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94B1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7594B1 KR900007594B1 KR1019870005823A KR870005823A KR900007594B1 KR 900007594 B1 KR900007594 B1 KR 900007594B1 KR 1019870005823 A KR1019870005823 A KR 1019870005823A KR 870005823 A KR870005823 A KR 870005823A KR 900007594 B1 KR900007594 B1 KR 9000075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agement center
- terminal device
- code
- initial data
- teleph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3/00—Details of the apparatus or circuits covered by groups H04L15/00 or H04L17/0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창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initial data setting apparatu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창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검침유니트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eter re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itial data setting window valu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창치의 일실시예의 수신부호 검출시스템의 작동 플로우챠트.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reception cod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itial data setting window valu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의 초기 데이터 설정장치의 일실시예의 송신 제어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control subroutine of an embodiment of the initial data setting apparatu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정보교신장치 2 : 단말장치1: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terminal device
3 : 관리센터 4 : 초기데이터실정기3: Management Center 4: Initial Data Period
22 : 중앙처리장치(CPU) 23 : 회로망 제어장치(NCU)22: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3: network control unit (NCU)
23j : PB실호 검출회로 43 : 표시램프23j: PB room detection circuit 43: display lamp
46 : #부호 검출회로 GM : 가스검침미터46: # sign detection circuit GM: gas meter meter
L : 공중회선 S1 : 가스누설 센서L: Aerial line S1: Gas leak sensor
T : 일반가입 전화기 U : 검침유니트T: General subscription phone U: Meter reading unit
본 발명은 단말장치를 주택에 설치할 때에, 단말장치에 초기 설정치를 입력하는 설정기는 갖는 정보교신장치의 초기 데이터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data setting device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etting device for inputting an initial setting value to a terminal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in a house.
주택에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자동검침 계기를 설치하고, 그 자동검침기에 의하여 검지한 검침정보를 단말장치에서 송신부호로 변환하고, 그 검침정보를 관리센터 전화의 공중회선을 거쳐 송신함과 동시에, 검침데이터를 가스회사등 소정의 기관에 연락하는 정보교신장치가 실용화되기 시작되고 있다.Install an automatic meter reading device such as gas, water, electricity, etc. in the house, convert the meter rea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utomatic meter into a transmission code at the terminal device, and transmit the meter reading information through the public line of the management center telephone. In addi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that communicate meter reading data with predetermined organizations such as gas companies are beginning to be put into practical use.
또 관리센터의 전화번호, 검침정보, 등의 초기 데이터등의 단말장치에의 입력은, 단말장치를 주택에 설치할 때에 그 단말장치에 상기 초기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기에 의하여 행해진다.In addition, input to terminal devices such as initial data such as telephone number, meter reading information, etc. of the management center is performed by a setter which inputs the initial data to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in the house.
또한 본 출원인은 단말장치로부터 관리센터에 송신데이터를 송신한 후, 송신데이터의 착오등의 경우에 관리센터로부터 단말장치에 대하여 데이터 재송요구부호가 송신되는 것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원 소 60-251655호).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at after the transmissio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to the management center, the data retransmission request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to the terminal device in the case of a mistake in the transmission data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60-251655). number).
그런데, 단말장치의 설치시에, 설정기에 의하여 초기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입력한 후, 즉시 관리센터에 발신해도, 관리센터로부터의 데이터 송출 지시부호를 설정자측에서 검출하는 방법이 없었다. 이 때문에 초기 데이터의 설정 종료후에 검침정보를 단말장치로부터 관리센터에 송신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입력 데이터의 착오에 의하여 회선의 접속을 잘못하고 있다거나, 송출 데이터가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설정자측에서 확인할 수가 없었다.Howeve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terminal device, even if the initial data is inputted to the terminal device by the setting device and then immediately sent to the management center, there is no method of detecting the data sending instruction code from the management center on the setting party side. For this reason, when the meter rea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to the management center after the setting of the initial data, the setter side can confirm that the line is connected incorrectly or the transmission data is wrong due to the input data error. There was no.
따라서, 단말장치의 설치시에 단말장치와 관리센터가 확실하게 교신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설정기가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a setting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anagement cent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is desired.
본 발명은 단말장치의 설치시에, 단말장치와 관리센터가 확실하게 교신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장치의 제공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itial data setting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a terminal apparatus and a management cent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장치를 관리센터와 교신하는 단말장치에 설치시, 그 단말장치에 초기설정치를 입력하는 설정기를 구비한 초기데이터 설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는 상기 설정시에 상기 관리센터와 단말장치가 교신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An initial data setting device having a setting device for inputting an initial setting value to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initial data setting devi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ermi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a management center, wherein the setting device is provided at the time of the setting. And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management center and the terminal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의 초기 데이터 설정장치를 단말장치에 설치시 설정기에 의하여 초기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입력한 후, 즉시 관리센터에 송신했을 때에, 그 반신 신호로서 관리센터로부터의 수신부호를 설정기에 의하여 설정자측에서 검출할 수가 있으므로, 확실하게 단말장치와 관리센터가 초기데이터의 입력중에 교신가능 상태인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When the initial data setting devi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initial data is inputted to the terminal device by the setting device and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the reception code from the management center is set as the return signal. Since it can be detected by the setter side,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management center can reliably confirm whether or not a communication state is possible during initial data input.
그러므로, 검침정보 또는 안전정보의 송신사, 단말장치측에서 자동적으로 송신제어 및 수신제어를 행할수가 있고, 또 관리센터측에서도 자동적으로 송신제어 및 수신제어를 행할 수가 있고, 또한 관리센터측에 가령 인원이 없더라도 단말장치측에서 단말장치와 관리센터와의 상호 교신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정된다.Therefore, transmission control and recep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t the sending company and the terminal device side of meter reading information or safety information, and also at the management center side, transmission control and recep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management center even if the terminal apparatus does not exist.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정되는 단말장치를 가지는 정보교신장치를 나타낸다.1 show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terminal apparatus set by an embodiment of the initial data setting apparatu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은 정보교신장치를 나타낸다. 2는 주택내에 설치된 단말장치를 나타낸다. T는 수화기(도시생략) 0-9까지의 숫자부호, *, #, A, B, C, D 등의 부호로 이루어진 푸시버튼(도시생략)을 가지는 일반가입 전화기(이하 본 전화기 라함)를 나타낸다. L는 교환계(전화국, 교환기)를 포함하는 전화의 공중회선을 나타낸다.1 indicate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2 shows a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a house. T denotes a general-subscribed tele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lephone) having a push button (not shown) composed of handset numbers (not shown) 0-9 and symbols of *, #, A, B, C, and D. . L represents the public line of the telephone including an exchange system (telephone station, exchange).
3든 관리센터를 나타낸다. 관리센터(3)는 단말장치(2)로부터 공중회선(L)을 거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송신되어 오는 주택의 여러가지 정보를 통보받고, 그 정보에 따라 가스회사등 소정의 기관에 통보를 하거나 인원을 파견하거나 한다.Represents all three management centers. The
또한, 관리센터(3)는 단말장치(2)와 회선이 접속되었을때, 데이터 송출지시(#)부호를 단말장치(2)에 송신함과 동시에 단말장치(2)로부터 오 정보가 송신되었을때 데이터 재송요구(#)부호를 단말장치에 송신한다.Also, the
단말장치(2)는 가스의 자동검침기인 가스 검침미터(이하 가스미터 라함)(GM)와, 가스누설 센서(S1)와, 전자 제어회로를 구비한 검침유니트(U)로 이루어진다.The terminal device 2 consists of a gas meter 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s meter) GM which is an automatic meter reader of gas, a gas leakage sensor S1, and a metering unit U equipp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circuit.
가스미터(GM)는 공급가스의 가스기기로의 유량을 검출하는 자동검침기이고, 가스유량에 비례회전하는 회전제에 설치된 자석의 회전을 자기센서 소자로 검출하여 유량에 비례하는 펄스신호를 송출한다. 가스의 자동검침 외에, 수도, 전기 등의 자동검침을 행해도 좋다.The gas meter GM is an automatic meter reading device which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supply gas to the gas machine, and detects the rotation of the magnet installed in the rotating agent which rotates in proportion to the gas flow rate by using a magnetic sensor element and transmits a pulse signal proportional to the flow rate. .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meter reading of gas, automatic meter reading such as water and electricity may be performed.
가스누설센서(S1)는 가스기기의 안전장치이고, 작동 불능시에는 0V, 정상시에는 6V, 가스누설시에는 12V의 출력을 발생한다. 가스누설센서(S1)는 주택내의 가스누설의 소정치 이상일때, 주택내의 가스누설을 검지한다.Gas leakage sensor (S1) is a safety device of the gas machine, and generates an output of 0V when inoperable, 6V in normal, 12V in case of gas leakage. The gas leakage sensor S1 detects gas leakage in the house when the gas leakage sensor S1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f gas leakage in the house.
가스검침미터(GM) 및 가스누설센서(S1)의 입력 인터페이스(2l)와, 중앙처리장치(CPU)(22)와 회로망제어장치(NCU)(23)와, 본전화기(T) 및 공중회선(L)을 거쳐 관리센서(3)를 접속하는 단자를 연결하는 통신 콘댁터(24)와, 가스누설유량의 설정치, 가스검침정보의 관리센터(3)에의 송신시간, 전원 설정전압치,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 번호, 관리센터(3)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 번호등의 초기 데이터를 후술하는 설정기로부터 입력되는 설정기 접속콘넥터(25)와, 니켈 카드뮴 건전기(3.6V)인 전원(26)으로 이루어진다. 전원(26)은 전화국으로부터 공급을 받아 충전되고 있다.Input interface (2l) of gas meter meter (GM) and gas leak sensor (S1),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2, network control unit (NCU) 23, main telephone (T) and public line
입력인터페이스(21)는 가스미터(GM)의 입력포오트인 펄스입력 포오트(21a), 가스누설센서(S1)의 입력포오트인 무전압 입력포오트(21b), 도시하지 않은 가스소진 센서, 전지 소진센서, 방범센서 등의 입력포오트인 예비포오트(21c)로 이루어진다.The
CPU(22)는 가스누설 유량의 설정치, 가스검침정보의 관리센터(3)로의 송신시간, 전원의 설정 전압치,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 관리센터(3)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등의 초기 데이터의 기억장치와, 시스탬 전체의 제어수순의 기억장치와, 가스의 자동검침 장치와, 가스미터(GM) 및 가스누설센서(S1)의 데이터를 송신부호로 변환하는 부호화 처리장치와, 가스미터(GM)와 가스누설센서(S1)와의 송신부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와, 리튬 전지(3V)인 백업전원(22a)을 구비한다.The
NCU(23)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모드를 검출하는 회선사용 검출회로(23a), 착신 호출중을 검출하는 호출음 검출회로(23b), 관리센터(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토온 검출회로(23c), 주택외의 일반가입 전화기의 발신신호를 입력하고, CPU(22)에서 처리된 신호를 네개의 인버터를 통해 입력하여 푸시버튼 신호로 변환하는 PB신호 발생회로(23d), CPU(22)에서의 신호에 따른 스위치 트랜지스터(TRl)의 ON/OFF동작에 의하여 전화회선망을 변환하는 회선변환 릴레이(23e)와, 회선변환릴레이(23e)의 변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직류회로(23f)의 접점(239), 본 전화기 접속용 접점 (23h)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NCU 23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ne use detection circuit 23a for detecting the communication mode, the call
토온 검출회로(23c)는 교신부의 주파수의 레벨을 평균화하는 자동 레벨제어기(ALC)(23i)와, 송신된 푸시버튼 신호를 검출하여 스위치 트랜지스터(TR2)을 통해 상기 신호를 CPU(22)를 출력하는 PB신호 검출회로(23j)와 승압회로(23k)를 구비한다.The
승압회로(23k)는 PB신호 검출회로(23j)가 8V 이상의 전압을 공급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PB신호 검출회로(23j)의 전압을 8V로 송압하는 회로이다.The
또한, 23ℓ은 다이오드 브리지회로, 23m은 다이오드, 23n은 저항, 23P은 임피이던스 변압기, 23q는 전압강하형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4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장치(1)의 초기데이터 설정치에 관한 단말장치(2)의 초기데이터 설정기(이하 설정기라 함)를 나타낸다.In addition, 23 L represents a diode bridge circuit, 23 m represents a diode, 23 n represents a resistance, 23 P represents an impedance transformer, and 23 q represents a voltage drop transistor. 4 shows an initial data set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tter) of the terminal apparatus 2 with respect to the initial data set valu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설정기(4)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0∼9까지의 숫자부호, *, #, A, B, C, D 등의 부호로 이루어진 푸시버튼(4l)과 액정표시장치(LCD)(42), 관리센터(3)로부터의 수신(#)부호를 검출했을 때에 점등하는 검출장치인 표시램프(43)를 구비하고, 내부에 리튬전지(5V)(44)에 직렬 접속한 발광다이오드(45)를 가지는 #부호 검출회로(46)를 구비하고, 단말장치(2)를 주택에 설치할 때에, 그 단말장치(2)에 송신부호를 입력한다. #부호 검출회로(46)는 설정기(4)를 단말장치(2)를 접속했을 때 설정기 콘넥터(25)의 #부호용콘덱터(25a)에 접속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tter 4 includes a push button 4l composed of numerals from 0 to 9, symbols of *, #, A, B, C, D, and the like on the surface there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42 and a
통상, PB신호 검출회로(23j)는 전압이 "H"레벨(8V)로 승압회로(23k)에 의하여 승압되어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험적으로 관리센터(3)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작동을 행하여 관리센터(3)로부터 #부호가 PB신호검출회로(23j)에 수신되면, 전압이 "H"레벨(8V)에서 "L"레벨(OV)로 강하한다. 이때, #부호용 콘넥터(25a)에 접속되어 있는 #부호 검출회로(46)의 발광다이오드(45)는 "L"레벨(OV)에서 리튬전지(44)의 통전에 의하여 하이레벨(5V)이 되어 발광한다. 이에 의하여 표시램프(43)가 점등하고, 사용자에게 관리센터(3)로부터 #부호가 단말장치(2)에서 수신될 수 있음을 확인시킬 수 있다.Normally, the voltage of the PB
따라서, #부호 검출회로(46)와 표시램프(43)에 의하여 단말장치(2) 설치시에, 관리센터(3)와 단말장치(2)와의 교신가능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erminal device 2 is installed by the #
본 실시예의 설정기(4)에 의한 #부호 검출 시스템의 작동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 code detection system by the setter 4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3도는 수신부호 검출시스템의 작동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먼저 단말장치(2)에 관리센터(3)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예를 들면 *12)를 설정기(4)에 의하여 입력한다(스텝 101).3 show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the receiving code detection system. First, the telephone number or code number (for example, * 12) of the
이어서 단말장치(2)의 설정기(4)에 의하여 가스미터(GM)의 검침치의 초기 데이터 등의 초기 검침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 102). 기타 초기데이터로서, 가스누설유량의 설정치, 가스검침 정보의 관리센터(3)로의 송신시간, 전원의 설정전압치,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 등을 입력한다.Subsequently, initial reading data such as initial data of the reading value of the gas meter GM is input by the setting device 4 of the terminal device 2 (step 102). As other initial data, a set value of the gas leakage flow rate, a transmission time of the gas meter reading information to the
가스누설정보를 관리센터(3)에 송신하기 위하여, 가스누설센서(S1)를 시험적으로 작동시킨다. 즉,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 12V의 출력을 발생시킨다(스텝 103).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의 가스누설신호(12V)를 인터페이스(21)를 거쳐 CPU(22)에 입력하여, 가스누설을 검지한다(스텝 104). 그 다음 제4도에 나타낸 가스누설정보의 송신제어 서브루우틴을 행한다(스텝 105).In order to transmit the gas leak setting report to the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송신제어 서브루우틴을 나타낸다.4 shows a transmission control subroutine of this embodiment.
본 전화기(T)가 사용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회선 사용검출회로(23a)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1). 회선사용검출회로(23a)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스텝(201)을 반복한다.In order to judge whether or not the telephone T is in us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line use detection circuit 23a detects a call mode (step 201). When the line use detection circuit 23a detects the call mode (Yes),
회선사용검출회로(23a)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주택외의 전화기로부터 착신호출 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호출음 검출회로(23b)가 착신호를 검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202). 호출음 검출회로(23b)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을(Yes)때, 스텝(201)을 반븍한다.When the line use detection circuit 23a does not detect the call mode (NO),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ing
호출음 검출회로(23b)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회선 변환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폐쇄하고, 접점(23h)를 개방하여 전화의 공중회선(L)과 PB신호 발생회로(23d)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를 연결한다(스텝 203).When the ring
직류회로(23f)를 연결한 후 3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4). 직류회로(23f)를 연결한 후 3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텝(204)을 반복한다. 직류회로(23f)를 연결한 후 3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송신부호(예를 들면 관리센터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를 송신하여, 관리센터(3)를 호출하고, 자동다이얼을 개시한다(스텝 205). 관리센터(3)로부터 송출부호의 발신 신호로서 데이터 송출 지시부호인 #부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6). 또, 여기서, 설정기(4)도 #부호를 검출하도록 감시하고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3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DC circuit 23f is connected (step 204). When 3 seconds have not elapsed since the connection of the DC circuit 23f (NO), the
PB신호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고 있을 때, 즉, PB신호 검출회로(23j)가 "H"레벨(8V)에서 "L"레벨(OV)로 반전했을(Yes)때, 관리센터(3)에 송신부호에 대한 송신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207). 그리고 PB신호 검출회로(23j)가 "H"레벨(8V)에서 "L"레벨(OV)로 반전함으로써, 설정기(4)의 #부호 검출회로(46)에서 발광다이오드(45)가 리튬전지(44)의 공급전압에 의하여 "L"레벨(OV)에서 "H"레벨(5V)로 반전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표시램프(43)가 점등된다. 따라서, 단말장치(2)의 설정시에 관리센터(3)로부터의 #부호를 단말장치(2)가 수신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PB
스텝(206)에 있어서,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자동다이얼한 후, 발신회수가 3회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8).In
발신회수가 3회가 되어있지 않을(NO)때, 회선변환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9g)을 개방하고, 접점(23h)을 폐쇄하여 전화의 공중화선(l)과 본 전화기(T)를 접속하고 직류회로(23f)를 개방한다(스텝 209).When the number of times of transmission is not three (NO), it outputs to the
그후, 5초경과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0). 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텝(210)을 반복한다. 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스텝(201) 이하를 다시 반복한다.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five seconds have elapsed (step 210). When 5 seconds have not elapsed (NO),
발신회수가 3회가 되었을(Yes)때, 그후 15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1). 1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텝(209)로 진행한다. 1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회선 변환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개방하고 접점(23h)를 폐쇄하여, 전화의 회선(L)과 본 전화기(T)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를 개방한다(스텝 212).When the number of times of transmission is three (Y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15 seconds have elapsed thereafter (step 211). When 15 seconds have not elapsed (NO), the flow proceeds to step 209. When 15 seconds have elapsed (Yes), it outputs to the
여기서, 다시(두번째) 자동다이얼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3). 다시(두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지 않을(NO)때, 5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4). 5분 경과하고 있을(NO)때, 스텝(214)을 반복한다. 5분 경과하고 있을(Yes)때, 스텝(201) 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다시(두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을(Yes)때, 재재(3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5). 재재(3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지 않을(NO)때, 5분 경과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6). 5분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텝(216)을 반복한다. 5분 경과하고 있을 (Yes)때, 스텝(201)이하를 다시 반복한다.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econd) automatic dialing has been performed (step 213). When no (second) automatic dialing is performed again (NO), it is determined whether 5 minutes have elapsed (step 214). When 5 minutes have passed (NO),
재재(3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을(Yes)때, 작동을 종료한다.The operation is terminated when the (third) automatic dial is performed (Yes).
스텝(207)에 있어서, 관리센터(3)에 송신부호에 의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 후, 관리센터(3)로부터 데이터 재송요구(#)부호를 수신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7).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고 있을때, 즉, PB신호 검출회로(23j)가 "H"레벨(8V)에서 "L"레벨(OV)로 반전했을(Yes)때, 스텝(208)으로 진행한다. 여기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PB신호 검출회로(23j)가 "H"레벨(8V)에서 "L"레벨(OV)로 반전함으로써, 설정기(4)의 #부호 검출회로(46)는 발광 다이오드(45)가 리튬전지(44)의 공급 전압에 의하여 "L"레벨(OV)에서 "H"레벨(5V)로 반전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표시램프(43)가 점등된다. 따라서, 단말장치(2)의 설치시에, 관리센터(3)로부터의 #부호를 단말장치(2)가 수신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그후, 3초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8). 3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텝(217)을 반복한다. 3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회선 변환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개방하고, 접점(23h)을 폐쇄하여, 전화의 공중회선(L)과 본 전화기(T)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를 개방한다(스텝 219). 그후 작동을 종료한다.When the PB
설정기(4)는 초기 데이터를 입력한 다음, 단말장치(2)로부터 제거한다. 또 단말장치(2)는 초기데이터 입력후, 즉시 통상의 가스누설센서(S1)에 의한 가스누설의 감시 및 가스의 자동검침을 행한다.The setter 4 inputs initial data and then removes it from the terminal device 2. After the initial data input, the terminal device 2 immediately monitors the gas leakage by the normal gas leakage sensor S1 and automatically reads the gas.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2)의 설치시에 단말장치(2)로부터 송신부호(예를 들면, 관리센터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를 관리센터(3)에 송신했을때에, 그 발신신호로서 관리센터(3)로부터의 수신 부호인 데이터 송출지시(#)신호를 설정기에 의하여 설정자측에서 검출할 수가 있으므로, 확실하게 단말장치(2)와 관리센터(3)가 초기데이터의 입력후, 즉시 교신 가능상태인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단말장치(2)측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가스누설, 검침정보의 송신제어 및 데이터 송출지시(#)부호, 제송요구(#)부호의 수신제어를 행할 수가 있고, 또한 관리센터(3)측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송출지시(#)부호, 재송요구(#)부호의 송신제어 및 가스누설, 검침정보의 수신제어를 행할수가 있어, 괸리센터측에 가령 인원이 없더라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확실하게 데이터 송출지시(#)부호 또는 데이터 재송요구(#)부호가 관리센터로부터 단말장치(2)에 송신되기 때문에, 단말장치(2)와 관리센터(3)와의 상호교신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ransmission code (for example, telephone number or code number of the management center)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 to the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의 설치시에 관리센터와 단말장치가 교신 가능상태인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장치에 램프를 사용했으나, 버저 등의 음성 표시장치이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lamp is used as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management center and the terminal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stalled, but an audio display device such as a buzzer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센터와 단말장치와의 교신은 전화의 공중회선을 가쳐 행해졌으나, 기타 통신회선 또는 통신위성 등을 사용한 무선등으로 관리터와 단말장치와의 교신을 행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ment center and the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over a public line of a telephone, but is managed by a radio or the like using another communication line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may be performed.
본 실시예에서 전원이 전화국에 의하여 충전되는 닉켈 가드늄 건전지를 사용했으나, 가정용 교류전원(100V 50/60Hz)을 사용해도 되고, 또 기타의 전원을 사용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Nickel-Gardium battery in which the power source is charged by the telephone station is used, but an AC power source (100 V 50/60 Hz) may be used, or another power source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부호로 #부호를 사용했으나, 정보송신 전용다주파 부호인 A, B, C, D 등의 부호를 사용해도 좋고, 또 일반 가입전화기 등의 필스신호와 혼동되는 부호 이외의 것이면 단말장치의 수신부호, 송신부호로 어떠한 부호를 사용하더라도 좋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 code is used as the reception code, a code such as A, B, C, or D, which is an information transmission-only multi-frequency code, may be used, and other than a code that is confused with a field signal such as a general subscriber telephone. Any code may be used as the reception code and the transmission code of the terminal apparatus.
또한, 검침 유니트에 일반 가입전화를 사용하고 있을때, 센서가 출력했을 때 등, 그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버저 등의 표시장치를 설치해도 좋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such as a lamp or a buzzer that displays the state, such as when a normal subscription telephone is used for the meter reading unit or when a sensor is output.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6-143510 | 1986-06-18 | ||
JP143510 | 1986-06-18 | ||
JP61143510A JPS62299146A (en) | 1986-06-18 | 1986-06-18 | Initial data setting devic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0869A KR880000869A (en) | 1988-03-30 |
KR900007594B1 true KR900007594B1 (en) | 1990-10-15 |
Family
ID=1534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5823A KR900007594B1 (en) | 1986-06-18 | 1987-06-09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2299146A (en) |
KR (1) | KR90000759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46205A (en) * | 1976-10-08 | 1978-04-25 | Toshiba Corp | Data transmission system |
JPS58131857A (en) * | 1982-01-29 | 1983-08-05 | Sharp Corp | Telephone communicating device |
JPS60105360A (en) * | 1983-08-30 | 1985-06-10 | Kobishi Denki Kk | Automatic incoming/outgoing-type communication device |
-
1986
- 1986-06-18 JP JP61143510A patent/JPS62299146A/en active Granted
-
1987
- 1987-06-09 KR KR1019870005823A patent/KR90000759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58900B2 (en) | 1993-02-03 |
KR880000869A (en) | 1988-03-30 |
JPS62299146A (en) | 1987-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73919A (en) | Automatically testing telephone lines | |
US4707848A (en) | Test set communication/interface system | |
FR2601838A1 (en) | PAYMENT SYSTEM FOR TELEPHONE COMMUNICATIONS IN A PRIVATE PABX | |
KR900007594B1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900007596B1 (en) | Housing information sending system | |
KR900007595B1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910000822B1 (en) | Ho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900007586B1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900007591B1 (en) | Ho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JP3134627B2 (en) | Terminal network controller | |
EP0691058B1 (en) | Self-diagnostic system for cellular-transceiver systems | |
KR900007587B1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900007590B1 (en) | Housing information communicating system | |
JPS59117851A (en) | Connecting system between center and terminal | |
KR910000824B1 (en) | Housing information transmitter | |
JPS62298899A (en) | Information transmitter | |
GB2340870A (en) | Assembly for monitoring, control and protection of remotely located assets | |
KR900007589B1 (en) | Ho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JP3148619B2 (en) | Data communication system | |
KR900007588B1 (en) | Housing information sending system | |
KR910000823B1 (en) | Housing information transmitter | |
KR0126097B1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perating spare power equipment | |
JPS6262112B2 (en) | ||
CN2276178Y (en) | Warning signal automatic pager starter | |
JPS6318855A (en) | Remote maintenance and oper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