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762Y1 -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6762Y1 KR900006762Y1 KR2019870017986U KR870017986U KR900006762Y1 KR 900006762 Y1 KR900006762 Y1 KR 900006762Y1 KR 2019870017986 U KR2019870017986 U KR 2019870017986U KR 870017986 U KR870017986 U KR 870017986U KR 900006762 Y1 KR900006762 Y1 KR 9000067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 penetrating
- cartridge
- lea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 1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부착요부가 조립되기전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조립후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척식개폐기구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척식 개폐기구를 조합시켜 합체시킨 상태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좌측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A-A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한쪽의 척식개폐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B-B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C-C선 단면도.
제17도는 종래의 필심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8도는 종래의 샤아프펜슬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필심 6 : 리이드가이드
7 : 필심카트리지 8 : 척식개폐기구
84, 85 : 탄성개폐편부 86, 87 : 필심관통구멍
본 고안은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컨데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용필심이 넣어져 있는 필심카트리지(101) 전체를 수납시켜 필심만을 갈아끼워준다거나 손을 더럽히는 일이 없이 필심을 교환하거나 보충해 줄 수 있도록 된 이른바, 카세트식 샤야프펜슬이 제안되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101)는, 그 앞끝에 캡(102)이 끼워져 있을 뿐이어서 샤아프펜슬에다 필심을 교환해주거나 보충해주게될때 먼저 이 캡(102)을 벗겨내버려 필심카트리지 앞끝을 개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아프펜슬의 외통(103)내에다 끼워맞춰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캡(103)을 벗겨낸 다음 필심카트리지(101)를 조금이라도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로 하게되면, 필심(104)이 필심카트리지(101)에서 쏟아져버리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필심을 교환할때에는 항상 필심카트리지(101)가 윗쪽을 향하게되도록 주의하면서 외통(103) 내에다 끼워맞춰주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외통(103)에서 필심카트리지(101)를 뽑아낼 경우에도 필심카트리지(101)를 조금이라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게되면, 필심(104)이 필심카트리지(101)내에서 쏟아져나와 외통(103)내에 남겨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샤아프펜슬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실(104)이 여러개 넣어진 필심카트리지(101)와 이 필심카트리지(101)가 내부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지게되는 리이드가이드(105)가 외통(103)내에 설치되어져 있기때문에, 외통(103)속에 남아 있는 필심을 필심카트리지(101)에다 모아담기 위해 그 앞끝내면에다 테이퍼 형상의 깍임부(107)를 형성시켜 놓아야할 필요가 있게됨과 더불어 외통(103)의 내경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계단형상으로 된 안쪽방향계단벽(106)을 형성시켜 놓을 필요가 있어서, 이 안쪽방향계단벽(106) 때문에 필심카트리지(101)를 가늘게 해주는데 제약을 받게되어 필심수용량이 적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안쪽방향계단벽(106)을 갖는 외통(103)은 압출성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출성형으로 성형해야만 하고, 이 경우 금형이 압출성형에 비해 비싸지게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때문에 본 출원인은 기히 특허출원 제87-2388호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3497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4265호 게재의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를 가지고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시켜 주기에 이르렀다. 상기 선출원에 따른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는, 축선을 따라 직경방향으로 갈라진 탄성개폐편부를 갖고 필심카트리지의 앞끝에 장착된 척식개폐기구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개폐편부의 각 앞끝쪽에서 직경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외향걸림편부가 리이드가이드내에 눌러 걸어맞춰질 때 상기 탄성개폐편부의 안쪽 방향탄성력에 대항해서 이 탄성개폐편부의 앞끝축심부에 형성된 직경방향으로 갈라진 필심판 통구멍이 넓혀지는 상태로 열려지게되고, 또 상기 리이드가이드부로 부터 필심카트리지를 뽑아내게되면 압입걸어맞춤이 해제되어져 상기 탄성개폐편부의 탄성복원력으로 필심관통구멍이 동심원형태로 직경이 좁혀지는 상태로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선출원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에서는, 척식개폐기구가 성형되어진 직후의 신품일 경우 탄성개폐편부의 탄발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리이드가이드에서 뽑혀졌을때 상기 탄성개폐편부의 탄성복원력으로 필심관통구멍이 확실히 닫혀지게 되지만, 상기 척식개폐기구를 리이드가이드에 끼워놓은 그대로의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두게되면 상기 탄성개폐편부가 필심관통구멍이 열어놓은 그대로의 상태로 있게 되도록 변형시켜지게됨으로써, 상기 탄성개폐편부의 탄발력이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되어져 열화(劣火)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리이드가이드내에 눌러 걸어맞춰진 그대로의 상태로 장시간 방치된 탄성개폐편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화로 탄발력이 열화되어져 필심관통구멍을 막아주는 힘이 약해져서, 필심카트리지를 리이드가이드로부터 뽑아낼때 상기 필심관통 구멍이 닫혀지게 되나 그 뽑아내어진 필심카트리지를 필심의 유무확인등을 위해 흔들어주게 되면 상기와 같이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지는 힘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속에 들어있는 필심의 하중과 흔들려지는 진동에 의해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열려져서 속에 들어 있는 필심이 쏟아져나올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심카트리지를 리이드가이드로부터 뽑아낼 때 척식개폐기구의 탄성개폐편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화에 의해 탄발력이 열화되는데 관계없이 필심관통구멍을 규정칫수로 확실히 닫혀질 수 있고, 또 뽑아내진 필심카트리지를 필심의 유무확인등을 위해 흔들어도 속에 들어있는 필심이 멋대로 쏟아져 나올 염려가 없는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는, 샤아프펜슬에 착탈될 수 있게 끼워맞추어져 필심의 보충과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필심카트리지에 설치되는 척식개폐기구의 필심관통구멍을 직경방향으로 분할형성시키고, 그 분할된 필심관통구멍 각각의 반경중심점 위치를 어긋나게해서 이렇게 중심점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질때 계단을 달리하는 형상으로 연통되게 합쳐지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에서는 필심카트리지가 리이드가이드에 눌려져 걸어맞춰지게되면 척식개폐장치가 직경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필심관통구멍이 열려지게되고, 또 눌러 걸어맞춰진 상태를 해제시켜주게되면 상기 척식개폐기구가 안쪽방향탄성력(탄성복원력)에 의해 직경을 축소시켜주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됨으로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지게 된다.
이와같이 닫혀질 때에는 필심관통구멍은 각각 그 반경중심점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연통되게 합쳐지게됨으로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서로 계단을 달리하는 상태로 되어져 필심관통구멍의 닫혀진 상태의 구멍직경이 실질적으로 좁혀지기 때문에, 상기 필심관통구멍으로 필심이 쏟아지지않게되는 확실한 닫힘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되고, 그때문에 필심카트리지를 리이드가이드에서 뽑아내 흔들어주게 될 때 속에들어있는 필심이 쏟아져 나오게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샤아프펜슬의 외통이고, 참조부호 2는 외통(1)의 앞끝에 나사 결합시켜진 선단캡, 3은 상기 외통(1)내에 배치된 필심송출기구의 일부로서 이 필심송출기구에는 필심(4)을 물러잡아주는 리이드척(5)이 갖추어지면서 이 리이드척(5)의 뒷끝에는 리이드가이드(6)가 끼워맞춰져 있다. 여기서 리이드척(5)과 리이드가이드(6) 사이에다 척이음부를 설계해놓아도 물론 지장이 없다.
상기 리이드가이드(6)는 필심(4)을 리이드척(5)에다 1개씩 보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이드척(5)이 뒷끝부위가 끼워맞춰진 앞쪽끼움구멍(60)과, 이 앞쪽끼움구멍(60)에 이어져 1개의 필심(4)만을 통과시켜 줄 수 있는 내경으로된 필심이송구멍(61), 이 필심이송구멍(61)의 뒷끝부위에 이어진 큰 직경계단형상을 한 척수납구멍(62)및, 이 뒷끝부위에 이어져 필심카트리지(7)가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는 큰 직경계단형상을 한 뒷쪽끼움구멍(63)이 동축상에 갖추고 있다. 또 이 뒷쪽끼움구멍(63)의 내주벽에는 필심카트리지가 원활히 착탈되어지도록 해주기 위한 리브(도시안됨)가 여러개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가이드(6)에는 필심카트리지(7)가 척식개폐기구(8)를 매개로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연결되어져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척식개폐기구(8)는, 그 뒷쪽원통부(8)를 필심카트리지(7)내에다 끼워넣어 걸어맞춰줌으로서 필심카트리지(7)의 앞끝에 연결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뒷쪽 원통부(80)의 앞끝에는 작은 직경계단형상의 앞쪽원통부(82)가 동축상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져 있는데, 이 앞쪽원통부(82)에는 제2도, 제3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그 중간부위로부터 앞끝에 이르는 축방향슬릿트(83)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2쪽으로 갈라진 탄성개폐편부(84, 85)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탄성개폐편부(84, 85)는 안쪽방향탄성력을 갖고서 직경방향으로 넓혀지고 좁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이를 탄성개폐편부의 앞끝쪽축중심부에는 상기 슬릿트(83)에 의해 2쪽으로 갈라진 반원호형상을 한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은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이 닫혀질때에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안쪽접합면이 접선방향으로 각각 반경중심점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은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져 있듯이 이들이 닫혀질 때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안쪽접합면 접선방향에 그 반경중심점위치가 어긋나게 해주는 상태로 형성시켜져 있어서, 그 때문에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은 구멍이 닫혀질때 계단이 서로 어긋난 상태로 연통되게 합해져서, 그들의 실질적인 닫혀진 상태의 구멍직경이 최소직경을 갖는 필심(4)의 직경보다도 작은 작은 직경으로 되게된다.
또,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는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직경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될때 뒤에 설명되는 외향걸림편부(88, 89)와 상기 척수납구멍(62)이 상호작용에 의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반경중심점위치의 어긋남이 해소된 규정칫수의 직경으로 넓혀진 상태로 열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은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직경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때 직경이 다른 필심(4)을 통과시켜 주고 또 상기 탄성변형될때에는 직경이 가장작은 필심(4)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내경이 되도록 각 반경중심점위치가 어긋나게된 상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는 자연상태에서는 안쪽방향탄성력에 의해 각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서로 가장작은 직경이 되는 계단이 서로 어긋난 상태인 직경이 좁혀진 상태로 닫혀져 있게되는바, 즉, ① 직경이 같은 필심(4)에 대해서만 사용하는 경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탄성개폐편부(84, 85)의 후술하는 외향걸림편부(88, 89)가 리이드가이드(6)의 척수납구멍(62)에 눌려 걸려지게 될때에는 예컨대 직경이 0.5㎜, 0.7㎜, 0.9㎜중 한가지 직경을 갖는 필심만을 통과시켜줄 수 있는 크기로 열려지도록 형성되고, ② 직경을 달리하는 예컨대 직경이 0.5㎜와 0.7㎜인 필심을 함께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척수납구멍(62)으로 외향걸림편부(88, 89)가 눌려 걸어맞춰질때 어떤 필심(4)도 모두 통과시켜줄 수 있는 개구량이 되고, 또 상기 눌려 걸어맞춰진 상태가 해제된때에는 어떤 필심(4)도 모두 통과할 수 없는 개구량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의 앞끝에는 제2도, 제3도 및 제6도,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들 상호의 앞끝쪽이 점차적으로 직경이 넓혀지는 반쪽 앞부위테이퍼구멍(86a, 87a)이 형성되어져 있고, 또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의 뒷끝에는 그들 상호의 뒷끝쪽에 점차적으로 직경이 넓혀지게되는 반쪽 뒷부위테이퍼구멍(86b, 87b)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앞끝쪽에는 각각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져 나간 외향걸림편부(88, 89)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각 앞끝부에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반대쪽에서 직경방향바깥쪽으로 돌출되어지는 외향걸림편부(88, 89)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에서의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의 반대쪽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결부(84b, 85b ; 도면에는 한쪽절결부 84b만 도시됨)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한쪽 탄성개폐편부(84)의 외향걸림편부(88)가 다른쪽 탄성개폐편부(85)의 절결부(85b)에, 또 다른쪽 탄성개폐편부(85)의 외향걸림편부(89)가 한쪽 탄성개폐편부(84)의 절결부(84b)에 각각 이동될 수 있게 끼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각 탄성개폐편부(84, 85)가 서로 어긋나져 상대편 탄성개폐편부(84, 85)의 외주면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는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축중심부로부터의 길이(a)(b)가 척수납구멍(62)의 반경(c)보다 길게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외향걸림편부(88, 89)의 앞쪽부위에는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향원호면(88a, 89a)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이들 전향원호면(88a, 89a)에 의해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상기 리이드가이드(7)의 척수납구멍(62)에 쉽게 눌러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시 탄성개폐편부(84, 85)는 제2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각각의 안쪽방향탄성력에 의해 직경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져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 상호간을 서로 계단이 어긋나게되는 형태로 닫혀진 자연상태에서, 그 각각의 외향걸림편부(88, 89)가 리이드가이드(6)의 뒷쪽끼움구멍(63)을 거쳐 척수납구멍(62)에 눌러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눌러끼워지게될때에는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의 각 바깥끝이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5도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척수납구멍(62)의 내주면에 눌러져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가 어긋나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됨으로서 이들 외향걸림편부(88, 89)와 일체로 된 탄성개폐편부(84, 85)들이 서로 직경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져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열려지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같이 척수납구멍(62)의 내주면에 외향걸림편부(88, 89)가 눌러져 탄성개폐편부(84, 85)가 직경이 넓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척수납구멍(62)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가 구심방향으로 직경이 넓혀지게 이동하게된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닫혀진 상태에서 그 반경중심위치가 어긋난 분량에 대응된 간격(84c와 85c ; 각 탄성개폐편부(84, 85)와 절결부(84b, 85b)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쪽으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모여 상기 반경중심점의 어긋남이 해소되어져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직경이 가장굵은 필심(4)을 관통시킬 수 있는 규정칫수의 정원형상구멍으로 직경이 넓혀진 상태가 되도록 열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는 리이드가이드(6)의 척수납구멍(62)내에 탄성적으로 걸려지게되고, 그에 따라 필심카트리지(7)가 척식개폐기구(8)를 매개로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져 장착되게 된다.
또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외주면에는 제6도,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자간에 걸쳐지는 단면이 반원호상으로 된 절결부(84a, 85a)가 형성되어져 있어서, 이 절결부(84a, 85a)에 의해 탄성개폐편부(84, 85)가 그 직경방향의 두께가 얇아져 쉽게 탄성변형되도록 되고, 그에따라 상기 척수납구멍(62)으로부터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를 뽑아낼때 이 탄성개폐편부(84, 85)가 탄성복원력으로 쉽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따라서 척수납구멍(62)으로의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거나 해제되는 것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결부(84a, 85a)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심을 교환해주거나 사용도중 필심을 확인하고자 할때에는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진 필심카트리지(7)를 척식개폐기구(8)와 함께 뽑아낸다. 이때 이 척식개폐기구(8)의 외향걸림편부(88, 89)가 척수납구멍(62)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 상태로 부터 해제됨으로서 탄성개폐편부(84, 85) 각각이 그들 스스로의 안쪽방향탄성력(탄성복원력)으로 직경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져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 상호간이 자동적으로 예컨데 0.5㎜이상의 필심이라면 0.5㎜이하로 필심(4)이 관통되지 못하게 되는 직경으로 되도록 닫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은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이 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닫혀지게 됨으로서 직경이 가장가는 필심(4)에 대해 실질적으로 닫아주게 되는 구멍이 직경이 더욱 좁혀지게 된다.
그때문에 상기 필심카트리지(7)를 뽑아낼때 필심카트리지(7)의 그 앞끝에 열려진 구멍으로부터 필심(4)이 빠져나와 외통(1)내에 남아있게 되거나 외통(1) 바깥으로 흘러나오고, 또는 뽑아내진 필심카트리지(7)를 필심의 잔존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흔들려 속에 들어있는 필심의 하중과 진동 등으로 필심(4)이 쏟아져나오게 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한편 이렇게 필심이 남아있게 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필심카트리지(7)의 앞끝내면에다 테이퍼진 면깍임부같은 것을 형성시켜놓을 필요도 없어져서, 필심카트리지(7)를 성형시킬 때 앞끝내면의 두께가 얇아져 수지의 흐름이 불충분해진다고 하는 제조상의 문제점도 없어지게 된다.
또 종래와 같이 외통(1)내의 안쪽방향계단부를 형성시켜 놓을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외통(1)을 제조비가 싸게먹히는 압출성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게 될 뿐만아니라 필심카트리지(7)의 직경을 굵게할 수 있어 필심의 수용양도 비약적으로 증대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리이드가이드(6)의 필심이송구멍(61)과 척식개폐기구(8)의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에 걸쳐 필심(4)이 남아있게 되는 경우, 이 남아있는 필심(4)이 상기 척식개폐기구(8)가 뽑혀질때 외향걸림편부(88, 89)의 탄성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탄성개폐편부(84, 85)가 직경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짐과 더불어 계단이 서로 어긋하는 상태로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닫혀져 있기 때문에 이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에 의해 필심물어 잡기에 충분한 힘이 얻어져,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로 확실하게 척킹시켜 빼낼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필심카트리지(7)를 뽑아낸 다음 필심(4)을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으로부터 잡아당겨 뽑아내던가 또는 필심카트리지(7)내로 눌러 넣어주던가 하게 되면 필심카트리지(7)를 교환해줄때 상기 남겨진 필심(4)이 부러지거나 이 부러진 필심에 의해 리이드가이드(6)가 막혀지는 일이 일어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필심카트리지(7)를 외통(1)의 뒷끝으로부터 눌러 넣어주게 되면 척식개폐기구(8)의 외향걸림편부(88, 89)가 리이드가이드(6)의 척수납구멍(62)에 눌려져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서, 척식개폐기구(8)의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상술한 바와같이 규정칫수를 갖는 원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된 상태로 열려지게 되고, 이렇게 열려진 상태에서는 필심직경이 다른 각종 필심이 공급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필심카트리지(7)를 교환해줄때에는 외향걸림편부(88, 89)가 척수납구멍(62)내에 끼워지기까지는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작은 직경계단형상으로 닫혀져 있기때문에, 종래와 같이 필심카트리지(7)내의 필심(4)이 쏟아져 나올 염려가 없게되고, 또 샤아프펜슬을 거꾸로 세워 필심카트리지(7)를 윗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면서 교환작업을 해야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서, 샤아프펜슬의 방향과 관계없이 필심카트리지(7)의 교환작업을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척식개폐기구(8)는 여러개로 분할된 탄성개폐편부(84, 85)가 각각 외향걸림편부(88, 89)를 가져, 이들 외향걸림편부(88, 89)를 매개로 직경방향으로의 개폐동작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직경이 같은 필심은 물론 직영을 달리하는 필심(4)이 넣어진 새로운 필심카트리지(7)를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리이드가이드(6)에 다 부착시켜 주게되면 필심(4)을 공급해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척식개폐기구(8)는 외향걸림편부(88, 89)를 매개로 탄성개폐편부(84, 85)가 개폐동작하게 됨으로서 그 개폐정도가 조정되기 때문에, 같은 직경만으로 된 필심은 물론 직경이 다른 필심(4)도 겸용할 수가 있게 된다.
제10도 내지 제1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척식개폐기구(8)를 도시해 놓은 것인데, 제2실시예에 따른 척식개폐기구(8)는 그 전체가 축선을 따라 직경방향으로 2쪽으로 갈라져 구성시켜진 것이다. 즉 뒷쪽원통부(80)는 그 축선을 따라 직경방향으로 2쪽으로 갈라진 반쪽원통부(801, 802)로 되어 있는데, 이둘 반쪽원통부(801, 802)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필심카트리지(7)의 앞끝구멍부에 눌려끼워질 때 그 각각이 원심원상으로 조합되어 합체시켜지게 되는바, 이렇게 조합되어 합체시켜질때 상호간 확실하게 걸어맞춰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걸어맞춰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서는 제10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반쪽원통부(801, 802)들이 합쳐지는 면에서의 한쪽에는 걸림볼록부(803)와 걸림오목부(804)가, 다른쪽에는 상기 걸림볼록부(803)와 대응하는 걸림오목부(805) 및 상기 걸림오목부(804)에 대응하는 걸림볼록부(806)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볼록부(803, 806) 및 걸림오목부(804, 805)는 제10도, 제13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반쪽원통부(801, 802)의 합치면에서 그 각각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오목부(804, 805)의 내주면에는 걸림리브(804a, 805a)가 일체로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걸림볼록부(803, 806)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리브(804a, 805a)를 끼워넣어 걸어맞춰주기위한 걸림홈(803a, 806a)이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한쪽 반쪽원통부(801)의 걸림볼록부(803)와 걸림오목부(804)를 다른쪽 반쪽원통부(802)의 걸림오목부(805)와 걸림볼록부(806)에 각각 끼워맞춰주게되면, 그들의 걸림리브(804a, 805a)와 걸림홈(803a, 806a)이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서 상기 양쪽 반쪽원통부(801, 802)가 축방향위치에서 서로 어긋나는 일이없이 정확하게 조합되어 합체시켜지게 된다. 그때문에 상기 걸림볼록부(803, 806)가 상기 걸림오목부(804, 805)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어 상기 반쪽원통부(801, 802)가 서로 조합되어져 합체되어질때 한층 더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됨으로서, 상기 척식개폐기구(8)의 조립정밀도가 한층더 향상되어져 필심카트리지(7)에의 장착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됨과 더불어, 뒤에 설명되는 탄성개폐편부(84, 85)를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개폐 동작시켜줄 수가 있게된다.
또 상기 반쪽원통부(801, 802) 각각의 외주면에는 제12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면이 반원호상으로 된 넓은 폭걸림돌기부(807)와 끝이 뾰족한 걸림리브(808)가 번갈아 일체로 돌출성형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반쪽원통부(801, 802)를 조합해서 합체시켜 필심카트리지(7)내에다 끼워맞춰놓은 상태에서는 이 필심카트리지(7)의 내주면에 넓은 폭걸림돌기부(807)와 걸림리브(808)가 눌려접해 걸어맞춰지게되고, 이렇게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특히 상기 넓은 폭걸림돌기부(807)에 의해 필심카트리지(7) 내주면과의 충분한 끼움압력이 얻어지게 된다. 그때문에 상기 충분한 끼움압력으로 상기 척식개폐기구(8)를 안정되게 끼워맞춰 연결시켜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반쪽원통부(801, 802)의 끝에는 탄성개폐편부(84, 85)가 각각 일체로 연결형성되어져 있는데, 그 한쪽이 제13도에 도시되어져 있듯이 θ각도 만큼 직경방향 안쪽으로 미리 소형변형(탄성변형)시켜져 있어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를 조합해서 합체시켜줄때에는 그들이 강하게 압접시켜지게됨으로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들이 서로 간격없이 조합되어 합체시켜질 수가 있게 된다. 그때문에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끝쪽에 일체로 형성되어져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경방향과 반대되는쪽으로 연장되어져 나간 외향걸림편부(88, 89)를 제15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넣어 주었을때, 이들 외향걸림편부(88, 89)가 상대쪽방향(직경방향안쪽)으로 이동해서 외향걸림편부(88, 89)와 일체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앞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규정된 정원형태구멍으로 직경이 확대된 상태로 열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리이드가이드(6)로부터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를 뽑아내게되면,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직경방향안쪽으로 탄성복원됨에 따라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앞에서의 실시예 경우와 마찬가지로 계단이 어긋나 직경이 좁혀진 상태로 닫혀지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가 리이드가이드(6)에 눌러끼워지거나 이 리이드가이드(6)로부터 뽑아내지게됨에 따라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가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을 개폐동작시켜주게되나, 상기한 바와같이 척식개폐기구(8) 전체를 둘로갈라지게 해놓음으로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개폐동작반경이 커지게되어 그들 탄성개폐편부(84, 85)가 쉽게 탄성적으로 변형시켜지게 된다.
더구나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는 상술한 바와같이 그 각각이 직경방향 안쪽으로 미리 소형변형시켜져서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갖고 있기때문에, 개폐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져 개폐동작이 반복됨에 따른 피로도가 감소되게 된다.
또 상기 척식개폐기구(8) 전체를 2쪽으로 갈라놓았기때문에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끝쪽에 상기 외향걸림편부(88, 89) 및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이 형성된 부분을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쉽게 계단이 어긋나도록 분단형성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그때문에 척식개폐기구(8)의 성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충분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반쪽필심관통구멍(86, 87)의 합치면도 간격없이 확실하게 접합시켜줄 수 있게 됨으로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내 및 필심카트리지(7)내의 필심(4)이 빠져나와 떨어지게 되는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필심카트리지가 리이드가이드에 눌려 걸어맞춰질 때 척식개폐기구가 상기 리이드가이드의 내주면에서 구심방향으로 안내되어져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지게 됨으로서, 필심관통구멍이 규정칫수의 정원형구멍이 되는 직경이 확대된 상태로 열려져 직경이 다른 필심도 원활히 관통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또 상기 눌려걸어맞춰짐이 해제되어졌을때에는 상기 척식개폐기구가 안쪽방향탄성력에 의해 직경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되어져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지게되며, 이렇게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필심관통구멍의 각 반경중심점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연통합치되게 됨으로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서로 계단이 어긋난 상태가 되어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진 상태의 직경이 실질적으로 좁게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척식개폐기구의 탄성개폐편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어 탄발력이 열화된다하더라도 그와 관계없이 상기 필심관통구멍을 필심이 쏟아져 나오지 못하도록 확실하게 닫혀진 상태가 유지시켜주게 된다. 그때문에 리이드가이드에서 뽑아낸 필심카트리지를 필심을 확인하기 위해 흔들어주어도 필심의 하중이나 진동등으로 속에 들어있는 필심의 쏟아져 나오는 일이 없게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직경을 달리하는 여러가지 필심을 함께 사용하게되는 경우에도 상기 척식개폐기구의 개폐행정이 짧아서 좋고, 그때문에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져 있을때에는 가장 가는 직경을 갖는 필심도 확실하게 통과할 수 없도록 하고, 또 필심관통구멍이 열려져있을때에는 가장 굵은 직경을 갖는 필심을 관통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직경을 달리하는 여러가지 필심을 함께 사용하게 될 경우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지게되면 가장가는 직경을 갖는 필심이 통과될 수 없게 되면서, 필심관통구멍이 열려지게 되면 가장굵은 직경을 갖는 필심이 통과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져야만 하는바, 그 때문에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져 있을때의 구멍직경이 가장가는 직경을 갖는 필심의 직경보다 좁게형성되고, 또 열려졌을때의 구멍직경이 가장굵은 직경을 갖는 필심직경보다 크게 열려지게 되면, 척식개폐기구의 개폐행정이 커지게되어 척식개폐기구에 무리한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척식개폐기구가 원래의 닫혀진 상태로 되돌려지기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져 있을 때에는 각각의 반경중심점 위치가 어긋나게 되고, 이렇게 중심위치가 어긋나게 됨으로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졌을때의 구멍직경이 가장가는 직경을 갖는 필심의 직경보다도 좁아지기 때문에 필심관통구멍 그자체의 직경을 가장 가는직경을 갖는 필심의 직경보다 필요이상으로 좁게할 필요가 없게되고, 그에따라 가장 굵은 직경을 갖는 필심이 관통될 수 있게 열려지는 위치까지 척식개폐기구가 개폐되는 행정을 작아지게 해줄 수가 있기 때문에, 척식개폐기구에 무리한 응력이 발생하는 일도 없게 되어 척식개폐기구를 항상 원활하고 확실하게 개폐동작시켜줄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리이드가이드로부터 필심카트리지를 뽑아내게되면 필심관통구멍이 가장가는 필심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직경이 좁혀진 상태로 닫혀지게 되고, 이렇게 닫혀진 상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 변화됨에 따른 탄발력의 열화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유지되게 됨으로서, 뽑아내어진 필심카트리지를 필심확인등을 위해 흔들어주어도 속에 들어있는 필심이 쏟아져 나오게되는 일이 없어지게되고, 또 필심카트리지를 리이드가이드에다 끼워 넣었을때에는 가장 굵은 직경의 필심을 통과시켜줄 수 있게되는 상태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원활히 열려지게된 다고 하는 설계상의 여러가지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 샤아프펜슬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서 필심(4)의 보급과 교환을 해주게되는 필심카트리지(7)와, 직경방향으로 갈라진 필심관통구멍(86, 87)을 갖고서 이들 필심관통구멍(86, 87)이 서로 안쪽방향탄성력으로 닫혀지는 방향으로 밀어부쳐져 상기 카트리지(7)에 설치되어 리이드가이드(6)에 눌려걸어맞춰지게 되면 탄성적으로 변화되어 상기 필심관통구멍(86, 87)을 열어주는 한편, 상기 눌려걸어맞춰짐이 해제된때에는 탄성복원되어 상기 필심관통구멍(86, 87)을 닫아주는 척식개폐기구(8)를 갖추면서, 상기 필심관통구멍(86, 87)이 그 각 반경중심점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되어 그 중심점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상기 필심관통구멍이 닫혀졌을때 서로 연통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식개폐기구(8)는 그 축선을 따라 직경방향으로 갈라지면서 안쪽방향탄성력을 갖게됨과 더불어, 리이드가이드(6)에 눌려걸어맞춰질때 상기 안쪽방향탄성력에 대항해서 직경방향안쪽으로 이동해서 상기 필심관통구멍(86, 87)을 열려지게 하는 한편, 상기 눌려걸어맞춰짐이 해제되게되면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탄성복원이동해서 상기 필심관통구멍(86, 87)을 그 각 중심점위치가 어굿난 연통상태로 닫혀지게 해주는 외향걸림편부(88, 8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식개폐기구(8)는 그 전체가 축선을 따라 직경방향으로 갈라지면서 동축상에 조합되어 합체시켜진 탄성개폐편부(84, 85)를 맞추어 이들 탄성개폐편부(84, 85)가 상대방향에 θ각도로 탄성변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개폐편부(84, 85)의 외주면에는 절결부(84a, 8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17986U KR900006762Y1 (ko) | 1987-10-22 | 1987-10-22 |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17986U KR900006762Y1 (ko) | 1987-10-22 | 1987-10-22 |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8694U KR890008694U (ko) | 1989-05-29 |
KR900006762Y1 true KR900006762Y1 (ko) | 1990-07-28 |
Family
ID=1926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17986U KR900006762Y1 (ko) | 1987-10-22 | 1987-10-22 |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6762Y1 (ko) |
-
1987
- 1987-10-22 KR KR2019870017986U patent/KR90000676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8694U (ko) | 1989-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3238598B2 (en) | Metered Quantity Syringe-Type Dispenser | |
US4599793A (en) | Razor connector | |
US6976608B2 (en) | Cartridge charged with fluid materials and device for loading such cartridge to fluid dispensing apparatuses | |
US20030099508A1 (en) | Device for assembling separable toothbrush elements | |
US20190000216A1 (en) | Cartridge-type cosmetic container | |
US4240759A (en) | Mechanical pencil having guides to match guides on a refill cartridge | |
KR900006762Y1 (ko) | 샤아프펜슬의 필심카트리지 개폐장치 | |
KR960033784A (ko) | 필기구 및 필기구 제조 방법 | |
EP0256615A1 (en) | Writing utensil | |
US4522525A (en) | Writing instrument having a needle slidably mounted in a tubular tip | |
US4598478A (en) | Sharpener press-button | |
US6244775B1 (en) | Writing implement | |
US4583875A (en) | Method of nib attachment | |
CA1291965C (en) | Brush-like writing instrument | |
US4943817A (en) | Adaptor for universal X-Y plotter pen | |
US6892908B2 (en) | Cartridge charged with fluid materials and device for loading such cartridge to fluid dispensing apparatuses | |
KR890003846B1 (ko) | 필기구의 필심카트릿지 개폐장치 | |
JPH0513596Y2 (ko) | ||
US5915870A (en) | Writing instrument with cartridge spacing element | |
JPH0513595Y2 (ko) | ||
US20220281260A1 (en) | Writing utensil and producing method of writing utensil | |
KR0119113Y1 (ko) | 흔들어식 샤아프펜슬 | |
JP3792265B2 (ja) | 複合筆記具 | |
KR860003286Y1 (ko) | 샤아프 펜슬 | |
EP0394511A1 (en) | Multi-lead wri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623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