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344Y1 -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344Y1
KR900011344Y1 KR2019880003457U KR880003457U KR900011344Y1 KR 900011344 Y1 KR900011344 Y1 KR 900011344Y1 KR 2019880003457 U KR2019880003457 U KR 2019880003457U KR 880003457 U KR880003457 U KR 880003457U KR 900011344 Y1 KR900011344 Y1 KR 900011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ngle
corrugated tube
w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011U (ko
Inventor
문희주
Original Assignee
문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주 filed Critical 문희주
Priority to KR2019880003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344Y1/ko
Publication of KR890019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장치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워웜치차가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요부측면도.
제4도는 주름진 튜브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속기 7 : 압압로울러
8a, 8b : 기대 12 : 평로울러
13 : 샤프트 14 : 내측판
15 : 외측판 16 : 자동조심형베어링
17, 20 : 키 19 : 하우징
21 : 워웜기어 22 : 워웜
23 : 핸들 24 : 고정기대
24a : 지지편 25 : 워웜치차
25' : 고정공 26 : 제2워웜
27 : 손잡이
본 고안은 주로 합성수지재의 주름진 튜브를 연속적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가공진행을 원활히 하고 가공표면을 매끈하게 제조토록 돌기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로울러를 경사지게 위치시킴으로 성형 치차와 돌기부와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주름진 튜브는 지하에 매립되어 각종 전선이나 광섬유등을 내부로 통과토록 안내하기 위하여 높은 강도와 내압, 방수 및 향상된 가요성등이 필요로 하므로 이를 위해 내경은 매끈한 면을 이루워 전선들의 통과를 원활히하되 그 외부에는 강도유지를 위해 속이빈 형태의 돌기부가 나선부가 감겨지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반복형성케 된다.
이러한 돌기부가 주름형태로 감겨진 것과 같은 주름진 튜브는 국내 특허공보 제1171호(공고번호 86-805호)에 게재된 것과 같이 압출기로부터 공급되어진 평판형태의 소재가 압압로울러 사이를 통과하여 주름형태를 이루게 한후 다시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평편한 로울러와 압압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별도의 평재가 내부로 위치되고 주름 돌기가 외부로 위치된 구조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2겹의 원형 단면 형상의 주름진 튜브가 연소제토록 된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2개의 압출기로 소재를 양측에서 공급해야만 되고 요절을 제조하는 과정과 다시 평재와 겹치게 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작업이 원활치 못하였으며 외부 요철과 내부평재의 위치설정 작업이 고도의 정밀성을 필요로 하여 제품이 불량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그 접착이 불확실해질 경우 균열이나 상호 분리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첨부도면 제3도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단면이 ""형태의 소재를 일체로 압출제조하므로서 돌출부와 평면부를 제조과정중에 별도로 제조압착하는 번거로움을 배제하고 작업의 간편함과 더불어 완제품의 질적 향상이 되었다. 그러나 돌출부와 평면부가 일체로 된 소재를 나선부를 따라 지속적으로 압착제조하는 과정중에서 돌출부를 안내하는 압압로울러의 경사각도와 소재의 돌출부가 진행되는 각도의 차이에 의한 간섭 현상에 의해 압압로울러에 의한 소재의 진행이 원활치 못하여 커다란 부하가 발생하고 압압로울러의 치차와 소재의 돌출부가 심한 간섭현상에 의해 돌출부의 외부가 파여지거나 뜻겨지는 듯한 표면 파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시 지압에 의한 균열파괴 원인이 되었으며 제품의 질과 품위를 저하시킴은 물론 제조작업에 커다란 무리를 주거나 작업방해로 인한 시간낭비와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과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인의 선출원된 (국내실용신안출원 제88-3179호) 것을 좀더 개량하여 돌출부가 나선부를 따라 진행하는 과정중 압압로울러의 치차와의 각도차이에 의한 간섭현상을 미연에 방지도록 평로울러를 각각 일정각도 경사지게 비틀어 고정하므로 조절할수 있도록 된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도시없음)의 동력을 전달받은 감속기(1)의 출력측 스프로켓(2)에 체인으로서 매인스프로켓(3)을 구동케하고 이 매인스프로켓(3)과 압압로울러(7)의 회전력을 전달토록 연결된 다수개의 장축(6)일측에 형성된 체인기어(5)를 원형지게 체인(4)으로서 치차결합시켜 압압로울러(7)룰 정위치에서 각각 동일방향으로 회전케 한다.
압압로울러(7)를 축설시키고 있는 수개의 장축(6)은 기대(8a)(8b)에 일체로 형성되어진 고정편(9)의 직각방항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0)의 끝단에 베어링(11)중심을 통과하는 방법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기대(8a)(8b)에 장축(6)의 설치위치로 비교적 직경이 크게 뚫어진 통공(8')의 중앙에 장축(6)이 통과케 하므로서 수개의 압압로울러(7)와 체인기어(5)중심위치를 적절히 조절가능케 하므로서 평로울러(12) 사이의 간극조절 또한 자유롭게 하였다.
기대(8b)의 일측, 즉 압압로울러(7)의 위치로는 샤프트(13)를 중심으로 내측판(14)과 외측판(15)에 압압로울러(7)의 숫자와 중심위치가 동일한 거리로 평로울러(12)를 자동조심형 베어링(16)에 지지토록 각각 고정설치하여 외측판(15)은 샤프트(13)와 키(17)로서 회전방향을 단속토록 결착시키고 볼트(18)는 외측판(1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케 한다.
내측판(14)도 볼트로 기대(8b)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한후 하우징(19)의 일측에 길게 노출되어진 샤프트(13) 끝단은 키(20)의 설치로 샤프트(13)와 각평로울러(12)의 유동을 방지케 한다.
소재(A)는 첨부도면 제5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평면부(a')와 돌출부(b')가 일체로 형성되게 압출기(B)의 사이징(Sizing)을 통과케 하고 냉각수조(C)를 통과후 성형 완료된 것을 인출기(D)로 일정한 속도와 힘으로 이동토록 하여 평로울러(l2)와 압압로울러(7)의 사이를 통과토록 하는데, 평로울러(12)와 압압로울러(7)에서 평면부(a')가 상호접착할 수 있도록 소재(A)를 열풍노즐(E)로 예열하고 다시 화염노즐(F)로서 소재(A) 압착시 일측의 저면과 타측의 윗면 겹치는 부분이 용융압착될 수 있는 정도의 고온으로서 가열한 다음 처음의 평로울러(12)와 압압로울러(7)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각각의 로울러를 원형을 따라 안내되며 진행케 된다.
샤프트(13)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의 동일중심과 동일거리를 각각 유지하고 있는 압압로울러(7)와 평로울러(12)는 가능한 여러개를 설치한 것이 좋으나 제작상 도시한 바와같이 8개 내지 12개가 적절하다.
각 평로울러(12)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는 완성코자 하는 주름진 튜브(G)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압압로울러(7)의 가장내측 사이의 거리는 주름진 튜브(G)의 평면부(a')외경과 동일하고, 압압로울러(7)의 치차골 부분을 주름진 튜브(G)의 돌출부(b')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중심거리 등을 설정,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감속기(1)의 구동력으로 체인(4)을 매체로시 각각의 스프로켓을 회전시켜 압압로울러(7)를 동일방향과 동일속도로 계속히 회전시키고 소재(A)를 평로울러(12)와 압압로울러(7)사이로 통과케하면 압압로울러(7)의 골부분이 소재(A)의 돌출부(b')진행을 안내하고, 압압로울러(7)의 산부분은 평면부(a')를 겹친 상태로 압압시켜 겹치게 하는데, 소재(A)가 평로울러(12)를 따라 원형을 이루면 1회 회전되었을때 첨부도면 제5도에시 표현한 것과 같이 돌출부(b')가 동일간격으로 1피치(Pitch) 진행된 것과 같이 접하게 하고 서로 맞닿는 부분을 용융압착해가며 지속적으로 반복성형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소재(A)가 1회전하여 1피치 진행됨에 따라 얻어진 나사와 같은 나선각이 압압로울러(7)에 형성되어진 치차의 나선각과 일치되지 않을 경우 일어나는 간섭을 방지키 위해 샤프트(13)일측으로 키(20)로서 회전이 함께 이루워지는 워웜기어(21)를 핸들(23)의 회전을 인위적으로 함에따라 워웜(22)이 워웜기어(21)를 회전시켜 샤프트(13)가 일정각도 회전케 된다.
샤프트(13)가 회전됨에 따라 내측판(14)은 기대(8b)에 고정되어 있어 외측판(15)이 키(17)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이동되고 이와함께 외측판(15)에 자동조심형베어링(16)과 함께 축설되어 있던 평로울러(12) 우측단이 각각 동일각도로 첨부도면 제3도에서 화살표로 표현한 바와같은 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이러한 평로울러(12)의 회전이동각(α)은 소재(A)의 나선각 진행안내 각도를 얻을 수 있어 평로울러(12)가 각각 일정각도 비틀어짐에 따라 소재(A)의 진행안내를 평로울러(12)의 외측면에서 소재(A)의 저면과 축직각을 이루며 원활히 행할 수 있어 소재진행시 발생되는 커다란 부하와 표면파손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재(A)의 확실한 진행안내와 평로울러(12)의 각도 이동에 따라 압압로울러(7)와 평로울러(12)의 위치가 어긋나 소재(A)의 평면부(a')의 일측저면과 타측윗면이 상호 용융접착될때 그 가압력이 평로울러(12)만이 이동되면 가압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에따라 평로울러(12)와 더불어 압압로울러(7)를 동일각도로 비틀어지게 하는 것이 필요로하게 되어 압압로울러(7)를 축설하고 있는 장축(6)의 우측끝단을 워웜치차(25)에 장축(6)과 동일위치로 뚫어진 고정공(25')에 베어링으로 지지되게 설치하고 고정기대(24)의 상부 양측으로 절곡된 지지편(24a)에 지지되며 워웜치차(25)의 상부에 치차결합되어진 제2워웜(26)을 손잡이(27)회전으로 구동시키면 워웜치차(25) 또한 제2워웜(26)의 치차결합에 의해 서서히 회전되어 장축(6)이 압압로울러(7)와 함께 비틀어지게 된다.
워웜기어(21)와 워웜(22)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된 회전이동각(α)만큼 평로울러(12)가 이동되고, 이어서 제2워웜(26)과 워웜치차(25)의 회전조작으로 워웜치차(25)를 회전이동각(α)만큼 동일한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면 소재(A)의 진행을 원활히 하고 제조시에 발생하는 간섭이나 표면파손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고안은 평로울러(12)와 압압로울러(7)를 동시에 소재(A)의 나선각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비틀어지게 조작함에 따라 치차나선각 조절을 정확하게 미세히 콘트롤 할수 있으며 소재(A)의 용융압착부위를 더욱 견고히 접착시켜 내압강도를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가공을 원활히 진행하므로 균열이나 표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정히 회전되는 압압로울러(7)의 내측 동일중심으로 내측판(14)과 외측판(15)사이에 샤프트(13)를 중앙에 위치하고 다수개 평로울러(12)를 정위치에서 회전이 자유릅게 하여 소재(A)를 압착하여 나선방향으로 진행안내하며 주름진 튜브(G)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것을 구성함에 있어서, 워웜(22)에 치차결합된 워웜기어(21)를 핸들(23)조절로서 회전시켜 내측판(14)과 외측판(15)사이에 다수개 축설된 평로울러(12)를 일시에 회전이동각(α)을 유지토륵 함과 동시에 압압로울러(7)를 축설하고 있는 장축(6)의 끝단을 워웜치차(25)의 고정공(25')에 각각 지지토록 설치하여 고정기대(24)의 상부로 지지편(24a)에 유설된 제2워웜(26)을 회전시킬때 이에 치차 결합된 워웜치차(25)가 장축(6)과 압압로울러(7)를 회전이동각(α)과 일치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KR2019880003457U 1988-03-15 1988-03-15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KR900011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457U KR900011344Y1 (ko) 1988-03-15 1988-03-15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457U KR900011344Y1 (ko) 1988-03-15 1988-03-15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011U KR890019011U (ko) 1989-10-05
KR900011344Y1 true KR900011344Y1 (ko) 1990-12-24

Family

ID=1927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457U KR900011344Y1 (ko) 1988-03-15 1988-03-15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3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3681B (zh) * 2021-11-23 2023-10-10 安徽荣冠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波纹管生产用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011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0181A (en) Flexible plastics hoses
KR860000805B1 (ko) 주름진 튜우브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3938929A (en) Flexible plastics hose making apparatus
US59119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ylindrical surfaces
KR100938020B1 (ko) 에프알피 파이프의 제조 장치
CA1295538C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wound plastic tube
US3914151A (en) Mandrel for the production of reinforced plastic tubing
US4043161A (en) Apparatus for forming corrugations of "zero" pitch in coaxial cable
KR900011344Y1 (ko)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EP0117669B1 (en) Producing thermoplastic articles, particularly with porous walls
KR900011341Y1 (ko)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US4292014A (en) Feed mechanism comprising an endless member configured as a double helix
EP0635353B1 (en) Corrugated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KR900011343Y1 (ko)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KR900011342Y1 (ko)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KR910000881Y1 (ko) 주름진 튜브의 제조장치
US5108283A (en) Apparatus for winding pipes
US3861984A (en) Mandrel for the production of reinforced plastic tubing
US4435968A (en) Apparatus for corrugating pipes
KR20060081271A (ko) 합성수지재 나선관 성형장치
US4166000A (en) Apparatus for winding helical reinforcement into a polymeric tube
EP0100759A2 (en) A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products, and an extruder nozzle for working the method
US2723605A (en) Apparatus for making laminated tubes
GB1565582A (en) 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inuous flexible tube
KR930001958B1 (ko) 내압 합성수지나선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