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62Y1 - 예취기(刈取機) - Google Patents

예취기(刈取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62Y1
KR900005162Y1 KR2019880006772U KR880006772U KR900005162Y1 KR 900005162 Y1 KR900005162 Y1 KR 900005162Y1 KR 2019880006772 U KR2019880006772 U KR 2019880006772U KR 880006772 U KR880006772 U KR 880006772U KR 900005162 Y1 KR900005162 Y1 KR 900005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ade
support frame
tip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282U (ko
Inventor
조용손
Original Assignee
조용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손 filed Critical 조용손
Priority to KR2019880006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62Y1/ko
Publication of KR890022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8Adjus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A01D34/286Adjustment of the cutter bar on a horizontal plane, i.e. to adjust the angle between the cutter bar and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예취기(刈取機)
제1도는 본 고안 예취기의 사시도.
제2도는 평면도로서 (a)(b)(c)는 작동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틀 3 : 제1작동간
4 : ㄱ자형가동간 5 : 제2작동간
6 : 칼틀 6a : 안내관
7 : ㄷ자형 안내간
본 고안은 농작물을 예취하는 압동식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은 파수간의 선단에 형성한 지지틀의 양측에 한쌍의 ㄱ자형 가동간을 대설하여 이것을 제1의 작동간으로 작동시키면 그 ㄱ자형 가동간이 농자가물을 안아서 모아잡게되고 또한 상기한 지지틀의 양측에 전방으로 뻗은 안내틀에는 칼날을 고정한 칼틀을 왕복작동 되도록 설치하여 이것을 제2의 작동간으로 작동 시키면 상기한 칼틀이 전진하여 상기한 ㄱ자형 가동간으로 모아 잡은 농작둘이 칼날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동력을 덜드리면서 농작물을 예취할 수 있는 예취기를 제공코저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종류의 예취기가 공지되고 있는바, 그 일예로서 회전식 칼날이나 바리캉식 칼날등으로 농작물을 예취하는 것이 있으나 이와같은 예취기는 바퀴의 동력이나 엔진의 동력을 사용해야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높을 뿐 아니라 칼날이 무디어지면 이것을 재생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또 V자형 칼날을 가진 예취기도 공지되고 있으나 이것은 농작물이 넓은폭의 칼날사이에서 점차로 좁은폭의 칼날사이로 진입하면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농작물의 포기가 굵을 경우에는 미절단된 포기가 좁은틈에 끼어서 전진을 불능하게 하는 경우가 있고 또 칼날이 지면에 가깝게되므로 흙에 의하여 쉽게 마손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자형 파수간(1)의 선단에 지지틀(2)을 형성하고 제1의 작동간(3)으로 농작물을 모아잡는 가동간(4)을 작동하게하며 제2의 작동간(5)으로는 칼틀(6)을 작동하도록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틀(2)의 양측에 한쌍의 ㄱ자형 가동간(4)(4)을 설치하되 그ㄱ자형 가동간(4)(4)의 절곡부를 보울트(4b)로 각각 유설하는 동시에 길이가 짧은 부분(4a)(4a)을 함께 모아서 그 선단구멍 (4c)과 손잡이(3a)를 가진 제1작동간(3)의 선단을 함께 보울트(3b)로 연결하고 상기한 지지틀(2)의 양측 전면에는 한쌍의 ㄷ자형 안내간(7)(7)을 전방으로 뻗친 상태로 고정하는 동시에 그 안내간(7)에는 칼틀(6)의 양측에 형성한 안내관(6a)을 끼워서 왕복가능하게 하고 그 칼틀(6)의 상면에는 지지부(6b)를 형성하여 그 지지부(6b)와 손잡이(5a)를 가진 제2의 작동간(5)의 선단을 함께 보울트(6c)로 연곁한 것이다. 부호중(8)은 호형칼날이고(8a)은 그 칼날(8)을 고정한 나사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예취기는 제2도(c)와 같은 상태에서 양손잡이(3a)(5a)를 (a)도의 화살표(가)(나)와 같이 서로 밀고 당기면 작동간(3)의 경우 그 선단에 연결된 ㄱ자형 가동간(4)(4)이 보울트(4b)를 축으로 하여 서로 외측으로 가동되면서 벌어지게되고 작동간(5)의 경우에는 호형칼날(8)을 동반한 칼틀(6)이 양안내간(7)(7)을 타고 후퇴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화살표(다)와 같이 파수간(1)을 전방으로 진행시켜서 양안내간(7)(7) 사이에 농작물(바)을 감싸게 한 후, (b)도의 화살표(라)와 같이 손잡이(3a)로 제1의 작동간(3)을 후퇴시키면 양 ㄱ자형가동간(4)(4)이 서로 내측으로 가동하여 농작물(바)을 모아잡게된다.
이때에 제2(c)도의 화살표(마)와 같이 손잡이(5a)를 밀어서 제2의 작동간(5)으로 칼틀(6)을 전방으로 밀어내면 양 가동간(4)(4)으로 모아잡은 농작물이 호형 칼날(8)에 의하여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실시되는 본 고안은 파수간(1), 제1의 작동간(3), 제2의 작동간(5)을 단시간의 훈련으로 손놀림을 능숙하게 하면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농작물을 예취할 수 있게되며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율이 거의 없는 동시에 염가제공이 용이한 것이다.

Claims (1)

  1. 파수간(1)의 선단에 지지틀(2)을 형성하고 제1의 작동간(3)으로 농작물을 모아잡는 가동간(4)을 작동하게 하며 제2의 작동간(5)으로는 칼틀(6)을 작동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틀(2)의 양측상에 한쌍의 ㄱ자형 가동간(4)(4)을 유설하는 동시에 그 가동간의 길이가 짧은 부분(4a)을 함께 모아서 제1작동간 (3)의 선단에 연결하고 상기한 지지틀(2)의 양측전방에는 한쌍의 ㄷ자형 안내간(7)(7)을 고정하여 칼틀(6)의 양측에 형성한 안내관(5a)을 끼워서 왕복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칼날(6)상에 형성한 지지부(6b)에 제2작동간(5)의 선단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KR2019880006772U 1988-05-04 1988-05-04 예취기(刈取機) KR900005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772U KR900005162Y1 (ko) 1988-05-04 1988-05-04 예취기(刈取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772U KR900005162Y1 (ko) 1988-05-04 1988-05-04 예취기(刈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282U KR890022282U (ko) 1989-12-01
KR900005162Y1 true KR900005162Y1 (ko) 1990-06-15

Family

ID=1927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772U KR900005162Y1 (ko) 1988-05-04 1988-05-04 예취기(刈取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282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0889A (en) Cutter bar for rice combines
US3385041A (en) Comb attachment for lawnmowers
KR900005162Y1 (ko) 예취기(刈取機)
US3881305A (en) Crop handling implement having a guide shield for cut crop material
US3760571A (en) Reciprocating sickle assembly
US6062012A (en) Cutt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s
US4651511A (en) Mower assembly
DE4447274C1 (de) Schneidenform
US3111777A (en) Harvester
US5456071A (en) Continuous cut knife and off-set cutter guard for combine
US3698167A (en) Blade mount for belt mower
US2195518A (en) Grain divider
CN220776604U (zh) 一种割草机防护装置
US3119421A (en) Land clearing implement
CN208509605U (zh) 一种农业用便于使用的割草机
CN219352389U (zh) 一种割草机用旋转刀具
CN219876784U (zh) 一种农用作业机
SU6671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плошной подрезки лозы на шпалере
KR200244220Y1 (ko) 예초기의 예초 받침구
CN215683462U (zh) 一种割草机上使用的拢草装置
CA1268952A (en) Rotary sickle
CN215601952U (zh) 一种农作物便捷割草机
EP1046332A1 (en) Cutt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s
CN210641434U (zh) 一种具有新型挡草板的割灌机
CN219698469U (zh) 一种适用于大范围的割草机刀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