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31Y1 - 빔 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빔 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31Y1
KR900007731Y1 KR2019860009186U KR860009186U KR900007731Y1 KR 900007731 Y1 KR900007731 Y1 KR 900007731Y1 KR 2019860009186 U KR2019860009186 U KR 2019860009186U KR 860009186 U KR860009186 U KR 860009186U KR 900007731 Y1 KR900007731 Y1 KR 900007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current
transistor
voltage
current control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184U (ko
Inventor
조현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9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31Y1/ko
Publication of KR880001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1Beam current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83Zener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빔 전류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 회로도의 각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압부 2 : 중압부
3 : 빔 전류 제어부 5 : 자동 휘도 조절부
FBT : 플라이백 트랜스 ZD : 제너다이오드
CT : 콘트라스트 단자 BT : 브라이트 단자
VR1, VR2: 가변저항 C1, C2, C3: 콘덴서
R1, R2, R3: 저항 D1, D2, D3: 다이오드
본 고안은 영상기기의 빔 전류 제어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을 검출하여 빔 전류가 과도하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빔 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과도한 빔 전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와 같이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그라운드 되는 부분에 저항(RA)을 통하여 125V 전원 (B+)을 걸어주고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RA)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다이오드(D2), (D3)와 저항(RB), (RC)을 통한후 콘트라스트와 브라이트 단자(CT), (BT)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여 빔 전류를 제어하게 되므로 결국 저항(RA), (RB), (RC)의 값을 효율적으로 조절함에 따라서 빔 전류가 제어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빈 전류 제어 방식은 각 저항(R+A), (RB), (RC)값의 혀용차(Tolerance)가 있고 분배저항에 의하여는 일정한 비율로밖에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한 전압에 대하여 빈 전류를 제어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빔 전류의 직접 관계가 있는 고압을 제어 신호원으로 사용하여 빔 전류를 제어하므로써 과도한 전압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빔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또다른 목적은 고압은 그 다지 높지 않으나 중압이 일정 포인트 이상 상승하면 이때에도 빔 전류를 흐름을 제어해 줄 수 있도록 한것으로써 고압부와 중압부의 고압 및 중압 상승을 검출하여 빔 전류 제어부의 자동 휘도 조절 포인트를 설정해 주어 자동 휘도 조절부를 통하여 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게 구성된다.
이같은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써 플라이백 트랜스(FBT)로부터 콘덴서(C1)에 의해 추출된 신호 중 포지티브의 고압 펄스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패스시킨후 네가티브의 고압 펄스를 콘덴서(C2)에 충전시키는 고압부(1)와, 상기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저항(R1), (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구동을 제어하고 트랜지스터(Q1)의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2)의 구동을 제어하는 빔 전류 제어부(3)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콜렉터간 전위는 제너다이오드(ZD)의 제너 전위에 의해 결정된 전위로 콘트라스트 단자(CT)와 브라이트 단자(BT)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자동 휘도 조절부(5)로 구성된다.
이때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중압 부분 전위를 검출하는 중압부(2)의 전위는 가변저항(VR2)의 조절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 전위를 제어하게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는 전원(B-)에 연결된 가변저항(VR1)으로 가변시키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이차측 고압 펄스는 제3도의 (a)과 같이 발생되어 도시되지 아니한 고압 정류단으로 인가되게 되고 또한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발생된 제3도의 (b)과 같은 고압 펄스는 콘덴서(C1)에 의해 추출된후 포지티브 고압 펄스 부분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패스시키고 제3도의 (c)과 같은 네가티브 고압 펄스만을 콘덴서(C2)에 충전시킨다.
그리고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은 콘덴서(C2)와 저항(R1)에 의하여 평활되고 전압은 저항(R2), (R3)과 가변저항(VR1)의 분배비에 의하여 일정 전위로 강화 되게 되며 강화된 전위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전원(B-)에 연결된 가변저항(VR1)을 가변시킴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턴온"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단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IE·R5-B-)만큼의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2)도 "턴온"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는 시점은 A+VZD VC+VEB(Q2"온")면 되는 것으로 여기서 VC는 C점의 전위이고 VEB(Q2"온")은 트랜지스터(Q2)의 "턴온"시 에미터와 베이스에 걸리는 전위이다.
따라서 자동 휘도 조절이 되는 포인트는 D점의 전압(VD)이 콘트라스트 단자 전압(VCT)이나 브라이트 단자 전압(VBT)의 최대치(MAX)에 다이오드(D4)의 도통되는 전압(≒0.6V)을 더한 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이며,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VD), (D점 전압)MAX(VCT, VBT)+D4(≒0.6V)가 된다.
즉,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고압 발생시 발생된 고압을 이용하여 빔 전류 제어부(3)의 트랜지스터(Q1), (Q2)를 구동시킴으로써 자동 휘도 조절 포인트인 VD전압이 설정되게 되고 설정된 VD전위에 의하여 콘트라스트 단자(CT)와 브라이트 단자(BT)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해 주어 빔 전류를 제어해 주어 빔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이같은 본 고안은 고압부(1)의 전압 크기에 의하여 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고압부(1)의 고압이 크게 되면 자동 휘도 조절 포인트인 VD전압의 전위에 의해 콘트라스트 단자(CT)와 브라이트 단자(BT)에 흐르는 전류를 VD전압과의 전위차이에 의하여 흘려 주고 낮게 되면 콘트라스트 단자(CT)와 브라이트 단자(BT)에 흐르는 전류와 VD전압과의 전위치가 발생하지 않아 콘트라스트 단자(CT)와 브라이트 단자(BT)에는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빔전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고압을 이용하여 빔 전류를 제어해 주므로 고압 상승시 과도하게 흐르는 빔 전류를 안정되게 제어해 줄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고압이 그다지 높지 않더라도 회로의 안정성을 위하여 중압부(2)의 중압이 일정 포인트 이상이 되게 되면 다이오드(D2)를 "온"시켜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킴으로서 고압이 높을때와 마찬가지로 빔 전류를 제어하게 한다.
즉, 중압이 높게 되면 네가티브 펄스 부분이 커지게 되고 이 전위가 C점의 전위보다 낮으면 다이오드(D2)가 "온"되어 C점의 전위를 떨어뜨림으로써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는 것으로 이때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는 중압의 비율은 가변저항(VR2)을 이용하여 조정해 준다.
따라서 고압이 그다지 높지 않으나 중압이 일정 포인트 이상 상승되게 되면 빔 전류를 제어해 주어 안정된 빔 전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빔 전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고압을 이용하여 빔 전류를 제어해 주고 또한 고압은 높지 않으나 중압이 일정 포인트 이상 상승될때에도 빔 전류를 제어해 주도록 한 것으로써 고압이나 중압 상승시 과도한 빔 전류의 흐름을 방지해 주어 안정된 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고압 펄스 중 네가티브 고압 펄스를 콘덴서(C2)에 충전시켜 출력시키는 고압부(1)와,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이차측 중압을 검출하는 중압부(2)와, 상기 고압부(1)의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과 전원(B-)에 연결된 가변저항(VR1)의 조정으로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출력 전위를 가변저항(VR2)으로 설정되는 상기 중압부(2)의 출력으로 조정하여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키는 빔 전류 제어부(3)와 , 상기 빔 전류 제어부(3)의 트랜지스터(Q2) 구동으로 제너다이오드(ZD)에서 설정되는 전위에 의하여 콘트라스트 단자(CT)와 브라이트 단자(BT)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자동 휘도 조절부(5)로 구성되는 빔 전류 제어회로.
KR2019860009186U 1986-06-27 1986-06-27 빔 전류 제어회로 KR900007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86U KR900007731Y1 (ko) 1986-06-27 1986-06-27 빔 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86U KR900007731Y1 (ko) 1986-06-27 1986-06-27 빔 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84U KR880001184U (ko) 1988-02-23
KR900007731Y1 true KR900007731Y1 (ko) 1990-08-23

Family

ID=1925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186U KR900007731Y1 (ko) 1986-06-27 1986-06-27 빔 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84U (ko) 198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518A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having an output controlling function
US4386310A (en) Constant frequency automotive alternator battery charging system
US4763235A (en) DC-DC converter
GB2168865A (en) Switching power supplies
SU72409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ширины растра
EP0346478A1 (en) Switching regulator
EP0035379A1 (en) A gate circuit for a thyristor and a thyristor having such a gate circuit
US4056734A (en) Compensated base drive circuit to regulate saturated transistor current gain
US4595974A (en) Base drive circuit for a switching power transistor
US4646218A (en) Self-adjust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900007731Y1 (ko) 빔 전류 제어회로
US4028606A (en) Control circuit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particularly for a television receiver
US5708572A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EP0318586A1 (en) Switching regulator
KR880012095A (ko) 전원 공급 회로
EP0081891B1 (en) Fixed frequency voltage regulator
US4209732A (en) Regulated deflection circuit
US4654539A (en) Continuous-like actuator
EP0033890B1 (en) Power source apparatus for an electric flash lamp
JPS60249420A (ja) スイツチングトランジスタ−のドライブ回路
KR800000609B1 (ko) 텔레비젼 수상기를 위한 스윗치식 전원장치용 제어회로
US4910747A (en) Ion laser
SU888091A1 (ru) Ключевой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S6119152B2 (ko)
KR920004383B1 (ko) Crt 빔전류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