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958Y1 -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 Google Patents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58Y1
KR900003958Y1 KR2019860021977U KR860021977U KR900003958Y1 KR 900003958 Y1 KR900003958 Y1 KR 900003958Y1 KR 2019860021977 U KR2019860021977 U KR 2019860021977U KR 860021977 U KR860021977 U KR 860021977U KR 900003958 Y1 KR900003958 Y1 KR 900003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s
handle
coal
stag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894U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안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안병화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21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958Y1/ko
Publication of KR880012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a,b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써, (a)는 시료채취전의 상태도, (b)는 시료채취하는 상태도.
제4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료 채취기의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핸들
3,3' : 플랜지 4 : 중심축
5 : 나선추 6 : 몸체 덮개
7 : 채취구 9,9',9" : 봉
10 : 다단채취통 10' : 원판형 볼트부
12,12' : 나선부 13 : 스크레이퍼
14 : 스프링 15 : 경첩
16 : 받침봉
본 고안은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히는 분체 퇴적층이나 야적석탄층의 원하는 깊이의 시료물성을 용이하게 다단으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야적탄층내부의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야적석탄층의 시료 채취는 깊이가 얕은 경우는 직접 파헤쳐 채취하거나 좀더 깊은 위치의 시료채취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유입시킨 다음에 추를 A1에서 A2로 상승시켜, 빈 공간의 A3로 시료를 채취한 후에 다시 추를 A2위치에서 원위치 A1으로 하강하여 채취기를 야적석탄층외부로 조출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료채취기에 있어서는 야적석탄층의 원하는 지점까지 유출입이 쉽지 않으며, 단층채취는 가능하나 다단 채취를 하려면 여러번 반복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의 지질조사용 시료채취헤드는 국내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84-5774호(1984. 11. 10자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35호 참조)가 고안된 바 있으나, 이는 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의 시료채취 공을 개폐하는 2조 굴착날개가 회전봉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또한, 분체 퇴적층이나 야적 석탄층의 원하는 지점까지 유출입이 용이하지 않음과 동시에 한번에 다단의 시료채취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봉 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시료를 채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힘 또는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원하는 탄층내로 채취기의 유출입이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한번에 다단 채취가 가능하도록 한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채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장치로는 각각의 봉이 연결된 채취기 몸체부와, 각각의 봉을 플랜지로 분해조립이 용이한 핸들부 및, 채취기 몸체부내에 다단으로 내설된 다단 채취통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가능케 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채취기 몸체부(가)와 핸들부(나) 및 다단 채취통부(다)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한다.
상기 채취기 몸체부(가)는 원통형상으로 된 몸체(1)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봉(9)이 입설된 몸체 덮개(6)를 재치하여 복수개의 가이드핀(8)으로 체결고정하며, 상기 몸체(1)의 상하단내면과 외주면 및 하단부에 나선부(12,12')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천설된 복수개의 채취구(7) 및 채취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나선추(5)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핸들부(나)는 핸들(2) 하단부의 외면과 중심에 각각의 봉(9',9")이 수직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봉(9')과 몸체 덮개(6)의 봉(9)이 플랜지(3)로 연결되고, 상기 중심 봉(9")은 추후에 설명될 다단 채취통부(다)의 중심봉(4)과 플랜지(3')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다단 채취통부(다)는 상기 몸체(1) 상하단 내면의 나선부(12,12')와 복수개의 채취구(7)와의 상응된 위치에 원판형볼트부(10')와 태극형상인 복수개의 다단 채취봉(10)이 중심축(4)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채취통(10)의 상단 일측외면부와 스크레이퍼(13)가 경첩(1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채취통(10)과 스크레이퍼(13)와의 당접면 사이에 탄성 스프링(14)이 탄지되고, 상기 스크레이퍼(13)의 회동을 일정위치에서 제지하는 받침봉(16)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된다.
미설명부호 11은 시료채취부의 근방의 분체 공극을 크게 하기 위한 돌출부, 17은 중심봉(4)의 외면부에 표시된 탄층깊이표시 눈금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의 상단부에 고정된 몸체덮개(6)의 봉(9)과 상기 몸체 덮개(6)를 관통하여 현출된 다단 채취통부(다)의 중심봉(4)과, 핸들(2)의 봉(9',9")을 플랜지(3,3')로 각각 연결하여 고정한 다음에 채취기 몸체부(가)의 하단 나선추(5)를 탄층위에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나선추(5)의 회전에 따라 채취기 몸체부(가)가 탄층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때, 중심봉(4)에 표시된 탄층깊이 표시 눈금(17)을 보면서 원하는 위치에 들어갔을 때, 봉(9,9')에 연결된 플랜지(3) 풀어서 몸체(1)와 핸들(2)을 분리시켜, 채취기몸체(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다음에 중심축(4,9")만 연결된 상태에서 핸들(2)을 제3c도와 같이 a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2)에 연결된 중심축(4)의 원판형 볼트부(10')와 그 하단의 볼트부가 몸체(1)의 나선부(12,12')를 따라 하강됨과 아울러 중심축(4)에 연결된 다단 채취통(10)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되는 다단 채취통(10)의 상단 일측 외면부에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스크레이퍼(13)가 몸체(1)의 채취구(7)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다단채취통(10)과 스크레이퍼(13)와의 당접면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한 상기 스크레이퍼(13)의 말단부가 채취구(7)의 외부로 현출되면서 탄층으로 향하게 되며, 이때 스크레이퍼(13)의 말단부가 진행방향으로 완전히 제쳐지는 것을 받침봉(16)이 제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퍼(13)에 의해 채취된 시료가 몸체(1) 내부의 빈 공간으로 유입되며, 보다 많은 량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제3b도에서와 같이 a 방향에서 b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동시켜 줌으로써 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료가 완전히 채취된 후에는 핸들(2)을 제3b도와 같은 b 방향으로 회전시키기에 의해 제3a도와 같은 상태인 위치로 다단채취통(10)을 상승시키게 되면, 스크레이퍼(13)의 말단부가 몸체(1)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몸체(1)의 봉(9)과 핸들(2)의 봉(9')을 플랜지(3)로 연결한 다음에 유입시의 반대 방향으로 핸들(2)을 회전시키면서 탄층밖으로 꺼내면 원하는 탄층깊이의 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다단 채취통(10)을 2개 설치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다단 채취통(10)을 설치하게 되면 깊이별 시료를 다단으로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의 채취기와는 달리, 채취기 몸체부(가)와 핸들부(나) 및 다단 채취통부(다)로 이루어지는 채취기를 마련함에 의해, 채취기의 유출입이 용이하며, 짧은 시간에 깊이별 시료를 한번에 다단으로 채취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시료채취기에 있어서, 나선부(12,12')와 복수개의 채취구(7) 및 나선추(5)가 각각 마련되는 몸체(1)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봉(9)이 입설된 몸체 덮개(6)가 결합고정되는 채취기 몸체부(가), 핸들(2)의 하단부에 각각의 봉(9',9")이 입설되며, 상기 봉(9')과 몸체 덮개(6)의 봉(9)이 플랜지(3)로 연결되는 핸들부(나), 및 원판형볼트부(10'), 다단 채취통(10)과 스크레이퍼(13)와의 당접면 및 전 후면에 스프링(14), 경첩(15), 받침봉(16)이 각각 마련된 다단 채취통(10)이 일정간격을 갖고 중심축(4)에 일체로 되며, 상기 축심축(4)의 상단부와 핸들(2)의 중심봉(9")이 플랜지(3)로 연결되는 다단 채취통부(다)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KR2019860021977U 1986-12-30 1986-12-30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KR900003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977U KR900003958Y1 (ko) 1986-12-30 1986-12-30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977U KR900003958Y1 (ko) 1986-12-30 1986-12-30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894U KR880012894U (ko) 1988-08-29
KR900003958Y1 true KR900003958Y1 (ko) 1990-05-04

Family

ID=1925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977U KR900003958Y1 (ko) 1986-12-30 1986-12-30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9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5041B (zh) * 2021-09-16 2022-08-05 济南祥控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集运站火车车厢自主采样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894U (ko)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3433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материалов с вращающейся трубой в сборе
KR900003958Y1 (ko) 야적 탄층내부의 시료 채취기
JPH09264821A (ja) 宇宙機の試料採取装置
CN212722876U (zh) 一种多功能土壤检测装置
CN216484056U (zh) 一种土样采集装置
CN105486539B (zh) 一种无粘性土采样装置
CN109781452A (zh) 一种功率超声促进土壤修复装置用污染土壤收集装置
CN111896300A (zh) 一种可分类存放的小麦疾病诊断用种植土壤连续检测取样装置
CN110510424A (zh) 一种真空采血管提取装置
US3596719A (en) Earth core sampler
US2735298A (en) Dispenza
CN208129394U (zh) 一种小浆果过滤器
CN217111538U (zh) 一种土壤环境检测用采样装置
CN220270857U (zh) 一种土壤监测用土壤采样装置
CN210923148U (zh) 一种机械式底泥采样器
CN205801553U (zh) 用于收装谷物的装置
CN216234129U (zh) 一种农业化肥储料仓
US3433078A (en) Sludge sampler
US2631318A (en) Dust collector and mop storage device
CN209495864U (zh) 一种土壤环境检测用便携取样器
CN217717023U (zh) 一种便携式矿井水文地质探测仪
CN217101468U (zh) 一种用于园林绿化的垃圾桶
CN219369200U (zh) 一种用于土地勘测的土壤采样装置
CN220004823U (zh) 一种用于土壤检测的筛选装置
CN217135976U (zh) 一种林业用地整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