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202Y1 -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 Google Patents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202Y1
KR910000202Y1 KR2019900015127U KR900015127U KR910000202Y1 KR 910000202 Y1 KR910000202 Y1 KR 910000202Y1 KR 2019900015127 U KR2019900015127 U KR 2019900015127U KR 900015127 U KR900015127 U KR 900015127U KR 910000202 Y1 KR910000202 Y1 KR 910000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head
erasing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1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5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2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02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4Er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영상기록 재생기의 기록신호 분리 소거헤드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of video recorder

제1도는 영상기록 재생기의 테이프주행계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pe running system of a video recorder.

제2도는 종래의 전폭소거헤드(Full Erase Head).2 is a conventional Full Erase Head.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록신호 분리 소거헤드.3 is a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재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더빙 회로도.4 is a video dubbing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동작파형도.5 is an operating waveform diagram of FIG.

제6도는 제4도의 비디오더빙 흐름도.6 is a video dubbing flowchar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마이컴 120 : 발진회로110: microcomputer 120: oscillation circuit

130 : 비디오 레코딩회로 140 : 기록신호 분리 소거헤드130: video recording circuit 140: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150 : 비디오 헤드 SW1-SW3 : 기능선택스위치150: Video head SW1-SW3: Function selector switch

본 고안은 영상기록 재생기의 소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기록재생기용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소거할 수 있도록 한 기록신호 분리 소거 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asing head of a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capable of separating and erasing an audio signal and an image signal recorded on a magnetic tape for a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통상적으로 영상기록 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Typically, the tape traveling system of the video recorder is as shown in FIG.

상기 제1도의 구성인 일반적인 영상기록 재생기(VTR)에서 채용되고 있는 구동 기구의 구성도로서, 자기테이프가 드럼(6)에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ive mechanism employed in the general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VTR, which i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magnetic tape is loaded in the drum 6.

도면중의 잠주보후 SUP 와 TAK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혹은 릴(Reel)테이프의 공급 릴(supply reel)(SUP)과 감이 릴(Take up reel)(TAK)를 나타낸다.After immersion in the figure, SUP and TAK represent a supply tape (SUP) and take up reel (TAK) of a cassette tape or a reel tape.

참조번호 1은 기구적인 동작에 의해 감이 릴(테이크 업 릴)(TAK)이 테이프를 감이할 때의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 폴(Tension pole)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는 서풀라이 롤러이며, 3은 테이프 전폭에 기록된 정보(Signal)를 소거하는 전폭 소거헤드(Full Erase Head)이고, 4와 8은 제1, 제2가이드 폴(Guide pole)이며, 5와 7은 슬란트 폴(Slant pole)이다. 6은 비디오 기록/재생 헤드가 설치된 드럼이고, 9은 임피던스 롤러(Impedance Roller), 10과 11은 오디오 소거 헤드와 소거 헤드와 오디오 콘트롤 헤드이며, 12는 제3가이드 풀, 14는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캡스턴 축(Capstan Shaft)이고, 13은 테이프를 상기 캡스턴 모터축(14)에 압착하여 상기 축(14)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핀치 롤러(Pinch Roller)이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ension pol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ape when the take-up reel TAK winds the tape by mechanical operation.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circular roller, 3 denotes a full erase head for eras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full width of the tape, and 4 and 8 denote first and second guide poles. , 5 and 7 are the slant poles. 6 is a drum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 playback head, 9 is an impedance roller, 10 and 11 are an audio muting head, an erasing head and an audio control head, 12 is a third guide pull, and 14 is a rotation of a capstan motor. The capstan shaft is rotated by (Capstan Shaft), 13 is a pinch roller (Pinch Roller) for pressing the tape to the capstan motor shaft 14 to drive the tape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14).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주행계는 핀치 롤러(13)가 테이프를 회전하는 캡스탄 축(14)에 압착하는 상태에서 감이 릴(TAK)를 감이 방향으로 회전시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드럼에 감싸여진 테이프가 주행된다.Therefore, the tape travel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by the motor when the reel TAK is rot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while the pinch roller 13 is pressed against the capstan shaft 14 which rotates the tape. The tape wrapped in the drum runs.

즉, 캡스탄 모터와 감이 릴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정속주행에 의해 테이프도 정속으로 주행하며, 재생 혹은 기로 주행시에 테이프의 주행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the tape also travels at a constant speed by the constant speed driving of the capstan motor and the motor for rotating the reel to reel.

공급릴(SUP)→전폭소게헤드(3)→헤드드럼(6)→오디오 소게헤드(10)→오디오 콘트롤 헤드(11)→캡스탄 모터축(14)→감이 릴(TAK),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주행계를 가지는 영상기록 재생기에서 영상 신호 더빙을 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소거용 자계 신호를 발생하는 전폭소거헤드(3)로 자기 테이프 폭에 기록된 기록신호를 전폭소거한 다음 드럼(6)에 취부된 비디오 헤드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더비용 영상신호를 기록하여 왔다.Supply reel (SUP) → full width head (3) → head drum (6) → audio head (10) → audio control head (11) → capstan motor shaft (14) → winding reel (TAK) A conventional method for dubbing a video signal in a video recording player having a traveling system configured as 1 degree is a full width erasing head (3) which receives an electric control signal and generates an erasing magnetic field signal. After the signal has been fully erased,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has been recorded into the video head mounted on the drum 6.

이대 상기 제1도의 테이프 주행계에 도시된 전폭소거 헤드(3)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 케이스(Shield Case)(15)내에 자기 테이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전폭 소거 헤드(FEH)(full Erase Head)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폭소거 헤드(FEH)의 공극(gap)(17)면이 상기 쉴드 케이스(15)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쉴드 케이스(15)는 지지대(Bracket)(16)에 부착되어 구성된다.The full width erasing head 3 shown in the tape traveling system of FIG. 1 is a full width erasing head FEH having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magnetic tape in the shield case 15 as shown in FIG. (Full Erase Head) is built-in, the gap (17) surface of the full width erased head (FE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ield case 15, the shield case 15 is a bracket (Bracket) It is attached to (16) and is comprised.

이때 상기 제2도의 쉴드 케이스(15)에 내장된 전폭소거 헤드(FEH)는 헤드 기술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공극(gap)(17)이 형성된 철심(또는 코어)과 이것에 감겨진 권선코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ull-width erasing head (FEH) embedded in the shield case 15 of FIG. 2 is an iron core (or core) in which a gap 17 is formed and a winding coil wound thereon, as is widely known in the head art. It consists of.

상기 제2와 같이 된 종래의 전폭소거 헤드(FEH)의 전폭(A)은 표준형 비디오 자기 테이프 폭과 동일하게 12.65mm의 길이를 갖도록되어 있다.The full width A of the conventional full width erasing head FEH as described above has a length of 12.65 mm equal to the width of the standard video magnetic tape.

따라서 상기 제2도와 같은 구조로 된 전폭소거 헤드(3)의 공극(17)면이 자기테이프의 자성체면의 폭(12.65mm)에 접촉되고 있어 영상신호만을 더빙하고져 하여도 영상신호를 기록할 때에 발생되는 소거 바이어스(통상 교류신호)에 응답하여 소거 자계를 발생하는 상기 전폭소거 헤드(3)에 의해 테이프 폭(12.65mm)에 기록된 신호를 예를들면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모두 소거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Therefore, when the gap 17 surface of the full width erasing head 3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is in contact with the width (12.65 mm) of the magnetic surface of the magnetic tape, when recording the video signal even if only the video signal is dubbed For example,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re all erased by a signal written in a tape width (12.65 mm) by the full width erasing head 3 generating an erasing magnetic field in response to an erase bias (normally alternating signal) generated. Has been.

즉 영상신호만을 더빙(Dubbing)시키기 위해서는 음성신호는 그대로 둔채 영상신호만 소거한후 기록하여야 하나 종래의 전폭소거 헤드로서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전부 소거함으로써 영상신호만을 기록하고 싶을때는 음성신호를 별도의 테이프 레코더(Tape Recoder)나 다른 기록 매체에 옮겨 보존한후 별도로 기록하여야 하였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dub only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should be erased and recorded while leaving the audio signal intac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ull-width erasing head, when only the video signal is recorded by erasing all the audio and video signals recorded on the magnetic tape. The audio signal must be recorded after being transferred to a separate tape recorder or other recording medium for preserva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표준영상신호 기록 테이프 전폭의 소정 영역에 분리 기록되어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분리소거할 수 있는 기록신호 분리 소거 헤드로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capable of separating and eras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separately record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a full width of a standard video signal recording tape.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는 본고안에 따른 기록신호 분리 소거 헤드로서, 상측에는 오디오 신호만을 소거할 수 있는 오디오 소거 헤드(Audio Erase Head)(AEH)가 설정되었으며 하측는에는 표준 영상 기록 재생방식 테이프 포오맷의 비디오 소거 헤드(Video Erase Head)(VEH)를 설정하고, 상기 오디오 소거 헤드(AVH)와 비디오 소거헤드(AEH)의 사이에는 오디오-비디오 소거 헤드의 가이드영역(AVG)이 설정되어 구성된다.3 is a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udio erasing head (AEH) is set on the upper side, and the video erasing head of the standard video recording / reproducing tape format is set on the lower side. (Video Erase Head) VEH is set, and the guide area AVG of the audio-video erasing head is set between the audio erasing head AVH and the video erasing head AEH.

상기 오디오 소거 헤드(AEH)와 비디오 소거 헤드(VEH)는 하나의 쉴드 케이스(15)내이 내장되며, 비디호 소거 헤드(VEH)의 공극(gap)와 오디오 소거 헤드(AEH)의 공극은 자기 테이프의 자성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쉴드 케이스(15)의 하나의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비디오 소거 헤드(VEH)와 오디오 소거 헤드(AEH)각각은 공극이 형성된 철심에 권선이 감겨져 구성된다.The audio erasing head AEH and the video erasing head VEH are embedded in one shield case 15, and the gap of the video erasing head VEH and the gap of the audio erasing head AEH are magnetic tapes. I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ield case 15 to be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surface of the. In this case, each of the video erasing head VEH and the audio erasing head AEH is formed by winding a winding around an iron core having voids formed therein.

상기 오디오 소거 헤드(AEH)의 폭은 표준 영상신호 기록 재생방색 테이프 포오맷의 오디오 트랙폭과 같은 1mm의 폭을 가지며, 비디오 소거 헤드(VEH)의 폭은 표준 영상신호 기록 재생 방식의 테이프 폭 12,65mm에서 상기 오디오 소거 헤드 폭 1mm와 오디오-비디오 소거 헤드의 가이드영역의 폭0.15mm의 합 1.15mm을 뺀 11.50mm 폭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width of the audio erasing head AEH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audio track of the standard video signal recording / playback tape format, and the width of the video erasing head VEH is the tape width of the standard video signal recording / playback method. It is set to have a width of 11.50 mm minus 1.15 mm, which is the sum of the width of the audio erasing head 1 mm and the width of the guide region of the audio-video erasing head 0.15 mm at 65 mm.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록 신호분리 소거 헤드의 부착위치는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의 주행계의 전폭소거헤드(3)의 위치와 동일하게 취부함으로서 공급 릴(SUP)에서 공급되는 자기 테이프내의 오디오 트랙과 비디오 전폭에 각각 기록된 오디오 신호와 영상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소거할 수 있다.The audio track in the magnetic tape supplied from the supply reel SUP is moun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full-width erasing head 3 of the traveling system of the tape shown in FIG. The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respectively recorded in the video and full widths can be separately erased.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더빙용 회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기록신호 분리 소거 헤드를 이용한 회로이다.4 is a circuit diagram for video dubb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ircuit using the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of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 구성은 영상기록 재생기의 스틸, 리세트, 비디오 더빙 신호를 키의 누름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선택키들(SW1-SW3)과, 선택키들(SW1-SW3)의 누름에 의한 신호를 입력하여 현재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스틸 모드하에서 비디오 더빙 키 신호가 입력시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VEO)와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를 출력하는 마이컴(110)과, 상기 마이컴(1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VEO)의 출력에 응답하여 자기 기록된 영상신호를 소거하는 교류 바이어스를 발진출력하는 발진회로(120)와,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의 자성면에 접촉되고 있으며, 상기 발진회로(120)에서 발진 출력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소거 자체를 발생하여 테이프 폭의 비디오 폭에 기록된 영상 신호만을 분리 소거하는 기록 신호 분리 소거헤드(140)와, 영상신호입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자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마이컴(110)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더빙제어신호(VDO)에 의해 기록 신호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기록 영상신호(Video Recording Signal)(VRS)를 출력하는 비디오 레코딩회로(130)와, 상기 비디오 레코딩회로(140)에서 출력하는 기록 영상신호(VRS)를 자기 테이프의 비디오전폭에 기록하는 비디오 헤드(150)로 구성된다.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by inputting signals by pressing the selection keys SW1-SW3 and pressing the selection keys SW1-SW3 for inputting still, reset, and video dubbing signals of the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signals by pressing the keys. The microcomputer 110 determines an operation state and outputs a video erasing control signal VEO and a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when the video dubbing key signal is input in the still mode, and the video erasing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10. The oscillation circuit 120 oscillates and outputs an AC bias for erasing the magnetically recorded video signal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VEO, and the magnetic surface of the traveling magnetic tape is in contact with the oscillation circuit 120. The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140 generates an erasing itself by the oscillation output bias signal and separates only the video signal recorded in the video width of the tape width, and a video signal input terminal. And a video outputting a video recording signal (VRS) by converting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terminal into a frequency of a recording signal band by a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10. The recording circuit 130 and the video head 150 for recording the recording video signal VRS output from the video recording circuit 140 in the video width of the magnetic tape.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동작파형도로서, (a)는 자기 테이프에서 영상신호 더빙 시작점(a)과 더빙 종료점(d)을 나타내며, 상기 영상신호 더빙 시작점(a)과 더빙 종료점(d)의 사이 구간(b)이 더빙되는 구간이다. 이때 더빙 종료점(d)는 카운터가 리세트되는 지점이다.5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FIG. 4, (a) shows a video signal dubbing start point (a) and a dubbing end point (d) on a magnetic tape, and the video signal dubbing start point (a) and the dubbing end point (d) The section (b) is dubbed. At this time, the dubbing end point d is a point at which the counter is reset.

(b)는 마이컴(110)의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의 출력파형이다.(b) shows an output waveform of 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of the microcomputer 110.

(c)는 마이컴(110)의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VEO)의 출력으로서, 상기 비디오 더빙 종료점(d) 보다 시간t만큼 앞서서 제거된다.(c) is an output of the video erasing control signal VEO of the microcomputer 110, and is removed before the video dubbing end point d by a time t.

상기 제6a,b도는 비디오 더빙시 제4도의 동작 흐름도로서, 상기 제6a도는 스틸(still)모드 상태하에서 비디오 더빙키가 입력되었을 때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카운트 하는 카운터에 리세트 여부를 체크하고,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와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6A and 6B are an operation flowchart of FIG. 4 during video dubbing, and FIG. 6A is a check for resetting to a counter that counts driving of a magnetic tape when a video dubbing key is input in a still mode. A flowchar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deo cancellation control signal and 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그리고 제6b도는 제6a도의 리세트 서브 루틴이다.6B is a reset subroutine of FIG. 6A.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록 신호 분리소거 헤드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의 기록신호중 영상신호만을 소거후 영상신호를 더빙하는 예를 상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dubbing the video signal after erasing only the video signal among the recording signals of the magnetic tape on whic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recorded using the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지금 사용자가 영상 프로그램과 상기 영상 프로그래의 음성신호가 기록된 제5a도와 같은 자기 테이프 영역내에서 더빙시키고저하는 화면의 마지막 부분인 더빙종료점(Dubbing out point ; Dubbign end point)(d)을 찾은 다음 제4도의 리세트키(SW2)을 누르면, 저항(R1)을 통한 전원전압(Vcc)이 마이컴(110)에 입력되어진다. 이때 상기 마이컴(110)은 소정의 스켄 주기를 키입력 포트를 읽음으로써 스틸키(SW1), 리세트키(SW2), 비디오 더빙기(SW3) 및 그 외의 키(도시하지 않음)의 누름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Now, the user finds a dubbing out point (Dubing end point) d, which is the last part of the screen, which is dubbed and deteriorated in the magnetic tape area as shown in FIG. 5A where the video program and the audio signal of the video program are recorded. Next, when the reset key SW2 of FIG. 4 is pressed,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hrough the resistor R1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110.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110 reads the key input port for a predetermined scan period to detect the pressing state of the still key SW1, the reset key SW2, the video duplexer SW3, and other keys (not shown). It becomes aware.

상기 리세트키(SW2)의 누름을 인식한 마이컴(110)은 테이프의 주행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리세트한다. 즉 마이컴(110)에 더빙시키고져 하는 하면의 마지막 부분(Dubbing out point)를 기억시킨다.The microcomputer 110 recognizing that the reset key SW2 is pressed resets the counter that counts the running of the tape. That is, the last part (Dubbing out point) of the lower surface to be dubbed to the microcomputer 110 is stored.

상기와 같이 제5a도의 자기 테이프에서 더빙하고저 하는 화면의 부분을 설정한후 자기 테이프를 리와인드시킨 후 프레임 어드번스(Frame Advince)(도시하지 않음)나 제4도의 스틸키(Still key)(SW1)를 사용해서 제5a도의 더빙시작 포인트(Dubbing in point, Dubbing point)를 정확히 찾아 동작 모드를 스틸모드로 놓는다. 이때 제5a도의 더빙 종료점(d)에서 리세트 된 테이프 카운터는 테이프가 리와인드 방향으로 주행되면 카운팅되고, 포워드 방향으로 진행되면 업 카운팅 된다.After setting the portion of the screen to be dubbed from the magnetic tape of FIG. 5a as described above, rewind the magnetic tape, and then use the frame advance (not shown) or the still key (SW1) of FIG. ) To find the dubbing in point (dubbing point) of Figure 5a correctly and set the operation mode to still mode. At this time, the tape counter reset at the dubbing end point d of FIG. 5A is counted when the tape is run in the rewind direction, and counted up when the tape is run in the forward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5a도의 더빙 종료점(d)에서 카운터를 리세트 후 더빙시작점(a)으로 테이프를 리와인드 하면, 카운터는 상기 리세트된 상태에서 더빙 시작점까지 다운 카운팅된다.Accordingly, if the tape is rewound to the dubbing start point a after resetting the counter at the dubbing end point d of FIG. 5a, the counter is counted down to the dubbing start point in the reset state.

상기와 같이 더빙 종료점과 더비 시작점이 설정된 스틸 모드 상태에서 비디오 더빙키(Video Dubbing Stant key)(SW3)를 누르면, 이는 소정의 주기로 키 단자를 스캔닝하는 동작에 의해 마이컴(110)이 인지하게 된다.When the video dubbing stant key SW3 is pressed in the still mode in which the dubbing end point and the derby start point are set as described above, this is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110 by an operation of scanning a key termi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

상기 비디오 더빙기(SW3)의 누름에 의한 비디오 더빙 신호를 입력한 마이컴(110)은 제6a도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리세트를 체크한다.The microcomputer 110 which inputs the video dubbing signal by pressing the video dubbing SW3 checks the reset by the program of FIG. 6A.

이때 제6a도의 리세트 채크는 마이컴(110)이 제6b도와 같은 순서로 체크한다.At this time, the reset check of FIG. 6a is checked by the microcomputer 110 in the same order as that of FIG. 6b.

[제6b도는 제6a도의 리세트 채크 루틴의 서브 루틴이다.]리세트 채크를 시작하는 마이컴(110)은 처음에 내장된 카운터가 리세트 되었는가를 검색하고, 리세트되었다면 자기 테이프의 주행 모드를 판단한다.[Fig. 6B is a subroutine of the reset check routine of Fig. 6A.] The microcomputer 110, which starts the reset check, first checks whether the built-in counter is reset, and if so, resets the driving mode of the magnetic tape. To judge.

상기에서 주행모드라면 테이프의 주행속도가 SP(Standdrd PLAY), LP(Long Play),SLP(Super Long Play)모드중 어느 주행모드 인가를 검색 판단한다.In the above driving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speed of the tape is SP (Standdrd Play), LP (Long Play), or SLP (Super Long Play) mode.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모드가 파단되면 마이컴(110)은 하기 식(1)에 의한 연산을 행하여 기록신호 분리 소거 헤드와 로타리 헤드사이에 테이프 길이 ℓ(제1도의 테이프 주행계 참조)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수거하지 않기 위한 시간을 구한다.When the running mode of the tape is broken by the above operation process, the microcomputer 110 performs th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the tape length ℓ between the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and the rotary head (see the tape running system of FIG. 1). Obtain the time for not collecting the video signal recorded in the).

ℓ: 소거헤드에서 로타리 헤드(비디오 헤드)까지의 거리 v : 주행모드에 따른 테이프의 주행속도 상자 식(1)에서 ℓ은 0이 아닌 상수로서 고정된 값을 가지며 v는 테이프의 주행속도로 SP,LP,SLP 에 따라 변화하는 0이 아닌 상수이다. 따라서 상기 식(1)에 의한 연산 값은 3개의 테이프 주행속도 SP,LP,SLP에 따라서 변화되며, 주행모드에 따른 상기 식(1)을 연산한 마이컴(110)은 리세트된 카운트 값에서 상기 식(1)에 의한 연산 값을 카운트 다운(Count Down)하여 그 값을 카운터 리세트 데이터와 함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ℓ: distance from the erasing head to the rotary head (video head) v: speed of the tap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ℓ in the equation (1), ℓ has a fixed value as a non-zero constant, and v is the SP at the speed of the tape. A nonzero constant that varies with, LP, SLP. Accordingly, the calculation value according to the equation (1) is changed according to three tape traveling speeds SP, LP, and SLP, and the microcomputer 110 having calculated the equation (1)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is determined by the reset count value. Count down the operation value according to equation (1) and store the value together with the counter reset data in the internal memory.

예를 들면 카운터의 리세트 값이 øøøøø(10)이고, 주행모드에 다른 상기 식(1)의 연산값이 10(10)라면, 마이컴(110)은 리세트 값 øøøøø에서 상기 연산값 0010(10)을 다운 카운트한 0090(10)의 데이터와 카운터의 데이터와 카운터 리세트 값 øøøøø(10)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For example, if the reset value of the counter is øøøøø (10) and the calculated value of equation (1) different from the driving mode is 10 (10) , the microcomputer 110 generates the calculated value 0010 (10 from the reset value øøøøø. In the internal memory, the 0090 (10) data , which has down counted ) , the counter data, and the counter reset value øøøøø (10) are stored.

상기와 같이 테이프의 주행 스피드가 판단되고, 카운터 리세트 데이터에서 상기 판단된 주행 모드에 따른 연산값이 다운 카운트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억되면 마이컴(110)는 출력라인(15)과 (190)를 통해 제5b도와 (c)와 같은 비디오 소거 제어 (VEO)와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를 동시에 출력한다.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tape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data in which the ope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ing mode is down counted in the counter rese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the microcomputer 110 disconnects the output lines 15 and 190. The video erase control (VEO) and 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as shown in FIG. 5B and (c) are simultaneously output.

상기 제6a도 및 제6b도의 수준에의해 동작하는 마이컴(110)에서 제5b도와 같이 출력되는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VEO)를 입력하는 발진회로(120)는 소거 바이어스 신호를 발진하여 라인(160)을 통해 제3도에서 전술한 기록신호 분리 소거 헤드(140)의 비디오 소거헤드(VEH)로 출력한다.The oscillation circuit 120 for inputting the video erasing control signal VEO output as shown in FIG. 5b from the microcomputer 110 operat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FIGS. 6a and 6b oscillates an erasing bias signal and thus lines 160. The output signal is output to the video erasing head VEH of the recording signal separation erasing head 14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발진회로(120)에서 발진출력하는 소거 바이어스 신호를 입력한 기록신호 분리 소거헤드(140)내 비디오 소거헤드(VEH)는 상기 소거 바이어스에 따른 소거 자계를 발생하여 공급 릴(SUP)에서 공급되는 자기 테이프의 비디오 전폭에 기록된 영상신호만을 소거한다.The video erase head VEH in the write signal separation erase head 140 inputting the erase bias signal generated by the oscillation circuit 120 generates an eras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erase bias and is supplied from the supply reel SUP. Only video signals recorded on the video full width of the magnetic tape are erased.

한편 상기 마이컴(110)에서 제5c도와 같이 출력되는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를 입력한 비디오 레코딩회로(130)는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00)으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통상 복합 영상신호)를 자기 테이프의 기록신호 대역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더빙 신호로 하여 비디오 헤드(150)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헤드(150)는 공급 릴(SUP)에서 공급되어 비디오 소거 헤드(VEH)에 의해 소거된 비디오 전폭의 접촉면에 더빙신호를 기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recording circuit 130 inputs 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10 as shown in FIG. 5C. The video recording circuit 130 receives the video signal (usually a composite video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video signal input terminal 100. A video head 150 is output as a signal of a recording signal band frequency of a magnetic tape, which is used as a dubbing signal. Accordingly, the video head 150 records the dubbing signal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video full width supplied from the supply reel SUP and erased by the video erasing head VEH.

상기와 같이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VEO)와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를 출력하는 마이컴(110)은 제6a도의 동작과정에 의해 제5a도의 더빙 시작점(a)으로부터 테이프의 주행을 업 카운팅 하는 카운터의 데이터가 제6b도의 과정에 의해 내부 메모리에 세트된 데이터 값[카운터 리세트-α, 여기서 α값은 주행속도 모드에 따라 상기 식(1)에 의해 연산된 값 X,Y,Z]에 도달되었는가를 검색 판단한다. 상기 검색 판단에서 현재의 카운터의 값이 카운터 리세트 된 데이터에서 -α(X,Y,Z)가 다운 카운트된 값과 동일하게 되면 마이컴(110)은 제5c도와 같이“하이”상태를 유지 출력하던 비디오 소거 제어신호(VEO)의 출력을 중지하고,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를 제5b도와 같이“하이”상태를 유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110 outputting the video erasing control signal VEO and 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is a counter for counting up the running of the tape from the dubbing start point a of FIG. 5a by the operation of FIG. 6a. The data value reaches the data value set in the internal memory by the process of FIG. 6B (counter reset-α, where α value is the value X, Y, Z calculated by Equation (1)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mode). Determine the search. If the current counter value is equal to the down counted value in the counter reset data in the search determination, the microcomputer 110 maintains the "high" state as shown in FIG. 5C. The output of the video erasing control signal VEO is stopped, and 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is kept in a "high" state as shown in FIG. 5B.

그리고 테이프와 주행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의 값이 초기에 리세트한 시점인가를 판단하여 기억된 초기 리세트 지점이면 비디오 더빙 제어신호(VDO)도 제5도(b)와 같이“로우”로 하여 비디오 더빙을 중지한다.The video dubbing control signal VDO is also set to " low " as shown in FIG. Stop dubbing.

본 고안의 동작예에서는 비디오 소거 헤드(VEH)에 소거 바이어스를 제공키 위한 발진회로(120)만을 도시하여 영상신호의 소거 및 기록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음성소거 헤드(AEH)의 소거 바이어스를 발진하는 발지회로와 외부 음성신호를 기록 음성신호 변조하는 음성신호 처리회로를 구성하여 영상기록 재생기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음성신호만을 소거후 음성신호의 더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oscillation circuit 120 for providing an erasing bias to the video erasing head VEH has been described to explain the process of erasing and recording an image signal. A voice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oscillating the erasing bias of the erasing head AEH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modulating an external audio signal for recording audio signals is erased so that only the audio signals recorded on the magnetic tape of the video recorder can be erased.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can be done.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비디오 기록 재생을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소거할수 있음으로 영상신호의 더빙 기록시 동일 기록면상에 기록된 음성신호에 구애받지 않고 영상편집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to be separately erased from the audio signal recorded on the magnetic tape and the video signal so that video editing can be freely performed regardless of the audio signal recorded on the same recording surface during dubbing recording of the video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Claims (2)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자기 테이프의 일 기록면상에 영역을 달리하여 기록 재생하는 영상녹화 재생기의 소거 헤드에 있어서, 상기 자기 테이프의 일 기록면상에 영역이 구분되어 기록된 음성신호를 소거하는 오디오 소거헤드(AEH)를 가지며, 상기 오디오 소거헤드(AEH)의 하측에는 상기 자기 테이프의 일 기록면상에 영역이 구분되어 기록된 영상신호를 소거하는 비디오 소거헤드(AEH)를 설치하되, 상기 오디오 소거헤드(AEH)와 비디오 소거헤드(AEH)사이에는 오디오-비디오 소거헤드(AEH)(V도)의 가이드영역(AVG)이 설정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 재생기의 기록신호 분리 소거헤드.An erasing head of a video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with different areas on one recording surface of a magnetic tape, the audio erasing unit for erasing audio signals recorded by separating areas on one recording surface of the magnetic tape. A video erasing head (AEH) having a head (AEH) and a video erasing head (EEH) for erasing a video signal recorded by dividing an area on one recording surface of the magnetic tape is provided below the audio erasing head (AEH). And a guide area (AVG) of an audio-video erasing head (AEH) (V degrees) is set between (AEH) and video erasing head (AE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소거헤드(AEH)의 폭은 표준 영상신호 기록재생방식 테이프 포오맷의 오디오 트랙쪽과 같은 1mm의 폭을 가지며, 비디오 소거헤드(AEH)의 표준 영상신호 기록재생 방식의 테이프 폭 12.65mm에서 상기 오디오 소거헤드 폭 1mm과 오디오-비이오 헤드의 가이드영역 폭0.15mm의 합 1.15mm을 뺀 11.5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록 재생기의 기록 신호 분리 소거헤드.The standard video signal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of the video erasing head (AE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audio erasing head (AEH) has a width equal to that of the audio track of the standard video signal recording / reproducing tape format. And a width of 11.50 mm minus 1.15 mm of the width of the audio erasing head width 1mm and the sum of the width of the guide area of the audio-video head 0.15 mm from the tape width of 12.65 mm.
KR2019900015127U 1986-10-06 1990-09-28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KR9100002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127U KR910000202Y1 (en) 1986-10-06 1990-09-28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60015218 1986-10-06
KR2019900015127U KR910000202Y1 (en) 1986-10-06 1990-09-28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218U Division KR910000200Y1 (en) 1986-10-06 1986-10-06 Video dubbing circuit of vt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02Y1 true KR910000202Y1 (en) 1991-01-18

Family

ID=2662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127U KR910000202Y1 (en) 1986-10-06 1990-09-28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20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172B1 (en) Recording playback device and commercial broadcasting detection method
KR910000649B1 (en) Automatic program selector of a video tape recoder
JPS613477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10000202Y1 (en) Recording signal divide erase head of vtr
KR910000200Y1 (en) Video dubbing circuit of vtr
JPS63124293A (en) Helical scanning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344095A (en) Recorded-signal position detecting circuit
KR860002078B1 (en) High speed tape transport system
US5107380A (en) Rotary head typ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detecting the slack of the recording medium
KR940008493B1 (en) Data recording method finish-searching method and continuons recording method
JP3659086B2 (en)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JP2522066B2 (en) Magnetic tape device
JPH0614279Y2 (en)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KR930010249B1 (en) Driving device of magnetic tape
JPH05314408A (en) Magnetic recorder/reproducer
KR100255252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skip method of commercial message
JPS61187182A (en) Magnetic tape reproducing device
JPH0210576Y2 (en)
JPS6142704A (en) Magnetic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115988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5128821A (en) Absolute time recording method for dat device
JPH0822657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696562A (en) Video tape recorder
JPH0869604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6302167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p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