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861Y1 -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 Google Patents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861Y1
KR900009861Y1 KR2019870008707U KR870008707U KR900009861Y1 KR 900009861 Y1 KR900009861 Y1 KR 900009861Y1 KR 2019870008707 U KR2019870008707 U KR 2019870008707U KR 870008707 U KR870008707 U KR 870008707U KR 900009861 Y1 KR900009861 Y1 KR 900009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et
present
bloc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2036U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2019870008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861Y1/ko
Publication of KR880022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2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제1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인 차단막의 전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유동문을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체 1' : 안내편
1a : 걸림구 2 : 차단막
2' : 걸림봉 3 : 유동문
3' : 연질부 3" : 경질부
4 : 트인구멍 A : 열린구멍
6 : 영구자석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 일측부에 열린구멍을 형성하고 자석과 경, 연질성 합성수지제로된 유동문을 틀체에 부착하여 이틀체 자체를 상기 열린구멍에 끼워 맞춤시킴과 동시에 이문에, 걸림봉을 삽입시켜 괘정장치를 이루도록한 차단막으로 부가설치하여 개폐토록 하므로서 애완용 동물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더더욱 냉, 온방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유지에 피해가 없도록 고안된 애완용 동물의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애완용 동물, 특히 개나 고양이를 가정에서 기를때 마당이 있는 구조의 주택은 애완용 동물의 크기에 따라 실외, 즉 마당의 한쪽 구석에 애완용 동물 전용의 보금자리를 별도로 지어주어 길러왔으나 도시생활 공간의 제약으로 현재와 같은 집단주거형태로 변모된 아파트내에서나 다세대 주택에서는 어쩔수없이 실내에 개집등을 마련해주어야 하는데, 애완용 동물의 잔존하는 야성적 성실상 야외에서 어느정도의 생활을 영위하여야만이 정상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바, 이러한 점(불의불시에 바깥출입을 하는 애완동물의 습성)때문에 애완용동물을 기르는 주인은 출입문의 열고닫음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자칫 방심하여 현관문이나 기타 출입문의 잠금상태를 미확인하고 하룻밤을 지낸 사이에 실로 불행한 재산상의 사고가 유발되는 사례가 허다하여 업계에서는 오래전부터 실내, 외와 통하는 모든 출입문은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보안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단지 애완용 동물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단독출입장치의 실현을 기대하여 왔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대에 부응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모든 출입문의 보안성을 확실히한 상태에서 주간에는 애완용 동물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는 한편 야간에는 차단막으로 차단시켜 애완용 동물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부로 트인구멍(4)이 형성되고 안내편(1')을 양측면으로 갖는 틀체(1)의 상단부에 경질부(3")와 연질부(3')로 이루어진 유동문(3)을 고정부착하며, 그 하부에 영구자석(6)이 설치되는 한편, 절곡된 걸림봉(2')을 유설한 사각형상의 차단막(2)을 상기 틀체(1)의 안내편(1')내로 삽입하여 걸림봉(2')을 회전시켜 걸림구(1a)에 걸리어 잠그어지도록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틀체(1)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열림구멍, B는 상기 열림구멍(A)에 틀체(1)를 부착할때 부착이 용이토록 틀체(1) 외주연을 따라 함께 부착시킨 탄력성있는 합성수지제나 목재 또는 고무재로된 도움편, C는 벽면, D는 애완용 동물, E는 차단막(2)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부, F는 상기 차단막(2)의 외주연에 부착한 연질성 합성수지제로된 슬라이드부를 각각 표시한다.
이러한 구조로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1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걸림봉(2')이 유설된 차단막(2)을 틀체(1)로부터 뽑아내어 틀체(1)의 트인구멍(4)이 개방되도록 하여 애완용 동물(D)이 자유롭게 출입하도록 하여주는데 상기 걸림봉(2')은 그 굴곡된 걸림부분이, 틀체(1)의 상단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걸림구(1a)에 걸리어 차단막(2)이 상부로 뽑혀지지 않는 상태에서 걸림봉(2')을 회전시켜 걸림봉(2')의 걸림부분이 걸림구(1a)로부터 벗어나게되도록 조작한 후에 차단막(2)의 손잡이부(E)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리므로서 트인구멍(4)을 개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첨부도면 제5도에서 표한한 바와 같이 유동문(3)의 상부만이 고정되었다 하나 자중에 의해 지면과 직각을 이루어 유동문(3)의 연질부(3')가 틀체(1)와 겹쳐지므로서 틀체(1)의 트인구멍(4)을 밀착폐쇄하여 안쪽, 즉 실내와 바깥쪽, 즉 실외를 완전히 차단시키는 것이다.
또한 유동문(3)은 에 영구자석을 내장시키고 있어 틀체(1)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특체(1)에 흡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사용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면 애완용 동물(D)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뛰쳐 들어올때 본 고안의 유동문(3) 폭(ℓ)은 틀체(1)의 트인구멍(4)의 폭보다 그 크기가 비록크나 유동문(3)의 외주연으로 연질부(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외력에도 쉽게 접혀지는 특성이 있어 애완용 동물(D)의 스스로의 힘에 의하여 열려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안쪽으로 들어온 애완용 동물(D)이 다시 바깥으로 나갈때에는 유동문(3)을 첨부도면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용 동물(D)이 밀고 나가게되면 이 유동문(3)의 하부에는 영구자석(6)이 내장되어 있어 틀체(1)에 흡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가 애완용 동물(D)의 행위에 의하여 밀리게 되어 상단부의 고정부착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열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동문(3)이 틀체(1)에 흡착 유지됨으로 말미암아 실내와 실외를 차단시켜 냉, 온방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며 에너지 손실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에 애완용 동물(D)의 출입을 통제하고자 할때에는 첨부도면 제2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은 상측부에 걸림봉(2')을 유설한 차단막(2)을 틀체(1)의 안내편(1')사이에 끼워 슬라이드식으로 하강시키면(첨부도면 제1도에서 표현)자연스럽게 틀체(1)에 끼워져 틀체(1)의 트인구멍(4)을 차단시키므로서 애완용 동물(D)의 출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애완용 동물(D)의 습성을 억제하지 않으므로서 정상적인 활동을 하게 하였으며 외부와 통하는 출입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애완용 동물(D)은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어 애완용 동물(D)의 주인은 안심하고 기타 업무를 볼 수 있는 등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로 트인구멍(4)이 형성되고 안내편(1')을 양측면으로 갖는 틀체(1)의 상단부에 경질부(3")와 연질부(3')로 이루어진 유동문(3)을 고정부착하며, 그 하부에 영구자석(6)이 설치되는 한편, 절곡된 걸림봉(2')을 유설한 사각형상의 차단막(2)을 상기 틀체(1)의 안내편(1')내로 삽입하여 걸립봉(2')을 회전시켜 걸림구(1a)에 걸리어 잠그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용 동물의 출입문.
KR2019870008707U 1987-05-30 1987-05-30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KR900009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707U KR900009861Y1 (ko) 1987-05-30 1987-05-30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707U KR900009861Y1 (ko) 1987-05-30 1987-05-30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036U KR880022036U (ko) 1988-12-26
KR900009861Y1 true KR900009861Y1 (ko) 1990-10-20

Family

ID=1926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707U KR900009861Y1 (ko) 1987-05-30 1987-05-30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8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69A (ko) * 2001-04-19 2002-10-30 윤건구 출입문을 갖는 강아지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036U (ko) 198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7202A (en) Window pet porch
US5261350A (en) Dwelling addition pet enclosure
US5660144A (en) Pet barrier and method therefor
US5469807A (en) Expandable window pet bin
US4760872A (en) Security pet door
US9284773B1 (en) Locking pet door system
US3797554A (en) Pet door structure
US3874118A (en) Animal actuated door
US4840217A (en) Pet portal
US3918203A (en) Pet access panel
US66684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n animal access door to an inclined surface
US20090084326A1 (en) Pet curtain
US4043079A (en) Automatic latch door apparatus
KR102176641B1 (ko) 자동 닭사육장
KR900009861Y1 (ko)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US20030221631A1 (en) Automated pet door system
US6405497B1 (en) Window gate
KR900009860Y1 (ko) 애완용동물의 출입문
US20100236494A1 (en) Draft-proof animal passageway
KR200494284Y1 (ko) 송아지의 출입 통제가 가능한 축사 출입문
KR20220002062U (ko) 반려동물 비상출입문을 갖는 도어
WO2000047856A1 (en) Holding device for a door
GB2563317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JP2538138Y2 (ja) ペット用出入口装置
GB2563320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