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36Y1 - 고정 저항기 - Google Patents

고정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36Y1
KR900006536Y1 KR2019880000146U KR880000146U KR900006536Y1 KR 900006536 Y1 KR900006536 Y1 KR 900006536Y1 KR 2019880000146 U KR2019880000146 U KR 2019880000146U KR 880000146 U KR880000146 U KR 880000146U KR 900006536 Y1 KR900006536 Y1 KR 900006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lead wire
wire
lead
p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705U (ko
Inventor
김한무
Original Assignee
아비코 주식회사
신복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코 주식회사, 신복출 filed Critical 아비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0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536Y1/ko
Publication of KR890016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or tapping points being welded or sold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 저항기
제1도는 용접전 리드와이어와 전극캡이 분리된 상태도.
제2도는 용접후 리드와이어와 전극캡의 접속 상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종래 저항기의 리드와이어 접속상태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저항기의 접속 불량 상태도.
제5도 (a)(b)는 종래와이어 용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극캡 2 : 철재심부
3 : 구리도금층 3' : 주석 또는 주석-납 도금층
4 : 리드와이어 5 : 철선
6 : 구리도금층 6' : 주석 또는 주석-납 도금층
7 : 피착단 7' : 나팔형 용착부
이 고안은 리드와이어와 전극캡간의 용접부분을 개선한 고정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회로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사용되는 고정저항기는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대체적인 구성이 전기부도체 예컨데 세라믹막대의 양단에 전극캡을 고정하고 두개의 전극캡을 전기 저항체로 연결하였으며, 전극캡에는 회로에 저항을 접속시키기 위한 리드 와이어(LEAD-WIRE)를 부착하였고, 저항기의 외부에는 전기부도체인 에폭시 혹은 페놀수지 보호피막을 입히고 칼라코드 또는 저항치를 숫자로 표기하는 것이었으며, 전극캡을 잇는 저항체는 전기 저항율이 큰 금속 와이어를 전극에 용접하거나 세라믹 막대표면에 도금 또는 소부처리에 의한 저항 물질 피막층을 형성한 후 세라믹 막대 표면을 나선상으로 긁어 저항체 피막의 선폭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저항치를 설정하였으며, 전극캡은 예컨데 0.15내지 0.5미리 두께의 철(Fe)판을 프레스 성형한후 구리(Cu)와 주석(Sn) 또는 주석-납(Sn-Pb)의 도금층을 형성하였고, 리드와이어는 주석 또는 주석-납 도금층을 갖는 구리선으로 하였으며, 전극캡과 리드와이어는 스포트 용접(SOPT WELDING) 또는 플래시 용접(FLAH WELDING)으로 접속을 행하는 것이었다.
이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고정저항기의 기술적 환경과 관련하여 리드와이어가 구리이고 전극캡의 바탕이 철재임에 따라 파생되는 다음과 같은 결점들을 지적하였다.
즉, 리드와이어는 구리이므로 리드와이어가 철재캡의 외부에 도금된 구리도금층과 피착되어 리드와이어의 기계적 접속상태가 취약하게 되는점, 구리도금층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인장시험이나 진동시험에 의한 저항기의 용접상태 검사과정에서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리도금층과 전극캡의 바탕 소재간에 간극(30)이 형성되며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완성된 회로의 잠정적인 고장 원인이 되는점, 기본적으로 리드와이어와 전극캡의 접속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PCB의 회로상에서 고정저항기를 기계적으로 조립하는 인서트 공정에서의 충격으로 저항기의 전기적 접속이 불량해지거나 리드와이어가 탈락 되는점, 리드와이어와 강도가 약하여 회로에 조립하기가 불편한 점 등이며, 저항기는 회로상에 다량으로 사용되는 소자이므로 리드와이어의 접속이 불량한 경우 고장원인이 발견이 지극히 어려워 회로 자체를 폐기하게 되는 비경제성, 그리고 저항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세선화된 리드와이어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는 점등이다.
이 고안은 위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는 고정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캡과 리드와이어의 바탕을 모두 철(Fe)재로 사용함으로써 전극캡이 바탕소재와 와이어의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였고, 이로 인하여 저항기와 와이어의 접속 불량율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전극캡과 와이어의 표면에 구리도금층과 주석 또는 주석-납의 도금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리드와이어의 용접시에 도금층끼리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 지게하여 저항체 이외의 선로에서 전기전도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상기한 도금층에 의하여 리드와이어와 갭상의 녹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회로의 조기 열화를 방지하였으며, 또한 리드와이어의 바탕을 철선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본적인 기계적 접속강도가 증대되어 인서트 작업중에 리드와이어가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 저항기는 저항체로써 피복된 세라믹 막대의 양끝단에 전극캡이 씌워지고, 이 양측끝단의 전극 캡에는 각각 리드선이 피착연결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바, 본 고안 역시 저항체(20)로 도포된 세라믹 막대(10)의 양끝단에 전극캡(1)이 씌워지는 것은 통상의 것과 같으며, 이때의 전극캡(1)은 프레스 성형된 철(Fe)재 심부(2)의 안쪽, 바깥쪽 모두가 1,2차 도금층(3)(3')으로 피복된 것이다.
즉, 1차로는 구리(Cu)성분으로써 약 1-2μ두께의 도금층(3)을, 그리고 2차로는 주석(Sn)이나 주석-납(Sn-Pb)의 합금체 성분으로된 약 1-2μ두께의 도금층(3')을 재차 피복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도금방법은 통상의 도금방법과 같은 전기 또는 다이핑(DIPING) 도금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리드와이어(4)는 종래의 것과 달리 심부가 철선(5)으로 되며, 그 외표면에는 위에서 설명한 전극캡(1)과 같은 방법으로 도금된 1,2차 도금층(6)(6')을 가진다.
즉, 1차로는 약 1-2μ두께의 구리도금층(6)을 2차로는 1-2μ두께의 주석이나 주석-납 합금성분으로된 도금층(6')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리드선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완성된 것이므로 이를 전극캡(1)에 피착 시키고자 할때는 적당한 길이로 잘라야 하는 것이며, 이때 피착시키고자 하는 쪽의 피착단(7)은 절두원추형으로 미리 가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가공하는 원추형 피착단(7)은 스포트 용접(SPOT WELDING) 또는 프래시 용접(PLASH WELDING)으로 피착한후의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리드와이어의 절두 원추형 피착단(7)은 용접 과정에서 변형되어 나팔형 철-철 용착부(7')로 확대 되어있다.
더 자세히는 전극캡(1)측의 접속부위 1,2차 도금층(3)(3')은 회측으로 밀려 와이어(4)의 심층철선(5)과 전극캡(1측의 철재심부(2)가 직접 용착되어 있으며, 절두원추형 피착단(7)이 나팔형 용착부(7')로 변형되면서 외측으로 밀린 전극캡(1) 외면의 1,2차 도금층(3)(3')과 리드와이어(4) 외면의 1,2차 도금층(6)(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심층과 도금층의 접속작용은 리드와이어(4)의 피착단(7)이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초기 피착단의 끝부분이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전극캡(1) 외면의 도금층(3)(3')을 파괴하고 2차단계에서 리드와이어(4)를 전극캡(1)측으로 이동시킬때 원추형 피착단(7)이 경사면이, 도금층(3)(3')의 파괴된 구멍을 확대하는 현상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 고안에서는 리드와이어의 소재로서 철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드와이어가 세선화 되더라도 기계적 조립에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리드와이어와 전극 캡은 심층절재끼리 용착되므로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한 도금층의 불안정 상태에 관계없이 리드와이어는 안정하고 견고한 접속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전극캡의 1,2차 도금층과 리드와이어의 1,2차 도금층도 전기적인 상호 접속을 유지하게 되어 리드와이어 또는 전극캡 부분에서의 전기전도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리드와이어에 도금층을 형성시키므로써 철재와이어의 녹발생에 의한 전자회로의 열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리드와이어와 전극캡의 기본적인 접속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저항기의 불량발생 및 저항기가 사용되는 회로의 고장발생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컵 모양으로된 철재심부(2)의 내·외 표면 전체에 약 1-2μ두께의 1차 구리 도금층(3)과 약 1-2μ두께의 주석(또는 주석-납)의 2차도금층(3')을 피복하여서된 전극캡(1)에 리드와이어(4)를 접속시키되, 리드와이어(4)는 철선으로된 심선(5)의 표면이 약 1-2μ두께의 1차 구리 도금층(6)과 약 1-2μ두께의 주석 또는 주석-납의 2차 도금층(6')으로 피복된 것을 끝단이 원추형으로된 피착단(7)으로 하며, 이를 전극 캡(1)에 융착시켰을때, 전극캡(1)의 심부(2)와 리드와이어(4)의 심선(5)끼리 접하여 나팔형의 철-철 용착부(7')를 이루고, 1차 구리 도금층(3), (6)및 2차 주석(또는 주석-납) 도금층(3'), (6')끼리 접속하여 피복층을 유지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저항기.
KR2019880000146U 1988-01-12 1988-01-12 고정 저항기 KR900006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146U KR900006536Y1 (ko) 1988-01-12 1988-01-12 고정 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146U KR900006536Y1 (ko) 1988-01-12 1988-01-12 고정 저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705U KR890016705U (ko) 1989-08-19
KR900006536Y1 true KR900006536Y1 (ko) 1990-07-26

Family

ID=1927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146U KR900006536Y1 (ko) 1988-01-12 1988-01-12 고정 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5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705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0288A (en) Solid electrolyte capacitor with metal loaded resin end caps
US4646053A (en) Electric fuse having welded fusible elements
DE10152203B4 (de) Elektrolytkondensator und Herstellung desselben
US20080084267A1 (en) Fuse component
EP0306809A1 (en) Fused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CN100539812C (zh) 印刷布线板和电子设备
US3233034A (en) Diffusion bonded printed circuit terminal structure
EP0822568A1 (en) Conductive epoxy fuse and method of making
US3202755A (en) Welded circui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4349860A (en) Tantalum condenser
KR900006536Y1 (ko) 고정 저항기
US5025553A (en) Circuit board manufacture
CN1183813C (zh) 零件安装底板及其制造方法
US6995332B2 (en) Resistance welding method and structure of resistance welding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010007543A (ko) 인덕턴스 소자
US2667606A (en) Capacitor and terminal lead therefor
JP3621365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20012276A (ko) 연결선과 터미널 전극간 도전성 연결
EP0169261B1 (en) Electronic component
WO1998051135A1 (en)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service boxes and their parts
TWI442429B (zh) Manufacturing method of lead terminal for capacitor
GB1567695A (en) Electrolytic capacitor with self-retaining lead assembly
US6299055B1 (en) Manufacturing processes of service boxes and their parts
JPS6355850B2 (ko)
KR830002197Y1 (ko)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