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45B1 -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 Google Patents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45B1
KR910002045B1 KR1019870007166A KR870007166A KR910002045B1 KR 910002045 B1 KR910002045 B1 KR 910002045B1 KR 1019870007166 A KR1019870007166 A KR 1019870007166A KR 870007166 A KR870007166 A KR 870007166A KR 910002045 B1 KR910002045 B1 KR 91000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
paper
holder
roll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29A (ko
Inventor
가즈쯔네 다쯔미
미쯔마사 나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 요
나가노 후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 요, 나가노 후지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 요
Publication of KR88001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y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의 사시도.
제2도는 종단면도.
제3도는 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요부확대도.
제5도는 제4도의 부분 사시도.
제6도(a)(b)(c)(d)는 각각 본 실시예의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본 발명은 로울형태로 감겨진 페이퍼를 풀어서 사용하게 되는 페이퍼로울과 예비페이퍼로울을 상하고 배치하여 사용하는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페이퍼를 풀어서 사용하는 페이퍼로울과 미상용의 예비페이퍼로울을 상하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페이퍼로울 호울더로서는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사용후에 그 심봉를 뽑아내어 예비페이퍼로울을 사용하는 페이퍼로울의 세트위치로 자동적으로 하강시켜 페이퍼로울을 장진하게 한것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59-4129호로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퍼로울을 장진할 때 종래의 호울더에서는 호울더 내로 직접 손을 넣어서 남아있는 심봉을 뽑아내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에 있어서는 앞에 설명한 바와같이 페이퍼로울을 장진할 때 호울더에 남아있는 심봉을 직접 손을 넣어서 뽑아내어야 할뿐만 아니라 좁은 호울더내에 손을 넣는것 및 뽑아내기에 어느정도 강한힘이 필요하는 것이어서 심봉의 뽑아내기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페이퍼로울의 장진을 간단하게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발명은 사용되는 페이퍼로울과 예비페이퍼로울을 상하로 배치하여 사용한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에 있어서, 상기 예비페이퍼로울을 수납하는 상측수납부와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을 페이퍼를 꺼내기 가능하게 수납하는 하측수납부를 가지는 동시에 하측수납부 저면위에 상기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지축을 가진 호울더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호울더 본체의 상측수납부의 외측에는 회동체를 기립회동 자재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회동체에는 호울더 본체내의 상측수납부와 하측수납부의 중간에 뽑아내기 가능하게 회동 위치하여 예비페이퍼로울을 재치 유지하는 간막이판을 설치하여 되며 이 간막이판에는 상하로 연통하는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연통구멍내에는 간막이판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출몰 자재하게 돌출하는 상부지축이 설치되고, 이 상부지축은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 상단에 삽입되는 동시에 이 간막이판을 회동시켜 외측으로 끌어내면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 상단에서부터 벗어나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의 사시도, 제2도는 종단면도, 제3도는 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제4도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호울더는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과 예비페이퍼로울(B)을 납하는 호울더 본체(1)와 이 호울더 본체(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간막이판(11)을 설치한 회동체(10)를 구비하여 된다.
호울더 본체(1)는 상부에 예비페이퍼로울(B)을 수납하는 상측수납부(2)와 하부에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을 수납하는 하측수납부(3)를 연속하여 가지고 양측판(1a)(1a), 저판(1b), 배면판(1c)으로 횡단면이 약 υ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상부에는 상측수납부(2)의 앞면에 위치하는 앞면판(1d)이 양측판(1a), (1a)으로부터 연속하여 뻗어있다.
하측수납부(3)의 저판(1b) 상면에는 호울더의 중심위치에서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의 심봉(C)의 하단을 회전자재하게 유지하는 하부지축(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지축(4)의 심봉(C)의 구멍이 스무스하게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선단부의 외주연부는 도시한 바와같이 큰면을 차지하여 다음 설명하는 바와같이 상측수납부(2)에서 하측수납부(3)로 낙하하는 예비페이퍼로울(B)의 심봉(C)의 구멍이 확실하게 끼워질수 있게 되어있다.
하측수압부(3)의 앞면에는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을 풀어서 페이퍼를 뽑아낼 수 있는 개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5)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판(1a), (1a)의 앞단연은 뽑아낸 페이퍼를 절단하기 위한 톱날부(1e)가 설치된다.
호울더 본체(1)의 상측수납부(2) 상면에는 개폐뚜껑(6)이 축(6a)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폐뚜껑(6)을 열어 상측수납부(2)내에 예비페이퍼로울(B)을 보충한다.
상기 회동체(10)는 호울더 본체(1)의 상측수납부(2)를 앞쪽으로부터 덮어씌운 횡단면 υ자형 커버 상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단부를 호울더 본체(1)의 대략 중심위치에서 양측판(1a) 상단에 회동축(10a)에 의해서 앞위쪽으로 기립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10)의 하부에는 상측수납부(2)와 하측부납부(3)의 대략 중간위치에서 호울더 본체(1) 내측에 수평으로 뻗은 간막이판(1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기립회동 가능한 회동체(10)의 간막이판(11)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회동체(10)가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간막이판(11)이 호울더 본체(1)의 상측수납부(2)와 하측수납부(3)의 중간위치에 수용위치하나, 회동체(10)를 앞쪽으로 당겨서 제2도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축(10a)을 지점으로 앞위쪽으로 기립회동 시키면 간막이판(11)이 회동체(10)와 함께 회동하면서 호울더 본체(1)내에서 외측으로 뽑아낸다. 그리고 회동체(10)가 닫혀 간막이판(11)이 호울더 본체(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측수납부(2)내에 넣어진 예비페이퍼로울(B)이 간막이판(11)위에 재치되어 유지된다. 또 상기와 같이 간막이판(11)이 외측으로 뽑아내지면 예비 페이퍼로울(B)은 간막이가 없기 때문에 상측수납부(2)에서 하측부납부(3)로 낙하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간막이판(11)중 저편(1b)에 설치한 하부지축(4)과 대응하는 위쪽 위치에는 아래쪽으로 출몰자재하게 돌출하는 상부지축(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지축(13)은, 제2, 4, 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간막이판(11)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설치한 연통구멍(14)내에 자중으로 수직낙하 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상부지축(13)은 상면에 연통구멍(14)의 내경에 적합한 직경의 플랜지(13a)를 설치하여 연통구멍(14)내를 이 플랜지(13a)에 안내되어 상하이동한다. 또 간막이판(11)의 상면에서는 연통구멍(14)의 상면측에서 상부지축(13)을 인접시키게 하고 있으며 또 이 연통구멍(14)의 상면에서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 설명하는 키(16)를 집어넣어 상부지축(13)을 위쪽으로 끌어올려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의 심봉(C) 상단으로의 걸림을 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3a)에는 절개부(13b)를 설치하여 연통구멍(14)의 각벽(14a)에 걸쳐서 상부지축(13)이 회전되지 않게 하고있다. 또 상부지축(13)은 그 플랜지(13a)가 연통구멍(14)내의 하연에 걸려서 아래쪽으로의 낙하를 방지하며 또한 상연에 닿아서 위쪽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또 상부지축(13)은 하부지축(4)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의 심봉(C)의 구멍이 스므스하게 끼워질수 있는 크기로 형서이되며 또한 그 하단부(13c) 외주연부는 심봉(C)의 구멍에 대하여 확실하게 끼워지도록 큰 면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심부지축(13)은 스프링등의 탄성력에 의하여 간막이판(11)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출몰자재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지축(13)은 간막이판(11)이 호울더 본체(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측부납부(3)내에 수납된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의 심봉(C) 상단에 끼워진다. 그리고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은 심봉(C)의 상단에 상부지축(13)이 끼워지고 하단에 저판(1b)의 하부지축(4)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하측부납부(3)내에서 회전자재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을 풀어서 개구(5)로부터 페이퍼를 뽑아 내어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체(10)를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수납부(2)를 외측에서부터 덮어씌운 커버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 회동체(10)는 간막이판(11)을 호울더 본체(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그 구조는 하등 특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간막이판(1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상의 것으로도 좋다. 도 상부지축(13)에 대해서도 간막이판(11)에 대하여 출몰가능 혹은 신축가능등으로 돌출하는 것이면 좋고 그 구조 및 형상은 상기 실시예의 것에 특정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의 예비페이퍼로울(B)의 장진동작에 대하여 제6도(a-d)에 의하여 설명한다.
하측수납부(3)내의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의 사용이 끝나고 그 심봉(C)이 남아있는 상태로 되거나, 먼저 제6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체(10)를 앞쪽으로 끌어내어 회동시킨다. 회동체(10)가 회동하면 간막이판(11)이 호울더 본체(1)내에서 앞위쪽으로 향하여 뽑아내기 때문에 심봉(C)이 간막이판(11)과 함께 외측으로 기울어져서 심봉(C)의 상단이 상부지축(13)으로부터 점차 벗어진다. 이때 간막이판(11)은 회동체(10)의 회동에 따라 앞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인출되는 것이어서 뽑아냄에 따라 상부지축913)이 심봉(c)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벗어지기 때문에 심봉(C)의 뽑아내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제6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체(10)를 다시 회동시키면 심봉(C)이 상부지축(13)에서부터 완전히 벗어져서 회측으로 인출되어져서 낙하하는 동시에 상측수납부(2)내의 예비페이퍼로울(B)이 간막이판(11)에서 벗어나 자동적으로 낙하하고 제6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측부납부(3)의 저판(1b)위에 재치된다. 이때 낙하한 예비페이퍼로울(B)의 심봉(c)은 저판(1b)의 하부지축(4)에 끼워진다.
다음 제6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체(10)를 제6도(b)의 상태에서 호울더 본채(1)측으로 회동하면, 상부지축(13)이 낙하한 예비페이퍼로울(B)의 상면에 닿아서 누르기 때문에 화살표 방향으로 몰입하면서 예비페이퍼로울(B)의 상면위를 접동한다. 그리고 회동체(10)를 완전하게 닫은 상태로 되돌리면, 제6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지축(13)이 지중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예비페이퍼로울(B)의 심봉(C)의 심봉(C)의 상단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예비페이퍼로울(B)은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과 동일하게 하부지축(4)과 상부지축(13)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유지되어 사용되는 페이퍼로울(A)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 의하여 예비페이퍼로울(B)의 장진이 끝난다. 또 장진후는 제6도(d)에서와 같이 개폐뚜껑(6)을 열고 상측수납부(2)내에 새로운 예비페이퍼로울을 수납한다.
또한 간막이판(11)의 단부(11a)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6도(b)에서와 같이 예비페이퍼로울(B)이 낙하할 때에 그 단연부에서 페이퍼로울의 외주부를 손상시키지 않게 되어있다.
또한 하측수납부(3)내에 장진된 페이퍼로울은 회동체(10)를 제6도(a)에서와 같이 회동하여도 하측수납부(3)의 개구에서 뽑아낼 수 없다. 즉 개구(5)의 옆폭이 페이퍼로울의 옆폭보다 좁기 때문에 제6도(a), (b)에서와 같이 회동체(10)을 회동시키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측수납부(3)를 청소할 때든가, 하측수납부(3)내의 페이퍼가 물등으로 오손된 대등에 있어서 하측수납부(3)내에 페이퍼로울 전체를 뽑아낼때에는 앞에 설명한 바와같이 키(16)에 의하여 연통구멍(14) 상면에서 상부지축(13)을 위쪽으로 끌어올려서 상부지축(13)과 심봉(C)의 걸림을 해제시켜 그 상태로 회동체(10)를 회동시키면 페이퍼로울을 하측수납부(3)내에 남겨둔대로 이 페이퍼로울과 상부지축(13)의 걸림관계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페이퍼로울을 상측수납부(2)로 끌어올린 다음 본체상면에서 외부로 뽑아낼 수가 있다. 또한 상부지축(13)의 위쪽으로 끌어올림은 키(16)에 대한 다른 기구로도 할 수가 있다.
다음 호울더 본체(1)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상부측명에 자물쇠(15)를 설치하여 키(16)에 의하여 열지않으면 개폐뚜껑(6)의 개폐조작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를 일반가정외에 설치하였을 경우 관리자 이외의 사람이 호울더 본체내의 페이퍼를 마음대로 뽑아낼 수 없게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올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회동체에 예비페이퍼로울을 유지하는 간막이판을 설치하고 이 간막이판에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에 끼워지는 상부지축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를 회동하여 간막이판을 뽑아내고 또한 원위치로 되돌리는 것만으로 남아있는 심봉의 인출과 예비페이퍼로울을 장진할 수 있는 것이어서 종래와 같이 좁은 호울더내에 직접 손을 넣어서 하는 뽑아내기 작업이 필요없게되어 페이퍼로울장진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또 회동체의 외측으로의 회전은 지레 작용에 의하여 심봉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심봉의 뽑아내기가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측수납부에 장진된 페이퍼로울은 전체를 개구에서 뽑아낼 수 없는 동시에 상부지축은 연통구멍 상면을 통하여 끌어올릴 수가 있는 것이어서 위쪽에서는 자유롭게 뽑아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되는 페이퍼로울과 예비페이퍼로울을 상하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토일리트 페이퍼로울에 있어서, 상기 예비페이퍼로울을 수납하는 상측수납부와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을 페이퍼를 꺼내기 가능하게 수납하는 하측부납부를 가지는 동시에 하측수납부 저면위에 상기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지축을 가진 호울더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호울더 본체의 상측수납부의 외측에는 회동체를 기립회동 자재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회동체에는 호울더 본체내의 상측수납부와 하측부납부의 중간에 뽑아내기 가능하게 회동 위치하여 예비페이퍼로울을 재치 유지하는 간막이판을 설치하여 되며 이 간막이판에는 상하로 연통하는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연통구멍내에는 간막이판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출몰자재하게 돌출하는 상부지축이 설치되고, 이 상부지축은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 상단에 삽입되는 동시에 이 간막이판(11)을 회동시켜 외측으로 끌어내면 사용되는 페이퍼로울의 심봉 상단에서부터 벗어나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KR1019870007166A 1987-03-26 1987-07-06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KR910002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72384 1987-03-26
JP62072384A JPS63238823A (ja) 1987-03-26 1987-03-26 トイレットペ−パロ−ルホルダ
JP1?62-72384 1987-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29A KR880010729A (ko) 1988-10-24
KR910002045B1 true KR910002045B1 (ko) 1991-04-01

Family

ID=1348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166A KR910002045B1 (ko) 1987-03-26 1987-07-06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38823A (ko)
KR (1) KR9100020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29A (ko) 1988-10-24
JPS63238823A (ja) 1988-10-04
JPH0412134B2 (ko) 199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05975A (en) Toilet tissue magazine and dispensing cabinet
US4807824A (en) Paper roll towel dispenser
US3494518A (en) Ribbon dispenser
US5172840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primary and remnant rolls of toilet tissue
US4662577A (en) Toilet tissue dispenser
US4389026A (en) Dispensing container for rolled products
US4363454A (en) Tissue roll storage and dispenser apparatus
US2991951A (en) Toilet paper container and dispenser
US2678777A (en) Sensitive pressure tape dispenser
US3130932A (en)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JP2004518512A (ja) 2段式トイレットペーパディスペンサ
US4362278A (en) Roll dispenser
US2871078A (en) Combinatio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or wound material
KR910002045B1 (ko) 토일리트 페이퍼로울 호울더
EP033239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ilet tissue roll dispensers
US6766976B2 (en) Dispenser for rolls of web material
US11559174B2 (en) Dispenser for rolls of absorbent paper material
JP2000062971A (ja) 給紙カセット
EP1435819B1 (en) Dispenser for rolls of web material
JPS6338869Y2 (ko)
JPH0411206B2 (ko)
JPH0421516Y2 (ko)
KR20040055573A (ko) 화장지 홀더
JPH0412129B2 (ko)
KR20050106684A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