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72Y1 -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72Y1
KR900006672Y1 KR2019870023132U KR870023132U KR900006672Y1 KR 900006672 Y1 KR900006672 Y1 KR 900006672Y1 KR 2019870023132 U KR2019870023132 U KR 2019870023132U KR 870023132 U KR870023132 U KR 870023132U KR 900006672 Y1 KR900006672 Y1 KR 900006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motor
pulley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785U (ko
Inventor
김두호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3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672Y1/ko
Publication of KR890012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4Wire tension contro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와이어 장력 특성 곡선도.
제3도는 종래의 설치 상태 개략도.
제4도의 (a)(b)(c)는 장력 조정용 토오크 모터 및 와이어 장력 특성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보조추 24a, 24b : 풀리
S : 스프링체
본 고안은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요구성능을 만족시키며 특히, 와이어 장력의 조정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간단히 조정되도록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는 일정한 속도 및 장력을 유지하며 이송되어야 하고, 또한 공작물 및 제반 가공 조건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속도 및 장력의 조정이 자유로와야 한다.
그런데, 와이어 속도는 가변속도 제어용 모터를 사용하고 장력은 토오크 모터의 구속 토오크 특성을 이용하여 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속도 제어용 모터 및 토오크 모터를 이용한 구동장치는 제어 성격상 복잡한 구조로 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장력 조정의 경우 토오크 모터의 출력이내의 조정 범위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 장치를 살펴보면,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배출구측의 속도 제어 모터(11)에 의해 와이어(20)는 보조롤러와 벨트(21)의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며, 이때 와이어(20)인입구측의 모터(9)는 모터(11)의 회전속도와 균형을 유지하며 회전돼야 한다.
즉, 두 모터(9)(11)가 와이어(20)을 당기는 속도와 풀어주는 속도에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모터(11)가 회전을 개시하여 가속되면 텐션풀리(4)가 순간적으로 상향 동작되는데 이때 텐션풀리(4)에 지렛대형으로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반달형 도그(14)는 회전점(22)을 중심으로 하향 동작되며, 반대로 모터(11)가 감속되면 도근(14)는 상향 동작된다. 이러한 반달형 도그(14)의 상, 하 움직임을 포토센서(6)가 감지하여 해당하는 량만큼 모터(9)의 속도를 가, 감시키므로서 결국 모터(11)(9) 각각의 회전수에 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결국, 작업자는 모터(11)의 속도만 속도 제어용 콘트롤러(12)에 연결된 가변저항의 조정에 의하여 가변 시켱 줌으로서 자동적으로 모터(9)는 모터(11)의 속도와의 균형이 유지되며 모터(9)가 당겨주는 양만큼 모터(11)에 의해 와이어(20)를 풀어주면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토록 되는 것이다.
한편, 정속으로 운전되어 이송되는 와이어(20)의 장력 조정을 살펴보면, 텐션풀리(4)를 하방향으로 당겨주면 와이어(20) 전체에는 일정한 힘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텐션풀리(4)를 당겨주는 힘은 토오크 모터(1)의 구속 회전우력을 이용하여 가해주게 된다.
즉, 모터(11)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모터의 입력교류전원을 가변시키면 모터 샤프트측의 토오크는 거의 일정비율로 비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1)의 구속회전우력만큼 텐션풀리(4)를 하방향으로 당겨주게 되어 와이어(20)에 장력을 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토오크 모터(1)의 출력이내로 조정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과 속도 제어모터(11)를 사용하므로 사용된 와이어(20)를 배출 시키므로 그에 따르는 제반 구동장치등과 같은 제어 성격상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종래의 성능을 만족시킴과 더불어 와이어의 장력조정을 보조추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함과 동시 토오크 모터의 출력을 초과하는 넓은 범위에까지 자유로운 와이어장력 조절이 가능토록 된 것으로서, 이하에서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두개의 속도 제어 모터(9)(11)와 한개의 토오크 모터(1)에 의해 와이어 속도 및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용이하게 가변시키기 위한 와이어 구동 장치에서 와이어(20)가 보빈(7)에서 풀려나와 직접 공작물(18)과 접촉 가공되게 하여 텐션풀리(4)를 거쳐 배출측에 와이어를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주기 위해 일측에 스프링체(S)가 탄설되는 원호상의 접하는 풀리(24a)(24b) 각각에 와이어(20)를 8자형을 권회시켜 배출 되도록 구성됨과 동시, 와이어 장력조절용 보조추(23)를 텐션풀리(4)의 축에 착탈 자재토록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2는 입력 조정 레규레이터, 3은 풀리, 5는 단선 검출 리미트 스위치, 10, 12는 콘트롤러, 16, 17은 하부 및 상부 와이어 가이드, 19는 방전 직류 전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속도 제어 모터(9)(11)와 토오크 모터(1)에 의한 와이어 속도 및 장력을 조정하는 기본적 기능은 종래와 같다.
단, 보조 풀리를 삭제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는데, 와이어 배출수단으로 배출용 풀리(24a)(24b)를 접촉구설치하여 8자형으로 와이어(20)를 권회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므로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토오크 모터의 입력전압 및 출력은 거의 비례하며 이는 모터 샤프트 측의 토오크와도 비례한다(도면 제4도 참조).
종래 고안에서와 같이 토오크 모터(1)에만 의존되는 장력 조정의 경우 와이어 장력은 토오크 모터의 최대구속 토오크까지의 장력 즉, 제4도의 (c)에서와 같이 최대 장력내의 범위에서만 제어가 가능하다.
실제 방전 가공에서는 제반 여건에 따라 제4도의 (c)에서와 같이 최대 장력이상의 와이어 장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바, 본 고안에서 보조추(23)를 텐션모터(4)의 축에 걸어서 장착 시키므로서 토오크 모터(1)의 최대 구속 토오크 이상의 장력이 요구되는 경우 매우 간단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즉, 도면 제2도에서와 보조추(23)를 달지 않았을때의 장력곡선 a와 보조추(23)를 달았을 때의 장력곡선 b 및 2개의 보조추(23)를 달았을 때의 장력곡선 c에서와 같이 토오크 모터(1)가 낼 수 있는 최대 장력 이상의 장력이 요구되는 가공의 경우 보다 높은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며 토오크 모터의 최대 가변 출력 범위 이상의 높은 와이어 장력 설정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보빈(7)에 권회된 와이어(20)를 보내주는 인입롤러용 모터(9)와, 텐션풀리(4)의 승하강으로 작동되는 힌지점(22)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검출도그(14) 상하부에 상기 모터 가변 검지용 포토센서(6)를 구비함과 동시 상기 도그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와이어 장력 가변용 토오크 모터(1)와 배출용 모터(11)로 구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텐션풀리(4)의 축에 착탈자재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용 보조추(23)와, 상기 보조추에 권회된 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한쌍의 풀리(24a)(24b)에 와이어(20)가 8자형으로 권회되어 일측 풀리에 스프링체(S)가 탄설되어 상기 배출용 모터(11)에 의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커트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KR2019870023132U 1987-12-26 1987-12-26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KR900006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132U KR900006672Y1 (ko) 1987-12-26 1987-12-26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132U KR900006672Y1 (ko) 1987-12-26 1987-12-26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785U KR890012785U (ko) 1989-08-07
KR900006672Y1 true KR900006672Y1 (ko) 1990-07-28

Family

ID=1927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132U KR900006672Y1 (ko) 1987-12-26 1987-12-26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6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534A (ko) * 2001-02-02 2002-08-09 김기선 전기유동유체를 이용한 와이어 컷 방전기의 전극진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785U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713A (en) Treadmill speed reset system
US8881716B2 (en) Wire saw with tension detecting means and guide roller speed control
US1265328A (en) Device for taking up and paying out slack.
US4815670A (en) Shredder
KR900006672Y1 (ko)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구동장치
US5714858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relative speed between rotary components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stator of an electric motor
US4038962A (en) Automatic power controller for a wire saw
US5720648A (en) Feed rate controller for thickness sanding machine
US4809841A (en) Apparatus for driving a passenger conveyor
TW201127551A (en) Wire saw
AU592918B2 (en) Winding apparatus for elongate elements
US1370749A (en) Adjustable constant-speed power-transmitting device
US4588931A (en) Tension control for web handling apparatus
JPH0655359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電極送り方法および装置
US2895096A (en) System for controlling induction motor speeds
CN211393621U (zh) 一种自牵引卷扬单牵引绳上高压线的装置
JPH01192835A (ja) 紡績装置
JPS6210522Y2 (ko)
US3218219A (en) Web preconditioner
EP063641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relative speed between rotary components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stator of an electric motor
KR940006625Y1 (ko) 무대설비의 와이어로프 정위치 이탈 감지장치
JPS5610082A (en) Starting method of ac electric motor
JPS6464724A (en) Traveling device for fine electric discharge wire
JPH08290405A (ja) 木材加工機
KR200142456Y1 (ko) 편물 롤링-업 장치 및 제어 회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