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304Y1 - 자동 중심조절 너트 - Google Patents

자동 중심조절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304Y1
KR900005304Y1 KR2019860018512U KR860018512U KR900005304Y1 KR 900005304 Y1 KR900005304 Y1 KR 900005304Y1 KR 2019860018512 U KR2019860018512 U KR 2019860018512U KR 860018512 U KR860018512 U KR 860018512U KR 900005304 Y1 KR900005304 Y1 KR 900005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e
panel
panel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015U (ko
Inventor
문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8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304Y1/ko
Publication of KR880010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증심조절 너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중심 조절너토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중심 조절너트의 단면도.
제3도 (a)는 종래의 너트의 조립 설명도, (b)(c)(d)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중심 조절너트의 조립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압입공
3 : 톱니돌기 4 : 사각안내공
5 : 지지턱 6 : 하우징
7 : 내부사각돌기 12 : 패널
8 : 내부나사산 9 : 내부편심너트
10 : 절곡부 13 : 볼트
14 : 나사부 15 : 패널(1)의 구멍 중심선
19 : 안내홈 16 : 패널(12)의 압입공 중심선
20 : 자동중심 조절 너트 본체
본 고안은 스크류를 사용하여 패널간을 체결하거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패널간을 체결할때 패널간의 압입공 사이에 중심이 맞지않아 체결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해지는 단점을 제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패널간의 압입공 사이에 중심이 맞지 않아도 자동으로 중심을 조절하는 너트를 내장한 구조를 사용하여 종래의 불편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패널간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패널간의 압입공의 중심선이 일치해야되며 이것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볼트와 너트를 수직으로 조립하지 못하여 불균형된 조립 형태가 되어 보기에도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결착력이 약해지며 양패널간의 유동력으로 인한 유동범위가 넓어져 향후 외부적인 충격으로 결착상태가 물려지는 경우까지 발생되곤 했다.
또한 양패널간의 압입공에서 한쪽의 압입공을 버어링등의 작업후 나사산을 내측에 형성하여 스크류로서 결착시키는 경우에도 양패널의 압입공의 중심선들이 정확하게 일치해야 됐으며 약간의 오차라도 생기면 스크류에 의한 결착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종래의 스크류에 의한 결착이나 볼트, 너트의 결착에 있어서 패널의 압입공 사이의 중심선이 정확히 일치되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선한 것으로 양 패널 사이의 압입공 중심선이 일치하지않아도 내부편심 너트의 자동조절로 정확하고 확고한 결착이 가능하도록된 자동중심 조절너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조에 대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명하면 패널(1)와 패널(12)를 스크류나 볼트(13)으로 체결하는 경우 패널(1)의 압입공 주변에 버어링등의 작업으로 인한 철판의 연신된 부분에 나사산을 형성한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체결하므로서 양패널의 결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양패널의 압입공에 대한 중심선이 정확히 일치되어야 한다. 양패널의 압입공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착이 약해지고 외부 충격으로 해체되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중심선이 일치되지않는 경우 결착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여 안출한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중심 조절너트는 제1도의 분해 사시도와 같이 지지턱(5)이 외주연에 돌설된 본체(20)의 상면에 사각 안내공(4)을 형성하면서 사각 안내공(4)주위의 지지턱(5) 상부에 톱니(3)를 형성한 다음 본체(20)의 하부에는 절곡부(10)가 연설된 하우징(6)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장입되어 유동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내부 편심너트(9)의 상면에는 사각돌기(7)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부(8)를 형성하되 나사부(8)의 상단에는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안내홈(19)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편심너트(9)를 본체(20)의 하우징(6)내부에 집어넣고 하우징(6)의 절곡부(10)를 절곡시켜 내부편심너트(9)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자동 중심 조절너트의 단면도로서 제1도에 따라 설명된 구조의 너트가 결합된 것으로서 특히 내부 편심너트(9)의 내부는 내부 나사산(8)으로 형성되어 볼트나 스크류의 결착이 되게 되어있으며 그 도입부분에 경사진 안내홈(19)이 폭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심선이 맞지않도록 충분히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도의 자동중심 조절너트 본체(20)의 사각 안내공(4)의 일측의 길이가 내부 편심 너트(9)의 내부사각돌기(7)의 대각선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편심너트(9)가 자동중심 조절너트 본체(20)의 내부에서 무제한으로 회전하지 않고 일단 세팅이 되면 내부 편심 너트(9)의 사각돌기(7)가 사각 안내공(4)내에서 맞닿게 되어 볼트와 너트의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자동중심 조절너트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3)는 패널(1)의 압입공(2)의 크기가 너트 본체의 크기가 잘맞지않는 경우 톱니(3)의 산에 의해 패널(1)의 압입공(2) 주변이 소성변형을 일으켜 압입시 압입력에 의해 결착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20)의 지지턱(5)은 이러한 결착력을 강화시켜주며 패널(1)와 압입공(2)간에 단을 형성하여 결착을 공고히 하게 해준다.
또한 본체(20)의 절곡부(10)에 의해 하우짐의 높이를 조절하면 내부 편심너트(9)의 유동 높이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한 중심 조절폭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양패널 사이의 압입공의 중심선이 심하게 어긋나도 쉽게 조절하여 자동으로 너트 결착을 공고히 할수 있는 것이다.
제3도 (b)(c)(d)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중심 조절너트의 결착 상태를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패널(1)의 압입공 중심선(15)과 패널(12)의 압입공의 중심선(16)이 크게 어긋날 경우,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의 압입공(2)의 내부에 본체(20)의 톱니(3)를 일차로 소성 변형 결착시키고 패널(12)을 갖다가 맞춘 다음, 양패널의 압입공 중심선(15.16)이 어긋나지면 먼저 볼트나 스크류(13)를 삽입하면 스크류의 선단이 내부편심 너트(9)의 중심에서 안내홈(19)를 따라 결착되면서 양패널(1)(12)의 압입공 중심선의 차이만큼 내부 편심너트(9)가 이동하여 제3도(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압입공 중심선이 패널(12)의 압입공 중심선(16)과 일치되면서 결착이 되며 볼트나 스크류(13)의 조입작업에 의해 내부 편심너트(9)가 완전 결합이 되어 결착상태가 공고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중심 조절너트는 결착력이 우수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해체의 위험이 없으며 완전히 보호가 되므로 스크류나 볼트의 해체 작용 없이는 해체가 불가능하고 완벽한 결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20)의 상부에 톱니(3)와 지지턱(5)을 형성하고 하부에 하우징(6)을 형성하며 연속으로 절곡부(10)를 연설하고, 그 내부에 사각 안내공(4)을 형성하고, 상부에 사각돌기(7)를 이루며 내부에 나사산(8)을 형성한 내부 편심너트(9)를 상기 사각 안내공(4)과 하우징(6)내에 유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중심 조절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 안내공(4)의 한쪽변의 길이가 편심너트(9)의 사각돌기(7)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중심 조절너트.
KR2019860018512U 1986-11-26 1986-11-26 자동 중심조절 너트 KR900005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2U KR900005304Y1 (ko) 1986-11-26 1986-11-26 자동 중심조절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2U KR900005304Y1 (ko) 1986-11-26 1986-11-26 자동 중심조절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015U KR880010015U (ko) 1988-07-23
KR900005304Y1 true KR900005304Y1 (ko) 1990-06-15

Family

ID=1925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512U KR900005304Y1 (ko) 1986-11-26 1986-11-26 자동 중심조절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3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015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734A (en) Pushnut
US3437119A (en) Captive bolt unit
US8333048B2 (en) Fixture set
US3910156A (en) Screw anchor clip
US5219449A (en) Pipe connector
US7338241B2 (en) Fastener receptacle
US4105058A (en) Screw locking arrangement
US4509890A (en) Captive panel screw
US3110337A (en) Deformable head screw grommet
KR960038153A (ko) 체결 구조체
RU2235492C2 (ru) Крепежный уголок
KR920009598B1 (ko)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KR900005304Y1 (ko) 자동 중심조절 너트
KR101942456B1 (ko) 앵커 볼트
JP2000220623A (ja) ナットの固定構造
AU599742B2 (en) Panel anchoring device
EP015406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ace frame connector elements
KR20090012771U (ko) 케이지 너트
KR100246497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구조
JP7324636B2 (ja) 支柱接続構造
JP4755766B2 (ja)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の固定装置
KR200156546Y1 (ko) 체결용 너트
US3444916A (en) Nondirectional locknut
JPH0231866Y2 (ko)
JPS62187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