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721Y1 - Push bottom switch - Google Patents

Push bottom switch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721Y1
KR910003721Y1 KR2019880011568U KR880011568U KR910003721Y1 KR 910003721 Y1 KR910003721 Y1 KR 910003721Y1 KR 2019880011568 U KR2019880011568 U KR 2019880011568U KR 880011568 U KR880011568 U KR 880011568U KR 910003721 Y1 KR910003721 Y1 KR 910003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ontact
lower case
case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5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11704U (en
Inventor
교오이치 카네코
Original Assignee
알프스뎅키가부시키가이샤
카다오카 마사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뎅키가부시키가이샤, 카다오카 마사다카 filed Critical 알프스뎅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0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2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누름단추 스위치Push button switch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누름단추 위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button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하 케이스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case.

제 3 도는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제 4 도는 스템과 양케이스와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stem and both cases.

제 5 도는 종래의 누름단추 스위치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ush button switch.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5 : 하케이스 26 : 상케이스25: lower case 26: upper case

27 : 스템 34 : 안내레일27: stem 34: guide rail

36 : 용제방지용돌기 37 : 저부36: solvent preventing protrusion 37: bottom

본 고안은 예컨대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등의 각종 입력장치에 쓰이는 누름단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switch used in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computer or a word processor.

제 5 도에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이런 종류의 누름단추 스위치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다. 제 5 도는 종래의 누름단추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누름단추는 주로 하 케이스(1), 상 케이스(2), 고정접점(3), 가동접점(4), 스템(5) 및 반탄력편(6)으로 구성되어 있다.5 shows an example of this type of push button switch which is well known in the ar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ush button switch. As shown in this figure, this push button is mainly composed of the lower case 1, the upper case 2, the fixed contact 3, the movable contact 4, the stem 5 and the anti-elastic piece 6 have.

이러한 하 케이스(1), 상 케이스(2) 및 스템(5)은 예컨대 폴리아세탈 등의 절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다.The lower case 1, the upper case 2 and the stem 5 ar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insulation such as polyacetal.

이러한 부재중, 하 케이스(1)는 상면이 개방된 광주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의 중앙부에 원통형의 안내돌기(7)가 세워 설치되며, 그 안내돌기(7)에 인접하여 고정접접설정부(8)가 또, 이 고정접점설정부(8)와 한쪽의 측벽(9)의 사이에 가동접점설정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 고정접점설정부(8)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고정접점단자를 외부에 삽통하기 위한 투공(11)이 개설되어, 또, 가동접점설정부(1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가동접점단자를 외부에 삽통하기 위한 통공(12) 개설되어 있다.Among these members, the lower case 1 is formed in a basket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a cylindrical guide protrusion 7 is installed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is fixed to the fixed contact setting portion adjacent to the guide protrusion 7. 8) Moreover, the movable contact setting part 10 is formed between this fixed contact setting part 8 and one side wall 9. As shown in FIG. The bottom of the electric fixed contact setting section 8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1 for inserting the fixed contact terminal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and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bottom of the movable contact setting section 10 A through hole 12 for inserting is provided.

한편, 상 케이스(2)는 하면이 개방된 광주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중앙부에 후술하는 스템(5)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13)이 개설되어 있고 또 측면에서 하 케이스(1)의 계합단부와 계합 걸림편이 수식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런것들을 계합하는 것에 의해 상하 케이스(1, 2)는 일체화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ase 2 is formed in a basket shape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nd an insertion hole 13 for inserting the stem 5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case 1 is provided on the side. The engagement end and the engagement engaging piece are modifi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ases 1 and 2 are integrated by engaging these.

스템(5)은, 상 케이스(2)에 개설된 삽통공(13)보다도 폭이 넓은 기부(14)의 상면에, 삽통공(13)에 삽통가능한 돌출부(15)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또 기부(14)의 하면에 하 케이스(1)에 돌출 설치된 원통형의 안내돌기(7)내에 삽통되는 축부(1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As for the stem 5, the protrusion 15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4 which is wider than the insertion hole 13 provided in the upper case 2, and A shaft portion 16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uide protrusion 7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1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

이 스템(5)은 축부(16)를 하 케이스(1)에 돌출설치된 안내돌기(7)내에 삽통하며, 또, 돌출부(15)를 상 케이스(2)에 개설된 삽통공(13)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것에 의해, 하 케이스(1)와 상 케이스(2)로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된다.The stem 5 inserts the shaft portion 16 into the guide protrusion 7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1, and further protrudes the protrusion 15 from the insertion hole 13 formed in the upper case 2. It protrudes into and is built in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1 and the upper case 2.

그리고, 복귀스프링(6)은 하 케이스(1)에 돌출설치된 안내돌기(7)의 외주부에 취부되며, 전기 스템(5)을 상기 상향으로 부세한다.The return spring 6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7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1, and biases the electric stem 5 upward.

고정접점(3)은 약간 강성을 가지는 양도전성의 금속판으로 되어 접점부(17)와 그 접점부(17)의 일측변에서 하향으로 수식하게 설치된 고정접점단자(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contact 3 is a slightly conductive,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plate, and the contact portion 17 and the fixed contact terminal 18 provided to be modifi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7 are integrally formed.

이 고정접점(3)은 고정접점단자(18)를 투공(1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며, 전기 접점부(17)을 하 케이스(1)에 형성된 고정 접점설정부(8)에 끼워 붙이는 것에 의해 하 케이스(1)에 고정된다.The fixed contact 3 projects the fixed contact terminal 18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1, and fits the electric contact portion 17 to the fixed contact setting portion 8 formed on the lower case 1. It is fixed to the lower case 1 by this.

가동접점(4)은 탄성이 뛰어나 금속박판으로 되어 있고, 폭넓게 형성된 기부(20)의 상방을 하향으로 되접어 꺽어서, 접점부(21)가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contact 4 is excellent in elasticity and is made of a metal thin plate, and the contact portion 21 is formed by f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ide base 20 downwardly downward.

또, 이 접점부(21)의 양측에 전기 스템(5)의 경사부(22)에 이해 늘려지는 스템당접부(2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기부(20)의 일측변에는 가동접점단자(24)가 하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단자(24)를 투공(12)을 통하여 외부에 돌출 시키며, 기부(20)을 하 케이스(1)에 형성된 가동접점설정부(10)에 끼워 붙이는 것에 의해 하 케이스(1)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4)은, 자신의 탄력성에 의해 언제나 고정접점(3)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Moreover, the stem contact part 23 extended in the inclined part 22 of the electric stem 5 is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is contact part 21 protrudingly. In addition,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24 is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on one side of the base 20.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24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ion 12, and is fixed to the lower case 1 by fitting the base 20 to the movable contact setting portion 10 formed on the lower case 1. do. And this movable contact 4 is urged in the direction which always contacts with the stationary contact 3 by its elasticity.

전기한 종래의 누름단추 스위치는 돌출부(15)가 눌러지는 이전의 대기상태에서 스템(5)이 복귀스프링(6)에 의해 최상부까지 상승되어 있고, 스템(5)에 형성된 경사부(22)가 돌출한 부분에 가동접점(4)의 스템당접부(23)가 맞닿아지므로, 가동접점(4)의 접점부(21)가 고정접점(3)의 접점부(17)에서 격리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switch described above, the stem 5 is raised to the top by the return spring 6 in the standby state before the protrusion 15 is pressed, and the inclined portion 22 formed on the stem 5 Since the stem contact portion 23 of the movable contact 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the contact portion 21 of the movable contact 4 is isol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17 of the fixed contact 3.

돌출부(15)를 누르며, 복귀스프링(6)의 탄성력에 반항하여 스템(5)을 하강하면, 가동접점(4)의 스템당접부(23)가 스템(5)에 형성된 경사부(22)에 따라 스템(5)측(고정접점3측)에 이동하여, 스템(5)이 최하부 근방까지 하강한 단계에서 가동접점(4)의 접점부(21)와 고정접점(3)의 접점부(17)의 접속이 행해진다.When pressing the protrusion 15 and lowering the stem 5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6, the stem contact portion 23 of the movable contact 4 is placed on the inclined portion 22 formed on the stem 5. Therefore, the contact portion 21 of the movable contact 4 and the contact portion 17 of the fixed contact 3 are moved to the stem 5 side (the fixed contact 3 side) and the stem 5 descends to the lowermost vicinity. ) Is connected.

스템(5)에 가해진 압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스템(5)이 상승하며,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3)의 접속이 재차 해제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stem 5 is released, the stem 5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6,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4 and the fixed contact 3 is released again.

그런데, 이런 종류의 누름단추는 하 케이스(1)하면 전체가 프린트 기판에 얹어놓아져 사용되지만, 하케이스(1)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템(5)을 눌러서 스템(5)하단면이 하 케이스(5) 내저부에 맞닿을때에 큰 충격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this type of push button is used when the lower case (1) is placed on the entire printed circuit board, but because the lower case (1) is formed flat, the lower surface of the stem (5) by pressing the stem (5) There was a problem that a large impact sound was generated when the lower case 5 abuts the inner bottom.

또 하 케이스(1)에서 돌출된 고정접점단자(18) 및 가동접점단자(24)를 프린트기판에 납땜하지만 이 납땜할때에는 고정접점단자(18), 가동접점단자(24)등에 땜납의 땜질을 잘하기 위한 용제가 도포된다. 그런데, 이 용제는 금속표면에 대한 습성이 양호하므로 고정접점(3) 혹은 가동접점(4)의 표면을 따라서 접점부(17, 21)에 부착하기 쉽다. 그리고, 용제는 절연성의 물질이므로, 접점부(17, 21)에 부착하면 접점불량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fixed contact terminal 18 and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24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1 are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However, soldering of the solder to the fixed contact terminal 18,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24, etc. is performed during this soldering. Solvents are applied for good. However, since the solvent has good wettability to the metal surface, it is easy to adhere to the contact portions 17 and 21 along the surface of the fixed contact point 3 or the movable contact point 4. In addition, since the solvent is an insulat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contact failure occurs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portions 17 and 21.

본 고안은 전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한 것이며, 그 목적은 스템의 충격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접점부에의 용제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 박형으로 스템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누름단추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of which is to prevent the impact sound of the stem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intrusion of the solvent into the contact portion, and to prevent the rattling of the stem in a thin To provide a push button switch.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마련된 스템섭동부(미끄러져 움직이는 부분)와, 이 스템섭동부에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스템이 전기 케이스의 하면에 마련된 용제방지용 돌기를 구비하며, 전시스템이 맞닿는 전기 스템섭동부 저부를 전기 케이스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전기 돌기 하면에서 돌출량을 적게한 구성으로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vent preventing protrus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n electric case with a case and a stem perturbation part (sliding part) provided in the case and a stem installed to freely slide the stem perturbation part. The lower part of the electrical stem perturbation part which the whole system abuts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al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sion amount is reduc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al proj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하면에 용제방지용 돌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를 길게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 예컨대 오오토디프한때에 단자에서 용제가 침입하지 아니하며, 접점부에 악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다. 또, 스템을 눌러서 스템 하단부가 케이스 내저면에 맞닿았을때에 하 케이스는 프린트 기판에 면접촉이 아니라 돌기에 의해 점접촉되어 있으므로, 스템 누름에 의한 충격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스템섭동부는 하방에 달려져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섭동스트로우크를 유지하면서 비교적 박형으로 할 수 있고, 또 스템이 스템 섭동부에 상시 미끄러져 접하고 있는 부분이 길기 때문에 스템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distanc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can be lengthened by providing a solvent preventing protru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olvent does not invade the terminal at the time of soldering, for example, autodeep, and adversely affects the contact portion. There is no work. In addition, when the stem lower end contacts the inner bottom face of the case by pressing the stem, the lower case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protrusions instead of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printed board, so that the impact sound due to the stem press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stem perturbation part is mounted downward, the stem perturbation can be relatively thin while maintaining the perturbation strok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stem is stably supported because of the long sliding part of the stem perturbation part. You can prevent the flutter.

이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누름단추 스위치의 요부단면도, 제 2 도는 하 케이스의 저면도, 제 3 도는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스템과 양케이스의 섭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이러한도면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름단추스위치는 주로 절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된 하 케이스(25)와 상 케이스(26)와, 스템(27)과, 양도전성의 금속재료로된 고정접점(28) 및 가동접점(29)과, 전기 스템(27)을 항상 상향으로 부세하는 복귀스프링(20)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cas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4 is a main sectional view showing the perturbation state of the stem and both cases. As shown in this figure, the push 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contact made of a lower case 25, an upper case 26, a stem 27, and a conductive metal material mainly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insulation. (28) and the movable contact (29) and the return spring (20) which always biases the electric stem (27) upward.

하 케이스(25)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광주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측벽(31)의 내면에 따라 보지체(32)가 형성되며, 또, 이 한쪽의 측벽(31)의 외면에 후술하는 상 케이스(26)를 자유로이 붙이고 떼고 할 수 있도록 취부하기 위한 계합단부(33)가 형성되며, 또, 전기 한쪽의 측벽(31)과 인접하는 측벽의 대향부분에 후술하는 스템(27)을 안내하기 위한 스템섭동부인 안내레일(34)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ower case 25 is formed in a basket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the holding body 32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wall 31, and the one side wall ( An engaging end portion 3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upper case 26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re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31),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all adjacent to the one side wall 31 will be described later. Guide rails 34, which are stem perturbations for guiding the stems 27, are formed.

전기 보지체(32)의 상면에는 측벽(31)의 내면에 따라 얕은 요홈상의 가동접점설정부(34)가 요설되며, 또, 그 내측에 마찬가지로 얕은 요홈상의 고정접점설정부(35)가 요설되어 있다. 전기 가동접점설정부(34)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가동접점(29)의 가동접점단자를 외부에 삽통하기 위한 투공이 개설되며 전기 고정접점설정부(35)에는 후술하는 고정접점(28)의 고정접점단자를 외부에 삽통하기 위한 투공이 개설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retainer 32, a movable contact setting portion 34 on a shallow groove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31, and a fixed contact setting portion 35 on a shallow groove is similarly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have. A hole for opening the movable contact terminal of the movable contact 29 to be described later is opened at the bottom of the electric movable contact setting unit 34, and the fixed contact 28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electric fixed contact setting unit 35. A hole for opening the contact terminal to the outside is opened.

또, 하 케이스(25)의 하면에는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용제방지용의 돌기(3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안내레일(34)에 안내되는 스템(27)이 맞닿는 하 케이스(24)의 저부(37) 하 케이스(25)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전기 돌기(36)로부터 돌출량을 적게하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5 is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36 for solvent prevention. In addition, the stem 27 guided by the guide rail 34 project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5 of the bottom part 37 of the lower case 24,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electric projection 36. .

상 케이스(26)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하케이스(25)의 상면에 피착가능토록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후술하는 스템(27)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37)이 개설되어, 이 삽통공(37)의 대향변에는 탄성편(3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삽통공(37)근방의 상 케이스(26)하면에는 위치 결정돌기(39)가 한쌍 수직하게 설치되어, 전기 안내레일(34)의 상부내면에 맞닿아져 있다. 이상 케이스(26)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전기 하케이스(25)의 상단연 내면에 감합하는 돌조부(40) 및 이 돌조부(40)에서 내측에 돌편(4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case 26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al lower case 25 as shown in FIG. 3, and an insertion hole 37 for inserting the stem 27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enter is provided. An elastic piece 38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hole 37. In addition, a pair of positioning protrusions 39 are vertically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6 near the insertion hole 37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electric guide rail 34. The lower edge of the case 26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40 fi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dge of the lower case 25 and a protrusion 41 protruding from the protrusion 40.

또, 상케이스(26)의 하면에는 고정접점(28)의 접정부 단부에 삽입되는 돌기(42)가 수식하게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6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42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of the fixed contact 28 to be modified.

또, 상케이스(26)의 측변의 소정부분에는 전기 하 케이스(26)에 형성된 계합단부(33)와 걸어맞추는 계지편(43)이 수직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engaging piece 43 which engages with the engagement end part 33 formed in the electrical lower case 26 is perpendicular to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side of the upper case 26. As shown in FIG.

전기 하 케이스(25)와 상 케이스(26)와는 하 케이스(25)의 계합단부(33)에 상 케이스(26)의 계지편(43)을 걸리도록하여 일체화 된다.The lower case 25 and the upper case 26 are integrated by engaging the engaging piece 43 of the upper case 26 with the engaging end 33 of the lower case 25.

스템(27)은 제 3 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 케이스(26)의 삽통공(37)에서 폭이 넓은 기부(44)의 상면에 삽통공(37)에 삽통가능한 돌출부(45)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또, 기부(44)를 구성하는 4개의 측면중 전기 하케이스(25)의 안내레일(34)에 대향하는 면에는 이 안내레일(34)에 끼워 장치된 2장의 돌출판으로된 섭동부(46)가 돌출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중앙상단에는 탄성편(4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섭동부(46)가 설치된 기부(44)의 측면상부는 2개의 돌조에 의해 요홈(48)이 설치되어 상 케이스(26)의 탄성편(38)이 위치되어 있다. 한편, 기부(44)의 하면에는 하 케이스(25)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복귀스프링(30)의 상단을 지지하는 요혈(49)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tem 27 has a protrusion 45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hole 37 of the upper case 26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hole 37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de base 44. It is provided an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guide rail 34 of the electric lower case 25 of the four sides constituting the base 44, the sub-plate consisting of two protruding plates fitted to the guide rail 34 At the same time as the eastern part 46 is protruded, the elastic piece 47 is installed in the center upper part. In addi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side surface 44 of which the perturbation part 46 was provided, the groove 48 is provided by two protrusions, and the elastic piece 38 of the upper case 26 is 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44 is provided with a bleeding blood 49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return spring 30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25.

또, 기부(44)의 전기 고정접점설정부(35)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가동접점(29)을 동작하기 위한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inclination part 50 for operating the movable contact 29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which opposes the electric fixed contact setting part 35 of the base 44. As shown in FIG.

이 스템(27)은 경사부(50)를 전기 보지체(32)측을 향해 섭동부(46)를 하 케이스(25)의 안내레일(34)에 걸어 맞추고, 또, 돌출부(45)를 상 케이스(26)의 삽통공(37)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것에 의해 하 케이스(25)와 상 케이스(26)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내장된다.The stem 27 aligns the inclined portion 50 with the perturbation portion 46 toward the guide rail 34 of the lower case 25 toward the electric retaining body 32 side, and the protrusions 45 are raised upward.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sertion hole 37 of the case 26, and is built in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25 and the upper case 26. As shown in FIG.

복귀스프링(30)은 하 케이스(25)의 저면과 스켐(27)의 사이에 개설되어, 스템(27)을 항상 상향으로 부세한다.The return spring 30 is opened between the bottom face of the lower case 25 and the scem 27, and always biases the stem 27 upward.

고정접점(28)은 예컨대 황동등의 양도전성을 금속판으로 되며, 수평상의 기부(51)와 기부(51)의 대략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접점부(52)와, 접점부(52)의 양측에 둘러싸도록 구부러져 형성된 방진벽(53)과 전기기부(51)의 일측변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고정접점단자(54)와 타측변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보강족(5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 접점부(52)의 거의 중앙부에 클라드(52a)가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contact 28 is, for example, a conductive plate made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brass, and the like, and the contact portion 52 and the contact portion 52 which are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from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ase 51 and the base 51. The anti-vibration wall 53 formed to be bent to surround both sides and the fixed contact terminal 54 vertically install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electric appliance 51 and the reinforcement group 54a vertically installed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are integrally formed. The clad 52a is formed almost at the center of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 52.

또 접점부(52)에는 굴곡되어, 상 케이스(26)의 돌기(42)가 삽입되는 단부(55)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contact part 52 is bent and the edge part 55 in which the protrusion 42 of the upper case 26 is inserted is formed.

이 고정접점(28)은 제 1 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고정 접점단자(54)를 하 케이스(25)의 투공에 삽통하여, 전기 접점부(52)를 하 케이스(25)의 고정접점설정부(35)에 끼워붙이는 것에 의해 하 케이스(25)에 취부된다.This fixed contact 28 inserts the electrical fixed contact terminal 54 into the through-hole of the lower case 25, as shown in FIG. 1, and sets the electrical contact part 52 to the fixed contact of the lower case 25. It is attached to the lower case 25 by fitting to the part 35.

가동접점(29)은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이나 인청등 등의 탄성이 뛰어난 양도전성의 금속박판으로 되어, 폭이 가는 수평상으로 형성된 기부(56)와 이 기부(56)의 일단에 하향으로 수직설치된 가동 접접단자(57)와 타단에서 하향으로 수직설치된 보강족(58)과 전기기부(56)의 거의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수직설치된 연결부(59)와, 이 연결부(59)의 선단부를 상향으로 되접어서된 접점부(60)와, 이 접점부(60)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스템당접부(61)와 기부(56)의 중앙상연부에 하향으로 되접어서 된 취부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contact 29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sheet having excellent elasticity such as stainless steel, phosphorous, or the like. The movable contact 29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56 and the one end of the base 56 having a horizontal width. The contact terminal 57 and the reinforcement group 58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ther end and the connecting portion 59 vertically install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56,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9 are folded upward. The contact portion 60, the stem contact portion 61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60, and the attaching portion 62 which is folded downward from the center upper edge of the base 56 are integrally formed. .

이 가동접점(29)은 제 2 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가동 접점단자(57)를 전기 하 케이스(25)의 투공에 끼워넣어서 그 선단부를 하 케이스(25)밖으로 돌출시켜, 전기 기부(56)를 가동 접점설정부(34)에 끼워붙이는 것에 의해 하 케이스(25)에 취부된다.As shown in FIG. 2, this movable contact 29 inserts the electrically movable contact terminal 57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case 25, and protrudes the tip part out of the lower case 25, and the electric base ( 56 is attached to the lower case 25 by fitting the movable contact setting section 34.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이 누름단추 스위치는 돌출부(45)가 눌리기 이전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스템(27)이 복귀스프링(30)에 의해 최상부까지 상승되어 있고, 스템(27)이 가동접점(29)의 스템당접부(61)와 압접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29)의 접점부(60)가 자기의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28)의 접점부(52)에서 격리되어 있다. 돌출부(45)를 눌려서 복귀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스템(27)을 하강시키면 스템(27)의 경사부(50)에 따라서 가동접점(29)의 스템당접부(61) 및 접점부(60)가 고정접점(28)측으로 이동하여 스템(27)이 최상부 근방까지 하강한 단계에서 가동접점(29)의 접점부(60)와 고정접점(28)의 접점부(52)의 접속이 행해진다.This push button switch is the stem 27 is raised to the top by the return spring 30 in the standby state before the projection 45 is pressed, the stem 27 is the stem contact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29 Since it is press-contacted with 61, the contact part 60 of the movable contact 29 is isolate | separated from the contact part 52 of the stationary contact 28 by magnetic elasticity. When pressing the projection 45 and lowering the stem 27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0, the stem contact portion 61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29 along the inclined portion 50 of the stem 27 The contact portion 60 of the movable contact 29 and the contact portion 52 of the fixed contact 28 are disconnected when the 60 moves toward the fixed contact 28 and the stem 27 descends to the uppermost position. Is done.

스템(27)에 가해지니 압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스템(27)이 상승하고, 가동접점(29)과 고정접점(28)의 접속이 재차 해제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to the stem 27, the stem 27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3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9 and the fixed contact 28 is released again.

그리고, 스템(27)의 하단이 맞닿는 하 케이스(25)의 저부는 하 케이스(25)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종래의 누름 단추스위치의 경우보다도 스템(27)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And the bottom part of the lower case 25 which the lower end of the stem 27 abuts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5, and the stem 27 can move downwar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switch.

따라서, 종래의 것과 스템(27)의 스트로우크를 같게 했을 때, 높이를 낮게할 수 있으며, 또 스템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troke of the stem 27 is mad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the height can be lowered and the rattling of the stem can be prevented.

또, 하 케이스(25)하면의 용제방지용돌기(36)는 단자의 접점부(52, 60)까지의 거리를 길게하여, 용제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Moreover, the solvent prevention protrusion 36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25 lengthens the distance to the contact parts 52 and 60 of a terminal, and prevents intrusion of a solvent.

또, 용제방지용돌기(36)에 의해 스템(27)이 압압된 때에 스템(27)하단이 하 케이스(25)내저면에 맞닿았을 때, 하 케이스(25)는 프린트기판상에 면접촉이 아니라 점접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템(27) 압압력은 4개의 돌기(36)에 걸려서 충동음을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em 27 is pressed by the solvent preventing projection 36, when the lower end of the stem 27 abuts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25, the lower case 25 is not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Because of the point contact, the pressing force of the stem 27 is caught by the four projections 36, so that the impulsive sound can be reduc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름단추 스위치는 용제방지용 돌기에 의해 용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점부에 악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다. 또 스템을 압압하여 스템하단부가 페이스 내저면에 맞닿았을 때 하 케이스는 프린트기판에 면접촉이 아니라 점접촉되므로, 스템 압압에 의한 충격음을 작게할 수 있다. 또 스템섭동부는 하방에 드리워져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섭동스트로우크를 유지하면서 비교적 박형으로 할 수 있고, 또 스템이 스템섭동부에 언제나 미끄러져 움직이고 있는 부분을 길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템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ush 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trusion of the solvent by the solvent preventing projection, and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contact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stem is pressed and the stem lower end abuts the inner face of the face, the lower case is point contact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tead of face contact, so that the impact sound caused by stem pressur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tem perturbation part is draped downward, the stem perturbation can be relatively thin while maintaining the perturbation strok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stem is stably supported by the stem perturbation part, so that the stem can be lengthened. You can prevent the flutter.

Claims (1)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설치된 스템섭동부와, 이 스템섭동부에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스템과 전기 케이스의 하면에 설치된 용제방지용돌기를 구비하며, 전기 스템이 맞닿는 전기 스템섭동부저부를 전기 케이스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전기 돌기하면에서 적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단추 스위치.The case and the stem perturbation part installed in this case, the stem installed in this stem perturbation part to move freely, and the solvent prevention protrusion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an electrical case are provided, A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electrical projection.
KR2019880011568U 1987-11-05 1988-07-15 Push bottom switch KR910003721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68441 1987-11-05
JP1987168441U JPH0173726U (en) 1987-11-05 198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04U KR890011704U (en) 1989-07-15
KR910003721Y1 true KR910003721Y1 (en) 1991-05-31

Family

ID=3145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568U KR910003721Y1 (en) 1987-11-05 1988-07-15 Push bottom switc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73726U (en)
KR (1) KR91000372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73726U (en) 1989-05-18
KR890011704U (en)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7267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910003908Y1 (en) Connector
KR101797654B1 (en)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KR890004818Y1 (en) Switch point upkeep set up
US5201410A (en) Push-button switches
US6130387A (en) Card detecting switch
US4678880A (en) Keyboard switch
KR910003721Y1 (en) Push bottom switch
US4743714A (en) Multiple pushbutton switch and interlock assembly
US5973284A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with snap action movable bridging contact
US4144428A (en) Electrical switch with leaf spring switching element
US4410231A (en) Integrated circuit mounting socket
KR840003136A (en) Electrical switch
KR910002724Y1 (en) Push botton switch
KR930001368Y1 (en) Push button switch
EP0124206A1 (en) Low profile keyswitch
GB2028591A (en) Sliding electrical switch
KR890004816Y1 (en) Switch
KR960002441Y1 (en) Safety receptacle
EP071361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741062Y2 (en) Push button device
KR890000052Y1 (en) Push button switch
JPH0229666Y2 (en)
JPH0132703Y2 (en)
JPH011710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