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099Y1 -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099Y1
KR900011099Y1 KR2019870001811U KR870001811U KR900011099Y1 KR 900011099 Y1 KR900011099 Y1 KR 900011099Y1 KR 2019870001811 U KR2019870001811 U KR 2019870001811U KR 870001811 U KR870001811 U KR 870001811U KR 900011099 Y1 KR900011099 Y1 KR 900011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liding plate
pump
flow rat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345U (ko
Inventor
양승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1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099Y1/ko
Publication of KR880016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rvomotor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작동되는 계통도.
제2도는 본 고안 구성도.
제3도는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2 :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3, 4 : 스프링 5 : 로드
6 : 안내봉 7 : 스풀
8 : 가이드 9, 9' : 지지판
10 : 전압조정기 11 : 솔레노이드 밸브
12 : 펌프 VR : 가변저항
S1, S2: 스트로크
본 고안은 굴삭기등 유압펌프로 구성된 제반 건설장비 차량의 펌프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의지로 조작되는 작업레버의 변위량이 정확하게 전달되어 펌프가 가변적으로 변화되면서 유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인 것이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건설 장비 차량의 작업기-암, 붐, 버킷등-를 구동시키는 구체적인 작동 계통도를 살펴보면 제1도와 같이 블록도로 연계된다.
즉, A는 운전실 내에 있는 작업 레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에는 운전자가 작업레버를 작업유형-상차작업, 굴삭작업, 선희작업등-에 따라서 선택 조정함으로서 변위가 생기게 되며 이 변위는 연결로드에 전달된다.
B는 상기의 연결로드에 의해서 콘트롤 밸브의 스풀이 변위하는 기능을 갖는 블록으로서, 콘트롤 밸브는 각각의 작업기에 해당하는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C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로서 스폴의 변위량에 비례하여 스트로크(stroke)의 크기가 설정되면 가변저항의 전류량이 변화하게 되는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일종의 감지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D는 가변저항을 내장한 전류 조정기로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물리적인 변위량이 전기적인 변위량, 즉 전류량으로 변화되는 것이며 전류의 크기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스트로크 크기와 비례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전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전달된다.
E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전압조정기의 전류량에 의하여 스트로크의 변위가 이루어지면서 가변펌프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F는 가변펌프로서 선택 조작된 작업기에 유량을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략적으로 살펴본 계통도에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것은 C∼E의 시스템에 대한 구성인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작업기(미도시)에 해당되는 콘트롤밸브(미도시)에는 스풀(7)이 내장되어 로드(5)와 연결시켜 상하 슬라이딩 플레이트(1)(2)의 스트로크(S1)(S2)가 운전실 내의 작업레버(미도시)와 비례적으로 변하는데 있어서, 로드(5)의 상부에는 스트로크 안내봉(6)이 형성되어 상하로 포개어 놓은 슬라이딩 플레이트(1)(2)의 구멍에 끼워져 있으며, 상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는 스프링(4)에, 하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는 스프링(3)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는 스트로크(S1),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2)는 스트로크(S2)을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의 플레이트(1)(2)는 가이드(8)에서 안내도록 하여 지지판(9)(9')에서 멈춰지게 구성함으로서, 스트로크(S1)(S2)의 변위가 전압조정기(10)내의 가변저항(VR)에서 전류량이 비례적으로 가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1)가 작동되도록 하여 펌프(12)의 유량이 제어되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스트로크(S1)(S2)는 펌프의 유량을 최대로 가변된 상태이며, 전체 스트로크(S)의S는 전류량이 0이 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지만 펌프의 유량은 최소로 가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운전실내에 작업레버와 함께 연동되는 로드(5)가 전방으로 스트로크(S2)가 설정되면 하부슬라이딩 플레이트(2)는 안내봉(6)에 의하여 가이드(8)를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에는 안내봉(6)이 상하부 플레이트(1)(2)의 구멍에서 슬라이딩이 구속되기 때문에 작업레버의 변위가 정확하게 전달된다.
이렇게 되면 스트로크(S2)의 변위에 의하여 전압조정기(10)내의 가변저항(VR)에서 전류가 최대로 흐르게 되고, 이 최대 전류량이 솔레노이드 밸브(11)를 작동시켜 펌프(12)의 유량을 최대로 가변시키는 것이다.
다시, 선택된 작업 레버를 중앙에 놓으면 로드(5)가 후방으로 움직이면서 하부 슬라이딩 플레이트(2)는 스프링(4)의 탄성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안내봉(6)은 플레이트(1)(2)의 구멍에서 끝트러짐 없이 정확하게 작업레버의 변위만큼 작동된다.
이때 안내봉(6)은 전체 스트로크의S로 위치하여 플레이트(1)(2)의 스트로크의 변위가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가변저항(VR)은 전류량이 0이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11)를 작동시키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펌프(13)의 유량을 최소로 가변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선택된 작업레버의 중앙 위치에서 로드(5)를 다시 후방으로 움직이게 조작하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는 안내봉(6)과 함께 연동되면서 스트로크(S1)의 변위가 이루어지고, 전압조정기(10)내의 가변저항(VR)에는 전류가 최대로 흐르게 되고, 이 최대 전류량이 솔레노이드 밸브(11)를 작동시켜 펌프(12)의 유량을 최대로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상의 3가지 방법에서 펌프 유량이 최대로 가변되는 스트로크(S1)와 스트로크(S2)는 작업기의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트로크(S1)에서는 암이 최대로 퍼진 동작이면 스트로크(S2)는 최대로 오무려진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S의 위치는 암이 중립위치로서 유량은 최소로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량을 제어하는 본 고안에서 운전자가 작업레버를 조작할때에는 플레이트로 변위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레이트 변위에 따르는 펌프의 유량도 정확하게 가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작업기(미도시)에 해당되는 콘크를 밸브(미도시)에는 스풀(7)이 내장되어 로드(5)와 연결시켜 상하 슬라이딩 플레이트(1)(2)의 스트로크(S1)(S2)가 운전실 내의 작업레버(미도시)와 비례적으로 변하는데 있어서, 로드(5)의 상부에는 스트로크 안내봉(6)이 형성되어 상하로 포개어 놓은 슬라이딩 플레이트(1)(2)의 구멍에 끼워져 있으며, 상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는 스프링(4)에 하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는 스프링(3)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는 스트로크(S1), 하부 슬라이딩 플라이트(2)는 스트로크(S2)을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의 플레이트(1)(2)는 가이드(8)에서 안내되도록 하여 지지판(9)(9')에서 멈춰지게 구성함으로서 스트로크(S1)(S2)의 변위가 전압조정기(10)내의 가변저항(VR)에서 전류량이 비례적으로 가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1)가 작동하도록 하여 펌프(12)의 유량이 제어되게 구성한 굴삭기의 펌프 유량 제어 장치.
KR2019870001811U 1987-02-18 1987-02-18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KR900011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811U KR900011099Y1 (ko) 1987-02-18 1987-02-18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811U KR900011099Y1 (ko) 1987-02-18 1987-02-18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345U KR880016345U (ko) 1988-10-08
KR900011099Y1 true KR900011099Y1 (ko) 1990-12-15

Family

ID=1925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811U KR900011099Y1 (ko) 1987-02-18 1987-02-18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345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934B2 (en) Anti-stall system utilizing implement pilot relief
US4015729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backhoe
EP2461044A1 (en) Hydraulic drive for construction machine
US4863337A (en) Control system for working machine having boom
EP2535464A2 (en) Lift system implementing velocity-based feedforward control
JP2007147074A (ja) 複数アクチュエータの圧力に基づく流れ制御システム
EP3623534B1 (en) Work machinery
US4773302A (en) Control apparatus and proportional solenoid valve control circuit for boom-equipped working implement
US5692541A (en) Hydraulic joystick
KR102564414B1 (ko)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 시스템 및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 방법
EP1662151A1 (en) Hydraulic drive apparatus
EP0034900A1 (e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with hydraulic drive system
US6938535B2 (en) Hydraulic actuator control
CN100400896C (zh) 带有电子操纵杆的施工重型设备的移动控制方法
US5682955A (en) Blade control system for an earthmoving blade
CN109715889A (zh) 工程机械的控制系统及工程机械的控制方法
CN112189098A (zh) 作业机械
US7729833B2 (en) Implement control system based on input position and velocity
US5426874A (en) Scraper blade control apparatus
WO2016064961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having boom assist
US4122678A (en) Hydraulic control with feedback for powered machinery
US6898932B2 (en) Hydraulic driving unit
CN107701536B (zh) 装载机工作装置液压系统
KR100395823B1 (ko) 유압셔블의 제어장치
KR900011099Y1 (ko) 굴삭기 펌프 유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