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39Y1 -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 Google Patents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39Y1
KR900007539Y1 KR2019880013417U KR880013417U KR900007539Y1 KR 900007539 Y1 KR900007539 Y1 KR 900007539Y1 KR 2019880013417 U KR2019880013417 U KR 2019880013417U KR 880013417 U KR880013417 U KR 880013417U KR 900007539 Y1 KR900007539 Y1 KR 900007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k
laboratory
container holder
prese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611U (ko
Inventor
강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3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539Y1/ko
Publication of KR900004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메스 플라스크꽂이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측벽
3 : 홈 5 : 손잡이 홈
6 : 구멍
본 고안은 화학적 실험 분석등에 사용되는 화학실험용기를 정연하게 놓아둘 수 있고, 또 운전 및 보관에 사용될 수 있게한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 재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학실험기용 재치대로는 사용이 끝나고 세척된 플라스크를 거꾸로 꽂아 놓게 된 메스 플라스크꽂이나 피펫등을 꽂아놓게 한 피펫꽂이와 같은 특정 용기에 전용되도록 하고 있으며, 용기를 다량 운반할 경우에는 별도의 운반용기대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실험분석 작업시 용기의 취급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원소분석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피펫을 사용원소별로 구분하여 정돈할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한 원소에 사용된 피펫을 무심코 다른 종류의 원소에 사용되는 혼동이 일어나기 쉬워서 시료의 순수성을 해칠 우려가 높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중에 플라스크를 재치할 수 있고, 또 사용이 끝나고 세척된 플라스크를 꽂아 놓기 위한 메스 플라스크꽂이와, 실험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피펫을 일관하여 다수 재치하기 위한 피펫꽂이의 역할을 겸함과 아울러 피펫의 사용시에 원소 종류별로 구분하여 재치해둘 수 있게 함으로써, 원소의 혼동이 생기지 않게 하고, 용기의 운반 혹은 보관시에도 사용될 수 있는 화학실험 용기용 다용도 재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방형체 외관을 이루는 몸체의 상단면 양측에 피펫을 재치할 수 있는 홈을 대향 설치하고, 몸체의 바닥에 플라스크를 재치할 수 있는 구멍이 다수 뚫려지는 한편, 양 측벽에 몸체 운반용 손잡이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서 피펫은 몸체의 상단면에 새겨진 홈을 이용하여 사용된 원소의 종류별로 구분 정돈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사용원소의 명칭이 기록된 라벨을 몸체의 내측면에 첨부하여 피펫의 혼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플라스크의 사용중에 바닥에 뚫려 있는 다수의 구멍은 플라스크가 전도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또 실험이 끝나고 세척된 플라스크를 거꾸로 끼워놓는 메스 플라스크 꽂이로 활용될 수 있다.
메스 플라스크 꽂이로의 사용시에는 몸체를 뒤집어 놓는 것이 좋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몸체(1)은 전체로서 바닥이 달린 방형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1)에서 상호 대향하는 측벽(2)의 양 상단면에는 각각 반원상 홈(3)이 연속하여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의 다른쪽 측면(4)는 장타원상의 손잡이홈(5)를 보유한다. 한편, 몸체(1)의 바닥에는 다수의 구멍(6)이 정연하게 배열된 상태로 뚫려져 있다. 몸체(1)의 상단면에는 홈(3)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2)는 내측에 라벨을 첨부할 수 있는 공간(7)을 보유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몸체(1)은 아크릴과 같은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피펫(P)는 사용중에 측벽(2)의 홈(3)에 가로질러 놓여진다.
이때 각각의 홈(3)은 원소종류별로 고유라벨을 부여받게되며, 또 라벨은 공간(7)에 떼고 붙일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을 메스 플라스크 꽂이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플라스크(F)는 가느다란 넥크측이 몸체(1)의 바닥에 뚫려진 구멍(6)을 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재치된다.
이 경우는 실험이 종료되어 세척된 플라스크(F)를 재치할 때 행해지는 것이고, 실험중에는 플라스크(F)의 원형 바닥면이 구멍(6)에 의해 안정스레 지지된다.
메스 플라스크 꽂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몸체(1)을 뒤집어 놓고 재치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플라스크(F)의 넥크가 몸체(1)의 내측에 놓여져서 한층 안정된 자세로 재치된다.
용기의 운반은 몸체(1)의 손잡이홈(5)를 쥐고, 놓여진 실험용기를 일괄해서 이전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실험분석중에 화학실험용기의 취급이 간편해지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방향체로된 몸체(1)에서 대향하는 측벽(2)의 상단면에 다수의 홈(3)을 연속형성하고, 몸체(1)의 바닥에 다수의 구멍(6)을 정연하게 뚫어 놓음과 아울러, 몸체(1)의 양측면(4)에 손잡이 홈(5)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실험용기용 재치대.
KR2019880013417U 1988-08-17 1988-08-17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KR900007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417U KR900007539Y1 (ko) 1988-08-17 1988-08-17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417U KR900007539Y1 (ko) 1988-08-17 1988-08-17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11U KR900004611U (ko) 1990-03-07
KR900007539Y1 true KR900007539Y1 (ko) 1990-08-20

Family

ID=1927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417U KR900007539Y1 (ko) 1988-08-17 1988-08-17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5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11U (ko) 199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9849A (ko) 조립용기
US4406368A (en) Drawing tool organizer
US5441163A (en) Portable tool container
ES2920382T3 (es) Gradilla para tubos de muestras y sistema de análisis de tubos de muestras
US8336708B2 (en) System and container for organizing and carrying tools and tool sets
US4826003A (en) Vertical pack collection kit
US4124122A (en) Test tube rack
US4619363A (en) Multiple tray-shaped packing and storage unit
US6868967B2 (en) Tool box
US5350045A (en) Compartmented storage container
JPS58150441A (ja) 多管支持架台およびアセンブリ
US3480152A (en) Storage rack for vessel containing unstable material
US5878882A (en) Toolbox assembly
US5009336A (en) Structure of a multipurpose, hand-held swivel type stationery case
US3380573A (en) Case for dissecting kit
JPS60161921U (ja) 化粧品用容器
US5255816A (en) Article storing apparatus
US5511673A (en) Storage rack for mechanical drive sockets
US20160366999A1 (en) Writing Utensil Caddy
KR900007539Y1 (ko) 화학실험용기용 다용도재치대
US3672742A (en) Paint cases,palette,and conveyor
US2752080A (en) Portable storage rack
US4822118A (en) Rotating pastel storage tabouret
US4168024A (en) Polystyrene carrier
KR840002177Y1 (ko) 팔레트(PaLette)겸용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