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293Y1 -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 Google Patents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293Y1
KR910002293Y1 KR2019850010615U KR850010615U KR910002293Y1 KR 910002293 Y1 KR910002293 Y1 KR 910002293Y1 KR 2019850010615 U KR2019850010615 U KR 2019850010615U KR 850010615 U KR850010615 U KR 850010615U KR 910002293 Y1 KR910002293 Y1 KR 910002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ast
key
output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6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4481U (en
Inventor
이덕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293Y1/en
Publication of KR870004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8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93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Computer Monitor Contrast and Volume Control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의 실시 회로도.1 is an implementation circuit diagram of a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의 (a)(b)는 제1도에서의 각 키의 동작파형과 회로 각부의 동작 파형도이다.(A) and (b) of FIG. 2 are operation waveforms of the keys in FIG. 1 and operation waveforms of the respective circuit portion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4 : 디멀티 플렉서 2 : 업다운 카운터1, 4: demultiplexer 2: up-down counter

3 : D/A 변환기 10 : 콘트롤 회로부3: D / A converter 10: Control circuit

11 : 제1키부 12 : 제2키부11: first key part 12: second key part

13 : 펑션키부 20 : 콘트롤신호 발생회로부13 function key 20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30 : 이득 제어 증폭기 K1, K2, K3 : 키1, 키2, 키330: gain control amplifier K1, K2, K3: key 1, key 2, key 3

R1∼R6 : 저항 61, 62 : 노아게이트R1 to R6: Resistor 61, 62: Noah gate

G3∼G8 : 낸드게이트G3 to G8: NAND gate

이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에 있어서 콘트라스트와 비이프 음의 볼륨 등의 키보드상의 키조작으로 조정하도록 한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monitor, which is adapted to be operated by a key operation on the keyboard such as contrast and beep volume.

종래의 컴퓨터 터미날이나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콘트라스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절하기 위해 놉(Knob)과 비이프(beep)음의 볼륨 조정용 놉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데 CRT, LCD, EC PLASMA)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게 되어 컴퓨터의 소형화를 이루는데 제약이 있게 되었다.Conventional computer terminals or microcomputers are equipped with knob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knob and beep to adjust the contrast display device, so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CRT, LCD, EC PLASMA) becomes large.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miniaturizing computers.

이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콘트라스트와 비이프 음의 볼륨 조정을 컴퓨터상의 키에 의한 조작으로 행하도록 하여 컴퓨터의 소형화를 도모한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is invention solves such a problem, and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control the contrast and volume of the beeper by using a key on the computer. To provide.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은, 키이 조작에 의해 콘트라스트 및 볼륨의 증감을 행하도록 콘트롤 값을 발생하는 콘트롤 회로부와, 이 콘트롤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득제어용 콘트롤 데이터를 발생하는 콘트롤 신호 발생부와, 이 콘트롤 신호 발생부의 출력에 의해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를 콘트롤하여 출력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제어 증폭기와 이루어진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이 고안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circuit section for generating a control value so as to increase and decrease contrast and volume by a key operation, and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gain control data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circuit s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uter monitor's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are provided with a generator and a gain control amplifi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gain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output to the input by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One embodiment of the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인 제1도인 이 고안의 실시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서, 콘트롤 회로부(10)의 출력측이 콘트롤 신호 발생부(20)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콘트롤 신호 발생부(20)의 출력측은 이득제어 증폭기(30)의 콘트롤단(G)에 연결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ide of the control circuit unit 10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0 and the output side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0 is a gain control amplifier ( 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tage (G).

여기서, 콘트롤 회로부(10)는 1×2 디멀티플렉서(1)와 이 디멀티플렉서(1)의 입력을 제공하도록 2단의 낸드게이트(G3)(G4)가 크로스접속되어 플립플롭으로 구성되고, 그 출력이 디멀티플렉서(1)의 입력단(A)에 연결되고, 낸드게이트(G3)(G4)의 각 입력은 키1(K1)의 절환에 의해 선택되도록 키접점(a, b)에 각기 연결되어서 제1키부(11)가 구성되고, 1×2 디멀티플렉서(4)와 2단의 낸드게이트(G5)(G6) 및 키2(K2)도 상기한 제1키부(11)와 같은 연결로 제2키부(12)가 구성되었다.Here, the control circuit section 10 is composed of a flip-flop with the two-level NAND gates G3 and G4 cross-connected to provide an input of the 1 × 2 demultiplexer 1 and the demultiplexer 1. The first key part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 of the demultiplexer 1, and each input of the NAND gates G3 and G4 is connected to the key contacts a and b so as to be selected by switching of the key 1 K1. The second key portion 12 is formed by the same connection as the first key portion 11 described above, and the 1 × 2 demultiplexer 4, the two-level NAND gates G5, G6, and the key 2 K2 are also formed. ) Is configured.

또한, 낸드게이트(G7)(G8)와 키(K3)의 연결은 상기 제1, 제2키부(11)(12)와 동일하게 되며, 단 낸드게이트(G8)의 출력측이 상기 제1, 제2키부(11)(12)의 디멀티플렉서(1)(4)의 클럭단(M)에 연결되는 접속으로 펑션키부(13)가 구성되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the NAND gates G7 (G8) and the key K3 is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key portions 11 and 12, provided that the output side of the NAND gate G8 is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function key part 13 is comprised by the connection connected to the clock terminal M of the demultiplexer 1 and 4 of the 2 key part 11 and 12. As shown in FIG.

한편, 콘트롤신호 발생회로부(20)는 상기 제1, 제2키부(11), (12)의 디멀티플렉서(1)(4)클럭단(M)에 각기 한 입력이 연결되고, 다른 한 입력들은 각기 디멀티플렉서(1)(4)의 출력단(C)(L)에 연결되는 노아게이트(G1)(G2)와 이 노아게이트(G1) (G2)의 출력을 업, 다운 정보로 입력받도록 연결된 업, 다운 카운터(2)의 출력단(F)이 D/A 변환기(3)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D/A 변환기(3)의 출력측이 이득 제어용 증폭기(30)의 콘트롤단(G)에 연결된 접속구성으로 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0 is connected to the demultiplexer (1) (4) clock stage (M) of the first, second key portion (11), 12, respectively, and the other input is Noah gates G1 and G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C and L of the demultiplexer 1 and 4 and up and down connected to receive outputs of the noar gates G1 and G2 as up and down information. The output terminal F of the counter 2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D / A converter 3, and the output side of the D / A converter 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G of the gain control amplifier 30. It became.

한편, 상기 제1키부(11)와 제2키부(12) 및 펑션키부(13)의 각 키1, 2, 3(K1)(K2)(K3)는 전원(B+)을 각기 별도의 저항(R1, R2…R6)을 통해 연결단자(a, b)에 인가받도록 되어 절환동작에 의해 각기 2개의 낸드게이트(G3)(G4)(G5)(G6)(G7)(G8)의 일측을 선택하여 전원(B+)을 인가시키도록 되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keys 1, 2, 3 (K1) (K2) (K3) of the first key portion 11, the second key portion 12, and the function key portion 13 has a separate resistance ( One side of the two NAND gates G3, G4, G5, G6, G7, G8 is selected by the switching terminals a and b through R1, R2 ... R6. Power supply B + was applied.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인 B, K는 데이터 버스 입력라인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B and K denote data bus input lines.

이 고안의 동작을 제2도 (a) (b)의 파형도에 의거 설명하면, 먼저 펑션키부(13)를 온시킨 상태 즉, 키3(K3)의 접점이 접점(ac)로 접속된 상태일 때가 콘트라스트 또는 볼륨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기능상태인데 이때 제1키부(11)의 키1(k1)을 온시키면 접점(ac)로 연결되어 전원(B+)이 저항(R1)을 통해 접지축으로 인가되며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G3)의 한 입력이 로직 "L" 이 되고 접점(b)측은 전원(B+) 레벨로 되므로 낸드게이트(G4)의 한 입력이 로직 "H" 로 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waveform diagrams of Figs. 2A and 2B. First, the function key 13 is turned on, that is, the contact of the key 3 K3 is connected to the contact ac. Is the function state that can adjust contrast or volume. When the key 1 (k1) of the first key part 11 is turned on,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ac so that the power supply B + is connected to the ground shaft through the resistor R1. In this case, one input of the NAND gate G3 becomes the logic "L", and the contact b side becomes the power supply B + level, so one input of the NAND gate G4 becomes the logic "H".

따라서, 낸드게이트(G4)의 출력은 제3도(b)의 파형(A)과 같이 로직 "L" 로 되어 디멀티플렉서(1)에 인가된다.Accordingly, the output of the NAND gate G4 is applied to the demultiplexer 1 as a logic "L" as shown by the waveform A of FIG. 3 (b).

이때에는 상기 펑션키부(13)의 키3(K3)을 접점(ac)로 온시킨 상태이므로 제1키부(11)에서와 마찬가지로 낸드게이트(G8)의 출력은 로직 "L" 이 된 상태이다.At this time, since the key 3 (K3) of the function key unit 13 is turned on as the contact ac, the output of the NAND gate G8 becomes a logic "L" as in the first key unit 11.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의 클럭단(M) 파형(M)과 같이 로직 "L" 상태로 되어 출력단(C)은 파형(C)와 같이 로직 "L" 로 되고 콘트롤 회로부(20)의 업다운 카운터(2)의 입력단(D)은 파형(D)과 같이 노아게이트(G1)에 의해 반전된 로직 "H" 가 인가되어 다운 카운트를 시작하게 되며 이 다운 카운트 시간은 제2도(b)의 파형(D)의 로직 "H" 기간동안이므로 근본적으로는 제1키부(11)의 키1(K1)의 온(접점 AC상태) 타임기간이다.Therefore, as in the clock stage M waveform M of the demultiplexer 1, the logic "L" state becomes the same as the waveform C, and the output terminal C becomes the logic "L" like the waveform C, and the up-down counter of the control circuit unit 20 is In the input terminal D of (2), like the waveform D, the logic "H" inverted by the noar gate G1 is applied to start the down count, and the down count time is the waveform of FIG. Since it is during the logic " H " period of (D), it is essentially the on (contact AC state) time period of the key 1 (K1) of the first key section 11. FIG.

이와같이 다운카운트된 데이터는 업·다운 카운트(2)의 출력단(F)을 통해 D/A 변환기(3)에 디지탈 입력된다.The down counted data is digitally input to the D / A converter 3 via the output terminal F of the up / down count 2.

이 D/A 변환기(3)는 다운카운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처리하여 이득 제어증폭기(30)의 콘트롤단(G)에 전송하게 되고 이에따라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가 콘트롤되어 이득제어 증폭기(30)의 출력이득이 다운 된다. 따라서, 이 고안은 적용시킨 콘트라스트나 볼륨이 감소되게 된다.The D / A converter 3 converts the down count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terminal G of the gain control amplifier 30. Accordingly, the ratio of the output to the input is controlled so that the gain control amplifier 30 is controlled. Output gain is reduced. Thus, this design reduces the applied contrast or volume.

한편, 상기 키3(K3)을 온시킨 상태에서 제2키부(12)의 키2(K2)를 온시키면 즉, 접점(ac) 상태로 되게하면 낸드게이트(G6)의 출력은 로직 "L" 로 되어 디멀티플렉서(4)의 입력단(J)은 파형(J)과 같이 로직 "L" 이 인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key 2 (K2) of the second key portion 12 is turned on in the state where the key 3 (K3) is turned on, that is, the contact point ac is turned on, the output of the NAND gate G6 is logic "L". In the input terminal J of the demultiplexer 4, a logic "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J as in the waveform J.

따라서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L)은 파형(L)과 같이 로직 "L" 로 되는데 노아게이트(G2)를 통해 반전 출력되므로 업다운 카운터(2)의 업카운트 입력인 입력단(E)에는 파형(E)과 로직 "H" 신호가 인가된다.Therefore, the output terminal L of the demultiplexer 4 becomes a logic "L" like the waveform L, and is inverted through the noar gate G2. E) and a logic "H" signal are applied.

따라서, 이 로직 "H" 가 유지되는 기간동안 업·다운 카운터(2)는 업카운트를 행하며 이러한 카운트 출력이 D/A 변환기(3)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이득제어 증폭기(5)의 콘트롤단(G)에 입력된다.Thus, during this logic " H " period, the up / down counter 2 up counts and this count outpu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D / A converter 3 to control the gain control amplifier 5. It is input to stage G.

이에따라 이득 제어 증폭기(30)의 이득이 증가되어 콘트라스트단 또는 볼륨이 증가되게 된다.Accordingly, the gain of the gain control amplifier 3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contrast stage or the volume.

한편 키보드상의 특별한 키인 CTRL CV를 새로 설치하고 기존의 화살표 키를 사용해서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키3을 공통의 콘트롤 키로 구성하고, 키1(K1), 키2(K2)를 각각로 하고 같은 회로를 하나더 준비하여 역시 키3(K3)은 공통으로 하고 키1(K1), 키2(K2)를키로 연결한다. 그리고 이 키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하고 키를 누르면 단자(c)와 단자(a)가 접속 (온)상태가 되고, 단자(c)와 단자(b)가 오프상태이고,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자(c)와 단자(b)가 온으로 되고 단자(c)와 단자(a)가 오프되도록 설계한다.Meanwhile, a new CTRL CV, a special key on the keyboard, is installed and the existing arrow keys If you configure it using, you can have the following functions. That is, the key 3 is configured with a common control key, and the key 1 (K1) and the key 2 (K2) are respectively Prepare another same circuit, and again, key 3 (K3) is common and key 1 (K1) and key 2 (K2) Connect with a key. These keys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and when a key is pressed, terminals (c) and (a) are connected (on), terminals (c) and (b) are off, and keys are not pressed. In the state, the terminal c and the terminal b are turned on, and the terminal c and the terminal a are designed to be off.

테이블2 : 키의 결합과 동작의 관계Table 2: Relationship between key combinations and actions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조절장치에 의하면 키의 조작에 의해 콘트라스트 및 볼륨의 증감을 행하도록 콘트롤값을 발생하는 콘트롤 회로부와, 이 콘트롤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득제어용 콘트롤 데이터를 발생하는 콘트롤신호 발생부와, 이 콘트롤 신호 발생부의 출력에 의해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를 콘트롤하여 출력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제어 증폭기와로 이루어졌으므로 기존의 컴퓨터 터미날, 마이콤등의 놉(knob) 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형화시켜 컴퓨터를 소형화 시켰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쇼프트 웨어를 전혀 변경하지 않고 간히 하드웨어와 키보드만 변경하여서 컴퓨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computer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circuit section for generating a control valu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ontrast and volume by the operation of a key,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circuit section are input and gained. It consists of a control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control data for control and a gain control amplifier that adjusts the output gain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output to the input by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The number of knobs can be reduced, and the display device can be made smaller, which contributes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mputer, allowing the user to adjust the contrast and volume of the computer by simply changing the hardware and keyboard without changing any existing software. One very useful design.

Claims (4)

키1, 2, 3(K1, K2, K3)의 조작에 의해 콘트라스트 및 볼륨의 증감을 행하도록 콘트롤값을 발생하는 콘트롤회로부(10)와, 상기 콘트롤회로부(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득제어용 콘트롤데이타를 발생하는 콘트롤신호 발생회로부(20)와, 상기 콘트롤신호발생부(20)의 출력에 의해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를 콘트롤하여 출력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제어증폭기(30)와, 로 이루어진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조절장치.A control circuit section 10 for generating a control valu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ontrast and volume by operating keys 1, 2, and 3 (K1, K2, K3), and gains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section 10; A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section 20 for generating control data for control, a gain control amplifier 30 for adjusting the output gain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output to the input by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section 20, and Contrast and volume control of the computer monitor.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회로부(10)는, 콘트롤 기능으로 회로를 절환하여 펑션키부(13)와, 펑션키부(13)와 함께 구동하여 콘트롤 업. 다운신호를 발생하는 제1, 제2키부(11) (12)와, 로 된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조절장치.2. Th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circuit unit (10) switches the circuit by a control function to drive the function key unit (13) and the function key unit (13) to control up. A first and second key parts (11) (12) for generating a down signal, and a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monitor.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키부(11)(12)는, 키1,2(K1)(K2)가 각기 낸드게이트를 통해 디멀티플렉서(1)(4)의 입력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 조절장치.3. The first and second key parts 11 and 12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s 1 and 2 (K1) and K2 ar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demultiplexer 1 and 4 via NAND gates, respectively. Computer monitor contrast and volume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신호발생회로부(20)는, 콘트롤회로부(10)의 출력신호를 각기 노아게이팅하여 입력받아 카운트다운 또는 카운트업을 행하는 업, 다운카운터(2)와, 업, 다운 카운터(2)의 디지탈출력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이득조절용데이타를 발생하는 D/A 변환기(3)와, 로 되는 컴퓨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및 볼륨조절장치.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unit 20 is an up, down counter 2, up, and down counters that count down or count up the output signals of the control circuit unit 10, respectively, and receive the input signals. A D / A converter (3) for converting a digital output of (2) into an analog signal to generate gain adjustment data, and a contrast and volume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monitor.
KR2019850010615U 1985-08-20 1985-08-20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KR9100022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615U KR910002293Y1 (en) 1985-08-20 1985-08-20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615U KR910002293Y1 (en) 1985-08-20 1985-08-20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81U KR870004481U (en) 1987-07-31
KR910002293Y1 true KR910002293Y1 (en) 1991-04-06

Family

ID=1924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615U KR910002293Y1 (en) 1985-08-20 1985-08-20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293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81U (en) 198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0832B2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EP0264884B1 (en) Key input device
KR910002293Y1 (en) Contrast and volume adjustable apparatus for computer monitor
US4395704A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US425180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n input keyboard
JPH0338925A (en) Digital/analog converter
KR920000705Y1 (en) Speaker volume adjustable circuit using keyboard
US6353432B1 (en) Mouse scroll input apparatus
EP1100069A1 (en) Keyboard having multi-bit key switches
KR880001797B1 (en) Digital volume circuit
KR970006625B1 (en) Step wave generating circuit
KR930004411B1 (en) Time adjustable method using encoder switch
KR1009539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coder switch of notebook computer
KR930007138Y1 (en) Automatic control circuit of vertical size horizontal phase
KR960014581B1 (en) Power controller of a vacuum cleaner
JPS625175Y2 (en)
EP0202288A1 (en) Logic circuit with frequency divider application
JP2818654B2 (en) Analog keyboard device for video display equipment
JPH0737219Y2 (en) Key switch
JPS6131440Y2 (en)
EP0172343A2 (en) Digital contrast control circuit for display unit
JPH0227614Y2 (en)
KR900006395B1 (en) Monitor control circuit using computer
KR890007274Y1 (en) Contrast control circuits of crt display devices
KR870000666Y1 (en) Synchronizing signal automatic adaptable circuit of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