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24Y1 - 디스크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24Y1
KR900005924Y1 KR2019870001951U KR870001951U KR900005924Y1 KR 900005924 Y1 KR900005924 Y1 KR 900005924Y1 KR 2019870001951 U KR2019870001951 U KR 2019870001951U KR 870001951 U KR870001951 U KR 870001951U KR 900005924 Y1 KR900005924 Y1 KR 900005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spindle
disk
segmen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801U (ko
Inventor
쓰도무 이와나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6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8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클램프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의 실시예인 허브세그먼트를 하방향에서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과의 계합 상태를 나타낸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의 단면 부분도.
제3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과의 계합상태를 나타낸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의 단면 부분도.
제4도는 종래형의 허브의 구조를 나타낸 디스크 클램프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나타낸 허브의 평면도.
제6도는 종래형 허브를 구성하는 허브세그먼트를 하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과의 계합상태를 나타낸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의 단면부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핀들 1a : 원형홈
3 : 디스크 4 : 허브세그먼트측벽
6, 21 : 허브 20 : 허브세그먼트
20a : 압접부 20d : 얇은부
22 : 절결
본 고안은 플롭피 디스크 드라이브(FDD)에 사용하는 디스크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의 디스크 클램프장치를 나타낸다.
도면 중 부호 1은 스핀들이고, 그 중심에는 스핀들축(2)이 삽통고정되어 있고 도시생략한 모터에 의하여 스핀들(2)을 거쳐 회전력이 스핀들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1a는 스핀들(1)의 원형홈이고 그 원주는 디스크(3)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6은 허브이고 허브프레임(10)에 그 상단부를 접속한 클램프 샤프트(5)에 의하여 베어링(8)을 거쳐 회전자재롭게 지지되어있다.
11은 이 클램프축(5)에 배치된 클램프 스프링이고 허브(6)에 대하여 허브프레임(10)측의 압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제5도는 허브(6)의 평면을 나타내고, 허브 전주(全周)에 대하여 8개소의 슬리트(30)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방사형상으로 8개의 허브세그먼트(6b)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스핀들(1)상에 디스크(3)가 재치되면 허브프레임(10)이 하강을 개시한다.
이 경우 디스크(3)가 자켓(도시생략)내에서 편심되어 있으면 허브프레임(10)과 함께 하강한 허브(6)의 경사면(6c)이 디스크(3)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허브(6)의 하강과 함께 이 디스크(3)를 중심위치로 이동시켜 디스크(3)의 센터링을 행한다.
이와같이 하여 센터링된 디스크(3)에 대해서는 허브(6)의 플랜지부(6d)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의 허브(6) 자체는 하강 하지 않게 되나 허브프레임(10)은 다시 일정한 거리를 하강한다. 이 때문에 이 하강하는 힘은 클램프 스프링(11), 베어링(8)을 거쳐 허브(6)에 전달되고, 프랜지부(6d)를 거쳐 디스크(3)의 내주부에 압접하고, 디스크(3)는 스핀들(1)과 허브(6)에 의하여 클램프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3)에 대해서는 스핀들축(2), 스핀들(1)을 거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정보의 기압독출이 행하여진다.
제6도는 허그 세그먼트의 상세를 제7도는 이 허브세그먼트와 스핀들(1)에 의한 디스크(3)의 클램프 상태의 상세를 나타낸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3)의 클램프는 허브(6)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각 허브세그먼트의 플랜지부(6d)에 의한 스핀들(1)의 상단연부에 대한 압압력에 의하여 행하여 지게되나, 디스크(3)에 대해서는 정보의 기입이나 독출을 행하는 헤드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헤드가 디스크의 회전에 대하여 약간이기는 하지만 저해요인으로 되고, 스핀들(1)의 회전력은 협지된 디스크(3)를 거쳐 허브(6)에 전달되므로서, 디스크(3)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이 회전력에 저항하는 힘이 클램프부에 가해지게 된다.
디스크의 클램프는 압접에 의하여 발생하는 디스크(3)와 허브(6) 및 스핀들(1) 사이의 3자의 마찰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에 저항하는 힘이 마찰보다 큰 경우에는 클램프와 디스크와의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디스크에 손상을 주거나 또 디스크가 소정의 회전을 행하지 않고, 정보의 기입, 독출에 있어서 에러를 야기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스핀들(1)측에 대한 허브(6)의 압압력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더욱 디스크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결국 디스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디스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허브(6)와 스핀들(1)을 어느 한 부분에서 직접 접촉시키고, 이 접촉부를 거쳐 스핀들(1)의 회전이 직접 허브(6)에 전달되도록 하면 디스크 협지부에서는 거의 스핀들 축방향의 힘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디스크의 협지부에 미끄럼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관점에 의거하여 구성된 것이고, 허브에 가해진 축방향의 힘에 의하여 일부의 허브세그먼트가 탄성 변형하기 쉽도록 구성하고 이 탄성변형에 의하여 허브세그먼트의 측벽부가 스핀들의 원형홈의 내주벽에 접촉하도록 구성한 장치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허브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기 쉽게 구성한 일부의 허브세그먼트 측벽구가 스핀들의 원형홈의 내주벽에 접촉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스핀들의 회전력은 주로 이 접촉부를 거쳐 허브측에 전달되고, 이 때문에 스핀들과 다른 허브세그먼트와의 디스크 협지부에는 거의 스핀들의 축방향에 대한 힘만이 작용하고 스핀들의 외전방향에 대한 힘은 거의 작용하지 않으므로 디스크의 미끄럼이 생기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중 부호 20은 본 고안에 관한 허브(21)의 허브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 허브세그먼트(20)의 복수개(예를 들면 8개)를 방사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제5도의 종래형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체적인 허브(21)로 한다. 각 허브세그먼트에 대하여서는 제5도에 부호(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각 허브세그먼트를 블럭구조로 하여 일정한 기계적 강도를 우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2는 이 허브세그먼트중의 일부의 것의 측벽에 형성된 절결이다. 20a는 허브(21)를 스핀들(1)의 원형홈(1a)내에 삽입하였을 경우 이 원형홈(1a)의 내주벽과 대향위치하는 면이고 후술하는 허브세그먼트의 탄성 변형이 생겼을 경우에 이 내주벽에 압접하는 압접면이다.
또한, 허브를 구성하는 각 허브세그먼트의 압접면을 통과하는 가상원은 원형홈(1a)보다 약간 작게하여 둔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스핀들(1) 상에 디스크(3)가 재치되면 클램프축을 거쳐 허브(21)를 지지하는 허브 프레임이 하강을 개시한다. 이 경우 디스크(3)가 자켓(도시생략)내에서 편심외어 있으면 허브페리임과 함께 하강된 종래와 마찬가지의 허브(21)의 경사면(20b)이 디스크(3)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허브(21)의 하강과 동시에 이 디스크(3)를 중심위치로 이동시켜 디스크(3)의 센터링을 행한다.
각 허브세그먼트(20)의 플랜지부(20c)가 디스크(3)에 접촉하면 허브(21) 자체는 하강하지 않게 되지만 허브프레임은 다시 일정한 거리를 하강한다. 이 때문에 이 하강하는 힘은 클램프 스프링 등을 거쳐 허브(21)에 전달된다.
이 경우 각 일부의 허브세그먼트의 측벽에는 절결(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브(21)에 가해진 힘(F)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작용한다.
즉, 허브(21)에 대하여 스핀들(1)의 축방향으로 가해진 힘(F)에 의하여 일부의 허브세그먼트는 탄성 변형한다. 이 힘(F)은 압접면(20a)을 스핀들(1)의 원형홈(1a)의 내벽에 압접하는 힘(F1)으로서 작용한다.
이때 밀부의 허브세그먼트 측벽(4)에 대하여는 절결(2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허브세그먼트는 양호하게 변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스핀들(1)이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력은 압접부(20a)를 거쳐 주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다른 허브세그먼트의 플랜지부(20c)와 스핀들(1)에 의한 디스크 협지부에 대하여서는 거의 스핀들의 축심방향에 대한 힘만이 작용하고 강력한 디스크 압접력을 가하지 않도라도 디스크는 미끄럼을 발생하는 일은 없다.
제3도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허브세그먼트의 측벽(4)에 대하여 절결을 형성하는 대신에, 플랜지부(20c)로 부터 경사부(20b)로 이행하는 이행부의 두께를 얇은 부(20d)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의 실시예와 같이 허브(21)에 대하여 스핀들(1)의 축방향으로 힘(F)을 인가하면 주로 이 얇은부(20d)를 중심으로 하여 허브세그먼트(20)는 탄성변형하며 상기 힘(F)은 F1으로서 작용하고 허브세그먼트중 원형홈(1a)에 대향위치하는 압접면(20a)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원형홈(1a)의 내주면에 압접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허브에 대하여 스핀들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서 일부각 허브세그먼트는 탄성변형하고 허브와 스핀들이 직접 접촉하므로 스핀들의 회전력은 주로 이 접촉부를 거쳐 전달되고 스핀들과 다른 허브세그먼트에 의한 디스크 협지부에 대하여서는 거의 스핀들 축방향에 대한 힘만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에 대한 허브의 압접력이 강하지 않더라도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복수의 허브세그먼트(20)에 의하여 구성된 허브(21)를 스핀(1)들의 원형홈(1a)에 삽입하고, 또한 스핀들측에 압접하므로서 스핀들상에 재치한 디스크(3)를 협지하고 또한, 이 디스크의 센터링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 허브세그먼트(20)에 대하여 탄성변형부를 설치하고, 또한 허브세그먼트의 원형홈의 내주벽 대향면을 압접부(20a)로 하고 허브에 대하여 스핀들축 방향의 힘을 가하므로서 이 탄성 변형부를 중심으로 하여 허브세그먼트(20)가 탄성변형하도록 하고, 이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압접부(20a)가 원형홈(1a)의 내주벽에 압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를 허브세그먼트(20)의 측벽에 형성한 절결(22)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클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허브세그먼트(20)의 플랜지부(20c)와 압접부(20a)와의 이행부를 얇은 부로 하고, 이 얇은 부 탄성변형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클램프장치.
KR2019870001951U 1985-12-26 1987-02-20 디스크 클램프 장치 KR9000059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16 1985-12-26
JP1985199316U JPS62110748U (ko) 1985-12-26 1985-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801U KR880016801U (ko) 1988-10-08
KR900005924Y1 true KR900005924Y1 (ko) 1990-06-30

Family

ID=1640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951U KR900005924Y1 (ko) 1985-12-26 1987-02-20 디스크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10748U (ko)
KR (1) KR9000059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801U (ko) 1988-10-08
JPS62110748U (ko) 198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437B1 (ko) 디스크 유지 장치
US7379267B2 (en) Disc clamp with snap fit for a disc drive
JPH0629610B2 (ja) 磁気デイスク装置のスピンドル機構
EP0834877B1 (en) Disk driving device
US4737948A (en) Disk clamp device
KR20000013812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동조심장치
KR900005924Y1 (ko) 디스크 클램프 장치
JP2005044487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センタリング装置
JPS6052953A (ja) 軸受装置
JPS6211204B2 (ko)
US4575837A (en) Medium clamp mechanism
JP3961704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
KR19990006339A (ko) 디스크구동장치
JP3114734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KR100258929B1 (ko) 디스크 클램핑장치
JPH0535479Y2 (ko)
JPH04278253A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2000251360A (ja) ディスク回転駆動機構用のディスクテーブル
US4754350A (en) Disk clamping device
JPS60140573A (ja) 磁気ヘツド位置決め機構
JP3656675B2 (ja) ターンテーブルを有するスピンドルモータ
JPS6211176Y2 (ko)
JPH0516696Y2 (ko)
JPH0548283Y2 (ko)
KR19990032100A (ko) 디스크클램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