지는 성능을 대폭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코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iler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oiler as described above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unit roller and the winding performance of the band plate to the mandrel. The purpose.

본 발명의 코일러는, 띠판을 권취하는 멘드릴의 외주에 선단부(先端部)가 대향하는 동시에 기단부(基端部)가 이 멘드릴의 축심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 축둘레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1의 구동장치와, 상기 제1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상기 멘드릴의 축심과 평행한 주위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 제2프레임과, 이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착설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회동치시는 제2의 구동장치와, 상기 제2프레임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서 상기 멘드릴에 상기 띠판이 감겨지는 것을 보조하는 누름로울러와, 상기 제2프레임에 착설되어서 상기 멘드릴과 대향하는 원형가이드를 구비한 프레임유니트를 복수개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rotate the shaft circumference where the distal end face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ndrel for winding the band plate and the proximal end is parallel to the shaft center of the mandrel. A first frame supported to be secured, a first driving device to rotate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supported to be freely rotatable around the axis parallel to the shaft center of the mandrel at the tip of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drive device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and the first frame to rotate the second frame, and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so as to be freely rotated so that the band plate is wound around the mendrel. And a plurality of frame units having auxiliary push rollers and circular guides mounted on the second frame and facing the mendrel.

누름로울러를 회전 자재하게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제1프레임의 선단부에 창작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에 별개의 회동용 실린더를 구비하므로서, 제 4 도에 도시한 각도α 및 제 6 도에 도시한 각도β를 함께 작게 할 수 있다.A second fram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ush roller is cre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frame, and the two frames are provided with separate rotating cylinders, so that the angles α and 6 shown in FIG. The angle β can be reduced together.

본 발명에 의한 코일러의 일실시예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니트로울러(누름노울러)(7)와 원형가이드(6c)를 일체로 지지하는 콤팩트한 제2프레임(9e)의 회전 중심인 프레임베어링(16) 및 제2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실린더(13c)가 모두 함께 제1프레임(9d)에 조립되어 있다. 제1프레임(9d)은 트러니언(14)에 지지된 실린더(13d)에 의해, 띠판(1)의 허용 최대코일(10)의 외부에 착설된 프레임베어링(160)주위를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9d)과 제2프레임(9e)은,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제1프레임(9d)이 패쇄작동 했을 때에는 제2프레임(9e)의 회전중심인 프레임베어링(16)이 허용 최대 코일(1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c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roller (pushing roller) 7 and the circular guide 6c are integrally supported. The frame bearing 16,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mpact second frame 9e, and the cylinder 13c for rotating the second frame are assembled together in the first frame 9d. The first frame 9d is rotated around the frame bearing 16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allowable maximum coil 10 of the belt plate 1 by the cylinder 13d supported by the trunnion 14. In this manner, the first frame 9d and the second frame 9e can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hen the first frame 9d is closed, the frame bearing 16,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frame 9e, is positioned inside the allowable maximum coil 10. As shown in FIG.

유니트로울러(7)에 의해 띠판(1)을 멘드릴(8)에 눌러서 감겨지게 하는데 있어서, 제 4 도에 도시한 띠판(1)의 권취초기의 상태에 있어서, 유니트로울러(7)및 원형가이드(6c)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9e)의 프레임베어링(16)을 허용 최대코일(10)의 내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멘드릴(8)에 접근시켜, 제 4 도에 도시한 각도 α 및 제 6 도에 도시한 각도β를 작게하면, 제4-6에 의거하여 설명한 종래형식의 코일러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모두 해결되게 된다.The unit roller 7 and the circular guide in the state of winding initial stage of the band plate 1 shown in FIG. 4 in the unit roller 7 are pressed and wound by the mendrel 8. Positioning the frame bearing 16 of the second frame 9e supporting 6c inside the allowable maximum coil 10 and approaching the mendrel 8, the angle α and the angle shown in FIG. If the angle β shown in Fig. 6 is made small, all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oiler described on the basis of 4-6 will be solved.

이하 본원발명의 발명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코일러에 의하며, 유니트로울러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누름노울러(유니트로울러)를 지지하는 제 2 프레임과 이 제 2 프레임을 회동 시키는 제 1 프레임으로 분할화하므로서, 종래형식의 코일러의 기구에 있어서의 배치상의 제약이 해소되고, 멘드릴에 띠판이 감겨지는 성능 및 누름로울러의 응답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roller is operated and at the same time divided into a second frame for supporting the press roller (unit roller) and a first frame for rotating the second frame. Arrangement restrictions in the mechanism are eliminat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nd board being wound around the mandrel and the responsiveness of the push roller are greatly improved.

Claims (1)

띠판을 권취하는 멘드릴의 외주에 선단부가 대향하는 동시에 기단부가 이 멘드릴의 축심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 축둘레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 제 1 프레임과, 이 제 1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 1 의 구동장치와, 상기 제 1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상기 멘드릴의 축심과 평행한측 주위를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 제 2 프레임과, 이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착설되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 2 의 구동장치와, 상기 제 2 프레임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서 상기 멘드릴에 상기 띠판이 감겨지는 것을 보조하는 누름로울러와 상기 제 2 프레임에 착설되어서 상기 멘드릴과 대향하는 원형가이드를 구비한 프레임유니트를 복수개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러.A first frame having a distal end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drel for winding the band plate and supported so that the proximal end can freely rotate an axis circumference provide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center of the mandrel;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supported at a leading end of the first frame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round a side parallel to the axis center of the mandrel,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first frame mounted on the first frame A second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second frame, a push roller which is supported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second frame to assist the winding of the band plate on the mandrel, and is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so that A coiler, wherein a plurality of frame units having opposing circular guides are installed.
KR1019860011436A 1986-12-29 1986-12-29 Coiler KR910003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436A KR910003857B1 (en) 1986-12-29 1986-12-29 C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436A KR910003857B1 (en) 1986-12-29 1986-12-29 Co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142A KR880007142A (en) 1988-08-26
KR910003857B1 true KR910003857B1 (en) 1991-06-15

Family

ID=1925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436A KR910003857B1 (en) 1986-12-29 1986-12-29 C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8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063B1 (en) * 2006-10-13 2008-07-01 주식회사 포스코 One body throat gu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063B1 (en) * 2006-10-13 2008-07-01 주식회사 포스코 One body throat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142A (en)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587A (en) Coiler
US5577685A (en)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incoming paper web
JP3621709B2 (en) Band take-up device
US47619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material on a drum
WO1999024187A1 (en) Hot rolled material take-up equipment and take-up method
KR910003857B1 (en) Coiler
CN1104977C (en) Rotor winder
US5479807A (en) Coiler furnace for a hot strip
EP0294480B2 (en) Coiler
JPH0154125B2 (en)
US4781010A (en) Wrapping-paper feeding apparatus for use in coin wrapper
US5219125A (en) Yarn transfer arrangement
JP3148446B2 (en) Threading guide device in coil winding and rewinding machine
KR20000052447A (en) Wrapping apparatus
US4062504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accumulating a travelling metal strip or wire-like material
RU2480304C1 (en) Metal strip reeler
US4054046A (en) Strip deflector unit
JPS624326Y2 (en)
JPH0133219Y2 (en)
JP2807380B2 (en) Strip winding device
JP2904675B2 (en) Steel plate winding guide device
KR200205998Y1 (en) Deflection equipment of strip
JPS6219367Y2 (en)
JP3325097B2 (en) Winding equipment
SU645724A1 (en) Belt-type hold-down member for ree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