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782Y1 - 부착책철 - Google Patents

부착책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782Y1
KR910000782Y1 KR2019880003284U KR880003284U KR910000782Y1 KR 910000782 Y1 KR910000782 Y1 KR 910000782Y1 KR 2019880003284 U KR2019880003284 U KR 2019880003284U KR 880003284 U KR880003284 U KR 880003284U KR 910000782 Y1 KR910000782 Y1 KR 910000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book
adhesive
attachment
b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061U (ko
Inventor
김창선
Original Assignee
김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선 filed Critical 김창선
Priority to KR2019880003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782Y1/ko
Publication of KR890019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착책철
제1도는 종래 책철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책철 본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도.
제3도는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의 조립단면도.
제5도는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의 사용상태도.
제6도는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의 만드는 방법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철본체 3 : 부착대
4 : 접착제 5 : 접착제 보호지
B : 파일 P : 서류
본 고안은 각종 서류를 철하여두는 서류철(File)이나 바인다 등에 서류를 철할때에 파일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파일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간편하게 부착 사용할수 있도록하는 책철(Fast ner)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파일을 상품으로 판매할때에 미리 파일에 책철을 끼워 고정한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파일의 겉표면에는 책철 몸체가 노출되고 파일 내표면에는 책철을 파일에 붙들어 매기 위하여 형성된 책철 고정편이 노출되어 있어 사용중 사람의 손에 다칠 염려가 많았으며 또한 책철의 부착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류를 철하는 위치가 한정되어 사용에 매우 불편하였었다.
이와같이 불편한점을 개선하고자 책철이 미리 부착 고정되지 않은 파일과 책철을 따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책철을 파일에 끼워 사용하도록 책철을 파일에 끼운다음 책철이 파일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책철 몸체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위에 보호지를 부착하여 책철을 파일에 부착할 때에는 파일의 임의의 위치에 책철 삽입공을 뚫고, 책철 몸체에서 보호지를 띄어낸 다음 책철 문체를파일의 겉 표면에서부터 책철 삽입공에 끼워 넣고 압착하면 책철 몸체에 도포된 접착제가 파일의 겉표면에 부착되도록 한 책철(제2도, 일본실공소37-7217호)이 있었으나 이 책철을 파일에 끼우기 위하여는 파일에 책철 삽입공을 뚫은 펀치나 송곳이 비치되어야 하며 이렇게 뚫은 삽입공에 책철을 파일의 겉표면으로 부터 끼워 조립하고 나면 책철 몸체가 파일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손에 상처를 입을우려가 항상있어왔다.
본원 고안은 파일에 일일히 책철 삽입공을 뚫지 않고 또 파일 겉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쉽게 부착할수 있는 책철을 제공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책철은 책철 몸체(11)의 양쪽에 체결편(12)이 일체로 형성된 체결본체(1)와 체결편(12)을 끼워 서류를 철하도록된 책철덮개(2)로 구성된다.
본원 고안에서는 책철 본체(1)를 고정하여 책철 본체와 함께 파일의 내면에 부착되는 부착대(3)를 사용한다.
부착대(3)는 책철몸에(11)의 크기(넓이)보다 크게하여 부착대 몸체(31)를 형성하고 부착대 몸체(31)에는 책철덮개(2)의 체결편 삽입공(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편 삽입공(32)을 뚫는다.
위에서 부착대(3)의 크기(넓이)를 책철몸체(11)의 넓이보다 크게한다는 것은 책철몸체(11)와 함게 부착대(3)를 파일(B)에 부착하여 서류(P)를 철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 부착대(3)가 파일(B)로 부터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력을 유지할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말하는 것으로 파일(B)의 지질, 접착제의 접착력등에 따라 설계되는 것이며, 위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부착대(3)의 크기를 책철몸체(11)폭의 2배, 책철몸체(11) 길이의 2배정도이면 견고한 접착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렇게 형성된 부착대(3)의 체결편 삽입공(32)에 책철본체(1)의 체결편(12)을 끼워 조립한다.
이때에 책철몸체(11)의 상면(11A)이 부착대(3)의 저면(31B)에 면하도록 끼우며, 끼우기 전에 책철몸체(11)의 상면(11A)이나 또는 부착대(3)의 저면(31B)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책철몸체(11)가 부착대(3)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여도 좋을 것이다.
부착대(3)에 책철몸체(11)를 끼워 조립하고 난다음 책철몸체(11)의 저면(11B)과 부착대(3)의 저면(31B)에 접착제(4)를 도포하고 그위에 접착제(4)의 건조를 방지하고 접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제 보호지(5)를 임시적으로 부착하여 놓았다가 나중에 본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을 파일(B)에 부착하여 사용하고자 할때에 접착제 보호지(5)를 떼어내고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있는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의 사용방법을 제4도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접착제 보호지(5)를 떼어낸후에 접착제(4) 도포층을 부착책철을 파일(B) 내면의 부착학고 싶은 위치에 부착한 다음 서류(P)를 부착책철의 체결편(1)에 끼우고 책철덮개(2)를 끼운다음 체결편(12)을 좌,우로 젖히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의 구성으로 부착대(3)에 책철본체(1)를 끼워 조립한 다음 책철본체(1)를 포함하여 부착대(3)의 저면(31B)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적으로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착대(3)와 책철본체(1)에 따로따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 보호지(5)를 부착한 다음 이들을 결합하는 방법이 채용될수도 있다.
이와같은 제조방법을 제6도를 참착하여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책철본체(1)의 몸체저면(11B)에 접착제(4A)를 도포한 후 접착제 보호지(5A)를 부착한다.
다음에 책철본체(1)와는 별도로 부착대(3)의 저면(31B)에 접착제(4B)를 도포한 다음 접착제 보호지(5B)를 부착하고 이렇게 부착대(3)에 접착제(4B)와 접착제 보호지(5B)가 부착된 상태에서 책철본체(1)의 체결편(12)을 끼울수 있도록 체결편 삽입공(54B)을 뚫고 동시에 접착제 보호지(5B)에 책철본체(1)의 몸체(11)와 같은 형상과 크기의 따냄부(52B)가 형성되도록 절취선(53B)을 찍는다. (제6a도) 이렇게 형성된 절취선(53B)을 따라 따냄부(52B)를 띄어 낸후에(제6b도) 이자리에 책철본체(1)를 체결편(12)으로 부터 끼워 넣으면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부착책철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2개의 접착제 보호지(5A와 5B)를 띄어낸후 파일(B) 내면의 임의의 부착 위치에 부착하면 부착대(3)와 책철본체(1)가 함께 파일(B) 내면에 단단히 부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원고안에 따른 부착책철(F)은 종전과 같이 파일(B)에 책철을 끼우는 삽입공을 뚫을 필요가 없이 파일의 내면에 부착하고 싶은 위치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부착책철이 파일(B)의 겉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손을 다칠 우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1)

  1. 책철몸체(11)보다 넓게 형성한 부착대몸체(31)에 체결된 삽입공(32)을 뚫어 부착대(3)를 형성하고, 부착대(3)의 체결편 삽입공(32)에 책철본체(1)를 끼우고 책철몸체(11)와 부착대(3)에 접착제(4)를 도포한 다음 그위에 접착제 보호지(5)를 덮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책철.
KR2019880003284U 1988-03-12 1988-03-12 부착책철 KR910000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84U KR910000782Y1 (ko) 1988-03-12 1988-03-12 부착책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84U KR910000782Y1 (ko) 1988-03-12 1988-03-12 부착책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061U KR890019061U (ko) 1989-10-05
KR910000782Y1 true KR910000782Y1 (ko) 1991-02-08

Family

ID=1927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284U KR910000782Y1 (ko) 1988-03-12 1988-03-12 부착책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7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061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4738A (en) Combined document binder and cover holder
EP1241020A1 (en) Bookmark
US4355822A (en) Protective book cover
US6390713B1 (en) Adapter for a coil bound notebook
KR960007198A (ko) 테이프를 사용하는 제본기 및 제본테이프
US4887925A (en) Prong and tang binding system
KR910000782Y1 (ko) 부착책철
EP0450216A1 (en) File folder
GB2315459A (en) A bookmark
KR930002186Y1 (ko) 내면 부착식 책철이 설치된 파일
JPH11129646A (ja) 吊り下げ器および吊り下げ器を使用するカレンダー
KR200172179Y1 (ko) 두께 유지기능을 갖는 앨범
KR890008802Y1 (ko) 절첩이 용이하게한 앨범대지
US4561794A (en) Folder for papers
KR930001291Y1 (ko) 앨범의 대지
JPH0611839Y2 (ja) アルバム
KR960007257Y1 (ko) 서류철용 합성수지 흑색표지
KR960004290Y1 (ko) 화스너의 부착판이 피복된 화일표지
KR860002349Y1 (ko) 착탈식 카세트케 이스
JPS641096Y2 (ko)
KR200142123Y1 (ko) 파일용 지철구
KR940000223Y1 (ko) 사진 수납 요함부를 가지도록 구성된 앨범대지
KR860000265Y1 (ko) 윤전등사기용 원지
KR960010505Y1 (ko) 앨범속지
JPH03499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