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512Y1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512Y1
KR900010512Y1 KR2019880000612U KR880000612U KR900010512Y1 KR 900010512 Y1 KR900010512 Y1 KR 900010512Y1 KR 2019880000612 U KR2019880000612 U KR 2019880000612U KR 880000612 U KR880000612 U KR 880000612U KR 900010512 Y1 KR900010512 Y1 KR 900010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ink
catch
stopper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6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18598U (en
Inventor
요시하사 아라끼
가즈오 구와무라
에이지 가나모리
가즈히꼬 가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오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오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18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59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1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1도는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The figure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frame.

제2도는 전체의 종단측면도.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whole.

제3도는 폐로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의 종단측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in a closed state.

제4도는 트립상태에 있어서의 요뷰의 종단측면도.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yaw view in the trip state;

제5도는 캐치 및 토글링크 기구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tch and toggle link mechanism.

본 고안은 가동접촉자의 개방동작직후의 튀어 돌아가는 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설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stopper for preventing a springing movement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는 주회로를 개폐하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에 회동운동을 주기 위한 토글링크 기구와, 이 토글링크 기구에 동작변위를 주는 자동 트립기구로 되어있다. 이와같은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자동트랩기구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 검출기로 되고 그 검출로 인한 기계적 변위를 토글링크 기구로 전달함으로써 가동접촉자를 급속개방 동작시키도록 되어있다. 이 가동접촉자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각을 일정하게 규제하기 위한 규제스톱퍼를 설비하고 있고 따라서 가동접촉자는 그 개방동작에 수반되어 이 규제스톱퍼에 충돌했을 때에 고정접촉자 방향으로 튀어돌아가는 현상이 생긴다. 이와같은 튀어돌아가는 현상이 생기면 양접촉자간의 아크절단성능이 저하되고 대전류 차단성능을 저항시킬 우려가 있다. 그로인해서 종래는 실개소 52-73765호 또는 실개소 52-11569호 공보등에 나타내 있는 바와같이 가동접촉자가 개방동작 직후에 튀어돌아가는 운동을 하는 것을 저지하는 보조 스톱퍼를 설비하게 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the circuit breaker includes a fixed contact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main circuit, a movable contactor, a toggle link mechanism for giving a rotational movement to the movable contactor, and an automatic tripping mechanism for giving an operation displacement to the togglelink mechanism. In such a circuit breaker, the automatic trap mechanism becomes an overcurrent or short-circuit current detector and is configured to rapidly open the movable contact by transferring the mechanical displacement resulting from the detection to the toggle link mechanism. A regulating stopper is provided for regulating the rotational angle of the movable contactor in the open direction constantly. Therefore, when the movable contactor collides with the regulating stopper, the phenomenon occurs when the movable contactor jumps toward the fixed contactor. If such a popping phenomenon occurs, the arc cutting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ontacts may be degraded and the large current blocking performance may be resisted. 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a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2-73765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2-11569, an auxiliary stopper for preventing the movable contact from jumping off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peration is provided.

종래 이와 같은 보조 스톱퍼를 설비할 경우 이것을 전용부재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에 있어서는 부품수가 증가하고 원가고가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대해서 토글링크 기구등의 회동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프레임에 보조스톱퍼를 일체적으로 형성되게 한 것에 있어서는 절곡가공을 채용하기 위한 정도를 높게 취하기가 곤란하고 나아가서는 절곡부분은 변형되기 쉽고 정도가 저하되므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또 고정프레임과 일체의 보조 스톱퍼가 일단 지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제작원가가 제품에 비해 너무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when such an auxiliary stopper is installe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cost increases when the auxiliary stopper is install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stopp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rotating member such as the toggle link mechanism, it is difficult to take a high degree to adopt the bending processing, and furthermore, the bent portion is easily deformed. Since it lowers, there existed a fault to reduce reliability. In addition,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shap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too high compared to the product so that the fixed frame and the auxiliary stopper are not supported once.

본 고안의 목적은 가동접촉자의 개방동작 직후의 튀어돌아가는 운동을 저지시키기 위한 스톱퍼를 부품수를 증가시킴이 없고 또한 제작하기 쉬운 간단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bouncing motion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and to form a simple shap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also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To provide.

본 고안에 있어서는 회로를 개폐조작하는 핸들의 회동동작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토글링크 기구와, 이 토글링크 기구를 보지하는 단면이자상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토글링크 기구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동하는 콘택트 아암 서포트에 부설된 가동접촉자와 이 가동접촉자에 접리되는 고정접촉자와, 단면이 대략자상으로 형성되고 토글링크 기구의 링크를 회동가능하게 축결합시키고 고정프레임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그 내측에 중합배치되고, 또한 과전류 유입시에 트립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그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가동접촉자를 개리시키는 토글링크 기구의 캐치와 개리시에 콘택트 아암서포트의 회동한계를 규제하는 부딪쳐 멈추는 수단을 갖는 회로차단기이며, 이것에 고정프레임이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을 압출가공하여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캐치의 걸어멈출 상태가 해제되어서 가동접촉자가 개리될 때 링크롸 맞닿아서 개리후에 링크의 반동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부와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접촉되어 있을 때 링크의 정지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부를 겸비하는 스톱퍼를 설비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oggle link mechanism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of a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a circuit into linear motion, and a cross section holding the toggle link mechanism The movable contactor attached to the contact arm support rotated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xed frame and the toggle link mechanism formed in a magnetic shape, and the fixed contactor folded in the movable contactor, the cross section being approximately It is formed in a magnetic shape and pivotally engages the link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and is polymerized and disposed inside it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fixed frame. A circuit breaker having a catch of a toggle link mechanism for opening and a bumping means for regulating the limit of rotation of a contact arm support during opening, wherein the fixing frame is integrally formed by extruding both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Has a stopper part for contacting the link when the movable contact is opened and regulating the recoil rotation of the link after opening and the stopper part for regulating the stop position of the link when the movable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A stopper was installed.

트립장치가 과전류를 검출하면 캐치에 대한 기계적 구속이 해제되고 이에 수반되어 토글링크 기구의 링크가 급속하게 회동접촉되어 가동접촉자는 고정접촉자로 부터 개리된다. 개리후 가동접촉자가 부설된 콘택트 아암서포트는 부딪쳐 멈춤수단에 충돌하여 반동회동하려고 하지만 이때 토글링크 기구의 링크는 스톱퍼와 맞닿으므로 링크와 이것에 연결되는 콘택트 아암 서포트의 반동작용은 저지된다. 또 통상시에 회로가 폐로되어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접촉하고 있을때 링크는 스톱퍼의 다른 부분과 맞닿아 그 위치가 규제되므로 접촉자의 접촉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When the trip device detects an overcurrent, the mechanical restraint on the catch is released and the link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is rapidly rotated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to be opened from the fixed contact. After opening, the contact arm support provided with the movable contactor collides with the stop means and tries to recoil, but the link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so that the reaction between the link and the contact arm support connected thereto is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circuit is normally closed and the movable contactor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or, the linkage contacts the other part of the stopper and its position is regulated, so that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or is kept constant.

아래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1은 커버 2를 갖는 절연재로 된 케이스이고, 그 저부에는 고정도체 3이 고정되고, 일단에 고정접촉자 4가 고정 부착되고 다른 단은 전원측단자로 되어 있다. 5는 콘택트 아암이고, 일단이 크로스바 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콘택트아암 서포트 7에 부착되고 다른 단에는 고정접촉자 4와 접리되는 가동접촉자 8이 설비되어 있다. 9는 양 접촉자 4 및 8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아크를 소호하는 소호장치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cas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cover 2, a fixed conductor 3 is fixed to the bottom thereof, a fixed contact 4 is fixedly attach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power supply side terminal. 5 is a contact arm, one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contact arm support 7 pivoted about the crossbar 6,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movable contact 8 which is folded with the fixed contact 4. 9 is an arc extinguishing device for arcing that occurs between both contacts 4 and 8.

콘택트아암 서포트 7을 회동조작시키기 위한 토글링크 기구이고 상링크 11과 하링크 12를 갖고있고 상링크 11의 일단은 핀 13에 의해서 캐치 14에 하링크 12의 일단은 핀 15에 의해서 콘택트 아암 서포트 7에 그리고 양링크 11 및 12의 다른 단 끼리는 핀 16에 의해서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oggle mechanism for pivoting contact arm support 7, with upper link 11 and lower link 12, one end of upper link 11 catch 14 by pin 13 and one end of lower link 12 pin 15 by contact arm support 7 And the other ends of both links 11 and 12 are pivotally connected by pin 16, respectively.

캐치 14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측벽에 대해서 수직인 배면의 하부를 양측으로 돌출시켜 이것을 캐치 지축 17로 하고 있다. 18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자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1의 저부에 배설된 고정프레임이고, 그 양측벽이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관통공 19가 설비되어 있다. 이 관통공 19에는 캐치지축 17이 삽입통과되고 이것을 지점으로하여 캐치 14는 고정프레임 18의 측벽과 캐치 14의 측벽이 중합되게 고정프레임 18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Catch 14 is shown in Figure 5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which is formed in a magnetic shape and is perpendicular to both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is projected to both sides, which is the catch axis 17. 18 is shown in FIG. It is a fixed frame formed in the shape of a child and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case 1, and the through hole 19 is provided in the site | part which opposes each other. A catch shaft 17 is inserted through this through hole 19, and the catch 14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fixed frame 18 so that the side wall of the fixed frame 18 and the side wall of the catch 14 are polymerized.

20은 주조작 스프링이고, 핀 16과 수동조작핸들 21의 사이에 당겨걸려있어 이것에 의해서 캐치 1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게 힘이 가해진다. 22는 자동트립기구인 트립장치이고, 통상시에는 래치 23이 캐치 14의 선단부 14a를 걸어멈춤상태로 되어있고, 트립장치 22가 과전류 또는 단략전류를 검지하여 동작했을 때에 래치 23이 캐치 14의 걸림을 해제하게 되어 있다.20 is a casting spring and is pulled between pin 16 and the manual handle 21, thereby forcing the catch 14 to rotate counterclockwise. 22 is a tripping device which is an automatic tripping mechanism. In general, the latch 23 latches the tip 14a of the catch 14, and the latch 23 catches the catch 14 when the tripping device 22 detects an overcurrent or a short-circuit current. Is supposed to release.

24는 고정프레임 18의 양측벽의 내측에 설비된 캐치스톱퍼이고 자동트립기구에 의해서 래치 23이 캐치 14의 걸림을 해제하고 캐치 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부딪쳐 멈춰 캐치 14의 그 이상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24 is a catch stopp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fixed frame 18. The latch 23 releases the catch 14 by the automatic tripping mechanism, and when the catch 1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t stops and stops. To stop it.

25는 상링크의 스톱퍼이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스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프레임 18의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측벽의 일부분이 안쪽으로 압출가공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트립시 스톱퍼부 25a와 통상시 스톱퍼부 25b를 갖고 있다. 트립시 스톱퍼부 25a는 자동트립기구인 트립장치 22가 동작하여 기계적 구속이 해제된 캐치 15의 회동운동에 수반되는 토글링크 기구 10의 동작에 의해서 회동되는 콘택트 아암 서포트 7이 캐치 14의 배면하단부 14b에 맞닿은 상태인 가동접촉자 8의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링크 11에 맞닿도록 설비되어 있다.25 is a stopper of the upper link, and as shown in FIG. 1, a part of the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xed frame 18 is extruded inwardly by using a press means to be integrally formed. It has the stopper part 25b. The stopper portion 25a at the time of tripping is the contact arm support 7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accompanied by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catch 15, in which the trip device 22, which is an automatic tripping mechanism, is released, and the rear end 14b of the catch 14 The upper link 11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link 11 when the movable contact 8 is in the open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통상시, 스톱퍼부 25b는 통상의 페로시에 상링크 11에 맞닿도록 설비되어서 상링크 11과 하링크 12가 대략 일직선이 되도록 보지되어 있다.Normally, the stopper portion 25b is provided so as to abut the upper link 11 in a normal ferro-phase so that the upper link 11 and the lower link 12 are approximately straight.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우선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캐치 14의 선단부 14a가 래치 23에 걸려 멈춰지고 수동조작핸들 21이 ON위치에 세트되어 있는 통상시의 폐로상태 (제2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링크 11이 주조작 스프링 20에 의해서 힘주어져 상술한 바와같이 상링크 스톱퍼 25의 페로스톱퍼부 25b에 맞닿아서 상링크 11과 하링크 12가 대략 일직선이 되도록 보지되고 따라서 콘택트 아암 서포트 7은 가동접촉자 8을 고정접촉자 4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힘주어져 있고 양접촉자 4 및 8사이는 밀착되고 폐로상태가 보지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normal closing state (state shown in Fig. 2) in which the distal end portion 14a of the catch 14 is caught by the latch 23 and stopped, and the manual operation handle 21 is set to the ON positio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link 11 is urged by the casting spring 20, an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link 11 and the lower link 12 are hel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the ferro stopper portion 25b of the upper link stopper 25. The contact arm support 7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bringing the movable contact 8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4, and the contact arms 4 and 8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losed state is held.

다음에 ON상태로부터 트립장치 22가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검지하여 동작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래치 23이 캐치 14의 선단부 14a의 걸림을 해제하므로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캐치 14는 이것과 핀 1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상링크 11과 일체적으로 캐치지측 1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동된다.When the trip device 22 detects an overcurrent or short circuit current from the ON state and then operates the latch 23, the latch 23 releases the catch of the front end portion 14a of the catch 14, as shown in FIG. It rotates rapidly counterclockwise about the catch side 17 integrally with the upper link 11 connected by the upper link 11.

이 회동운동에 수반되어 수동조작 핸들 21은 이것과 핀 16의 사이에 당겨걸린 주조작 스프링 20의 힘에 의해서 회동되고 제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트립위치로 이동된다. 이상의 동작에 수반되어 토글링크 기구 10이 주조작 스프링 20의 힘에 의해서 급속히 굴곡동작하면 콘택트아암 서포트 7이 가동접촉자 8을 고정 접촉자 4로부터 개리시키는 방향으로 그 속도로 회동하여 순시에 개로 상태로 된다.In conjunction with this rotational movement, the manually operated handle 21 is rotated by the force of the casting spring 20 pulled between it and the pin 16 and moved to the trip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In response to the above operation, when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bends rapidly under the force of the casting spring 20, the contact arm support 7 rotates at the speed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movable contact 8 from the fixed contact 4, and is opened instantly. .

이와 같이 가동접촉자 8을 순시에 개방동작시키는 자동트립기구에 의해서 개로된 경우 콘택트아암 서포트 7에는 주조작 스프링 20의 스프링력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회로차단시의 대전류에 의한 전자력도 작용하므로 이 양측 세력에 의해서 콘택트 아암 서포트 7은 고속도로 회동되어 캐치 14의 하단부 14b에 고속도로 충돌하므로 글 반동으로 하단부 14b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즉, 가동접촉자 8이 개방위치로부터 떨어져 재차 고정접촉자 4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튀어돌아가려고 한다. 그런데 제4도에 나태낸 바와 같이 트립장치 22가 동작되어 캐치 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캐치 스톱퍼 24에 맞닿고 있는 트립상태에서는 굴곡된 토클링크 기구 10의 상링크 11이 상링크 스톱퍼 25의 트립시 스톱퍼 25a에 맞닿으므로 토글링크 기구 10의 상, 하링크 11,12는 그 굴곡을 신장시키는 방향 즉, 가동접촉자 8과 고정접촉자 4가 근접하도록 콘택트 아암 서포트 7을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이 저지된다.In this way, when the movable contact 8 is opened by an automatic trip mechanism for instantaneous opening operation, the contact arm support 7 acts not only on the spring force of the cast spring 20 but also on the electromagnetic force caused by the large current during the circuit break. The contact arm support 7 rotates on the highway and collides with the lower end 14b of the catch 14, so the recoil moves away from the lower end 14b, ie, the movable contact 8 is thrown away from the open position and again jumps toward the fixed contact 4 again. . However, as shown in FIG. 4, in the trip state in which the tripping device 22 is operated so that the catch 14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contacts the catch stopper 24, the uplink 11 of the curved toggle mechanism 10 of the uplink stopper 25 The upper and lower links 11 and 12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are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bending, that is, in the direction of rotating the contact arm support 7 so that the movable contact 8 and the fixed contact 4 come close to each other since the contact with the stopper 25a occurs during a trip. It is prevented.

이로인해서 콘택트 아암 서포트 7은 캐치 하단부 14b에 충돌하여 그 튀어 돌아가는 운동이 방지되므로 벌써 가동접촉자 8을 고정접촉자 4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재차 회동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가동접촉자 8은 개방동작직후에 그 개방위치에 보지되고 대전류의 차단을 확실하게 한다.This prevents the contact arm support 7 from colliding against the catch bottom 14b and preventing its revolving motion, so that the contact arm 8 is not rotated again in the direction of bringing the movable contactor 8 close to the fixed contactor 4,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 8 is in its open position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peration. It is held in the circuit board and ensures blocking of a large curre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립시의 가동접촉자 8의 개방동작직후에 있어서 이 가동접촉자 8이 부착된 콘택트아암 서포트 7의 튀어돌아가는 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상링크 스톱퍼 25는자형으로 형성된 캐치 14를자형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 18에 쌍방의 측벽끼리 중합되는 상태로 회동자재하게 측지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정프레임 18의 부분을 압출가공만의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 절곡가공에 비해 염가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정도를 높이기 쉽고 또 일단 지지가 아니므로 변형되기도 어렵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 8 at the time of tripping, the upper link stopper 25 for preventing the jumping movement of the contact arm support 7 with the movable contact 8 attached thereto is Catch 14 Since the fixed frame 18, which is formed in a shape, is rotatably geodesic in a state where both sidewalls are polymerized, the part of the fixed frame 18 can be formed in a simple shape exclusively for extrusion processing.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s. Compared to the bending process,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it is easy to increase the degree and can not be deformed since it is not supported onc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프레임의 중앙부에 캐치가 위치되는 종래의 구성의 것에 비하여자상의 캐치14는 회동동작이 원활하고 또 캐치지축 17을 배면하부를 양측에 돌출시켜서 캐치 14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 18에 축지지시키기 위한 별개의 핀이 불필요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a catch is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a fixed frame, The magnetic catch 14 has the advantage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is smooth and the catch shaft 17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tch 14 by protru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backside on both sides, and a separate pin for axially supporting the fixed frame 18 is unnecessary.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립시에 상링크 11이 트립시 스톱퍼부 25a에 맞닿아 굴곡되어 있는 토글링크기구 10의 신장을 저지시켜 콘택트아암 서포트 7의 튀어돌아가는 운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폐로상태의 통상시에는 통상이 스톱퍼부 25b에 상링크 11을 맞닿게 하여 상링크 11과 하링크 12를 대략 일직선으로 보지되도록 상링크 스톱퍼 25를 형성하였으므로 하링크 12와 연결되어 있는 콘택트아암 서포트 7이 가동접촉자 8을 고정접촉자 4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양 접점 4 및 8간을 밀착시켜서 폐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link 11 stops the elongation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that is bent in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25a at the time of tripping, thereby preventing the jumping motion of the contact arm support 7 as well a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losed state. In this case, the upper arm stopper 25 is generally formed so that the upper link 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25b so that the upper link 11 and the lower link 12 are hel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Therefore, the contact arm support 7 connected with the lower link 12 is movable contactor 8. Th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ing the fixed contactor 4,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4 and 8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ensure the closed state.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회로를 동시에 개로시키는 트립시에 가동접촉자의 개방동작직후의 튀어돌아가는 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퍼를자상으로 형성한 캐치를 쌍방의 측벽끼리 중합하는 상태로 축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정도를 높이기 쉽고 변형도 적은 압출가공만으로 고정프레임의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측벽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증가시킴이 없고 또한 단순한 형상이므로 낮은 제작원가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정도가 높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bouncing motion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or at the time of tripping the main circuit at the same time. The catch formed in the shape of a magnetic shaft is axially supported in a state where both sidewalls are polymeriz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by integrally forming on both side walls of the fixed frame facing each other only by extrusion processing which is easy to increase the degree and has little deformation. Since it is simple and has a simple shape,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also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oviding a circuit breaker with high accuracy and improved reliability.

Claims (1)

회로를 개폐조작하는 핸들(21)의 회동동작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토글링크 기구(10)와 상기 토글링크 기구(10)를 보지하는 단면이 대략자형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18)과 상기 토글링크 기구(10)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회동하는 콘택드아암 서포트(7)에 부설된 가동 접촉자(8)와, 상기 가동접촉자(8)에 접리되는 고정접촉자(4)와, 단면이 대략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글링크 기구(10)의 링크(11)를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한 상기 고정프레임(18)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그 내측에 중합배치되고 또한 과전류 유입시에 트립장치(22)의 작동에 의해서 그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서 상기 가동 접촉자(14)와 상기 캐리시에 상기 콘택트아암 서포트(7)의 회동한계를 규제하는 부딪쳐 멈추는 수단(14b)을 갖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8)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을 압출가공하여 이것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캐치(14)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서 상기 가동접촉자(8)가 개리됐을 때 상기 링크(11)와 맞닿아서 상기 개리후의 상기 링크(11)의 반동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부(25a)와 상기 가동 접촉자(8)가 상기 고정 접촉자(4)와 접촉하고 있을때 상기 링크(11)의 정지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부(25b)를 겸비하는 스톱퍼(25)를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The cross section holding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and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handle 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it into linear motion is approximately A movable contact 8 attached to the contact arm support 7 rotated by a linear motion of the toggle frame mechanism 10 and the toggle link mechanism 10 formed in a shape of a child, and fixed to the movable contact 8. The contactor 4 and its cross section is approximately The tripping device 22 is polymerized and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ixed frame 18 which is formed in a shap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11 of the coggling link mechanism 10. In the circuit breaker having a stopping means 14b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by the operation and regulating the rotational limit of the contact arm support 7 at the time of the movable contact 14 and the carry, the fixed frame ( 18.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18) are extruded so that they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catch 14 is released to contact the link 11 when the movable contact 8 is opened. A stopper portion 25a for regulating the recoil rotation of the link 11 afterwards and a stopper portion 25b for regulating the stop position of the link 11 when the movable contact 8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4. Cum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quipment for the stopper 25 which.
KR2019880000612U 1987-03-02 1988-01-26 Circuit breaker KR900010512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30157U JPH083949Y2 (en) 1987-03-02 1987-03-02 Circuit breaker
JP30157 1987-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98U KR880018598U (en) 1988-10-29
KR900010512Y1 true KR900010512Y1 (en) 1990-11-19

Family

ID=308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612U KR900010512Y1 (en) 1987-03-02 1988-01-26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3949Y2 (en)
KR (1) KR90001051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7912B2 (en) * 2008-09-16 2011-07-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Circuit breaker
JP5700256B2 (en) * 2012-11-19 2015-04-15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765U (en) * 1975-12-10 1977-06-11
JPS60136040U (en) * 1984-02-21 1985-09-10 株式会社東芝 circuit brea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3949Y2 (en) 1996-01-31
JPS63137436U (en) 1988-09-09
KR880018598U (en) 198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9762A (en) Circuit-breaker operating mechanism
JP3352743B2 (en) Wiring breaker operating mechanism
US4916420A (en) Operating mechanism of a miniature electrical circuit breaker
JPH0139177B2 (en)
JPS6286632A (en) Circuit breaker
CA1275139A (en) Fast manual closing mechanism of miniature circuit breaker
US7009129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breaker mechanism
JPH04230929A (en) Circuit breaker
US4472701A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US4023127A (en) Circuit breaker with contacts which are not engageable when the electrical sensing unit thereof is energized
KR900010512Y1 (en) Circuit breaker
JP3057155B2 (en) Circuit breaker
US4628288A (en) Circuit interrupter
US4748428A (en) Multi-pole circuit interrupter
US4609799A (en) Circuit interrupter
US4786771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two stage stopper preventing bounce back
PL199277B1 (en) Mechanism for monitoring current status of circuit-breaker's accessories slot
US5008504A (en) Switching mechanism in circuit breaker
US5931289A (en) Circuit breaker with quick closing mechanism
US6448521B1 (en) Block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contact structure
US4754245A (en) Multi-pole circuit interrupter
US4321440A (en) Circuit breaker with extended contact separation after trip
JP3857139B2 (en) Circuit breaker
US4350965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s
JP3447486B2 (en) Circuit breaker switch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