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398Y1 -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398Y1
KR900006398Y1 KR2019870005203U KR870005203U KR900006398Y1 KR 900006398 Y1 KR900006398 Y1 KR 900006398Y1 KR 2019870005203 U KR2019870005203 U KR 2019870005203U KR 870005203 U KR870005203 U KR 870005203U KR 900006398 Y1 KR900006398 Y1 KR 900006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
hose
cap
inse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803U (ko
Inventor
전영규
Original Assignee
전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규 filed Critical 전영규
Priority to KR2019870005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398Y1/ko
Publication of KR880019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98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중 A-A선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관체 1a : 나사부
1b : 테이퍼형 삽입관체 2 : 관상호오스결착소켓
3 : 괘지캡 3a : 삽지홈
3b : 캡부분 4 : 삽지패킹
5 : 삽지돌조 8 : 걸림턱
9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에 관한것으로 주로 가옥의 옥외에 설치된 수도콕에 호오스를 연결하여 옥외 청소를 하거나 정원에 물을 뿌려줄때 수압에 의해 호오스가 수도콕으로 부터 빠져나오지 않게한 것이다.
종래에 수도콕에 호오스를 끼워 사용시에는 별도의 기구가 없이 직접 수도콕에 호오스를 강제로 끼워 사용하였으나 수압에 의해 쉽게 호오스가 빠져 끈으로 묶어주거나 밴드로 결박하여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였고 수도콕과 호오스의 굵기가 맞지않으면 착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오스의 규격에 현격한 차이가 없는한 견고하게 착용이 용이하면서 수도콕에 끼워 착용시 수도콕으로 부터 수압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호오스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도콕에 끼워지는 연결관체(1) 하부에 관상호오스 결착소켓(2)을 나사식으로 끼우고 상부에는 수도콕에 끼워진 연결관체(1)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괘지캡(3)을 끼워 구성한다.
연결관체(1) 상부 내경에 수도콕과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삽지패킹(4)을 끼워 설치하고 상단 외주에는 삽지돌조(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괘지캡(3) 하단 둘레의 삽지홈(3a)에 끼워주고, 캡부분(3b)은 수도콕(7)의 곡부(7a)에 덮혀 연결관체(1)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삽지돌조(5)에 걸림턱(8)을 만들고 삽지홈(3a) 선단에 걸림돌기(9)를 형성하여 끼워진 상태가 견고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결관체(1)의 나사부(1a) 하위에는 하부가 좁은 테이퍼형 삽입관체(1b)를 연설하며 이에 관상호오스결착소켓(2)이 끼워진 호오스(6)를 끼운 다음 관상호오스결착소켁(2)을 나사부(1a)에 나사식으로 채워테이퍼형 삽지관체(1b)가 호오스(6)를 확대시키면서 관상호오스결착소켓(2) 내면에 협지되어 결착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걸림턱(8)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결관체(1) 상단내부의 삽지패킹(4)을 수도콕(7)에 끼운다음 연결관체(1) 상단의 삽지돌조(5)에 괘지캡(3)의 삽지홈(3a)을 끼워진다.
이때 캡부분(3b)은 수도콕의 곡부(7a)에 씌워져 연결관체(1)가 하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며, 삽지홈(3a) 선단의 걸림돌기(9)는 삽지돌조(5)의 걸림턱(8)에 탄삽되어 괘지캡(3)의 끼워진 상태가 안정되도록 착설한다.
이와같이 착설된 상태에서 수도콕은 평상시와 같이 사용하다가 호오스를 연결하여 사용할때에는 연결관체(1) 하부에 끼워진 관상호오스결착소켓(2)을 나해한 다음 이에 호오스(6)를 끼우고 그 호오스(6)를 테이퍼형 삽지관체(1b)에 끼운다음 그 외부에 끼워져 있는 관상호오스결착소켓(2)을 연결관체(1)의 나사부(1a)에 나사식으로 끼워준다.
이때 호오스(6)는 테이퍼형 삽지관체(1b) 외면과 관상호오스결착소켓(2) 내면과의 사이에 강제로 협지되어 결착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사용도중 수압이 강한 경우에는 빠지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작용이므로 착용이 간편하면서 견고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부로 부터 테이퍼형 삽입관계(1b)와 나사부(1a)가 형성된 연결관체(1) 하부에는 관상호오스결착소켓(2)을 나사식으로 끼워 호오스를 결착하게 하고, 상단 내부에는 삽지패킹(4)을 삽착하며, 연결관체(1) 상단 외주의 삽지돌조(5)에는 수도콕의 곡부에 씌워지는 캡부분(3b)이 형성된 괘지캡(3)의 삽지홈(3a)을 끼워서된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KR2019870005203U 1987-04-13 1987-04-13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KR900006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203U KR900006398Y1 (ko) 1987-04-13 1987-04-13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203U KR900006398Y1 (ko) 1987-04-13 1987-04-13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803U KR880019803U (ko) 1988-11-28
KR900006398Y1 true KR900006398Y1 (ko) 1990-07-20

Family

ID=1926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203U KR900006398Y1 (ko) 1987-04-13 1987-04-13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3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320A (ko) * 2019-05-21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20190092319A (ko) * 2019-05-21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20190091640A (ko) * 2018-01-29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20190092321A (ko) * 2019-05-21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640A (ko) * 2018-01-29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20190092320A (ko) * 2019-05-21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20190092319A (ko) * 2019-05-21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20190092321A (ko) * 2019-05-21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803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996A (en) Plumbing system with connector between a flexible pipe conduit laid underneath plaster and a fitting to be arranged outside the plaster
RU9511437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болта в горной породе
KR900006398Y1 (ko) 수도콕용 호오스 연결구
US5169122A (en) Compression boiler drain
KR900000193Y1 (ko) 온수탱크의 호스결합구조
KR800001579Y1 (ko) 수도 콕크용 호스착탈구
US1983600A (en) Cleaner
US3363640A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use with furrow valves
KR94000294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상 소화전
CH350512A (fr) Dispositif de branchement d'un tuyau sur une conduite
KR790001534Y1 (ko) 급수용 호스 및 관 연결구
KR800001578Y1 (ko) 수도전 삽지용 호스 접속구
KR910000371Y1 (ko) 온수가열기용 물탱크의 호-스 연결구
KR200149895Y1 (ko) 농업용수 공급 호오스의 연결장치
KR940005866Y1 (ko) 가스통 교환가능 일회용 라이타
JPH0335392U (ko)
KR910005164Y1 (ko) 관 이음쇠
KR930000871A (ko) 자동폐쇄 수도전
KR910008963Y1 (ko) 수도콕크에 호스삽착관의 고정장치
KR970004029Y1 (ko) 낚시받침대
KR960006072Y1 (ko) 농업용 살수관
SU6747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рукава
KR940008636Y1 (ko) 호스커플러
KR910005165Y1 (ko) 관 이음쇠
JPS62241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