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281B1 - 식품절삭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절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281B1
KR900004281B1 KR1019840008297A KR840008297A KR900004281B1 KR 900004281 B1 KR900004281 B1 KR 900004281B1 KR 1019840008297 A KR1019840008297 A KR 1019840008297A KR 840008297 A KR840008297 A KR 840008297A KR 900004281 B1 KR900004281 B1 KR 90000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d
cutting
worm g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847A (ko
Inventor
도시오 안도오
고오헤이 히미
Original Assignee
주우부 고오끼 가부시기 가이샤
미바야시 요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525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07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174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3169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8252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42296U/ja
Application filed by 주우부 고오끼 가부시기 가이샤, 미바야시 요시히꼬 filed Critical 주우부 고오끼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45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of slush-ice, e.g. semi-frozen beve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26D7/2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arranged to disable the operating means for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품절삭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과 같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의 하나의 형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II-II에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절삭장치의 다른유형을 표시하는 부분적인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선 IV-IV에 따라 취한 확대된 횡단면도.
제 5a 도는 제 3 도에 표시된 식품절삭장치의 보유부재종단면도.
제 5b 도는 제 5a 도의 선 B-B에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 5c 도는 제 5a 도의 선 C-C에 따라 취한 보유부재의 저무도.
제 5d 도는 제 5a 도에 표시된 보유부재의 분해된 종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절삭장치의 실시의 하나의 제 2 도와 같은 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표시된 실시의 사시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표시된 실시의 저부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식품절삭장치의 다른 실시의 제 6 도와 같은 단면도.
제 10 도는 제 3 도의 것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식품절삭장치의 더하는 다른 실시의 부분종단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 표시된 장치에 실시된 정지수단의 평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선 XII-XII에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것에 대응하는 제 11 도에 표시된 정지수단의 종단면도.
제 14 도는 제 10 도에 표시된 본 발명의 장치의 서브-스위치 및 저부커버의 부분적인 앞단면도.
제 15 도는 제 14 도의 선 XV-XV에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 16 도는 제 14 도의 선 XVI-XVI에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 17 도는 제 14 도에 표시된 서브-스위치의 사시도.
제 18a 도는 제 10 도에 표시된 본 발명의 장치의 보유부재의 종단면도.
제 18b 도는 제 18a 도에 표시된 보유부재의 평면도.
제 18c 도는 제 18a 도에 표시된 보유부재의 분해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절삭판 12 : 개구
13 : 절삭날 51 : 기판
52 : 지지프레임 53 : 상부프레임
55 : 전기모우터 57 : 주축
63 : 절삭판 64 : 지지부재
65 : 워엄기어 66 : 회전축
67 : 브레이크링 69 : 브레이크슈우
72 : 코일스프링 73 : 주스위치
75 : 하부커버 77 : 핸들
92 : 지지판 95 : 아암
96 : 지지로드 98 : 장착판
99 : 결합요홈(engaging recess) 107 : 스프링
135 : 정지수단 137 : 로드
138 : 결합부 139 : 플랜지
140 : 코일스프링 151 : 서브스위치
161 : 부재 163 : 핀(holding pin)
본 발명은 얼음덩어리, 냉동과실과 같은 고체식품의 식품절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의 2가지유형의 각 부분의 개략 및 확대도로서 장치의 한 유형으로 제 1 도 및 2 도에, 다른 유형으로 제 3, 제 4, 제 5a, 5b, 5c 및 5d 도에 나타내었으며, 장치의 각 유형에는 같은 참조문자나 번호가 같은 부품을 나타낸 도면을 참조로하여 다음에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 1 도 및 2 도에 나타낸 장치의 유형의 상세한 것은 본 출원의 양수자에 의하여 1984년 2월 24일에 출원인 일본 특허출원 제 3399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같은 참조문자 또는 번호가 같은 부품에 표시되는 도면을참조로 하여 이하에 간략하게 설명된다.
여기에서, (1)은 상부프레임, (2)는 프레임 (1)의 뒷면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보스, (3)은 원통형하우징, (4)는 회전축, (5)는 회전축 (4)의 하단에 고정된 풀리, (6)은 지지아암, (7)은 구동전기모우터, (8)은 전기모우터 (7)의 축에 장착된 풀리, (9)는 풀리(5)에 팽팽히 감겨있는 밸브, (11)은 절삭판, (12)는 절삭판(1l)에 설치된 개구, (13)은 개구(12)로부터 그의 앞날이 돌출하도록 설치된 절삭날, (15)는 이송로우터(transferrotor) (16)은 보스, (17)은 (bush) (18)은 니트, (20)은 호퍼(hopper), (21)은 호퍼(20)위에 배치된 분산방지커버, (22)는 분산방지커버(2l)위에 배치된 헤드커버, (23)은 헤드커버(22)의 정상부에 설치된개구, (24)는 개구(23)를 덮기위한 뚜껑(lid), (26)은 안전스위치, (27)은 주개폐기 (28)온 배출통로, (29)는 커버를 뜻한다.
상술된 식품절삭장치는 식품절삭 작업이 끝나면 뚜껑(24)을 열고, 헤드커버(22)와 산란방지커버(21)를 차례로 제거하고, 프레임(1)에서 이송로우터(15)와 절삭판(l1)을 해체하므로서 이송로우터(15)와 절삭판(11)에 부착된 잔류절삭식품을 세정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도는 절삭판 장착부(32)를 나타낸다. 이 장착부(32)에서, 지지판(34)이 보울트(35)에 의하여 가대(33)를 통하여 개구(12)근처의 절삭판(11)의 배면에 고정되고, 한쌍의 아암(36)은 지지판(34)의 절삭판(11)반대측면에 구비되었으며, 한쌍의 아암(36)의 전방단부들 사이에는 지지로드(37)가 끼워져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절삭날(13)용 장착판(38)의 중간보스부분(39)에는 지지로드(37)가 끼여 있고, 장착판(38)의 앞 만곡부분에 보울트(40)로 절삭날(13)이 고정되어 있다.
다른 보울트(42)는 회전을 위한 중심으로서 작용하는 지지로드(37)주위의 절삭날(13)용 장착판(38)을 약간 회전하도록 조정노브(knob)(45)를 회전함에 따라 개구(12)로부터 절삭날(13)의 앞끝의 돌출량을 조정하도록 절삭날(l3)용 설치판(38)의 뒷부분에 설치된 개구(43)를 통하여 조정노브(45)의 암나사(미표시)와 나사산으로된 앞부분이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46)는 보울트(42)주위의 절삭날(13)용 장착판(38)과 지지판(34)사이에 끼어진 스프팅을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절삭날(13)용 장착부(32)는 절삭판(11)이 상술한 방식으로 해제할 때 절삭판(11)과 함께 해체할 수 있다.
그런다음, 바람직하게는 절삭날(13)용 장착판(38)과 지지판(34)의 대향 내면에 부착된 과실쥬우스, 먼지등과 같은 부착물을 그 부재들(38),(34)들을 모두 해체한 다음 씻어내야하지만 지지로드(37)의 구조상 한쌍의 아암(36)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어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이들 두 부재(38),(34)를 해체할 수있다.
따라서, 양 부재(38),(34)에 부착된 부착물의 세척이 불완전하게되어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에서는 음식물에 대한 위생상태에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에 제 3, 4, 5a, 5b, 5c 및 5d 도에 나타낸 다른 유형의 종래장치를 참조하면, 기부(51)의 한쪽에는 직립위치에 지지프레임(52)을 고정하고, 지지프레임(52)의 상부에 지지프레임(52)으로부터 옆으로 뻗은 상부프레임(53)이 고정되어있다. 지지프레임(52)의 상부내부에는 전기모우터(55)가 수납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52) 및 (53)은 그것에 제공된 헤드커버(54)로 덮혀있다.
워엄(Worm)이 외주면에 형성된 주축(57)은 상부프레임(53)에 설치된 지지부재(6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주축(57)의 상부에는 풀리(56)가 삽입되어 키이등의 수단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폴리이(56)와 전기모우터(55)의 축에 장착된 다른 풀리(58)의 둘레에는 벨트(59)가 팽팽히 잠겨있다. 주축(57)의 하단부에는 보유부재(62)가 부착되고 보유부재밑에는 절삭날(13)이 이탈가능하게 부착된 절삭판(63)이 배치되어 있다.
주축(57)의 워엄과 맞물리는 워엄기어(65)는 상부프레임(53)에 설치된 지지부재(64)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 회전축(66)에 고정되고, 워엄기어(65)에 근접한 브레이크링(67)도 회전축(66)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프레임(53)에는 나사구멍이 옆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재(68)가 고정되어 있고 나사구멍과는 나사축(70).이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맞물려 있고, 이 나사축(70)의 전단부에는 브레이크슈우(69)의 작은지름지지축(71)이 삽입된 보울트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71) 외주둘레에는 코일스프링(72)이 감겨있고, 코일스프링(72)은 항상 브레이크슈우(69)를 브레이크링(67)으로민다. (73)은 모우터(55)를 작동하기 위한 주스위치를 뜻한다.(75)는 절삭작업영역을 둘러싸도록 상부프레임(53)과 절삭판(63)사이에 설치된 저부커버를 뜻하고 이 커버(75)는 장착수단(76)에 의하여 지지프레임(52)에 부착된 후방절반부(75b)와 후방절반부(75b)의 것보다 더 안쪽위치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그의 전방절반부(75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방절반부(75a)의 하단은 절삭판(63)에 구비된 요홈에 삽입되어 수평으로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77)은 회전축(66)의 연장단부에 고정된 수동핸들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도에 표시된 바와같은 조건의 상기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워어기어(65)는 보유부재(62)와 절삭판(63)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주축(57)을 위로 올려지게 수동핸들(77)을 통하여 회전축(66)을 회전시켜서 돌리고, 이어 하부커버(75)는 상술한 공간에 식품을 두기 위하여 연다. 그런다음 보유부재(62)가 보유부재(62)의 하면에 설치된 보유핀(79)으로 식품을 꿰뚫도록 반대방향으로 핸들(77)을 회전시켜 더욱 내려지게된다.
이때에, 나사축(70)을 회전시켜서 제동력이 브레이크슈우(69)를 통하여 브레이크링(67)에 가하여지기 때문에 핸들(77)은 수동구동력이 제동력을 이겨내는 경우에 회전된다. 결국, 사용자가 핸들(77)의 수동구동을 정지하는 위치에서 보유부재(62)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에서 아래로 향하는 예기치 않은 힘이 주축(57)에 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잘못하여 보유부재(62)를 내려지게 핸들(77)을 돌리는 경우에 보유핀(79)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하게 하는 가능성이 다분이 있다.
이것은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에 있어서의 단점이다. 종래의 장치를 사용한 식품절삭의 작업에서 모우터(55)가 하부커버(75)를 닫은 다음 주스위치(73)를 돌림에 따라 작동되고 모우터(55)는 풀리(56),(58) 및 벨트(59)를 통하여 주축(57)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워엄기어(65)는 브레이크슈우(69)의 제동력에 의해서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주축(57)의 모우터(55)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하강되어 식품을 보유부재(62)로 내리누르면서 회전시켜 절삭날(13)로 식품을 절삭하게 된다.
이때에 식품은 주축(57)의 하향운동에 저항하여, 모우터의 구동력이 브레이크슈우(69)의 제동력을 이겨낸다음 주축(57)의 웜과 맞물린 워엄기어(65)가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될 때 결과적으로 식품의 저항력은 이겨낸 것이 된다. 종래의 장치의 이러한 절삭작업에 관하여 때때로 하부커버(75)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아직 완전히 안닫혀진 경우에 주스위치(73)가 커지거나 또한 사용자가 잘못으로 주스위치(73)를 켠 경우에 이것은 장치주위의 작업인에게 절삭식품의 작은 덩어리를 치게하거나 사용인의 부상이 보유부재(62)에 접촉으로 생긴다거나 하는 것 같은 사고를 초래한다.
이것은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의 본래의 다른 결점이다. 제 5a, 5b, 5c 및 5d 도는 보유부재(62)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초판(78)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으며 동기판(78)에서 보유핀(79)은 기초판(78)이 주형(mold)될 때 일체로 끼워넣어진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은 예시에서, 보유핀(79)의 전체수는 8개이고, 그중 4개는 방사상으로 기초판(78)의 내부에 설치되었으며, 그중 나머지 4개는 방사상으로 기초판(78)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유핀(79)의 전체수는 상기한 8개만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82)는 기초판(78)에 끼워진 커버를 뜻하며, 이 커버(82)의 중앙부에는 나사구멍(80)이 설치되고 이 구멍과 주축(57)의 하단은 워엄맞물림을 이룬다. 커버(82)는 나사구멍(84)과 결합하는 고정나사(83)로 기초판(78)에 고정되어 있다.
보유핀은 보유부재(62)의 기초판(78)에 일체로 꽂혀져 있으므로 커버(82)와 기초판(78)사이에 부분과 기초판(78)의 배면에 근접한 보유핀(79)의 구석부분에 부착된 식품잔유물을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것이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의 본래의 또 다른 결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식품용 식품절삭장치의 절삭날의 장착수단을 제공하려는 것으로 장착수단은 절삭날용 설치판과 지지판을 장치에서 해제할수 있어 분해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의 본래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도록 상술한 양 부재에 부착된 부착물을 세정하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품절삭장치는 지지판이 그것의 개구근처의 절삭판의 배면에 고정되고 한 쌍의 아암은 지지판의 절삭판 반대측면에 구비되었으며 한쌍의 아암사이에 지지로드가 끼어져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절삭날용 장착판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결합요홈이 지지판에 대향하는 지지로드의 한쪽의 안장을 놓는 방식으로 지지로드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절삭날용 설치판의 앞부분에는 절삭날이 분리될수 있게 연결되고 장착판의 끝쪽사이의 절삭날용 설치판의 길이는 한쌍의 아암사이의 간격보다 짧고 스프링수단이 절삭날용 장착판과 결합요홈의 뒤의 지지판사이에 끼어지고 절삭날의 앞날의 돌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절삭날용 장착판의 후부와 지지판사이에 분리할수 있게 연결되어있는 구성과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로드가 장착판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결합요홈을 가지고 지지판에 면하는 측에서 결합되고 장착판의 길이가 한쌍의 아암사이의 간격보다 짧아서 장착판을 식품절삭장치에서 끌어낼 수 있으므로 장착판을 제거한 다음 지지판으로부터 장착판을 해체할 수 있으며, 절삭판의 개구안으로 절삭날의 앞날의 돌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역시 그의 결합요홈에서 지지로드와 접합하는 장착판을 용이하게 끌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절삭날이 세정되며 장착판과 지지판등의 맞은편 안쪽에 부착된 부착물을 완전히 세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 장치의 가공성을 향상하도록 짧은 시간에 쉬운 방식으로 조립과 해체를 하고 위생적인 절삭식품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식품절삭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의 상술된 본래의 결점을 해결하는 식품절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절삭장치에서는 보유부재가 특히 상승행정에 있을때 우발적인 추락이 즉시 방지되도록 보유부재를 꼼짝못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그의 실시예에서 달성하여 종래의 식품절삭장치와 같은 장치에서 정지수단은 워엄기어와 결합하는 그의 앞끝 결합부분을 갖고 앞끝결합부분이 워엄기어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1 위치와 워엄기어의 결합을 해제하는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정지수단용 지지부재가 장치의 상부프레임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유부재가 정지위치를 유지하고 있을때 정지수단이 워엄기어의 회전을 못하도록 워엄기어와 결합하는 제 1 위치에 이동되고 그리하여 워엄기어와 워엄맞물림하여 형성되는 외주면위 주축의 상,하 운동이 제지된다.
한편, 주축을 상,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때 정지수단과 워엄기어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 2 위치로 정지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워엄기어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지수단에는 지지부재에 구비된 관통구멍안에서 회전할 수도 있고 미끄러져 이동할 수도 있는 로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드의 전방결합부의 뒤에는 로드안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로드 주위에는 코일스프링이 플랜지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를 워엄기어쪽으로 바이어스(bias)한다. 실시예의 하나로서 로드의 결합부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위 또는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는 경사진끝면이 있으며, 로드의 후부에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정지핀이 구비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로드의 뒷부분에는 핀이 설치되어 있고 핀은 로드의 결합부와 워엄기어사이의 결합을 하도록 지지부재의 후측에 구비된 슬리이브에 형성된 긴 구멍에 삽입되고, 또, 핀은 로드를 회전함으로써 슬리이브의 끝면에 접촉하게 긴 구멍으로부터 철회되어서 상기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이 실시예들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정지수단과 워엄기어사이의 결합작용 및 해제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그것의 압력조건의 일정한 유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커버를 열때 보유부재가 회전하지 못하게 전기모우터가 작동하지 않는 식품절삭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목적은 서브스위치가 전기모우터의 제어회로에 주스위치와 직렬로 접속되어 하부커버의 개폐조작에 의하여 작용되는 서브 스위치를 상부프레임의 하단에 설치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서브스위치는 하부커버의 개방에 의하여 꺼지므로 전기모우터는 사용자가 잘못하여 주스위치를 켠다하여도 작용하지 않고 결과적우로 절삭작업은 개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초판에 근접한 보유핀의 구석부분에 부착된 식품잔유물과 또한 커버와 기초판사이의 부분에 부착된 식품잔유물이 용이한 조작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위생문제가 야기되는 염려가 없는 식품절삭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보유부재는 기초판, 다수의 보유핀 및 커버로 형성되었고, 이 기초판에는 보유핀이 끼워진 다수의 관통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보유부재를 세정할 필요가 있을때 보유부재를 우선 주축으로부터 분해한 다음 기초판, 보유핀 및 커버를 해체하여 그것들을 쉽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6 도 내지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호(90)는 절삭날(13)의 장착부를 뜻하며, 장착부(90)에는 지지판(92)이 보울트(93)로 가대(91)를 통하여 개구(12)가까이 절삭날(11)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아암(95)은 다른 보울트(94)로 절삭판(11)에 대하여 지지판(92)의 반대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한쌍의 아암(95)사이에 지지로드(96)가 한쌍의 아암(95)의 앞끝의 내면에 설치된 구멍으로 그의 끝쪽을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다.
절삭날(13)용 장착판(98)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원호상 결합요홈(99)이 지지판(92)에 대향하는 지지로드(96)측에 안장을 놓는 방식으로 지지로드(96)에 설치되어 그것이 회전중심으로서 작용하는 지지로드(96)주위를 회전한다.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착판(98)의 양끝쪽 사이의 길이(ℓ)는 한쌍의 아암(95)사이의 간격의 길이(ℓ)보다 더 짧으므로 한쌍의 아암(95)사이의 위치로부터 결합요홈(99)을 앞으로 (제 8 도에서 좌측으로)끌어내어 지지로드(96)로부터 요홈(99)을 떼어놓을 수 있다. 장착판(98)의 전방만곡부에는 절삭날(13)이 보울트(10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판(92)에는 보울트(101)가 설치되는데 보울트(101)의 나사산이 있는 앞부분은 절삭날(13)용 장착판(98)의 후부에 설치된 노치(102)를 통하여 조절노브(103)의 말단보오에 삽입된 슬리이브(105)의 암나사(106)와 맞물고 있다. (107)는 장착판(98)을 지지로드(96)에 누르도록 지지판(92)과 설치판(98)사이에 끼어진 스프링을 뜻한다.
식품절삭장치에서 상술된 내면 및 그와 같은것에 부착된 잔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착판(98)과 지지판(92)의 대향내면의 세정이 필요할 때, 보울트(100)를 우선 장착판(98)으로부터 절삭날(13)을 분해하여 제거한 다음 조절노브(103)가 슬리이브(105)의 암나사(106)와 보울트(105)의 나사부사이의 나사식연결을 분리하도록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다음 스프링(107)이 제거되면 결합요홈(99)이 평이하게 지지로드(96)위에 놓이게 됨을 알수 있다. 결국 지지판(92)에서 장착판(98)을 분리하기 위하여 한쌍의 아암(95)사이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장착판(98)을 끌어당길수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지지판(92)을 떼어내려 한다면 가대(9l)로부터 지지판(92)를 떼어지도록 보울트(93)를 풀어주면 된다.
따라서 분리된 장착판(98)과 지지판(92)은 그때 그에 부착된 잔유물을 제거토록 세정한다. 그 세정이 완료한 다음 장치하는 것은 상술한 해체순서의 반대순서로 조립하여야 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세정작용을 받는 절삭날(l3)용 장착부(90)의 각 부재는 녹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텐레스강으로 만들어진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식품절삭장치의 다른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절삭장치의 이 형태는 역원추형 절삭판(11)을 지닌 앞의 형태와 달리 평판형태로 된 절삭판(88)에 있어 다르기는 하지만 이 형태의 장치들의 구조는 앞의 형태의 장치의 구조와 사실상 같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전의 형의 장치에 대응하는 동일부품을 나타내는 같은 부호번호에 "a"를 덧붙여서 설명하여도 된다. 제 10 도 내지 18C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절삭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문자 또는 번호가 제 3 도에 나타내고 또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식품절삭장치의 종래의 형에서와 같이 동일부품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그것들 종래의 장치와 다른 본 발명 장치의 구성요소만이 설명되어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 장치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된 종래장치의 부품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하에 설명되어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지수단(135),(135'), 서브스위치(151) 및 하부커버(75)의 부분적으로 개량된 구조 및 보유부재(62)의 종래 유형 대신한 보유부재(161)를 설치하고 있음이 종래 장치와 다르다. 제 11 및 12 도는 본 발명의 정지수단(l35)의 실시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제 11 및 1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부재(136)가 지지부재(68)와 나란히 상부 프레임(53)에 설치되고, 프레임(53) 및 지지부재(68)는 종래의 장치에 대한 상기 내역 "선생기술의 내역"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관통구멍은 지지부재(136)에 옆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관통구멍에는 로드(137)가 회전 및 활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로드(137)의 전단부에는 경사진 전단면이 있는 결합부분(138)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부분(138)은 워엄기어(65)와 맞물렸으며, 뒤에는 플랜지(139)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의 반대단의 플랜지(139) 및 지지부재(136)와 각각 양단부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40)은 로드(137)를 항상 워엄기어(65)쪽으로 바이어스 한다.
로드(137)의 후부에는 정지핀(141)이 결합부분(138)이 워엄기어(65)와 결합하였을때 지지부재(136)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로드(137)의 후단에는 노브(142)가 설치되어있다. 제 11 및 12 도에서, 정지수단(135)이 워엄기어(65)와 결합하는 제 1 위치가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위치에서, 스프링(140)에 의하여 가하여진 힘이 바이어스하는 조건하에서 결합부(138)는 워엄기어(65)와 결합하며 정지핀(141)은 지지부재(136)의 후면에 접촉하고 이 상태는 그대로 보전된다.
이들 조건을 해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노브(142)의 사용으로 로드(137)를 후방으로 당기고 반회전 들리시 제 12 도의 쇄선으로 나타낸 제 2 위치로 결합부를 오도록하면 제 2 위치에서 결합부(138)는 워엄기어(65)과의 결합이 방지되어 그대로 정지핀(141)에 의하여 유지된다.
제 13 도는 정지수단(135)의 다른 실시(135')를 나타낸 것이다. 정지수단(135')에서 슬리이브(143)는 돌출한 형태로 지지부재(136')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이브(143)에 로드(137')가 미끄러질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정지핀(141')은 로드(137')의 후부에 구비되어 있고 이 정지핀(141')은 슬리이브(143)에 구비된 긴틈새(144)에 삽입되어 있다. 요홈(145)은 슬리이브(143)의 후단에 형성되고, 요홈(145)은 슬리이브(143)의 측 주위에 90도의 각도로 긴 틈새(144)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위치는 실선으로 제 2 위치는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결합부(138')가 워엄기어(65)와 맞물때 정지핀(141')은 긴틈새(144)에 삽입되므로, 로드(137')는 제 1 위치에 안전하게 보전된다. 로드(137')를 제 2 위치에 움직이동 하려할 경우에는 노브(142')를 사용하여 로드(137')를 후방으로 당기고 반회전하여 돌려서 정지핀(141')을 요홈(145)에 삽입하고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워엄기어(65)와 결합부(138')을 분리하면 된다. 로드(137')는 정지핀(141')과 요홈(145)사이의 연결을 통하여 제 2 위치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부호번호(139') 및 (140')은 각기 플랜지 및 코일스프링을 뜻한다. 제 14 도 내지 17 도에서 하부커버(75)와 서브스위치(151)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커버(75)는 종래장치의 것과 같이 각기 전방커버(75a)와 후방커버(75b)로 되는 한쌍의 반원형커버(75a), (75b)로 형성되고, 후방커버(75b)에 있는 장착수단(76)을 통하여 지지프레임(52)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커버(75)는 종래장치의 것과는 달라서 그 전방커버(75a)가 쇄선 및 실선으로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열수 있게 힌지(75)를 통하여 후방커버(75b)에 부착되어 있고 전방커버(75a)는 도면에 없는 기구에 의하여 폐쇄위치에서 후방커버(75b)안에 잠구어진다.
안쪽으로 구부린 플랜지(153)는 커버(75a),(75b)의 상단에 형성되어 동플랜지(153)는 상부프레임(53)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간커버(74)의 플랜지(81)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75a), (75b)의 하단을 절삭판(63)가까이에 배치되고 있다. 참조번호(154)는 전방커버(75a)의 개폐용 노브를 나타내고 있다.
예로서 제한스위치등과 같은 서브스위치(151)는 모우터(55)용 제어회로에 주스위치(73)와 직렬로 연결되고 서브스위치(151)는 장착판(155)을 통하여 전방카버(75a)의 자유단의 상부위의 상부프레임(5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브스위치(151)가 제 14 도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꺼지는 위치앞쪽으로 항상 바이어스 하는 요동레버(156)의 설치가 되어있다. 제 16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스위치(l51)의 요동레버(156)의 하단에는 전방커버(75a)의 플랜지(153)와 결합하도록 중간커버(74)의 플랜지(81)에 설치된 관통구멍(157)을 통하여 중간커버(74)를 넘어서 하부로 뻗어있다.
따라서 전방커버(75a)를 제 14 도의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요동레버(156)가 오도록 열면 서브스위치(151)는 꺼진다. 결국 주스위치(73)가 커져도 모우터(55)는 작동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전방커버(75a)가 닫혀졌을 경우에 서브스위치(151)를 닫도록 제 14 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오는 요동레버(156)를 통하여 서브스위치이(151)가 전방커버(75a)에 의하여 이미 닫혀져 있으므로 주스위치(73)를 켜므로서 모우터(55)를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장치의 사용에서, 전방커버(75a)가 먼저 절삭판(63)에 식품을 놓이게 열려진다. 이때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주 스위치를 켜도 사용자를 상하게 할 염려는 없다. 왜냐하면, 서브스위치(151)는 전방커버(75a)를 열면 이미 꺼져있기 때문이다. 절삭작업에서 잘못하여 전방커버(75a)가 열렸을 경우에, 서브스위치(151)도 전방커버(75a)에 의하여 꺼지므로 사용자를 상하게 하는 염려는 없다.
덧붙여말하자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서브스위치(151)는 서브스위치(151)가 꺼지는 위치에 자리잡은 전방 커버(75a)의 자유단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서브스위치(151)는 전방커버(75a)가 닫히면 요동레버(156)가 서브스위치(151)를 키도록 돌리는 임의의 위치에 서브스위치(151)가 설치할수 있다. 그러므로 서브스위치(151)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8a 도 내지 18c 도에서, 보유부재(161)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보유부재(161)가 기초판(162), 여러개의 보유핀(163) 및 커버(164)로 형성되어 있다. 기초판(162)과 커버(164)의 양자는 가소성 합성수지로 만든것이지만, 그것을 위한 다른 적당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초판(162)에는 여러개의 작은 구멍(165)이 설치되어 있고, 그것에 보유핀(163)이 삽입되어 나사로 된 중앙구멍(166)이 주축(57)과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커버(164)는 주축(57)의 나사로 된 부분을 통하여 통과하기 위한 관통구멍(168)이 있다. 보유부재(161)의 조립에서 보유핀(163)이 먼저 기초판(162)의 작은 구멍(165)에 삽입되고, 그런다음 커버(164)가 기초판(16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주축(57)의 나사부(167)가 커버(164)의 관통구멍(168)을 통하여 기초판(162)의 나사로 된 중앙구멍(166)에 틀어서 고정되어 있다.
보유부재(161)의 해체는 동일한 상기 조립순서에 대하여 반대순서로 하면 된다. 보유부재(161)는 쉽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부재를 간단한 방법으로 세정할 수 있다.

Claims (6)

  1. 절삭날이 절삭판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그의 앞날이 돌출하도록 절삭판의 후면에 배치된 식품절삭장치에 있어서 지지판이 상기 개구 근처의 절삭판의 후면에 고정되고 한쌍의 아암이 절삭판에 대하여는 지지판의 반대측면에 설치되고 한쌍의 아암 사이에 지지로드가 끼어지고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절삭날용 설치판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결합요홈이 지지판에 대향하는 지지로드의 한쪽에 안장을 놓는 방식으로 지지로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장착판의 전방부에는 절삭날이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장착판의 대향단부사이의 길이는 상기 한쌍의 아암사이의 간격보다 더 짧고, 스프링 수단이 결합요홈 뒤의 장착판과 지지판 사이에 끼어지고, 절삭날의 앞날의 돌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지지판과 장착판의 후부사이에 분리할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절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지지프레임이 베이스에 직립위치로 장착되고 상부 프레임은 수평위치에 지지프레임의 앞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회전 주축이 상부 프레임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의 저부단에 작업용 보유부재가 설치되어 그의 하부단에 작업용 보유부재가 설치되고 워엄기어와 맞물리는 워엄이 주축에 형성되고 주축을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브레이크링 및 핸들이 워엄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슈우가 워엄기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링에 접촉되고 절삭판 위의 절삭작업영역을 둘러쌓는 커버가 수평으로 열수 있고, 전기모우터가 주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하고 주스위치가 전기모우터용 제어회로에 설치되었고 그의 전방단부결합부가 있는 정지수단은 워엄기어와 결합하고, 정지수단은 전방단부결합부분이 워엄기어와의 결합이 실현되는 제1위치와 상기 결합이 해제되는 제 2 위치간을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정지수단용 지지부재가 상부프레임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절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지지부재에 실치된 관통구멍안에 회전할 수 있고 미끄러질 수 있는 로드가 설치되고 로드의 전방단부에는 워엄기어와 결합하는 경사진 단면을 지닌 전방단부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 뒤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었고 로드의 주위에는 코일스프링이 상기 로드를 워엄기어쪽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하여 플랜치와 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는 로드의 회전을 통하여 경사진 단면을위 또는 아래로 향하게 하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오게하며 상기 로드의 뒤에 정지핀이 설치되고 그것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위치에서 지지부재의 후면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절삭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정지수단이 지지부재에 설치된 관통구멍안에서 회전할 수 있고, 미끄러질수 있는 로드가 설치되고 그 전방단부에 워엄기어와 결합하는 전방단부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 뒤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로드의 주위에는 코일스프링이 워엄기어쪽으로 상기 로드를 바이어스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와 플랜지 사이에 장착되었고 더우기 로드는 그 후부에 핀이 설치되었고, 지지부재는 그 뒤쪽에 개구가 있고 긴 구멍이 형성된 슬리이브가 설치되었으며 그 구멍에는 핀이 끼워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절삭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프레임의 하단에는 서브스위치가 설치되어있고, 그 온-오프 조작은 상술한 커버의 개폐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며 서브스위치는 모우터용 제어회로 주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절삭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술한 보유부재는 기초판 여러개의 보유핀 및 커버에 의하여 형성되고, 기초판에는 여러개의 관통구멍이 설치되어있는데 그 구멍에는 여러개의 보유핀이 끼워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절삭장치.
KR1019840008297A 1984-07-23 1984-12-24 식품절삭장치 KR900004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11525 1984-07-23
JP11152584U JPS6127079U (ja) 1984-07-23 1984-07-23 氷削り機の主軸ロツク機構
JP84-117481 1984-07-31
JP1984117481U JPS6131698U (ja) 1984-07-31 1984-07-31 食品切削装置における切削刃取付装置
JP12825284U JPS6142296U (ja) 1984-08-24 1984-08-24 食品切削装置
JP84-128252 1984-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847A KR860000847A (ko) 1986-02-20
KR900004281B1 true KR900004281B1 (ko) 1990-06-20

Family

ID=2731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297A KR900004281B1 (ko) 1984-07-23 1984-12-24 식품절삭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70459B1 (ko)
KR (1) KR900004281B1 (ko)
AU (1) AU548200B2 (ko)
BR (1) BR8406482A (ko)
CA (1) CA1233731A (ko)
DE (1) DE3579976D1 (ko)
ES (1) ES8506996A1 (ko)
GR (1) GR81208B (ko)
MX (1) MX1566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068A (en) * 1986-06-10 1988-08-30 Chubu Industries, Inc. Domestic ice shaver
CN114274587B (zh) * 2021-11-30 2023-09-26 重庆皖渝纸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限位机构的纸箱加工用裁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099A (en) * 1975-02-28 1977-10-25 Chubukoki Kabushiki Kaisha Food sli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79976D1 (de) 1990-11-08
ES538610A0 (es) 1985-08-16
AU3635884A (en) 1985-11-28
ES8506996A1 (es) 1985-08-16
MX156687A (es) 1988-09-26
CA1233731A (en) 1988-03-08
AU548200B2 (en) 1985-11-28
BR8406482A (pt) 1986-07-01
EP0170459B1 (en) 1990-10-03
GR81208B (en) 1985-04-05
KR860000847A (ko) 1986-02-20
EP0170459A1 (en) 198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930B2 (en) Kitchen appliance with a safety interlock
US9675101B2 (e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US9556916B2 (e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and clutch mechanism
EP1802225B1 (en) Electric mixer for modifying the consistency of the phase of a confectionery product
US10433577B2 (e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pulp chute
US20170135526A1 (e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US8794555B2 (en) Vegetable cutting machine
US6668709B1 (en) Citrus fruit squeezer with centrifugation of the squeezed product
KR900004281B1 (ko) 식품절삭장치
US4569266A (en) Food-cutting apparatus
KR950000269B1 (ko) 가정용 아이스 쉐이버
KR102121858B1 (ko) 청소가 용이한 착즙기
US2886845A (en) Meat tenderizer
US3146555A (en) Apparatus for opening cans and sharpening knives
US3012422A (en) Retaining structure for shear element
US4588135A (en) Mounting means for cutting blade of food-cutting apparatus
CN216940890U (zh) 一种台式切菜机
CN215959489U (zh) 研磨机构、包含其的研磨装置及饮品机
KR890007115Y1 (ko) 쥬서겸용 믹서기의 동력 절환기구
KR960003086Y1 (ko) 착즙부의 선단이 지지되는 착즙기
KR930004396B1 (ko) 가정용 아이스 쉐이버
KR960003960Y1 (ko) 세절기
KR930005002Y1 (ko) 육절기 회전칼 및 보호판 착탈장치
KR930000560Y1 (ko) 파 세절기
TWM619563U (zh) 切菜機輸送裝置快速拆組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