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02B1 - Daflection yoke - Google Patents

Daflection y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02B1
KR910001402B1 KR1019900015481A KR900015481A KR910001402B1 KR 910001402 B1 KR910001402 B1 KR 910001402B1 KR 1019900015481 A KR1019900015481 A KR 1019900015481A KR 900015481 A KR900015481 A KR 900015481A KR 910001402 B1 KR910001402 B1 KR 91000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tubular core
distortion
cathode ray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끼라 가와바따
요시까즈 데라사끼
다까시 이노우에
히데노리 다끼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27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2552A/en
Priority claimed from JP62134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4656A/en
Priority claimed from JP621357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8944A/en
Priority claimed from JP17012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1988B2/en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6034A external-priority patent/KR910001401B1/en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0001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관형코어와 제1 및 제2의 편향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로서, 음극선관의 SP패널의 곡면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의 편향코일이 관형코어에 감겨지고 관형코어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형광스크린부를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제2의 편향코일이 관형코어에 환형으로 감겨져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킨다.A deflection yoke consisting of a tubular core and first and second deflection coils, in which a first deflection coil is wound on the tubular core and reduced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to reduce distortion on the curved screen of the SP panel of the cathode ray tube. The electron beams, which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re deflected horizontally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and the second deflection coil is wound annularly on the tubular core to deflect the electron beams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 및 제3도는 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1도의 편향요크의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2 and 3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seen from the front of the deflection yoke of FIG. 1 us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를 제공하는 음극선의 래스터를 나타내고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4 and 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raster of a cathode ray providing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ing a method for correcting distortion.

제6도 내지 제9도는 편향요크에 사용되는 자화수단의 다른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6 to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magnetization means used for the deflection yoke.

제10도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10도의 편향요크의 정면에서 본 개략단면도.FIG. 11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front of the deflection yoke of FIG. 10 us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편향요크의 변형 형태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deflection yoke shown in FIG.

제13도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13도의 편향요크의 정면에서 본 개략단면도.FIG. 1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front of the deflection yoke of FIG. 13 us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FIG.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한 편향요크의 변형 형태의 사시도.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form of the deflection yoke shown in FIG.

제16도는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front of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전류의 방향과 전자빔의 편향방향사이의 관계를 설명한 제16도의 편향요크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FIG. 17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the deflection yoke of FIG. 16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current and the defl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 beam; FIG.

제18도는 제17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7. FIG.

제19도는 종래의 편향요크를 사용하는 컬러음극선관의 개략적인 수직단면도.19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color cathode ray tube using a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제20도는 종래의 편향요크의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제21도는 제19도의 음극 선관의 형광 스크린부를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으로 나타내는 도면.FIG. 21 shows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of the cathode ray tube of FIG. 19 i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제22도는 컬러음극선관에서 형광스크린부와 편향요크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22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fluorescent screen portion and a deflection yoke in a color cathode ray tube.

제23도는 컬러 음극 선관에서 SP 패널 또는 비구면의 형광스크린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단면도.23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 fluorescent screen portion of an SP panel or an aspherical surface in a color cathode ray tube;

제24도는 구면을 마련한 컬럼 음극 선관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24 is a diagram showing distortion occurring in a screen of a column cathode ray tube having a spherical surface.

제25도는 제24도와 유사하고, SP 패널을 마련한 컬러음극선관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FIG. 25 is a diagram similar to FIG. 24, showing distortion occurring in the screen of a color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an SP panel.

제26도는 종래의 왜곡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된 후에 스크린에 발생하는 시갈왜곡을 나타내는 도면.FIG. 26 is a diagram showing sigal distortion occurring on a screen after being corrected by a conventional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FIG.

제27도는 시갈왜곡의 발생을 최소로 하도록 고안된 종래의 편향요크의 사시도.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design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igal distortion.

제28도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27도의 종래의 편향요크를 정면에서 본 개략단면도.FIG. 2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of FIG. 27 used for explaining operation;

제29도는 제27도의 편향요크를 마련한 컬러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FIG. 29 is a diagram showing distortion occurring on a screen of a color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the deflection yoke of FIG. 27; FIG.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음극선에서의 편향요크(yok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에 있는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하도록 펀넬(funnel)부와 네크(neck)부의 부근에서 컬러음극선관에 탑재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flection yokes in cathode ray beams used in television receivers, and particularly to color cathode ray tubes in the vicinity of funnel and neck portions to deflect electron beams emitted from electron guns in cathode ray tubes. It relates to a deflection yoke to be mounted.

본 발명에 대한 종래의 편향요크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The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종래의 편향 요크를 사용하는 컬러음극선관의 개략적 수직단면도인 제19도에 있어서, 컬러음극선관(50)은 원추형의 펀넬부(52), 펀넬부(52)의 짧은 직경끝에서 돌출되는 원통형의 네크부(53), 네크부(53)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펀넬부(52)의 긴 직경끝에 마련된 화면(51)로 구성되는 고진공 엔벌로프를 포함한다. 화면(51)은 화면(51)의 유효 스크린부(100)의 내면에 형광막(55)를 배치하며, 형광막(55)가 배치되어 있는 화면(51)의 부분은 네크부(53)으로부터 멀어지는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음극선관은 네크부(53)안에 마련되는 전자총(54)와 화면(51)에 나란히 전개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화면(51)의 내부에 위치한 작은 구멍의 새도 마스크(shadow mask)(56)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새도 마스크(56)은 일반적으로 정밀한 원형구멍의 3개가 1조로된 작은 구멍(56a)의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화면(51)의 곡률에 따라 휘어져 있다. 새도 마스크(56)은 도시하지 않은 리테이너(retainer)의 수단에 의해 화면(51)의 내부에서 화면(51)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된 지지프레임(57)에 고정되는 바깥둘레부를 가지고 있다.First, in FIG. 19, which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lor cathode ray tube using a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the color cathode ray tube 50 has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from a short diameter end of the conical funnel portion 52 and the funnel portion 52. It includes a high vacuum envelope consisting of a screen portion 51 of the neck portion 53, the opposite side of the neck portion 53 is provided on the long diameter end of the funnel portion 52. The screen 51 arranges the fluorescent film 5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ffective screen portion 100 of the screen 51, and the portion of the screen 51 on which the fluorescent film 55 is disposed is separated from the neck portion 53. It is concave to protrude in the outward direction away. The cathode ray tube is a shadow mask 56 of a small hol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screen 5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lectron gun 54 provided in the neck portion 53 and the screen 51. It includes.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shadow mask 56 is generally composed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a constant pattern of three small holes 56a in which a precise circular hole is formed and bent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screen 51. have. The shadow mask 56 has an outer circumference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frame 57 which is maintained at the same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screen 51 inside the screen 51 by means of a retainer (not shown).

편향요크(1)은 펀넬부(52)와 네크부(53)사이의 경계에서 음극선관(50)의 바깥쪽에 탑재되어 있다.The deflection yoke 1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athode ray tube 50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unnel portion 52 and the neck portion 53.

상술한 구성의 음극선관(50)에 있어서, 전자총(54)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70)은 새도 마스크(56)의 구멍(56a)를 통해 화면(51)을 향해 주행하고 유효스크린부(100) 즉, 형광 스크린에 충돌한다. 그리고 형광스크린부(100)을 향하여 전자총(54)에서 발사된 전자비(70)은 편향요크(1)에 의해 음극선관(5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장을 통과한다. 전자장을 전자빔(70)이 통과하는 동안 전자빔(70)은 유효 전자장의 편향중심(D)에서 편향되고, 새도 마스크(56)의 작은 구멍(56a)를 통과한 후에 형광막(55)의 일정한 부분에 충돌하여 그 부분에서 발광한다.In the cathode ray tube 5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lectron beam 70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54 travels toward the screen 51 through the hole 56a of the shadow mask 56 and the effective screen portion 100 is provided. That is, it hits the fluorescent screen. The electron ratio 70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54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passes through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side the cathode ray tube 50 by the deflection yoke 1. The electron beam 70 is deflected at the center of deflection D of the effective field while the electron beam 70 passes through the electric field,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small hole 56a of the shadow mask 56, the constant of the fluorescent film 55 It hits a part and emits light in that part.

종래의 편향요크(1)을 뒤에서 본, 즉 네크부(53)에서 펀넬부(52)까지를 나타낸 사시도인 제20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페라이트 같은 강자성체로 만든 관형코어(2), 수평 편향코일(3), 수직편향코일(4)를 포함한다. 수평편향코일(3)은 관형코어(2)를 감고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한쌍의 안장형의 코일로 구성되며, 수평방향으로 전자빔(70)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수직편향코일(4)도 환형으로 관형코어(2)를 감고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전자빔(70)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A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1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eck from the neck portion 53 to the funnel portion 52 from the back. As shown, the deflection yoke 1 generally comprises a tubular core 2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ferrite,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4, for example.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consists of a pair of saddle-shaped coils wound around the tubular core 2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necessar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sed to generate Similarl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4 also consists of a pair of coils wound around the tubular core 2 in an annular shape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required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70 in the vertical direction. Used to generate

상술한 구성의 음극선관에 있어서, 새도 마스크(56)의 일부에서 휘거나 돔(dome)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돔 현상은 전자빔(70)의 충돌의 결과로써 새도 마스크(56)이 국부적으로 승온되어 전자빔(70)의 주행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현상이며, 그후 전자빔(70)은 형광스크린부(100)을 향해 주행한다. 그 결과 열이 집중되는 새도 마스크(56)의 상기 국부에서 발생하는 열 팽창은 새도 마스크(56)의 상기 국부를 전자빔(70)의 주행방향에 대해 바깥쪽 즉, 형광 스크린부(100)을 향해 인접한 방향으로 더욱 돌출시킨다. 일단, 이러한 돔 현상이 발생하면 새도 마스크(56)의 상기 국부는 원래의 위치로부터 새도 마스크(56)이 전자빔(70)을 바람직하게 차폐하지 못하는 다른 위치로 바뀌어지며, 형광스크린부(100)에 전자빔(70)이 좋지 않게 통과해서 색순도의 저하를 초래한다.In the cathode ray tub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rt of the shadow mask 56 is bent or a dome phenomenon occurs. This dome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hadow mask 56 is locally raised as a result of the collision of the electron beam 70 and convex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on beam 70, and then the electron beam 70 is the fluorescent screen part 100. Drive towards As a result, thermal expansion occurring in the localized portion of the shadow mask 56 where the heat is concentrated causes the localized portion of the shadow mask 56 to b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on beam 70, that is,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Further protrude in the adjacent direction. Once this dome occurs, the local portion of the shadow mask 56 is chang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where the shadow mask 56 does not preferably shield the electron beam 70, an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 The electron beam 70 passes poorly, resulting in a decrease in color purity.

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중의 하나로써, "Television, Vol. 31, No. 6, p46∼52"에는 새도 마스크의 곡률반경이 가능한한 작아야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As one of the measures for reducing the dome phenomenon, "Television, Vol. 31, No. 6, p46-52" describes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hadow mask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새도 마스크(56)의 곡률은 일반적으로 화면(51)의 형광스크린부(100)이 곡률을 고려하여 선택되므로, 새도 마스크(56)의 곡률 반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은 화면(51)상의 형광스크린부(100)의 곡률반경이 가능한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Since the curvature of the shadow mask 56 is general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of the screen 51, an effective means for reduc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hadow mask 56 is to screen (51). It is to select the smallest possibl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on the image.

그러나 형광스크린부(100)의 보다 작은 곡률반경의 선택은 텔레비젼 시청자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일반적으로 볼록한 새도 마스크(56)과 형광스크린부(100)이 텔레비젼 시청자를 향한 방향으로 더욱 돌출하는 음극선관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제안은 좋은 화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화면을 평면으로 고안하는 최근의 추세와 현저히 다르다.However, the choice of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results in a generally convex shadow mask 56 and a cathode ray in which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further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elevision viewer. The tube was proposed. The proposal of such a cathode ray tube is markedly different from the recent trend of designing a flat screen to provide a good image.

최근의 추세에 비추어볼때, 비구면의 형상으로 된 화면을 가지는 음극선관을 제공하도록 절충되었고 비구면은 SP 패널로써 다음에 기술한다.In light of recent trends, it has been compromised to provide cathode ray tubes with screens in the form of aspherical surfaces, and the aspherical surfaces are described next as SP panels.

여기서 SP 페널의 특징과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선관의 독특한 화상왜곡에 관한 문제점을 설명한다.Here, the problem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 panel and the unique image distortion of the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P panel will be described.

사각형광스크린부(100)을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으로 나타낸 제21도에 있어서, 원점 0는 음극선관(50)의 세로축에 일직선으로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심에 위치하고, x축은 형광스크린부(100)의 사각형상의 긴면에 나란한 방향이고, y축은 형광스크린부(100)의 사각형상의 짧은 면에 나란한 방향이며, z축은 형광스크린부(100)이 돌출한 방향이다. x축, y축은 제19도에 도시한 편향요크(1)의 수평 및 수직편향방향에 각각 해당한다.In FIG. 21 showing the rectangular optical screen unit 100 i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the zero poin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n a straight line with the vertical axis of the cathode ray tube 50, and the x axis is a fluorescent screen unit (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ctangular long surface of 100), the y axis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ctangular short surface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and a z axis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protrudes. The x and y axes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directions of the deflection yoke 1 shown in FIG.

제22도는 편향요크(1)과 형광스크린부(10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제23도는 xy 평면에 주어진 형광스크린부(100)의 반쪽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형광스크린부(100)의 절단면이 z=f(x)이면, X가 임의의 값일때 곡률반경 px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FIG. 22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flection yoke 1 an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and FIG. 2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half portion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given in the xy plane. If the cut surface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s z = f (x), the radius of curvature px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hen X is an arbitrary value.

PX=-(1+(df/dx)2)3/2/(d2f/dx2)P X =-(1+ (df / dx) 2 ) 3/2 / (d 2 f / dx 2 )

따라서, 곡률반경 Px가 정의 값이면 형광스크린부(100)은 +z축방향으로 돌출된다.Therefore,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Px is a positive value,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protrudes in the + z axis direction.

원점 0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형광스크린부(100)의 한쪽 끝까지의 거리를 Xmax라면, SP 패널은 곡률반경이 x=O에서 곡률반경 Po보다 작은 부분을 가질 수 있고, 그 부분은 xy 평면상의 원점 0로부터 멀리 떨어진 각각의 거리 2/3Xmax과 3/4Xmax 사이에 위치한다라고 말할 수 있다.If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0 to one end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in the x-axis direction is Xmax, the SP panel may have a portion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Po at x = O, and the portion is the origin on the xy plane. It can be said that it is located between 2 / 3Xmax and 3 / 4Xmax, each of which is far from zero.

상술한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돔 현상의 발생이 스크린의 평탄도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좋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유를 다음에 기술한다.In the cathode ray tube having the above-described SP panel, the reason why the occurrence of the dome phenomenon can be reduced well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flatness of the screen will be described next.

특히 편향각이 작은 새도 마스크(56)의 국부 즉,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앙(x=O)에 인접한 곳에서 심하게 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새도 마스크(56)의 국부의 변위는 전자빔(70)의 충돌점의 위치에서 어긋남이 작으므로 사실적인 손상이 작고,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앙부근의 평탄도는 SP 패널이 평탄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곡률반경 Po를 비교적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even if the dome phenomenon occurs severely near the center of the shadow mask 56 having a small deflection angle, that is, near the center (x = O) of the fluorescent screen part 100, the local displacement of the shadow mask 56 remains uneven. Since the misalignment is small at the position of the collision point of the electron beam 70, the realistic damage is small, and the flatness near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part 100 is important to make the SP panel look flat, so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Po is relatively large. It is desirable to.

중앙에서부터 거리 Xmax 떨어진 형광스크린부(100)의 주변에서 새도 마스크(56)의 주변부가 지지프레임(57)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새도 마스크(56)의 주변부는 돔 현상으로 인한 열변형이 실질직으로 없어진다. 또한 변형이 있더라도 텔레비젼 시청자의 시선은 SP 패널의 주변부에 집중되지 아니하므로 텔레비젼 시청자는 나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에 비추어 볼때 x=Xmax에서의 곡률반경 P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Since the periphery of the shadow mask 56 is fixed by the support frame 57 in the periphery of the fluorescent screen part 100 away from the center Xmax, the periphery of the shadow mask 56 is substantially deformed due to the dome phenomenon. Disappears directly. Also, even if there is a variation, the television viewer's gaze is not concentrated on the periphery of the SP panel, so the television viewer is not adversely affected. In light of this, the radius of curvature P at x = Xmax is not very important.

이상의 것을 종합해 볼때, 돔 현상의 발생 및 색순도의 부수적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x=O과 x=Xmax사이, 특히 x=2/3Xmax와 x=3/4Xmax 사이의 형광 스크린부(100)의 부분에서의 곡률반경 Px는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심에서의 표면 곡률 Po에 비해 가능한한 작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P 패널은 이러한 결론의 바탕으로 개발된 것이다.Taken together, the portion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between x = O and x = Xmax, in particular between x = 2 / 3Xmax and x = 3 / 4Xmax,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ome phenomenon and incidental deformation of color purit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Px at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compared to the surface curvature Po at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The SP panel was developed based on this conclusion.

재생되는 화상 왜곡에 관한 또 다른 문제점을 다음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구면 형광스크린부(100)을 가지는 음극 선관의 스크린상에 수평으로 나란한 영상선을 재생헐 때의 결과를 제24도에 도시한다. 특히 수평영상선(110)은 제24도의 점선과 같이 서로 나란하게 재생되어야만 되는데, 실제로 재생되는 수평영상선(110)은 휘게되어 x축방향의 거리가 형광스크린부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x축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것은 편향요크(1)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장에서의 편향점(D)와 제19도에 도시한 형광스크린사이의 간격이 x축방향으로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x축방향으로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x축에서 멀어지는 수평 영상선(110)의 변위량을 △y라 가정하면,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에서의 형광스크린부(100)의 좌표점이(x, y)일때 변위량 △y는 실질적으로 x2y에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형광스크린부(100)의 모양이 구면이기 때문에, 형광스크린부(100)이 곡률반경이 감소되면 변위량 △y는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편향요크(1)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장의 형태를 적당하게 조절하면 변위량 △y는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Another problem relating to image distortion to be reproduced is described next. For example, FIG. 24 shows the result of reproducing and deflating horizontally parallel image lines on a screen of a cathode ray tube having a spherical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FIG.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image line 110 should be played side by side like a dotted line in FIG. 24, but the horizontal image line 110 actually reproduced is bent so that the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is fa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on the x axis. Away.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deflection point D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deflection yoke 1 and the fluorescent screen shown in FIG. 19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in the x-axis direction. . Assuming that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horizontal image line 110 farther from the x-axis is Δy as it mov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ordinate point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is When (x, y), the displacement amount Δy is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x 2 y. In general, since the shape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s spherical,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s reduced, the displacement amount Δy may be reduced to some extent. In addition, if the shap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deflection yoke 1 is properly adjusted, the displacement amount? Y can be reduced to some extent.

형광스크린부(100)의 곡률반경을 감소하고 전자장의 형태를 조절하더라도 수평영상선(110)의 상기 왜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는 어렵고 약간의 변위량 △y가 남는다. 그리고 남아 있는 변위량 △y가 여전히 x2y 또은 x의 2차 및 y의 1차의 간단한 함수값에 비례하므로 편향회로에 부가되는 왜곡보상회로는 실질적으로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Even i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is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adjuste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the distortion of the horizontal image line 110 and a slight displacement amount Δy remains. And since the amount of displacement Δy remaining is still proportional to a simple function value of x 2 y or the 2nd order of x and the 1st order of y, the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added to the deflection circuit can substantially reduce the distortion.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동일한 수평영상선(110)이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것을 개략적 설명도인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P 패널에 있어서, xz 평면에서의 형광스크린부(100)의 곡률반경이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편향점(D)와 형광스크린부(100) 사이의 간격 변화량은 xy 평면에서의 x=2/3Xmax인 위치에 대하여 각각 안팎으로 다르며, 따라서 x2y 값에 비례하는 변위량 △y일 뿐만 아니라 x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수평영상선(110)이 형광스크린부(100)의 중심(x>2/3Xmax)으로부터 멀어지는 2/3Xmax의 바깥부분에서 x축에 갑자기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The same horizontal image line 110 is reproduced on the screen in the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P panel with reference to FIG. 25, which is a schematic illustration. In the SP panel, sin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in the xz plane is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ap between the deflection point D an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is x = 2 / in the xy plane. The position of 3Xmax is different from inside to outside, and therefore, not only is the displacement Δy proportional to the value of x 2 y, but also the horizontal image line 110 away from the x axis is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unit 100 (x> 2 / 3Xmax). There is a tendency to approach the x-axis suddenly outside of 2 / 3Xmax away from it.

화면 전체를 평면으로 생각하는 수단의 하나로써 xz 평면에 나란한 평면을 따라 주어진 SP 패널의 하나의 긴쪽 부분(예를 들면, y=Ymax 위치)의 단면에서 볼때, x축으로 수평영상선(110)이 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결과로써 z축방향으로 형광스크린부(100)의 변화량이 감소되는 것을 예측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수평영상선(110)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As a means of thinking of the entire screen as a plane, the horizontal image line 110 in the x-axis when viewed in a cross section of one long side portion (eg, y = Ymax position) of a given SP panel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xz plane. It is also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amount of change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100 in the z-axis direction is reduced as a result of reducing this warpage. When using this method, the horizontal video line 110 reproduced on the screen is as shown in FIG.

제26도에 도시한 왜곡은 시갈(seagal) 왜곡을 나타낸다. 편향회로에 있는 왜곡보상회로의 사용은 시갈왜곡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왜곡보상회로를 고안하는 것이 어렵고, 고안이 가능하더라도 변위량 △y가 x와 y의 고차함수가 되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Distortion shown in FIG. 26 represents seagal distortion. The use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in the deflection circuit is effective to substantially reduce the occurrence of sigal distor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ise a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and even if it is possible, the displacement amount? Y becomes a higher order function of x and y,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thode ray tube.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한 시갈왜곡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종래의 편향요크(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9도와 제20도에 나타낸 편향요크(1)은 또 코어(2)의 세로축에 서로180도 간격을 두며 코어(2)의 큰 직경 끝에 끼워 맞추어진 끝면 플렌저(8a)에 고정되고 전자빔이 형광스크린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발사되는 전자총의 출구에 정렬되는 위치에 있는 한쌍의 양극성 자석(10)을 마련하고 있다. 제27도의 편향요크(1)은 끝면 플렌지(8b)의 반대편에서 코어(2)위에 탑재된 세퍼레이터(8)를 가지고 있다.FIG. 2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1 designed to substantially reduce the occurrence of sigal distortion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7, the deflection yoke 1 shown in FIG. 19 and FIG. 20 also has an end face flanger fitted to the large diameter end of the core 2, spaced 18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re 2; A pair of bipolar magnets 10, which are fixed to 8a and aligned at the exit of the electron gun which the electron beam is emitted outward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are provided. The deflection yoke 1 of FIG. 27 has a separator 8 mounted on the core 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d face flange 8b.

제27도에 도시한 구성의 음극선관의 동작은 제2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양극성 자석(10)의 각각의 크기와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하므로써, 각각의 양극성 자석(10)의 한쪽의 극에서 다른쪽의 극으로 방사되는 양극성 자석(10)에 의해 편향요크(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자속(11)의 수평성분은 4개의 대각선 부분에서 이동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b), (70c), (70d)에 따라 루프를 나타내며 화살표(11y)로 나타낸 바와 같이 y축방향에는 일치하고, x축방향에서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내지 (70d)를 편향시켜서 대각선방향으로 스크린의 중심으로부터 간격을 둔 스크린 4모서리 부분의 어느 한 부분에 나타나는 시갈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athode ray tub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ize and shape of each of the bipolar magnets 10, the inside of the deflection yoke 1 by the bipolar magnet 10 radiated from one pole of the other bipolar magnet 10 to the other pole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magnetic flux 11 generated at is represented by a loop according to the three electron beams 70a, 70b, 70c, and 70d moving in four diagonal portions, as indicated by the arrow 11y. Similarly, three parts of the electron beams 70a to 70d that are coincident in the y-axis direction and away from the x-axis direction appear at any one of four corners of the screen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sigal distortion can be reduced.

이와 반대로, 양극성 자석(10)에 의해 편향요크(1)의 내부에 발생하는 자속(11)의 수직성분을 생각할때 주로 수평방향으로 편향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는 x축 방향의 힘(11x)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서로 향하는 방향 즉, 스크린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를 가깝게 잡아 당기고, 그 결과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는 스크린중심의 안쪽으로 극부 돌출(112a)하여 바늘꽃이 왜곡을 나타내는 제29도의 (112)와 같이 왜곡된다. 그러한 바늘꽃이 왜곡은 형광 스크린부를 향해 주행하는 전자빔이 양극성 자석(10)에 접근함에 따라 2차 함수로 증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스크린의 반대쪽 부분에서 화상왜곡을 보상하는 종래의 바늘꽃이 보상회로의 사용은 배럴왜곡이 스크린중심 부근에서 발생되어도 좋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바늘꽃이 보상회로의 사용은 제29도의 국부돌출(112a)로 나타낸 것과 같은 왜곡을 제거하는 데는 효과가 없다는 부수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On the contrary, when considering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magnetic flux 11 generated inside the deflection yoke 1 by the bipolar magnet 10, three pairs of electron beams 70e and 70f, which are mainly defl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x Affected by the axial force 11x, the three electron beams 70e and 70f are pulled close to each other, that is, toward the screen center, and as a result, three electron beams 70e are pulled. , 70f is distorted as shown in 112 in FIG. 29, in which the pole protrusion 112a is inward of the screen center, and the needle flower exhibits distortion. Such needle flower distortion tends to increase in quadratic function as the electron beam traveling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approaches the bipolar magnet 10, thus using a conventional needle flower compensation circuit that compensates for image dist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The barrel distortion may occur near the screen center. In addition, the use of the conventional needle flower compensation circuit has a side problem that it is not effective to remove the distortion as shown by the local protrusion 112a of FIG.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선관에 발생하는 시갈왜곡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려고 고안된 종래의 편향요크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왜곡인 시갈왜곡은 실질적으로 감소되는 반면에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 왜곡인 바늘꽃이 왜곡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렇게 발생하는 바늘꽃이 왜곡은 재생되는 바늘꽃이 화상상태 어딘가에서 국소적인 오목부를 동반하는 형상으로 균일하지 못하고 복잡하다.Since the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designed to substantially eliminate the sigal distortion occurring in the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P panel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igal distortion, which is a distortion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reduced, while a distortion occurr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ortion of the needle flower tends to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needle flower distortion generated is complicated and not uniform in the shape of the needle flower being reproduced with a local recess somewhere in the image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과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상술한 형태의 개선된 편향요크를 마련하여 음극선관의 SP 패널의 곡면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왜곡을 간단한 수단, 예를 들면 편향코일을 적절하게 감아서 배치하는 것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igned to substantially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n improved deflection yoke of the above-described type to prevent distortions appearing on the curved screen of the SP panel of the cathode ray tube. It is to provide a deflection yoke that can be reduced by simple means, for example by winding the deflection coil appropriately.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여기에 나타낸 편향요크는 관형코어, 코어에 감겨서 코어의 세로축에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며, 형광스크린부를 향해서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1쌍의 제1의 편향코일, 코어에 환형으로 감겨져서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제2의 편향코일을 포함한다. 1쌍의 자석부재는 서로 대향해서 코어에 탑재되며 코어의 세로축에 서로 180도 간격을 두고 코어의 세로축에 수직한 영상수평축에 위치한다. 코어에 탑재된 각각의 자석부재는 다리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긴 몸체로부터 돌출된 1쌍의 다리를 가지는 긴 몸체로 구성된다. 또, 각 자석부재의 자화수단은 각 자석부재의 다리에 소정의 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마련되어 수평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광스크린부의 4모서리 지역의 어느 한 곳을 향해 주행하는 전자빔을 편향하도록 자기 편향력을 발생시키고, 수평축의 부근에서 수평방향으로 자기 편향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The deflection yoke shown he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ular core, wound around the core and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ore, and to horizontally deflect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A first deflection coil of the pair, a second deflection coil wound annularly on the core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air of magnet members are mounted on the core facing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on the image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ore with a 180 degree interval from each other on the vertical axis of the core. Each magnet member mounted to the core is composed of an elongated body having a pair of legs protruding from the elongated bodies with the legs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magnetizing means of each magnet member is provid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pole on the leg of each magnet member, and the magnetic deflection force is applied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traveling toward one of the four corner regions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rizontal axis. It can generate and minimize the magnetic deflection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horizontal axis.

본 발명에 따라 자속이 관형코어의 가로축에 대하여 상, 하부에서 발생되는 것에 의해 위로 향한 편향력과 아래로 향한 편향력은 가로축 위의 상부와 가로축 아래의 하부에서 주행하는 전자빔의 일부를 위쪽 및 아래쪽으로 편향하기 위하여 상하의 대각선부에서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lux is generat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tubular core, so that the upward biasing force and the downward biasing force are dir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n beam traveling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below the horizontal axis. Occurs on the upper and lower diagonals to deflect.

또한, 각각의 자석부재는 예를 들면 E자형 또는 U자형으로 구성되지만, 수평방향에 서로 인접하게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축의 부근에서 주행하는 전자빔의 일부를 편향시키는 실질적인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each magnet member is made of E-shape or U-shape, for example, no substantial force is generated which deflects a part of the electron beam traveling near the horizontal axis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방향에 수반되는 바늘꽃이 왜곡없이, 수직방향에 발생하는 시갈왜곡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egal distortion occurr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distortion of the needle flower accompanying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관형 코어에 감겨 있는 제2의 편향코일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70도 보다 크지 않는 각 이내에 위치하는 주권선과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65도 내지 약 90도의 각 이내에 위치하는 보조권선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flection coil wound around the tubular core has a main winding located within an angle not greater than about 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uxiliary winding located within an angle between about 65 degrees and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consists of.

상술한 구성의 제2의 편향코일의 사용은 시갈왜곡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특히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70도 보다 크지 않은 각도 이내에 위치하는 제2의 편향코일의 주권선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때 합성자속은 수직방향으로 후자를 편향시키도록 전자빔의 일부에 작용하는 반면,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65도 내지 약 90도 각 이내에 위치하는 제2의 편향코일의 보조권선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때 합성자속은 음극선관의 스크린의 대각선방향으로 후자를 편향시키도록 전자빔의 일부에 작용한다. 대각선방향으로 전자빔의 일부를 편향하는데 작용하는 힘은 수평 방향으로 스크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즉 전자빔이 제2의 편향코일의 보조권선에 접근함에 따라 강해져서, 시갈왜곡은 실질적으로 유효하게 감소될 수 있다.The use of the second deflection coi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occurrence of sigal distortion. In particular,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main winding of the second deflection coil located within an angle no greater than about 70 degrees relative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mposite magnetic flux acts on the part of the electron beam to deflect the lat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vertical direction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auxiliary winding of the second deflection coil located within an angle of about 65 degrees to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mposite magnetic flux acting on the part of the electron beam to deflect the latter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The force acting on deflecting a part of the electron beam in the diagonal direction becomes stronger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reases, i.e., as the electron beam approaches the auxiliary winding of the second deflection coil, the sigal distortion is substantially Can be effectively reduced.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참조 도면에서의 번호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 것임에 유의한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ed that the same numbers in the reference figures indicate the same parts.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1)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같은 강자성체로 만든 범용의 관형 코어(2), 수평편향코일(3), 수직편향코일(4)로 구성된다. 수평편향코일(3)은 관형코어(2)에 감기고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안장형 코일로 구성되며,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수직편향코일(4)도 관형코어(2)에 환형으로 감기고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코일로 구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In FIG. 1, the deflection yok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eneral-purpose tubular core 2,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4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ferrite. It is composed.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is composed of a pair of saddle coils wound on the tubular core 2 and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necessar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Similarl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4 is also composed of a pair of coils wound annularly on the tubular core 2 and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necessar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또한, 제1도에 도시한 편향요크(1)은 수평편향코일(3), 수직편향코일(4)을 지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8)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8)은 컬러음극선관의 펀넬부에 인접한 앞쪽 끝면 플랜지(8a)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인접한 뒤쪽 끝면 플랜지(8b)로 구성된다.Further, the deflection yoke 1 shown in FIG. 1 includes a separator 8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4, and the separator 8 includes a funnel of a color cathode ray tube. It consists of a front end flange 8a adjacent to the channel portion and a rear end flange 8b adjacent to the neck portion of the cathode ray tube.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1)은 관형코어(2)의 양쪽에 마련되고 관형코어(1)의 가로축에 위치하는 자석부재(12)를 포함한다. 관형코어(2)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 자석부재(12)는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유지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부재(12)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긴 몸체(12c)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반대쪽 끝에서 돌출된 1쌍의 다리(12b), 다리(12b)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다리(12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한 중간다리(12a)를 가지는 긴 몸체(12c)로 구성되며, 각각의 자석부재(12)는 전체적으로 E자형으로 구성된다.The deflection yok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magnet member 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core 2 and positioned on the transverse axis of the tubular core 1. The magnet members 1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core 2 are hel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magnet members 12 has a pair of legs 12b and legs 12b which protrude from their opposite 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ongated body 12c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n elongated body 12c having a middle leg 12a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protrusions and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gs 12b, and each magnet member 12 is composed of an E shape as a whole.

이러한 자석부재(12)는 다리(12a), (12b)가 관형코어(2)를 마주보는 상태에서 관형코어(2)에 탑재되는 반면 자석 부재(12)의 한쪽의 다리(12a)와 (12b)는 자석부재(12)의 다른쪽의 다리(12a), (12b)와 관형코어(2)의 가로방향에 평행인 방향으로 배열한다.The magnet member 12 is mounted on the tubular core 2 with the legs 12a, 12b facing the tubular core 2, while one leg 12a and 12b of the magnet member 12 is mounted. )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other legs 12a, 12b of the magnet member 12 and the tubular core 2.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은 각각의 자석부재(12)에 마련된 자화코일(13)을 포함하며, 상기 자화코일(13)은 자화수단의 1예를 형성한다. 이러한 자화코일(13)은 각 자화부재(12)의 중간다리(12a)주위에 감겨져 있다. 전류가 자화코일(13)을 통해 흘러서 각 자석부재(12)의 다리(12a), (12b)를 소정의 극 즉, N극과 S극으로 양극화될때 재생되는 영상의 시갈왜곡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필요한 각각의 왜곡보상 전자석(14)는 중간다리(12a)의 전체주위를 감은 각각의 자화코일(13)을 가지는 자석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deflection yoke 1 includes a magnetization coil 13 provided in each magnet member 12, and the magnetization coil 13 forms an example of magnetization means. The magnetizing coil 13 is wound around the middle leg 12a of each magnetizing member 12.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magnetizing coil 13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igal distortion in the image reproduced when the legs 12a, 12b of each magnet member 12 are polarized to predetermined poles, i.e., the north pole and the south pole. Each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electromagnets 14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gnet member 12 having respective magnetization coils 13 wound around the entire intermediate leg 12a.

제1도에 도시한 구성의 편향요크(1)은 다음의 방법으로 동작한다.The deflection yoke 1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operates in the following manner.

제2도는 편향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편향전자장을 통해서 형광스크린부를 향해 주행하는 전자빔이 음극 선관의 세로축에 수직인 x축 위의 스크린의 모서리 지역을 향해 편향될때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왜곡보상 전자석(14)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3도도 편향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편향전자장에서 주행하는 전자빔이 x축 아래의 스크린의 모서리지역을 향해 편향될 때 왜곡보상 전자석(14)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나타낸다.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eflection yoke 1 in order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when an electron beam traveling through the deflection electromagnetic field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is deflected toward an edge region of the screen on the x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thode ray tube. How the distortion compensation electromagnet 14 operates. 3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front of the deflection yoke 1 and shows how the distortion compensation electromagnet 14 operates when the electron beam traveling in the deflection electromagnetic field is deflected toward the corner region of the screen below the x-axis.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소정의 극성의 수직 편향전류가 자화코일(13)에 흐르면 자석부재(12)의 한쪽 예를 들어, 제2도에 도시한 왼쪽의 자석부재(12)의 중간다리(12a)는 N극이 되고, 다리(12b)는 S극이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a vertical deflection current of a predetermined polarity flows through the magnetizing coil 13, one of the magnet members 12, for example, the left magnet member 12 shown in FIG. The middle leg 12a of the side becomes an N pole, and the leg 12b becomes an S pole.

그 결과(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다리(12a)에서 한쪽다리(12b)로, 또한 중간다리(12a)에서 다른쪽 다리(12b)로 자력선이 루프된다. 동시에 오른쪽 자석부재(12)의 중간다리(12a)는 S극이 되고, 다리(12b)는 N극이 된다. 그 결과(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12b)에서 중간다리(12a)로 자력선이 루프된다.As a result, as shown by 11, the lines of magnetic force are looped from the middle leg 12a to one leg 12b and from the middle leg 12a to the other leg 12b. At the same time, the middle leg 12a of the right magnet member 12 becomes the S pole, and the leg 12b becomes the N pole. As a result, as shown by 11, the lines of magnetic force loop from the respective legs 12b to the middle legs 12a.

따라서 중심에서 2/3Xmax의 간격을 둔 형광스크린부의 모서리지역을 향하여 편향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b)는 위쪽으로 향하는 편향력의 영향을 받아 위쪽으로 즉, x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에 의해 제4도의 (111)로 나타낸 시갈형태의 왜곡과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선이 제4도의 실선(110)으로 나타낸 수평 주사선과 일치하도록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A)로 표시된 스크린의 양측에 나타나는 바늘꽂이 왜곡도 실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보상될 수 있다.Therefore, three pairs of electron beams 70a and 70b, which are deflected toward the corner region of the fluorescent screen part spaced 2 / 3Xmax from the center, are upwards, i.e., away from the x-axis under the influence of upward biasing force. The deflection may be compensated so that the distortion of the sigal shape represented by (111) of FIG. 4 and the line reproduced on the screen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scanning line represented by the solid line 110 of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needle bar distortion appearing on both sides of the screen indicated by the virtual line A can also be compensated as shown by the solid line.

전자빔이 x축의 아래 형광스크린부의 모서리지역을 향하여 편향되는 곳에서는 루프된 자력선이 자화코일(13)에 흐르는 수직 편향전류의 반전된 극성에 의해 극성이 반전되기 때문에 3개가 1조인 전자빔(70c), (704)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편향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쪽으로 편향되는 것에 의해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선과 시갈왜곡의 가상선(111)이 유사하게 보상되어 수평 주사선(110)과 제5도에 도시한 바늘꽂이 왜곡의 가상선(A)가 일치하고 또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의 양쪽상에서 보상될 수 있다.Where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toward the corner region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below the x-axis, the polarized rays are inverted by the inverted polarity of the vertical deflectio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zing coil 13, so that the three electron beams 70c, 704 is similarly compensated for the line reproduced on the screen and the virtual line 111 of the sigal distortion by the downward defl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downward biasing force, as shown in the horizontal scan line 110 and FIG. The imaginary line A of the needle loop distortion coincides and can be compensated on both sides of the screen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편향력(1Oy)는 3개가 1조인 전자빔이 편향되는 위치에서 동시에 변화하여 3개가 1조인 전자빔이 수직 편향전류의 결과로써 x축을 따라 주행될 때 편향력(1Oy)는 0이 되어도 좋지만, 3개가 1조인 전자빔이 형광스크린부의 4모서리지역의 어느 한 곳으로 편향될 때 편향력(10y)는 x축, y축 방향으로 형광스크린부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해도 좋다. 따라서 제29도에서(112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재생 화상에서의 돌출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단지 제4도의 시갈왜곡(111)만 효과적으로 보상된다.The deflection force (1 Oy) may change simultaneously at the position where the three trillion electron beams are deflected so that when the three trillion electron beams travel along the x-axis as a result of the vertical deflection current, the deflection force (1 Oy) may be zero, but three When a pair of electron beams are deflected to any one of the four corner regions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the deflection force 10y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Thus, as shown by 112a in FIG. 29, no protrusion phenomenon in the reproduced image occurs, and only the sigal distortion 111 in FIG. 4 is effectively compensated.

각각의 왜곡보상 전자석(14)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추어도 좋다. 제6(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각 자석부재(12)의 중간다리에 감겨진 단일자화코일의 사용 대신에 2개의 자화 코일(13a), (13b)가 사용되고 각 자석 부재(12)의 다리(12b)에 감겨 진다.Each of the distortion-compensated electromagnets 14 may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6 to 8.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a). Instead of using a single magnet coil wound around the middle leg of each magnet member 12 shown in FIGS. 1 to 3, two magnetizing coils 13a and 13b are used and the legs of each magnet member 12 are used. It is wound up at 12b.

제6(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2개의 자화코일(13a),(13b)는 중간다리(12a)와 한쪽의 다리(12b)사이, 중간다리(12a)와 다른쪽의 다리(12b)사이에서 각 자석부재(12)의 긴 몸체(12c)의 각 부분을 감는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b), the two magnetizing coils 13a and 13b are disposed between the middle leg 12a and one leg 12b, the middle leg 12a and the other leg ( Each part of the elongated body 12c of each magnet member 12 is wound between 12b).

제7(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부재(12)는 제1도 내지 제3도, 제6(a)도, 제6(b)도의 어느 하나에 도시한 다리(12b)의 기능과 같은 반대쪽끝(120b)를 가지며, 또한 자화 코일(13)이 감겨진 중간다리(12a)를 가지는 아치형 몸체를 포함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 each of the magnet members 12 is a leg 12b shown in any of Figs. 1 to 3, 6 (a) and 6 (b). And an arcuate body having the opposite end 120b, which has the function of a), and also having an intermediate leg 12a on which the magnetizing coil 13 is wound.

제7(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1쌍의 끝쪽 벽(212b), 바닥쪽 벽(212c), 1쌍의측벽(2126)를 마련하도록 4각의 공동(213)을 가지며, 또한 바닥쪽 벽(212c)에서 공동(213)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2a)를 가지는 4각형 몸체(212)로 구성된다. 자화 코일(13)은 4각형 몸체(212)의 공동(213)의 내부에 위치하며 돌출부(212a)에 감겨진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끝쪽 벽(212b)와 돌출부(212a)는 제1도내지 제3도, 제6(a)도, 제6(b)도에 도시한 각 자석부재의 다리(12b)와 중간다리(12a)의 기능과 서로 일치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b). Each magnet member 12 has a quadrilateral cavity 213 to provide a pair of end walls 212b, a bottom wall 212c, and a pair of side walls 2126, and also a bottom wall 212c. It is composed of a quadrilateral body 212 having a projection (212a) protruding into the cavity (213) in the). The magnetizing coil 13 is located inside the cavity 213 of the quadrilateral body 212 and is wound around the protrusion 212a. In this structure, the end wall 212b and the projection 212a are intermediate with the legs 12b of the respective magnet members shown in FIGS. 1 to 3, 6 (a) and 6 (b). The functions of the legs 12a coincide with each other.

제8(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자석부재(12)의 다리(12b)는 반대극으로 자화되어, 자석부재(12)는 영구자석이 된다. 제8(a)도의 본 예에 따른 자석부재(12)는 제27도에 도시한 종래의 편향요크에 사용된 시갈왜곡 보상 자석(10)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가 나타나도록 고안되었다. 제8(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자석부재(12)는 자화되지 않는 반면, 영구막대 자석(10)은 각 자석부재(12)의 긴 몸체(12c)에 고착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a), the legs 12b of each magnet member 12 are magnetized to the opposite poles, and the magnet members 12 become permanent magnets. The magnet member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of FIG. 8 (a) is designed to exhibit the secondary effect as shown by the sieg distortion distortion magnet 10 used in the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shown in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b), each magnet member 12 is not magnetized, while the permanent bar magnet 10 is fixed to the elongated body 12c of each magnet member 12.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전자석(14)를 사용하므로써, 자석부재(12)와 결합하는 영구자석을 사용한 결과로써 나타나는 스크린 양측상의 왜곡은 제27도에 도시한 종래의 편향요크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구막대 자석(10)만을 사용해서 초래된 결과인 왜곡이 제5도에 도시한 스크린의 상, 하부에서 발생하는 국부 바늘꽂이 왜곡과 일치하는 제5도의 점선(B)로 표시한 바늘꽂이 왜곡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바늘꽂이 왜곡의 변화는 상부에서 하부로 부드럽게 휘는 종래의 기술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왜곡 보상 회로에 의한 왜곡의 보상은 쉽게 이를 수 있다.By using the electromagnets 14 shown in FIGS. 8 (a) and 8 (b), the distortion on both sides of the screen resulting from the use of permanent magnets in combination with the magnet member 12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deflection yoke, the dotted line of FIG. 5 is consistent with the local needle thread distortion occurring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en shown in FIG.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needle bar distortion indicated by B). This change in needle holder distortion is a conventional technique that gently bends from top to bottom. Therefore, the compensation of the distortion by the conventional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can be easily achieved.

제9(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자석부재(12)가 제6(a)도에 도시한 구성을 지니는 반면, 제6(a)도의 자석부재(12)에 사용된 것과 다른 전력 공급회로가 사용된다. 제9(a)도에 도시한 전력 공급회로는 다이오드(15)로 구성되고, 자화코일(13a),(13b)중 1개만 통해 수직 편향전류를 공급하도록 고안되어 전자빔이 편향되는 지역에서만 자력선이 발생하여 자화코일(13a), (13b)의 다른쪽은 작동하지 않는다. 특히 자화 코일(13), (14)는 수평축에 대하여 상부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전류에만, 그리고 수평축에 대하여 하부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산 수직 편향전류에만 각각 마련되어 있다. 자화코일(13a), (13b)는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몸체(12c)에 감겨져도 좋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 each magnet member 12 ha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a), while different from that used in the magnet member 12 in FIG. Power supply circuits are used. The power supply circuit shown in FIG. 9 (a) is composed of a diode 15, and is designed to supply a vertical deflection current through only one of the magnetizing coils 13a and 13b so that the magnetic lines are only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The other side of the magnetizing coils 13a and 13b does not work. In particular, the magnetizing coils 13 and 14 are provided only in the vertical deflection current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and only in the acid vertical deflection current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The magnetizing coils 13a and 13b may be wound around the elongated body 12c as shown in FIG. 6 (b).

제9(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다리(12b)를 가지는 U자형의 몸체(312c), 그리고 몸체(312c)에 감겨지고 다리(12b)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화코일(13)으로 구성된다. 제9(b)도에 도시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관형코어(2)에 탑재되는 반면, 자화코일(13)은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망으로 형성된 전파 정류기(16)을 통하여 수직 편향전류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b), each magnet member 12 is wound in a U-shaped body 312c having a leg 12b, and wound between the body 312c and intermediate between the legs 12b. It consists of a magnetizing coil 13 located at. Each magnet member 12 shown in FIG. 9 (b) is mounted to the tubular core 2 in a manner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2, while the magnetizing coil 13 is a full-wave rectifier formed of a diode bridge network. (16) is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vertical deflection current.

제9(b)도에 도시한 자석부재(12)의 구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력선(11)은 제28도에 도시한 자석에서 발생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제9(b)도에 도시한 자석부재(12)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은 전자빔이 x축에 대해 상하로 편향됨에 따라 자력이 강해지는 방식으로 수직 편향전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빔이 x축을 따라 주행될 때는 0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9(b)도의 예는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 돌출부를 가지는 바늘꽂이 왜곡을 실질적으로 수반하지 않고 시갈왜곡을 보상하는데 효과적이다.The magnetic force line 11 genera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 member 12 shown in FIG. 9 (b) is similar to that generated by the magnet shown in FIG. 28, but the magnet member (shown in FIG.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in 12) changes as the vertical deflection current changes in such a way that the magnetic force becomes stronger as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x axis. However, when the electron beam travels along the x axis it will be zero. Therefore, the example of FIG. 9 (b) is effective in compensating for the sigal distortion without substantially involving the needle bar distortion with local protrusions as shown in FIG.

제9(c)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부재(12)는 자화코일(13)이 형성된 둘레에 긴 몸체(12c) 또는 중간부를 실질적으로 가지는 막대로 구성된다. 자화코일(13)은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망으로 형성된 전파 정류기(16)을 통하여 수직 편향전류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9(c)도에 도시한 자석부재(12)의 구성은 제9(b)도에 도시한 자석부재(12)에 의해 얻은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c), each magnet member 12 is composed of a rod having a long body 12c or an intermediate portion substantially around the magnetized coil 13 formed thereon. The magnetizing coil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ource of vertical deflection current through a full wave rectifier 16 formed of a diode bridge network.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 member 12 shown in FIG. 9 (c) can achieve an effect similar to that obtained by the magnet member 12 shown in FIG. 9 (b).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9(b)도에 도시한 구성이 각 자석부재는 다리(12b)둘레를 감은 2개의 자화코일을 갖도록 변형되어도 좋다.Although not show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9 (b) may be modified such that each magnet member has two magnetizing coils wound around the leg 12b.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8.

본 발명의 2실시예를 도시한 제10도에 있어서, (15)는 각각의 다리(12a)와 (12b)에 대향한 E자형 자석부재(12)의 긴 몸체(12c)의 한쪽측에 고착된 영구막대 자석을 나타내며, 상기 영구막대 자석(15)는 긴 몸체(12c)보다 길이가 길다. 각각의 E자형 자석부재(12)의 영구막대 자석(15)는 한쪽의 영구막대 자석(15)의 반대쪽 끝에서의 N극, S극이 다른쪽의 영구막대 자석(15)의 반대쪽 끝에서의 S극, N극에 각각 대향하도록 서로 연관시켜서 배열된다.In Fig. 10 showing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fixed to one side of the elongated body 12c of the E-shaped magnet member 12 opposite to each of the legs 12a and 12b. The permanent bar magnet, which is longer than the long body 12c. The permanent bar magnet 15 of each E-shaped magnet member 12 has an N pole at the opposite end of one permanent bar magnet 15 and an S pole at the opposite end of the other permanent bar magnet 15. They are arrang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o face the S pole and the N pole, respectively.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라 각 자석부재(12)용 영구막대 자석(15)를 사용한 편향요크(1)은 다음의 방식으로 동작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ion yoke 1 using the permanent bar magnet 15 for each magnet member 12 operates in the following manner.

제11도는 영구 막대 자석이 위치한 부분에서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주어진 편향 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11도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영구막대 자석(15)와 E자형 자석부재(12)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자력선(11)의 루프는로 나타낸 각 위치에서 발생한다. 자력선(11)의 루프의 효과, 즉위치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 (70b), (70a)는 각각 편향력(10y)가 위쪽으로 영향을 주어 위쪽으로 편향되며위치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c), (70d)는 각각 편향력(10y)가 아래쪽으로 영향을 주어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편향력(10y)는 자석부재(12)로부터 멀어지지 않을수록 2차 함수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d)가 4각 형광 스크린부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갈왜곡이 좋게 보상된다.11 is a cross sectional view from the front of a given deflection yoke 1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t the portion where the permanent bar magnet is located.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 11, the loop of the magnetic force line 11 is combined by combining each permanent bar magnet 15 and the E-shaped magnet member 12. Occurs at each location indicated by. The effect of the loop of the magnetic field lines 11, i.e. Three pairs of electron beams 70b and 70a traveling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are deflected upwards by the biasing force 10y upwards, respectively. The three electron beams 70c and 70d traveling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are deflected downwards by the deflection force 10y. In addition, each of the deflection forces 10y increases as a quadratic function not far from the magnet member 12. Therefore, the segal distortion which may occur when three pairs of electron beams 70a and 70d are deflect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quadrangular fluorescent screen portion is well compensated.

한편,로 표시한 각각의 위치에서의 자력선은위치에서의 자력선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x축을 향하고 x축의 안쪽으로 편향되도록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가 영향을 받는 자력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바늘꽂이 왜곡과 국부 돌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magnetic field lines at each position marked with Since it is much smaller than the line of magnetic force at the position, the magnetic force affected by the three-pair electron beams 70e and 70f toward the x-axis and deflected inward of the x-axi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us reducing needle-hold distortion and local protrusion. You can.

제12도는 영구막대 자석(15)를 수반하는 E자형 자석 부재(12)가 음극선관의 화면에 인접한 세퍼레이터(8)의 앞쪽 끝면 플랜지(8a)의 외부구면(8c)에 고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며, 제10도의 자석 부재(12)는 앞쪽 끝면 플랜지(8a)의 뒤쪽 플랜지 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배열도 합성 편향요크(1)을 제10도에 도시한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게 한다.1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shaped magnet member 12 carrying the permanent bar magnet 15 is fixed to the outer spherical surface 8c of the front end flange 8a of the separator 8 adjacent to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10 shows that the magnet member 12 of FIG. 10 is fixed to the rear flange face of the front end flange 8a. This arrangement also achieves a similar effect by operating the synthetic deflection yoke 1 in a similar manner to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제13도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1)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3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1)은 제10도에 나타낸 2실시예의 편향요크(1)과 다르다. 즉 제10도는 E자형 자석부재(12)를 사용하였지만, 제13도에 도시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단지 1쌍의 다리(12b)만 가지는 긴 몸체(12c)를 포함하는 U자형의 자석부재(12)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flection yok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ion yoke 1 according to these three embodiments is different from the deflection yoke 1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That is, although FIG. 10 uses an E-shaped magnet member 12, each of the magnet members 12 shown in FIG. 13 has a U-shaped shape including an elongated body 12c having only one pair of legs 12b. It is a magnet member 12.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영구 막대 자석(15)와 결합한 U자형 자석 부재(12)를 사용하는 편향요크(1)의 동작은 제14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14도는 각각의 영구막대 자석(15)를 가지는 U자형 자석부재(12)가 위치하는 곳에서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주어진 편향 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As shown in FIG. 13, the operation of the deflection yoke 1 using the U-shaped magnet member 12 engaged with each permanent bar magnet 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front of the deflection yoke 1 given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where the U-shaped magnet member 12 with each permanent rod magnet 15 is located. .

제1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영구막대 자석(15)와 U자형 자석 부재(12)를 결합하므로써, 자력선(11)의 루프는로 표시한 각각의 위치에서 발생한다. 자력선(11)의 루프의 효과에 의해서위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b)는 각각 편향력(10y)가 위쪽으로 영향을 주어 위쪽으로 편향되며위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c), (70d)는 각각 편향력(10y)가 아래쪽으로 영향을 주어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제11도에서 설명한 편향요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갈왜곡이 좋게 보상되면서, 바늘꽂이 왜곡과 국부 돌출의 각각의 발생이 감소된다.As can be seen in FIG. 14, by coupling each permanent bar magnet 15 and the U-shaped magnet member 12, the loop of the magnetic force line 11 Occurs at each location marked with. By the effect of the loop of the magnetic field lines 11 Three pairs of electron beams 70a and 70b traveling near the position are deflected upwards by the biasing force 10y upward. The three electron beams 70c and 70d traveling near the position are deflected downward due to the downward biasing force 10y. As a result, as in the case of the deflection yoke 1 described in FIG. 11, the segal distortion is well compensated, and the occurrence of each of the needle bar distortion and the local protrusion is reduced.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도와 유사한 방법으로 영구막대 자석(15)를 수반하는 U자형 자석부재(12)는 세퍼레이터(8)의 끝면 플랜지(8a)의 외부구면(8c)에 고착되어 있다. 제15도의 이러한 배열도 합성 편향요크(1)을 제13도에 도시한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는다. 일련의 실험에 의해 제1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U자형 자석 부재(12)의 사용에 비하여 제1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E자형 자석부재(12)의 사용이 x축(y=0) 부근에서의 자력선이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왜곡이 더욱 효율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As shown in FIG. 15, the U-shaped magnet member 12 carrying the permanent bar magnet 15 is fixed to the outer spherical surface 8c of the end face flange 8a of the separator 8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FIG. have. This arrangement of FIG. 15 also causes the synthetic deflection yoke 1 to operate in a similar manner to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According to a series of experiments, the use of the E-shaped magnet member 12 in the embodiment of FIG. 12 is closer to the x-axis (y = 0) than the use of the U-shaped magnet member 12 in the embodiment of FIG. 15. It has been found that the distortion of the magnetic field lines in E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distortion can be compensated more efficiently.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편향요크(1)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같은 강자성체로 만들어진 관형 코어(2), 수평편향코일(3), 수직편향코일(4)를 포함한다. 수평편향코일(3)은 관형코어(2)에 감기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안장형 코일로 구성되며,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 수평편향코일(4)는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the deflection yoke 1 comprises a tubular core 2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ferrite,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4, for example.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 consists of a pair of saddle coils wound on the tubular core 2 and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necessar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4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necessar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수직편향코일(4)는 관형코어(2)에 감기고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주코일(4a), (4b)와 관형코일(2)의 x축 또는 가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2쌍의 보조코일(4a-1), (4a-2) 및 (4b-1), (4b-2)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코일(4a-1), (4b-1) 및 (4a-2), (4b-2)는 주코일(4a), (4b)쌍의 각 측면에 위치한다. 주코일(4a), (4b)는 y축에 대하여 약 70°보다 크지 않은 각도로 전개되도록 위치하며 보조코일(4a-1), (4a-2) 및 (4b-1), (4b-2)쌍은 y축에 대하여 약 65°내지 약 90°의 각도로 전개되도록 위치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4 are tubular with the pair of main coils 4a, 4b which are wound on the tubular core 2 and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two pairs of auxiliary coils 4a-1, 4a-2 and 4b-1 and 4b-2 which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x axis or the horizontal axis of the coil 2. The auxiliary coils 4a-1, 4b-1, 4a-2, and 4b-2 are located on each side of the pair of main coils 4a and 4b. The main coils 4a and 4b are positioned to develop at angles not greater than about 70 ° with respect to the y axis and the auxiliary coils 4a-1, 4a-2 and 4b-1 and 4b-2. The pairs are positioned to develop at an angle of about 65 ° to about 90 ° with respect to the y axis.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는 구조의 편향 요크(1)은 다음의 방법으로 동작한다. 제17도는 각각의 코일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전자빔이 편향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17도에 있어서, 기호와 ⓧ는 각각의 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과 전자빔(70)의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제18도는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의 원점에 정렬된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편향 요크(1)의 관계를 중첩하여 제17도에 나타낸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의 제1상한, 즉 위쪽의 오른편 상한으로 구분한 편향요크(1)의 단면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1상한을 참조로 한 다음의 설명은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의 제2상한 내지 제4상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deflection yoke 1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operates in the following manner. 17 shows a direction in which current flows through each coil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In Figure 17, the symbol And 을 indicate the flow of current through each coil and the direction of the electron beam 70, respectively. 18 shows the first upper limi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shown in FIG. 17, i.e., the upper right upper limit, by superimposing the relationship of the deflection yoke 1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ligned at the origin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It is the figure which expanded the cross-sectional part of the deflected yoke 1 divid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first upper limit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second to fourth upper limits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제18도에 있어서, 3개가 1조인 전자빔(70)이 수평방향코일(3)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과 수직편향코일(4)의 주코일(4a)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의 효과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의 대각선방향으로 편향될 때, 3개가 1조인 전자빔(70)은 보조 코일(4a-1)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11)에 의해 발생된 위쪽의 오른편으로 향하는 힘(10y)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위쪽의 오른편으로 향하는 힘(10y)는 x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즉 전자빔(70)이 보조코일(4a-1)에 접근함에 따라 강해진다. 그러므로 제26도에 도시한 시갈왜곡이 보상될 수 있다.In FIG. 18, three sets of electron beams 70 are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by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horizontal coil 3 and the current through the main coil 4a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4. As a result, when deflected upward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8, the three-piece electron beam 70 is caused by the magnetic force line 11 generated by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auxiliary coil 4a-1. It is affected by a force 10y directed upwards to the generated right. This upwardly directed force 10y becomes stronger as the distance from the x-axis increases, that is, as the electron beam 70 approaches the auxiliary coil 4a-1. Therefore, the sigal distortion shown in FIG. 26 can be compensated for.

도시하지 않은 제2, 제3, 제4상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3개가 1조인 전자빔은 각각 위쪽의 왼편으로 향하는 힘, 아래쪽의 왼편으로 향하는 힘, 아래쪽의 오른편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제26도에 도시한 시갈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Similarly,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quadrants not shown, three pairs of electron beams were affected by the force directed upward left, the force directed downward left, and the force directed downward downward. It can compensate for the sigal distortion shown in.

일련의 실험의 결과로써, 보조코일(4a-1), (4a-2), (4b-1), (4b-2)가 위치하는 최적영역은 왜곡보상효과를 극대화하도록 Y축에 대하여 약 70°영역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일련의 실험의 결과로써, 주코일(4a), (4b)가 위치하는 최적영역은 전자빔의 소정의 수직편향을 수반하도록 y축에 대하여 양 측면에 0°내지 약 60°로 전개되는 영역이라는 것도 발견했다. 따라서 제16도 및 제17도에 있어서 약 60°의 각도는 y축에 대하여 양측면에 나타낸다. 그러나 주코일(4a), (4b)가 위치하는 영역은 70°까지 전개될 수 있고, 보조코일에 중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적절한 영역은 0°내지 약 65°로 전개되는 지역으로 감소된다.As a result of a series of experiments, the optimum region in which the auxiliary coils 4a-1, 4a-2, 4b-1, and 4b-2 are located is about 70 with respect to the Y axis to maximize the distortion compensation effect. We found that it was a zon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series of experiments, the optimum region in which the main coils 4a and 4b are located is a region that is developed from 0 ° to about 60 °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y axis so as to accompany a predetermined vertical deflection of the electron beam. Also found. Thus, in FIGS. 16 and 17, an angle of about 60 ° is shown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y axis. However, the area where the main coils 4a and 4b are located can be developed up to 70 °, and the appropriate area to avoid overlapping the auxiliary coil is reduced to an area that is developed from 0 ° to about 65 °.

또한 주코일(4a), (4b)가 보조 코일(4a-1), (4a-2), (4b-1), (4b-2)에 중복하도록 위치하려면, 주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효과와 보조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효과가 서로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코일의 관계를 중첩할 때 주코일의 위치를 피하는 것이 적절하다.Also, if the main coils 4a and 4b are positioned so as to overlap the auxiliary coils 4a-1, 4a-2, 4b-1 and 4b-2, the deflection effect caused by the main coils The bias effects caused by the and the auxiliary coils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void the position of the main coil when overlapping the relation of the auxiliary coils.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concretely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Of cours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Claims (2)

펀넬부(52)와 네크부(53)을 가지는 음극선관(50)에 사용되고, 판넬부(52)와 네크부(53) 사이의 경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음극선관(50)에 탑재되어 있는 편향요크(1)에 있어서, 관형코어(2), 상기 관형코어(2)에 감겨지고 관형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어 전자총(54)에서 발사되는 전자빔(70)을 형광스크린부(100)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는 제1의 편향코일(3), 상기 관형코어(2)에 환형으로 감겨져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전자빔(70)을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며, 수직방향에 대하여 70°보다 크지 않은 각도로 연장하도록 위치된 주권선수단(4a,4b)와 수직방향에 대하여 65° 내지 90°의 범위 이내의 각도로 연장하도록 위치된 보조권선수단(4a-1, 4a-2, 4b-1, 4b-2)으로 구성되는 제2의 편향코일(4)를 포함하는 편향요크.Deflection used in the cathode ray tube 50 having the funnel portion 52 and the neck portion 53 and mounted on the cathode ray tube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panel portion 52 and the neck portion 53. In the yoke (1), a fluorescent screen for the electron beam 70 is wound around the tubular core (2), the tubular core (2)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ular core (2) and fired from the electron gun (54). A first deflection coil 3 which acts to defle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s the part 100, wound around the tubular core 2 in an annular manner to act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7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in winding means 4a, 4b positioned to extend at an angle not greater than 70 °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nd auxiliary winding means 4a-1, 4a positioned to extend at an angle within the range of 65 ° to 9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 deflection yoke comprising a second deflection coil (4) consisting of -2, 4b-1 and 4b-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권선수단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0° 내지 60°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편향요크.The deflection yoke of claim 1, wherein the main winding means is located within a range of 0 ° to 6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요약서관형코어와 제1 및 제2의 편향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로서, 음극선관의 SP패널의 곡면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왜곡을 감소시기키 위해, 제1의 편향코일이 관형코어에 감겨지고 관형코어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대칭으로 배열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형광스크린부를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제2의편항코일이 관형코어에 환형으로 감겨져서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킨다.이러한 편향요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음극선관의 패널의 곡면스크린상에 나타나는 왜곡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A deflection yoke consisting of a tubular core and first and second deflection coils, in which a first deflection coil is wound around the tubular core and reduced in distortion on the curved screen of the SP panel of the cathode ray tube. The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which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re deflected horizontally toward the fluorescent screen portion, and the second deflection coil is wound in an annular shape on the tubular core to deflect the electron beam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doing so, the distortion appearing on the curved screen of the panel of the cathode ray tube can be reduced.
KR1019900015481A 1987-05-25 1990-09-28 Daflection yoke KR910001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481A KR910001402B1 (en) 1987-05-25 1990-09-28 Daflection y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7828 1987-05-25
JP62127828A JPS63292552A (en) 1987-05-25 1987-05-25 Deflecting yoke
JP62-134270 1987-05-27
JP62134270A JPS63294656A (en) 1987-05-27 1987-05-27 Deflection yoke
JP62135731A JPS63298944A (en) 1987-05-28 1987-05-28 Deflection yoke
JP62-135731 1987-05-28
JP17012787A JPH0731988B2 (en) 1987-07-07 1987-07-07 Deflection yoke
JP62-170127 1987-07-07
KR1019880006034A KR910001401B1 (en) 1987-05-25 1988-05-21 Deflection yoke
KR1019900015481A KR910001402B1 (en) 1987-05-25 1990-09-28 Daflection yok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034A Division KR910001401B1 (en) 1987-05-25 1988-05-21 Deflection yo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402B1 true KR910001402B1 (en) 1991-03-04

Family

ID=2755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481A KR910001402B1 (en) 1987-05-25 1990-09-28 Daflection y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40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29090A (en) Selfconverging t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assembly
KR910001401B1 (en) Deflection yoke
KR920001821B1 (en) Pincushion raster distortion corr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KR910001402B1 (en) Daflection yoke
KR910010100B1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797235B1 (en) Compensating device for CRT raster distortion
US6211610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first and second magnetic compensators
US5206559A (en) Cathode ray tube which improves deflection aberration
JPH09171782A (en) Ferrite core of deflection yoke for cathod-ray tube
US3840765A (en) Shielding member between only the control and side beams in a color cathode ray tube
EP0415125B1 (en) Cathode ray tube
CN100388408C (en) Magnetic device for correcting CRT image geometrical defect
KR100338033B1 (e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of slit-bobbin-type deflection yoke
JPH02204947A (en) In-line type color deflection yoke device
JPH0731988B2 (en) Deflection yoke
JPH0233835A (en) Deflection yoke
KR100294487B1 (en) Convergence correcting apparatus of color cathode ray tube
JPS63294656A (en) Deflection yoke
JPS6129046A (en) Inline electron gun structure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JPH11250829A (en) Deflection yoke
JPS63292552A (en) Deflecting yoke
JPH0451431A (en) Deflection yoke
JPS63298944A (en) Deflection yoke
JPH08111187A (en) Deflecting y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