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701072A - 전기식 부하 차단회로 - Google Patents

전기식 부하 차단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701072A
KR900701072A KR1019890701945A KR890701945A KR900701072A KR 900701072 A KR900701072 A KR 900701072A KR 1019890701945 A KR1019890701945 A KR 1019890701945A KR 890701945 A KR890701945 A KR 890701945A KR 900701072 A KR900701072 A KR 90070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load
frequency
predetermined
re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반 죤 스텐버리.
Original Assignee
게오르그 그라프
알카텔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그 그라프, 알카텔 엔. 브이. filed Critical 게오르그 그라프
Publication of KR90070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0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4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requency devi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식 부하 차단 회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를 참조하면, 부하(1)는 부하스위치(3)을 통해 교류간선(2)에 접속된다. 교류간선(2)은 영교차 검출기(zero-crossing detector).

Claims (27)

  1.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교류전기 공급 시스템의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다수 소비자에 대해 교류 공급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그 측정된 주파수와 공급전압에 대한 정상주파수 이하의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기억수단내에 기억된 하나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주파수가 상기 임계값 이사로 떨어지는 경우 소정의 지연후 소비자측 부분과 상기 공급 시스템을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부하는 측정주파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상승할때 상기 공급 시스템과 재접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기공급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소비자측 부하의 한부분과 상기 공급 시스템의 재접속을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기공급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소비자측 부하의 한 부분과의 재접속이 통신 링크를 통해 원격 제어 중앙부에서 전송되는 지령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기 공급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4.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교류전기 공급 시스템으로 부터 소비자가 사용하는 부하용 전력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교류 공급 주파수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배열된 주파수 측정 수단과, 인가되는 상기 주파수 출력신호와 하나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임계값은 상기 교류공급기의 정상 주파수 이하인 제1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며, 상기 주파수 출력 신호가 상기 하나의 임계값 이하로 떨어진 측정 주파수를 지시하는때, 스위치 제어 신호는 비접속 지연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제1소정 비접속 지연후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비도통되는 부하 스위치 수단에 연장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소비자 부하의 한부분과 분리되며, 상기 부하 스위치 수단은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상기 측정 주파수가 도통되므로 상기 공급 시스템에 상기 소비자 부하의 한부분과 재접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출력 신호는 제1소정 주파수 이하의 제2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추가 임계값과 비교되며, 상기 주파수 출력 신호가 상기 추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진 측정 주파수를 나타낼때 스위치 제어 신호는 비접속 지연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제2소정 비접속 지연후 상기 비교기 수단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2소정 지연은 상기 제1지연보다 짧으며,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비도통되는 상기 부하 스위치 수단에 인가되므로 상기 공급 시스템과 상기 소비자측 부하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6. 제 4또는 5항에 있어서, 소정 주기에 대해 상기 소비자측 부하의 한부분과의 재접속을 지연시키기 위해 배열된 재접속 지연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7.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임계값이 비교기 수단과 연관된 각 제한 레지스터 수단내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레지스터가 프로그램 가능한 제한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9. 제 4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속 지연 수단이 제1 및 제2소정 비접속 지연을 제공하도록 메모리 수단과 각기 연관된 제1 및 제2지연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비접속 지연 레지스터 수단이 프로그램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 장치.
  11. 제 6내지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지연 수단이 제1 및 제2 소정 재접속 지연을 제공하도록 제3 및 제4 지연 레지스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지연 레지스터 수단이 프로그램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 장치.
  13. 제 11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지연 레지스터 수단이 상기 제한 레지스터내의 선택적 지연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최소 및 최대 재접속 지연 제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4. 제 9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속 지연 수단이 부가 지연 레지수터 수단 및 연관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5. 제 11 내지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지연 수단이 부가 지연 레지스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6. 제 14내지 1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지연 수단이 프로그램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7. 제14 내지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의 입력수단이 스위치 제어 신호에 결합되어 처리하는 프로세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 수단의 출력은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로 부하 스위치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부하 스위치 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통신 라인이 상기 프로세서 수단의 입력에 계속 연결되어 원격 제어 수단에서의 지령 신호가 상기 소비자측 부하의 한부분과의 재접속을 가속 또는 지연하기 위해 처리되는 통신 라인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19. 제 17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레지스터 수단 및/또는 상기 지연 레지스터 수단이 통신 라인을 통해 원격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20. 제 17 항 내지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수단이 에너지 관리 단말 수단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이 시스템 제어 및 데이타 아퀴지션(SCADA)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22. 제 18 내지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라인이 전화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23. 제 18 내지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라인이 교류 간선에 의해 제공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24. 제 17내지 2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수단이 필터 잡음 임펄스 및 단일 사이클 손실에 적용되는 필터 수단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25. 제 4내지 2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 수단이 연속하는 영교차 교류파형 사이에서 발생하는 발진기 수단에서 펄스를 카운트하는 장치를 구비하는데, 상기 카운트는 상기 비교기 수단에 인가되어 임계값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수단이 제어된 수정 발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 장치.
  27. 실제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것 같은 교류전기 공급 시스템으로 부터 소비자가 사용하는 부하용 전력 사용하기 위한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701945A 1988-02-23 1989-01-06 전기식 부하 차단회로 KR900701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I6899 1988-02-23
AUPI689988 1988-02-23
PCT/AU1989/000006 WO1989008342A1 (en) 1988-02-23 1989-01-06 Electrical load shedding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072A true KR900701072A (ko) 1990-08-17

Family

ID=377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945A KR900701072A (ko) 1988-02-23 1989-01-06 전기식 부하 차단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02362A4 (ko)
JP (1) JPH03503833A (ko)
KR (1) KR900701072A (ko)
DK (1) DK201290D0 (ko)
WO (1) WO1989008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29C (zh) 1996-04-01 2001-12-19 南方电力有限公司 配电频率继电器
SE524670C2 (sv) * 2003-01-30 2004-09-14 Abb Ab En anordning och ett förfarande för effektbalansering
US7149605B2 (en) * 2003-06-13 2006-12-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control methods, electrical energy demand monitoring methods, and power management devices
US7010363B2 (en) 2003-06-13 2006-03-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ical appliance energy consumption control methods and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systems
GB2407440B (en) 2003-09-23 2006-02-22 Responsiveload Ltd Grid stabilising system
KR20070036034A (ko) * 2004-04-09 2007-04-02 도쿄 덴료쿠 가부시기가이샤 주파수 저하시 부하 차단 장치
GB0511361D0 (en) * 2005-06-03 2005-07-13 Responsiveload Ltd Grid responsive control device
US8183826B2 (en) 2009-05-15 2012-05-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s,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s, battery charging apparatuses and rechargeable battery systems
US8478452B2 (en) 2010-04-06 2013-07-0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Grid regulation servic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based on grid frequency
WO2012000538A1 (de) * 2010-06-29 2012-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Netzlastabhängiges einschalten von endgerät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29359A (en) * 1947-10-23 1949-09-19 Ernest Whitby An improve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ic local and/or remote control
GB695816A (en) * 1950-10-30 1953-08-19 Nat Res Dev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limitation of peak load in electric supply systems
GB712824A (en) * 1951-01-17 1954-08-04 Electrical Apparatus Co Ltd Improvements in electrical load controlling devices
US3906242A (en) * 1974-08-16 1975-09-16 Megatherm Corp Computerized peak-shaving system for alleviating electric utility peak loads
HU177525B (en) * 1978-02-20 1981-10-28 Villamos Ipari Kutato Inteze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load-limit of electric energy systems
US4231029A (en) * 1978-02-28 1980-10-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tomatic transfer control device and frequency monitor
GB2080640B (en) * 1980-07-14 1983-12-07 South Eastern Elec Board Power supply systems
GB2083301B (en) * 1980-09-01 1984-09-26 South Eastern Elec Boar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ads on an electrical power supply
AU584348B2 (en) * 1984-08-17 1989-05-25 Stephen Harold Lovell Load limi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503833A (ja) 1991-08-22
EP0402362A1 (en) 1990-12-19
DK201290A (da) 1990-08-22
DK201290D0 (da) 1990-08-22
WO1989008342A1 (en) 1989-09-08
EP0402362A4 (en) 199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21544B2 (en) Inductively powered power bus apparatus
RU2711589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яжением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под нагруз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2378754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ложного отключения секционирующего выключателя в линии кольцевой сети
KR900701072A (ko) 전기식 부하 차단회로
KR950019759A (ko)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셀의 모듈라 시스템용, 특히 전기적 2차 전지용 측정 회로
KR920005421A (ko) 과부하릴레이
WO2003028215A3 (en) Tunable oscillator
US20220216698A1 (en) Recloser control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 synchronization
CA2246998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three-phase voltage for power saving transformer
RU2010102947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тключениям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на борту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EP3309922A1 (en) Power storage system, power storag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power storage device
CN1983492B (zh) 具有延时触发器的电路保护开关
NL1021168C2 (nl) Schakeleenheid, elektrisch apparaat omvattende een dergelijke schakeleenheid, gebruik van een dergelijke schakeleenheid, en werkwijze voor het schakelen van een verbinding tussen een lichtnet en een belasting.
CN106556741B (zh) 一种蓄电池组内阻测量的装置及方法
EP2765679A1 (en) Intelligent electrical power network device
CN113608040A (zh) 基于瞬断电压识别的线路损耗检测系统
EP0998004A4 (en) OVERLOAD PREVENTION METHOD, CHARGER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TIMER
IE820833L (en) Solid state load protection system
CN103488220A (zh) 一种供电装置及供电方法
WO2001001364A3 (de) Schaltung zum einschalten und betreiben von bezüglich ihrer versorgungsspannung in reihe geschalteten geräten in einer steuer- und datenübertragungsanlage
CN109490786A (zh) 一种储能监控系统
CN215494042U (zh) 浪涌发生器及受限制短路试验装置
RU27909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граничения потребляемой нагрузк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CN102570203A (zh) 智能延时插座及其使用方法
SU1665457A1 (ru) Способ самозапуска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