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132B1 -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132B1
KR910002132B1 KR1019850004463A KR850004463A KR910002132B1 KR 910002132 B1 KR910002132 B1 KR 910002132B1 KR 1019850004463 A KR1019850004463 A KR 1019850004463A KR 850004463 A KR850004463 A KR 850004463A KR 910002132 B1 KR910002132 B1 KR 91000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output
code
supplement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33A (ko
Inventor
미쓰 마사 나까노
구찌 오사무 가와
Original Assignee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도 나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하시모도 나미오 filed Critical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5000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132B1/ko
Publication of KR87000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문자출력창치에 의한 출력형식.
제2도는 본 발명의 문자출력장치에 의한 출력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문자출력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문자출력창치에 의한 출력형식.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장치 2 : 입력버퍼
3 : 한글문자조립수단 5 : 출력버퍼
4 :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 6 : 한글자모수 카운터
7 : 출력자리수 카운터 8 :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
9 : 검출신호선 10 : 스페이스보충수단
11,12 : 제어선 13 : 출력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자모를 조합하여 구성된 문자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자모를 조합하여 구성한 한글문자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글문자는 복수의 한글자모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되는 것이다.
이 한글 자모의 조합은 각 한글자모에 대응한 한글자모코오드이며 입력장치에서 발음순에 따라 시리얼로 입력된 한글자모코오드를 제어회로가 문법적으로 판별하므로서 결정된다.
이 한글자모의 조합을 결정하고 한글문자를 발생하는 장치의 일예는 U.S.Pat.No.3,852,720에 설명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자모의 조합이 결정되므로서 한글문자는 복수의 한글자모로 구성된 동일 크기를 갖는 활자로 출력장치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한글문자의 활자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전각사이즈가 사용되며, 이 전각사이즈는 영숫자(alphanumeric)나 한글자모등의 활자의 크기인 것이다.
상기의 전각사이즈는 반각사이즈를 횡으로 2개 병설한 크기와 통상은 동일하다.
이 반각사이즈는 입출력에 있어서 기본단위 자리수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한글자모코오드를 조합하여 한글문자로서 출력하는 종래의 장치는 한글자모의 입력수에 상당하는 입력자리수에 대하여 한글문자의 출력수에 상당하는 출력자리수가 감소되고, 그 결과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이 좌로 조여지게 된다. 제1도에 있어서 한글문자와 영문자로된 출력데이터의 자리수는 한글자모와 영문자로된 입력데이터의 자리수에 비하여 반각사이즈 2개분에 상당 하는 2자리 감소되어 출력된다.
이 출력자리수의 감소수는 한글자모의 조합규칙에 따라 여러종류로 변동되므로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 그 감소수를 예측하기는 곤란하다.
이것은 한글문자와 영숫자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경우나 한글자모만을 출력하던 장치를 한글자모를 조합한 한글문자로 출력하도록 변경한 경우, 출력형식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 장애가 되었었다.
실시예로서 한글자모를 조합하여 구성한 한글문자를 조정하여 출력하는 장치의 블럭도를 제2도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입력장치(1)는 영수자 및 한글자모를 포함한 각 자모에 대응한 자모코오드 및 스페이스를 보충하여 출력자리수를 조정하는 지령을 지시하는 스페이스 보충지령코오드를 1바이트의 2진 코오드로 발생시키는 컴퓨터키보드이고 입력버퍼(2)로 이 2진코오드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입력버퍼(2)는 입력된 2진코오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한글문자조립수단(3)으로 스페이스보충지령 코오드 검출수단(4)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4)은 입력버퍼(2)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된 2진코오드를 감시하는 것으로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가 입력되었는가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검출신호선(9)을 통하여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8) 으로 송출한다.
이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는 자모코오드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특이한 2진코오드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4)에 의하여 검출될 뿐으로서 한글문자조립수단(3)으로는 출력되지 않는다. 한글문자조립수단(3)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진코오드내에서 한글자모코오드를 검출하여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한글문자를 조립하고 조립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한글문자 코오드를 통상 2바이트의 2진 코오드로 출력버퍼(5)에 전송하고 한글자모코오드이외의 자모코오드인 경우 그대로 출력버퍼(5)에 전송한다.
또한 이 한글문자조립수단(3)은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한글자모의 수를 계산하여 한글자모수카운터(6)로전송하는 제1의 계산수단과, 출력하는 한글문자의 수를 반각사이즈 또는 한글자모의 사이즈로 환산한 출력자리수를 계산하여 출력자리수카운터(7)로 전송하는 환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한글자모수카운터(6) 및 출력자리수카운터(7)는 입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가산하는 카운터이다.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8)은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4)에서의 검출신호가검출신호선(9)을 통하여 입력되므로서 기동되는 것이고 한글자모수카운터(6)에 저장되어 있는 수와 출력자리수카운터(7)에 저장되어 있는 수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에 상응하는 스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스페이스보충수단(10)으로 전송한다.
더우기 이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8)은 한글자모수카운터(6) 및 출력자리수카운터(7)에 저장되어 있는 수를 판독한 후에 양 카운터(6)(7)의 값을 제어선(11)(12)을 사용하여 리세트한다.
스페이스보충수단(10)은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8)에서의 제어정보에 따라서 보충할 필요가 있는 수만큼의 스페이스자모에 대응하는 자모코오드를 출력버퍼(5)로 전송한다.
출력버퍼(5)는 한글문자조립수단(3) 및 스페이스보충수단(10)에서의 2진코오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출력장치(13)인 프린터나 디스플레이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글문자조립수단(3)에서 전송되는 한글문자의 수를 반각사이즈인 기본단위로 환산하고 출력자리수카운터(7)에 출력하는 수단을 설치하였지만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8)에서 출력하는한글문자의 수를 기본단위로 환산하는 수단을 갖도록 구성하면 한글문자 조립수단(3)은 단순히 한글문자의 수를 출력자리수카운터(7)에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한글문자조립수단(3)은 상술한 경우와는 반대로 스페이스자모의 보충수를 계산하는 제2의 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은 한글자모를 조합하여 한글문자의 출력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한글문자 조립수단(3)에 스페이스자모의 보충수를 계산하는 제2의 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의 실시예를 제3도에 의하여 제2도와 연관시켜 설명한다.
스텝 20에 있어서는 입력장치(1)에서 1바이트의 2진코오드가 입력된다.
이 입력된 2진코오드는 입력버퍼(2)에 일시 격납된 후 스텝 21에서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4)에의하여 순차논리체크가 되어 논리에러가 있을 경우,(예를 들면 이상코오드가 입력된 경우, 또는 한글문자의 조합규칙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는 스텝 22에 표시한 에러처리(예를 들면 출력장치에 에러표시를 하는처리, 또는 출력장치에 그대로 2진코오드를 출력하는 처리)를 한다.
논리에러가 없을 경우에는 스텝 23으로 입력된 1바이트의 2진코오드가 한글자모코오드인가의 여부를 체크하고 한글자모코오드일 경우는 스텝 24에서 한글문자조립수단(3)에 의하여 제1의 카운터인 한글자모수카운터(6)에 1을 가산하여 스텝 25에 진출하고 한글자모가 아닌 경우는 스텝 26으로 진출한다.
다음 스텝 25에서는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4)에 입력된 한글자모코오드에 의하여 한글문자가 1문자 조합하는 것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조합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27에 한글문자조립수단(3)에 의하여 한글문자의 사이즈를 반각사이즈 또는 한글 자모의 사이즈로 환산하여 얻어지는 출력자리수와 제1의 카운터인 한글자모수카운터(6)에 저장되어 있는 한글자모수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를 제2의 카운터인 스페이스보충수카운터에 가산함과 동시에 한글자모수카운터(6)의 값을 리세트(초기값으로서"0"을 넣는다)한 후에 스텝 30에 진출하고 조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그대로 스텝 30으로 진출한다.
더우기 스텝 26에서는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검출수단(4)에 의하여 입력된 1바이트의 2진코오드가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인가 여부를 판정하고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일 경우는 스텝 28에서 스페이스보충제어수단(8)에 제2의 카운터인 스페이스보충카운터의 값에 상당하는 수의 스페이스코오드를 스페이스보충수단(10)을 사용하여 출력하고 다시 스텝 29에서 제2의 카운터인 스페이스보충수카운터의 값을 리세트한 후에 스텝 30으로 진출하고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가 아닐 경우는 그대로 스텝 30으로 진출한다.
스텝 30에서는 입력된 1바이트의 2진 코오드에 대한 상기의 처리순서가 종료된 후에 다음의 1바이트의 2진코오드의 입력 및 입력의 중단을 포함하는 입력의 제어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처리순서를 순차적으로 하므로서 한글자모를 조합시켜 구성한 한글문자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자모의 입력자리수와 출력되는 문자 및 자모의 출력자리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더우기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글자모코오드의 입력이 종료된 후에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를 입력하여 출력을 조정한 것이지만 출력형식에 따라 여러 출력위치에 스페이스를 보충하여 출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복수의 자모를 조합한 문자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모에 대응하는 자모코오드 및 스페이스를 보충하여 출력을 조정하도록 지령하는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를 포함한 2진 코오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입력장치(1)와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2진 코오드내에서 상기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를 검출하는 스페이스보충코오드검출수단(4)과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2진코오드내에서 상기 문자를 조합하는데 사용된 자모코오드의 수를 계산하는 제1의 계산수단과 출력되는 상기 문자의 수를 상기 자모의크기를 단위로 환산하여 출력자리수를 얻는 환산수단과 상기 출력자리수와 상기 자모코오드의 수와의 차인스페이스보충수를 계산하는 제2의 계산수단과 상기 스페이스보충수에 상당하는 수만큼 스페이스코오드를상기 출력장치(13)로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를 검출하므로서 기동하는 스페이스보충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모를 조합한 문자가 복수의 한글자모를 조합시킨 한글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계산수단을 상기 자모코오드의 수를 기억하는 제1의 가산카운터를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수단은 상기 출력자리수를 기억하는 제2의 가산카운터를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스페이스 보충지령코오드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2의 계산수단으로 검출신호를 숭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계산수단은 상기 검출신호가 송출되므로서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계산수단은 상기 스페이스보충수를 계산한 후에 상기 제1의 가산카운터와 상기 제2의 가산카운터를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계산수단은 상기 스페이스보충수를 기억하는 제3의 가산 카운터를 보유하는 것으로 상기 한글 1문자가 조합될 때마다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계산수단은 상기 스페이스보충수를 계산한 후에 상기 제1의 가산카운터를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스페이스보충지령코오드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스페이스보충수단(10)으로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보충수단(10)은 상기 검출신호가 송출되는 것에 의하여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보충수단(10)은 스페이스코오드를 상기 출력장치(13)에 출력한 후에상기 제3의 가산카운터를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KR1019850004463A 1985-06-24 1985-06-24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KR91000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463A KR910002132B1 (ko) 1985-06-24 1985-06-24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463A KR910002132B1 (ko) 1985-06-24 1985-06-24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3A KR870000633A (ko) 1987-02-19
KR910002132B1 true KR910002132B1 (ko) 1991-04-04

Family

ID=1924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463A KR910002132B1 (ko) 1985-06-24 1985-06-24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1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3A (ko) 198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272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rming hyphenated words
SE448922B (sv) Metod for behandling av videodata vid ett optiskt teckenidentifieringssystem jemte en anordning for teckenidentifiering i en optisk dokumentlesare
US3513968A (en) Control system for typesetting arabic
US4359286A (en) Character set expansion
US3980994A (en) Text editing and display system having text insert capability
US38527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korean character fonts
EP070367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umeric-to-string conversion
US4500955A (en) Full word coding for information processing
EP0590949B1 (en) Variable replacement apparatus
US4727511A (en) Multitype characters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910002133B1 (ko) 한글출력문자의 조정방법
US4375922A (en) Character printing system in electronic data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electronic calculators
GB2074766A (en) Microprogram control system
JPS6139152A (ja) 平面文字の選択方式
KR910002132B1 (ko) 복수의 자모를 조합시킨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
US4523294A (en) Character spaced jus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S6126192A (ja) ハングル字母列からのハングル文字認識方法
EP0097818A2 (en) Spelling verification method and typewriter embodying said method
FI60322C (fi) Kodnings- och kodtolkningsapparat i form av en skrivmaskin
KR100310832B1 (ko) 4상태3바코드장치및그장치의제어방법
JPS5736341A (en) Electronic cash register
EP0052757B1 (en) Method of decoding phrases and obtaining a readout of events in a text processing system
KR840000051B1 (ko) 한글출력장치
US3560954A (en) Number and symbol display system
US5285404A (en) Device for checking decimal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