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781Y1 -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Google Patents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9781Y1 KR900009781Y1 KR2019900012746U KR900012746U KR900009781Y1 KR 900009781 Y1 KR900009781 Y1 KR 900009781Y1 KR 2019900012746 U KR2019900012746 U KR 2019900012746U KR 900012746 U KR900012746 U KR 900012746U KR 900009781 Y1 KR900009781 Y1 KR 9000097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d
- button
- skid button
- pipe
- furn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2—Skids
- F27D3/024—Details of skids, e.g. r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도비임의 사면도.
제2도-제5도는 본 고안에 관한 스키드버튼의 실시예로서, 각 도면에 있어서
a도는 횡단면도.
b도는 축방향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스키드버튼으로서
a도는 횡단면도.
b도는 축방향 단면도.
제7a도는 세라믹스 함유량이 다른 스키드버튼을 사용 실험한 결과를 표시하는 도표.
제7b도는 스키드의 압축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스키드버튼의 횡단면도.
제8도는 세라믹스 함유량과 충격에너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각 재질의 압축강도와 온도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0도는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와 로내의 온도차와 스키드버튼의 높이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1도는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와 로내의 온도차와 라이닝두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2도는 세라믹스 복합재와 내열합금을 일체화하는 공정으로서, 갈라짐의 발생상황을 표시하는 도표.
제13도는 스키드버튼의 압축변형의 속도와 제2의 부재의 단면적 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4도는 스키드버튼의 열응력과 수평단면의 폭과 길이의 비율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키드 비임 10 : 시키드 파이프
12 : 스키드 버튼 12a : 제1의 부재
12b : 제2의 부재 14 : 라이닝
16 : 돌기
본 고안은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에 관한 것이다. 열간압연 공정에서는 강편, 슬랩 등의 강재의 가열에 워킹비임식 가열로가 사용되고 있다.
이 가열로는 강편, 슬랩 등의 피가열재를 지지하고 반송하는 스키드 비임을 복수열로 비치하고 있으며, 그 비임은 이동비임과 고정비임으로 구성되고, 이동비임의 승강, 수평왕복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서, 피가열재를 이동비임과 고정비임을 번갈아서 옮기 바꾸면서 반송하는 것이다.
워킹비임식 가열로의 스키드비임(1)은,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내열합금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스키드파이프(10)에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스키드버튼(12)를 세워 설치한 것으로 스키드파이프(10)의 외주면 및 스키드버튼(12)의 기부에서 상부에 걸쳐서 내화재의 라이닝을 시행해서 가열로의 내부엔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스키드비임의 스키드버튼(12)은,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내열합금(예컨대, 코발트계 내열주강니켈-크롬 내열주강)의 블록을 형성하고, 이것을 스키드파이프(10)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한 것이다.
가열로의 내부는, 통상 약 1000℃이상의 고온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스키드파이프의 중공구멍에 냉각수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서 스키드파이프의 온도상승과 그에 따르는 절곡, 좌굴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재치된 피가열재의 하중에 견디는 항절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또, 스키드파이프의 표면을 캐스터블(castable) 등의 내화재로 라이닝(14)을 형성함으로서, 냉각수의 온도상승을 억제함과 아울러 고온의 산화분위기에서 스키드파이프를 보호하고 있다.
그런데, 스키드버튼은 스키드파이프의 속을 흐르는 냉각수의 영향을 받기 위하여 로내 온도보다도 저온으로 되고, 천면부에 재치된 피가열재는 스키드버튼과의 접촉면을 개재하여 열을 빼앗긴다. 따라서, 피가열재에는 스키드버튼과의 접촉부에 국부적인 저온부(이른바 스키드마크)가 발생해서 가열얼룩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이 가열얼룩이 크면 다음의 압연공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스키드마크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스키드버튼의 높이를 크게하고, 그 천면부에 미치는 냉각수의 영향을 적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스키드버튼은 통상 코발트계의 내열주장 또는 니켈-크롬계의 내열주강으로 만들어져 있고, 스키드버튼의 높이를 크게하면 스키드버튼상부의 온도는 로내 온도에 가까와져서 보다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스키드버튼의 압축강도가 저하하여 압축변형을 일으키고, 단기간에 스키드버튼의 대체가 강요된다.
이 압축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키드버튼의 횡단면적을 크게하고, 피가열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함으로써 스키드버튼에 대한 단위면적당의 압축부하를 적게하는 것도 생각되어 진다.
그러나, 피가열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하면, 그 만큼 로내 분위기에 가열되는 피가열재의 표면적이 적게됨으로 피가열재의 가열효율이 저하하고, 입열부족, 가열온도 얼룩이 발생하기 쉽고 유효한 대책이 되지 못한다.
그리고 또, 내열성이 뛰어나고, 고열압축강도가 높은 세라믹 소결체를 스키드버튼으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피가열재반송시의 스키드버튼에는, 정적 하중만이 아니고 큰 동적인 하중이 반복해서 가하여지므로 인성이 모자라는 세라믹에 스키드버튼으로는 균열이나 결핍이 생기기 쉽다.
더욱이, 세라믹제 스키드버튼은 직접 시키드파이프에 용접할 수가 없기 때문에, 스키드파이프에의 부착에 지장이 있다.
예컨대, 내열합금으로 만든 부착부재에 상자모양으로 형성한 스키드버튼을 끼워넣을 수도 있으나, 스키드버튼의 높이가 크게되면 극히 불안정하여 빠져나가기 쉽고 안정된 로의 조작을 유지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고온압축의 변형저항 및 내충격성에 뛰어난 워킹비임식 가열로의 스키드비임을 명백히 하는 것으로서, 피가열재를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열합금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스키드파이프에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키드버튼을 세워 설치한 스키드비임에 있어서, 스키드버튼은 스키드파이프에 부착되는 제1의 부재와 피가열재에 접촉하는 제2의 부재로 구성하고, 스키드파이프의 외주면 및 스키드버튼의 기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라이닝을 시행한 것으로서, 제1의 부재를 내열합금으로 구성하고, 제2의 부재를 내열합금메트릭스(matrix)의 복합재에 대해서 30-70중량%의 세라믹입자가 혼재한 조직을 갖는 복합재로 형성하고, 스키드버튼의 높이는 120㎜를 넘게한 스키드비임을 명백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스키드비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스키드비임(1)의 실시예를 제2도-제5도에 표시하고 있으며, 이들은 어느것이나 스키드파이프(10)에 부착되어서 기체(基體)로 되는 제1의 부재(12a)와 그 제1의 부재(12a)의 상부에 결합하고 피가열재에 접촉하는 제2의 부재(12b)로 구성한 스키드버튼(12)를 비치하고 있다.
스키드파이프(10)의 외주면 및 스키드버튼(12)의 기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내화재의 라이닝(14)이 시행된다.
제1의 부재(12a)는 내열합금으로 형성하고, 제2의 부재(12b)는 내열합금과 세라믹스와의 복하재로 형성하고 있으며, 그 복합재는 내열합금 매트릭스로 30-70 중량%의 게라믹입자가 혼재한 조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내열합급으로서 예컨대 코발트게, 니켈-크롬계의 내열주강이 사용된다.
또 라이닝(14)은 예컨대 캐스터블이 사용된다.
제2의 부재를 구성하는 복합재를 만드는데는, 내열합금과 세라믹스의 용융체를 혼합해서 급히 냉각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내열합금의 매트릭스에 0.01-0.1㎛의 미세한 세라믹스의 분산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 분산입자와 내열합금의 매트릭스와의 복합효과에 의해서, 고온에서의 압축강도와 인성을 겸비한 재료의 특성이 부여된다.
이 복합재는 파인세라믹스의 위성재료와 합금의 연성재료와의 중간에 위치하는 재료라고 할수 있다.
그리고, 세라믹스의 함유율을 변경함으로서 특성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이 복합재는, 예컨대 텅스텐 불활성가스 아아크를 이용하여 용융체로 만들고, 내열합금으로 되는 제1의 부재와 일체화시켜 소정의 형상을 한 스키드버튼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고안자등은, 이 복합재의 세라믹스 입자의 함유율(중량%)을 여러가지로 변경해서 실제의 가열로에서 성능테스트를 향하여던바, 세라믹스입자의 함유율이 30-70%의 범위내라면, 균열이나 압축변형이 없고 장기간의 사용에 견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테스트는 다음의 조건에서 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제7a도에 표시한다.
로내 온도 : 1,280℃ 스키드버튼의 싸이즈(㎜) : 500(폭)×130(길이)×200(높이)피 가열제(슬랩)(㎜) : 220-260(두께)) 워킹비임의 동작 : 약 10만회
그리고, 스키드버튼은 세라믹스함유율이 10, 15, 25, 35, 50, 65, 75, 85, 90중량 %의 것을 각 2개씩 스키드파이프에 부착하였다. 슬랩은 무작위로 로내에 집어 넣었다.
제7a도에 표시한 기호는 다음의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 : 압축변형이 큰것(3-10mm) △ : 압축변형이 적은것(0.5-3mm)
○ : 정상(사용상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변형을 포함)
● : 스키드버튼의 상면부에 결손 또는 균열이 생긴것
상기한 변형에 있어서의 수치는, 변형에 의해서 생긴 버튼 높이의 감소 △h(제7b도 참조)를 표시한다.
제7a도의 결과에서 세라믹스함유량이 30-70중량%일 때 뛰어난 성능을 발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테스트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에 복합재의 고온인성값과 세라믹스입자 함유량과의 관계를 표시하고, 제9도는 고온압축강도에 있어서 복합재와 내열합금과의 비교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9a, b, c도는 각각 세라믹스입자 함유량이 70%, 50%, 및 30%의 복합체, 9d도는 코발트계합금, 9e도는 니켈-크롬게 합금이다.
제8도에서 세라믹스입자 함유율 30%에 있어서의 충격에너지는 100㎏·㎝이며, 세라믹입자의 증가에 다라서 인성의 저하를 보이나, 함유율 70%에 잇어서도 역시 30㎏·㎝의 충격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충격에너지가 30㎏·㎝이상이면 균열의 발생의 문제는 해소시킬수가 있다.
제9도에서 예컨대 코발트계합금(d)는 온도 1210℃를 넘으면 압축강도가 0.10㎏/㎟보다도 저하하는 것에 대하여, 세라믹스 입자를 30%이상함유하는 복합재(a)(b)(c)는 1280℃의 고온에서도 0.10㎏/㎟이상의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에 재치되어서 반송되는 피가열재에 스키드마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에는,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의 온도와 토내 온도와의 온도차는 40℃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토내 분위기온도 구역내에 있는 스키드버튼과로내 온도와의 사이에 온도차가 생기는 것은, 스키드버튼이 스키드파이프의 속을 흐르는 냉각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키드버튼은 높아질수록 스키드파이프속을 흐르는 냉각수의 영향이 적어지기 때문에 전기한 온도차는 적어진다.
또, 라이닝층이 두꺼워지면 그 만큼 단열효과가 크고, 냉각수의 온도상승은 억제되기 때문에, 스키드버튼은 저온의 냉각수의 영향을 받아서 로내온도와의 온도차는 크게된다.
그래서, 라이닝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스키드버튼의 임의의 높이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의 온도와로내 온도와의 온도차(△T)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제10도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2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스키드버튼의 높이라함은 소키드버튼의 정점면에서 스키드버튼의 천면부까지의 거리(H)를 말하고, 라이닝층의 두께라함은 소키드버튼의 기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스키드버튼이 피복되는 부분의 치수(t)를 표시하고 있다. 이 치수를 라이닝층의 두께로 하는 이유는, 스키드버튼에 미치는 냉각수의 실질적인 영향을 이 부분의 치수에 의해서 좌우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0도의 테스트에서는 두께(t)를 110㎜로 하였다.
이결과, 스키드버튼을 120㎜를 넘는 높이로 함으로서 스키드버튼과 로내 온도와의 온도차(△T)는 40℃이하로 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닝층의 두께(t)를 110㎜보다도 적게하면 냉각수의 영향도 적게되고,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의 온도는 로내온도에 가까워 진다.
또한, 스키드버튼의 높이가 200㎜와 150㎜의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라이닝과 두께(t)와 전기한 온도차(△T)와의 관계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제11도에 있어서, (a)는 높이가 200㎜일 때, (b)는 150㎜의 경우를 표시한다.
제11도에서, 라이닝의 두께(t)와 온도차(△T)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키드버튼의 높이를 설정하고 다음에 온도차(△T)가 40℃를 넘지않도록 스키드버튼의 높이에 대응한 라이닝의 두께(t)를 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로내온도가 1000℃이상이고 스키드버튼을 120㎜를 넘는 높이로 하였을 때 △T가 40℃를 넘지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라이닝부에서 돌출하는 스키드버튼의 길이(제6도에 있어서의 H-t의 부분)는 30㎜이상으로 하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내열합금으로된 제1의 부재와 내열합금과 세라믹스 입자와의 복합재로되는 제2의 부재로 구성한 스키드버튼의 각종실시예를 제2도-제5도에 표시한다.
제2도의 실시예는, 제1의 부재(12a)의 상면에 제2의 부재(12b)를 결합하여 층모양으로 구성한 것이다.
스키드파이프속을 흐르는 냉각수의 영향을 적게하기 위하여 스키드버튼 전체의 높이를 높게하고, 스키드버튼 천면부의 온도가 로내온도에 가까워져도, 전술한 바와같이 세라믹스복합재의 뛰어난 고온압축의 변형특성에 의해서 스키드버튼의 천면부 근방에 있어서의 고온변형은 방지된다.
그런데, 세라믹스복합재를 어느정도 두껍게 하면, 내열합금으로된 제1의 부재와 일체화 하기 위한 용융살부치기 공정때에 세라믹스복합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제12도에 세라믹스복합재의 두께를 바꾸어서 내열합금과 일체화 하였을 때의 균열의 발생상태를 표시한다.
도면중 ○은 정상적인것(균열의 발생이 없는 것) ●은 균열의 발생이 있었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종축은 균열의 정도를 표시하고, 높은 위치에 있을 수록 균열의 정도가 큰것을 표시한다.
제12도에서 세라믹스복합재의 두께가 약 35㎜이상으로 되면 균열의 발생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세라믹스복합재의 두께를 약 35㎜보다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출원인은 다시 제3도-제5도의 실시예를 제안한다.
제3도의 실시예는, 제1도의 부재(12a)의 약 중앙부에 돌기(16)을 설치하고, 갭모양으로 형성한 제2의 부재(12b)를 전기한 돌기의 전체에 피복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세라믹스복합재의 두께부분을 얇게하기 위하여 제1의 부재에 돌기를 설치한 것이다.
돌기(16)의 상면부와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와의 사이의 두께, 돌기(16)의 외주부와 스키드버튼의 외주부와의 사이의 두께는, 각각 35㎜보다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두께가 너무 적으면 세라믹스 복합재로 설치하는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8㎜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2㎜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돌기(16)는 기부에서 상면부로 향해서 횡단면적이 적게되도록 형성하고, 제2의 부재의 상면부의 면적을 적게함으로서 그 상면부의 고온압축강도 상승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4도의 실시예는, 제1의 부재(12a)의 약 중앙부에 돌기(16)를 설치하고, 링형상으로 형성한 제2의 부재(12b)를 전기한 돌기의 외주부분에 피복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키드버튼의 천면부의 일부에 내열합금으로 된 제1의 부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천면부에 있어서의 고온압축의 변형저항을 너무 크게 할 수가 없으므로, 그 천면부의 온도가 다소 낮더라도 좋은 경우에 한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부재(12a)를 기동모양으로 형성하고, 제1의 부재의 정상면 및 측면을 핍복하도록 제2의 부재(12b)를 형성한 것이다.
제3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변경을 가한 것으로, 스키드버튼의 높이 부분에 세라믹스복합재를 보다많이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는 어느것이나 스키드파이프(10)의 외주면 및 스키드버튼의 기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캐스터불 등의 내화재의 라이닝(14)을 시행한 것이다.
그런데 제3도-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수평방향의 단면이 제1 및 제2의 부재의 양자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면적의 비는 제2의 부재의 고온에서의 변형속도 및 양 재질의 열팽창계수 등을 고려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선, 스키드버튼의 압축하중에 대한 변형속도로 안전율을 감안해서 0.025% hr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변형속도는, 스키드버튼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제2의 부재의 점하는 면적비에 의존한다.
제13도는 온도 1250℃, 면적의 압력 0.25㎏/㎟일때의 스키드버튼의 변형속도 (%/hr)와 제2의 부재가 점하는 단면적비(S1/S0×100)의 관계를 표시한다.
그리고, (So)는 제1 및 제1의 부재를 합한 스키드 버튼 전체의 단면적 (S1)은 제2의 부재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동도면에서 전기한 단면적비를 50%이상으로 함으로서, 변형속도를 0.025%/hr이하로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의 부재를 구성하는 내열합금과 제2의 부재를 구성하는 세라믹스를 함유한 복합재의 각각의 열응력에 대해서, 스키드버튼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폭(W)과 축방향단면에 있어서의 길이(L)의 비(W/L)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제14도에 표시하고 있다.(그리고 W와 L에 대하여는 제2a, b도 참조)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2의 부재의 천면부의 층의 두께를 15㎜, 측면부의 층두께는 전기한 단면적비(S1/S0)의 하한값이 전기한 바와 같이 50%이기 때문에를 충족하는 범위내에서 설정하였다.
본 테스트의 사용온도는 1200℃이며, 도면중(i)은 스키드버튼 전체를 로내에서 균일한 온도로 유지하고, (ii)는 실제의 조건과 같게하면에서부터 냉각하였다.
이도면에서 W/L가 클수록 열응력은 적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열응력에 의한 균열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열응력의 허용상한값은 7.2㎏/㎟이라고 생각되며, 이에 대응하는 W/L의 값은 0.34이상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스키드비임을 비치한 워킹비임식 가열로에 있어서는, 피가열재의 스키드마크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피 가열재를 얼룩이 없이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균열 한 가열효과에 의해서 다음공정에 있어서의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정화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스키드버튼은 고온에서의 압축변형 저항 및 내층격성이 뛰어나고 열응력에 의한 갈라짐도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8)
- 사용시의 로내온도가 1000℃를 넘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의 스키드비임(1)으로서, 그 스키드비임(1)은 내열합금으로부터 만들어진 중공의 스키드파이프(10)와, 그 파이프의 정면(頂面)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설치한 스키드버튼(12)과, 스키드파이프(10)의 외주면 및 스키드버튼(12)의 기부에서 상부로 향하여 시행한 내화재의 라이닝(14)으로 구성되며, 스키드버튼(12)은 스키드파이프(10)에 부착되는 제1의 부재(12a)와 피가열재에 접촉하는 제2의 부재(12b)로 구성되면, 제1의 부재(12a)는 내열합금으로 형성하고, 제2의 부재(12b)는 내열합금의 메트릭스에 30-70중량%의 세라믹 입자가 혼재한 조직을 갖는 복합재로 부터 형성되어 있으며, 스키드버튼(12)은 120㎜를 넘는 높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제1항에 있어서, 라이닝(14)은 스키드버튼(12)의 기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부분의 두께가 스키드버튼(12)의 천면부와 로내 온도와의 차이가 40℃이하로 되도록 한 치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용스키드비임.
- 제1항에 있어서, 스키드버튼(12)의 높이는 약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용스키드비임.
- 제1항에 있어서, 스키드버튼(12)은 제1의부재(12a)의 편평한 상면에 제2의 부재(12b)가 쌓아올려져서 형성된 워킹비임식 가열로용스키드비임.
-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부재(12a)의 상면의 약 중앙부에 돌기(16)를 설치하고, 제2의 부재(12b)는 전기한 돌기(16)의 외주를 에워싸도록 링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부재(12a)의 상면의 약 중앙부에 돌기(16)를 설치하고, 제2의 부재(12b)는 전기한 돌기(16)를 피복하도록 갭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제1항에 있어서, 스키드버튼(12)은 제1의 부재(12a)를 기둥모양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기부를 소키드파이프(10)의 외주면에 따라서 돌출시키고, 제2의 부재(12b)는 제1의 부재(12a)의 기동모양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제7항에 있어서, 스키드버튼(12)은 횡단면에 있어서의 길이(L)와 폭(W)의 비가 0.3이상, 횡단면에 있어서의 제2의 부재(12b)의 점하는 면적비가 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비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2746U KR900009781Y1 (ko) | 1986-06-10 | 1990-08-23 |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134660A JPH07103419B2 (ja) | 1986-06-10 | 1986-06-10 | 低スキッドマークウォーキングビーム炉用スキッドボタン |
JP61-134660 | 1986-06-10 | ||
JP61-193194 | 1986-08-18 | ||
JP61-193195 | 1986-08-18 | ||
JP61193194A JPH0772292B2 (ja) | 1986-08-18 | 1986-08-18 | ウオ−キングビ−ム式加熱炉のスキツドビ−ム |
KR870005674A KR880000601A (ko) | 1986-06-10 | 1987-06-04 | 워킹비임식(Walking-Beam) 가열로용 스키드비임(Skid-Beam) |
KR2019900012746U KR900009781Y1 (ko) | 1986-06-10 | 1990-08-23 |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70005674A Division KR880000601A (ko) | 1986-06-10 | 1987-06-04 | 워킹비임식(Walking-Beam) 가열로용 스키드비임(Skid-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9781Y1 true KR900009781Y1 (ko) | 1990-10-20 |
Family
ID=2747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12746U KR900009781Y1 (ko) | 1986-06-10 | 1990-08-23 |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9781Y1 (ko) |
-
1990
- 1990-08-23 KR KR2019900012746U patent/KR9000097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47775A (en) | Skid beam for heating furnaces of walking beam type | |
JPS60200948A (ja) | 加熱炉の支持部材用複合材料 | |
KR900009781Y1 (ko) | 워킹비임식 가열로용 스키드비임 | |
EP0274807B1 (en) | Heat-resisting supporting member | |
JP2626734B2 (ja) | 珪素鋼板熱処理炉用ハースロール | |
JP6162982B2 (ja) | スキッドボタン | |
JPS6233714A (ja) | スキツドボタン | |
JPH0230365B2 (ko) | ||
JPH07103419B2 (ja) | 低スキッドマークウォーキングビーム炉用スキッドボタン | |
JPH06304722A (ja) | 搬送用ロール | |
EP2138791A1 (en) | Lining element for an industrial furnace | |
JPS6217118A (ja) | スキツドボタン | |
JPS6350415A (ja) | ウオ−キングビ−ム式加熱炉のスキツドビ−ム | |
JPS6220819A (ja) | スキツドボタン | |
JPS62230462A (ja) | 連続鋳造用ロ−ル | |
JPS6350414A (ja) | ウオ−キングビ−ム式加熱炉のスキツドビ−ム | |
JPH04301049A (ja) | 加熱炉内被加熱鋼材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 |
JPS61261421A (ja) | 加熱炉用スキツドボタン構造 | |
JPH0565563B2 (ko) | ||
JPS61291917A (ja) | 加熱炉用スキツドボタン | |
JPH04301048A (ja) | 加熱炉内被加熱鋼材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 |
JPH0463122B2 (ko) | ||
JPS6155409A (ja) | 高温材料搬送ロ−ル | |
JPS6270511A (ja) | 加熱炉における加熱鋼材の支持部材 | |
JPH06264160A (ja) | 複合セラミツクスチュー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