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456Y1 -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456Y1
KR900003456Y1 KR2019870008265U KR870008265U KR900003456Y1 KR 900003456 Y1 KR900003456 Y1 KR 900003456Y1 KR 2019870008265 U KR2019870008265 U KR 2019870008265U KR 870008265 U KR870008265 U KR 870008265U KR 900003456 Y1 KR900003456 Y1 KR 900003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se
piece
rod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2663U (ko
Inventor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조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호 filed Critical 조수호
Priority to KR2019870008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456Y1/ko
Publication of KR880022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2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분해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 요부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인 로킹 케이스부의 일부 절결 평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인 로킹 케이스부의 일부 절결 정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인 작동 케이스부의 평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인 작동케이스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키 5 : 연결판
6 : 작동케이스 7 : 안내턱
8 : 회전판 9 : 작동대
10 : 인장스프링 11, 11' : 누름대
12, 12' : 걸림봉 13, 13' : 누름봉
14. 14', 14", 14'" : 압축스프링 15, 15', 15", 15" : 삽입구
16 : 탄력스프링 17 : 안내구멍
18, 18' : 잠김해제구멍 19 : 안내편
22, 24' : 마이크로스윗치 21, 21', 21" : 고정스크류
22 : 덮개 23 : 로킹케이스
24, 24' : 고정돌기 25, 25' : 작동편
26, 26' : 와샤 27, 27' : 로킹편
28, 28' : 고정홈 29, 29' : 삽지봉
30, 30' : 삽지대 31, 31' : 걸림홈
32, 32' : 삽지홈 33, 33' : 인장스프링
34, 34' : 스프링걸림구 35, 35' : 고정편
30, 36' : 걸림턱
본 고안은 전축의 전면 상부로 일정키에 의해서만 반드시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개폐장치를 하여 키를 소지한 사용자와의 어린이들이나 타인들은 함부로 도어를 개폐할 수 없도록 함에 따라 부주의로 인한 전축의 내부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축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된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축을 조작 사용하기 위해 데크 도어를 개폐하는데 있어서는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전축의 전면부에 장악된 on-off스윗치를 쉽게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시킨 다음 전축을 조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혹은 다른 볼일을 보고 있는 경우에 어린이나 전축 조작이 미숙한 타인들이 호기심으로 인하여 쉽게 on-off스윗치를 눌러 도어를 개폐시킨 후 전축을 조작하게 되면서 미숙한 조작으로 인한 전축의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축의 수명이 단축되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본체(1) 전면 상부판넬(2)의 중앙부로 키에 의해 도어(3) (3')가 개폐될 수 있게 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키(4)가 삽입 조작될 수 있게 판넬(2)의 내면후부로 본체(1)면에 고정되어진 연결판(5)면에 장착된 작동케이스(6)의 전면 일측으로는 후부 끝단에 안내턱(7)이 돌출되어진 회전판(8)이 일체로 형성된 작동대(9)가 삽지되고 회전판(8)과 작동케이스(6)의 하면에는 인장스프링(10)의 양끝단이 함께 연결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전면부에 누름대(11) (11')가 끼워지며 걸림봉(12) (12')이 형성된 누름봉(13) (13')이 압축스프링 (14) (14')을 삽지한 상태로 작동케이스(6)면에 형성된 삽입구(15) (15')내에 각각 삽입 안착되어지되 작동케이스(6)의 중간부에는 탄력스프링(6)이 삽입되며 안내구멍(17)과 잠김 해제구멍(18) (18')이 뚫어진 안내편(19)이 삽입되어 누름봉(13) (13') 작동될수 있고 작동케이스(6)의 후부 일측에는 마이크로 스윗치(20)가 부착 동작됨에 따라 본체(1)내부에 불이 켜질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후부로 연결판(5)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고정스크류(2)에 의해 덮개(22)가 고정된 로킹케이스(23)가 장착되어 지면서 누름봉(13) (13')에 의해 연결작동 될 수 있게 덮개(22)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4) (24')에는 작동편(25) (25')이 와샤(26) (26') 고정스크류(21') (21")에는 이탈이 되지 않게 결합되고 또한 로킹케이스(23)의 내부로 형성된 삽입구(15") (15'")내에는 전면일측으로 로킹편(27) (27')이 삽지될수 있게 고정홈(28) (28')이 뚫리고 후부로는 압축스프링 (14") (14'")이 삽입된 삽지봉(29) (29')이 일체로 형성된 삽지대(30) (30')가 각각 삽입되어지되 작동편(25) (25')의 후단에 뚫려진 걸림홈(31) (31')에는 삽지대(30) (30')의 상면 일측에 삽지홈(32) (32')이 형성되어 인장스프링 (33) (33')이 각각 탄력 삽지될 수 있게 스프링걸이구(34) (34')가 형성된 고정편(35) (35')의 상단 걸림턱(36) (36')이 각각 걸려 있으면서 잠김해제 할 수 있게 구성되어진 것으로써 미설명 부호 37, 37'는 걸림편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원의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일정키에 의해서만 좌, 우측 도어가 개폐될수 있게 된 것으로 사용자가 전축을 작동하기 위해서 우선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3) (3')가 잠긴 상태에서 키(4)를 작동대(9)의 외부면에 삽입시킨 다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키(4)에 의해 작동대(9)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작동대(9)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8)도 회전됨에 따라 도면 제6도와 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멍(17)내에서 회전판(8)면에 형성된 안내턱(7)에 의해 안내핀(19)이 우측으로 탄력스프링(16)이 압축되면서 밀려 있던 상태에서 회전판(8)과 안내턱(7)이 함께 회전되면서 안내턱(7)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 있던 안내편(19)이 압축되어 있던 탄력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서 잠김 해제 구멍(18) (18')의 중심부에서 좌측으로 위치되어 있던 누름봉(13) (13')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되어진 잠김 해제 구멍(18) (18')의 중심부에 우측으로 위치되면서 누름봉(13) (13')과 일체로 형성되어진 걸림봉(12) (12')이 통과할 수 있게 되는데 이상태에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봉(13) (13')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있던 좌, 우 누름대(11) (11')를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게 되면 압축스프링(14) (14')을 압축시키면서 누름봉(13) (1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던 걸림봉(12) (12')이 누름봉(13) (13')과 함께 안내편(19)면의 잠김 해제 구멍(18) (18')을 통과함과 동시에 누름봉(13) (13')의 끝단부가 연결판(5)면에 장착고정된 로킹케이스(23)의 상단 고정돌기 (24) (24')면에 와샤(26) (26') 고정스크류(21') (21")에 의해 결합고정된 작동편(25) (25')의 전면 끝단부를 하부로 눌러 주게 됨에 따라 고정돌기(24) (24')를 중심으로 작동편(25) (25')의 전면부가 하향됨과 동시에 작동편(25) (25')후부는 각각 상향되어 지는데 이때 작동핀(25) (25')의 후부로 뚫려진 걸림호(31) (31')내로는 도면 제4도와 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지대(30) (30')의 상면 일측에 성형된 삽지홈(32) (32')내에 걸려 있던 고정편(35) (35')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6) (36')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후부가 상향되어지는 작동편(25) (25')에 의해 고정편(35) (35')도 상향되어지면서 삽지대(30) (30')의 삽지홈(32) (32')내에서 분리 이탈됨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 (14") (14"')의 탄성력에 의해 삽지대(30) (30')가 전면부로 이동되어지는데 이때 전면으로 이동되어지는 삽지대(30) (30')의 전면으로 상, 하 일측면에 성형된 고정홈(28) (28')내에 각각 끼워져 있으면서 도어 (3) (3')면에 장착되어 있는 걸림편(37) (37')을 걸고 있던 로킹편(27) (27')이 도어 (3) (3')의 열림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삽지대 (30) (30')와 함께 전면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고정홈(28) (28')을 중심으로 로킹편(27) (27')의 전면부가 양, 외측으로 향하게 됨에 따라 삽지대(30) (30')에 의해 양쪽 도어 (3) (3')가 밀림과 동시에 로킹편(27) (27')에서 걸림편(37) (37')이 이탈되어 도어 (3) (3')가 열리게 되어짐 것으로 일단 도어(3) (3')가 열린후에 사용자가 전축의 내부 음향기를 조작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 상태에서 사자가 전축의 내부 음향기를 조작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출을 할 경우에나 혹은 다른 볼일을 보기 위하여 전축의 도어(3) (3')를 닫을 경우에는 일단 음향기 동작을 off시킨 다음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도어 (3) (3')를 후부로 밀게 되면 도어 (3) (3')의 걸림편(37) (37')이 삽지대(30) (30')를 밀면서 닫히게 되는데 이때 걸림편(37) (37')에 의해 후부로 압축스프링(14") (14'")을 압축시키면 밀려나는 삽지대 (30) (30')와 함께 이동되는 로킹편(27) (27')에 의해 걸림편(37) (37')이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35) (35')이 삽지대(30) (30')의 삽지홈(32) (32')에 걸려 고정되어지고 이 상태에서 키(4)를 소지한 사용자외의 어린이나 전축 조작이 미숙한 사람들이 함부로 조작 사용할 수 없도록 키(4)를 작동대(9)에 결합시킨 다음 도어(3) (3')를 열때와는 반대인 시계반대 방향으로 키 (4)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동시에 작동대(9), 회전판(8)이 회전하게 되어 회전판(8)의 안내턱(7)이 안내편(19)의 안내구멍(17)내에서 안내편(19)을 우측으로 밀게 됨에 따라 탄력스프링 (16)과 함께 안내편(19)이 우측으로 밀리면서 안내편(19)의 잠김 해제 구멍(18) (18')이 도어 (3) (3')가 열릴때와는 반대로 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외부에서 키(4)가 없이 전축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대(11) (11')를 아무리 눌러도 누름봉(13) (13')면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봉(12) (12')이 잠김 해제 구멍 (18) (18')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도어 (3) (3')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본원은 상기에 서술된 바와 같이 본원에 적용되는 일정키(4)를 소지한 자 외는 절대로 도어(3) (3')를 열지못하므로 전축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향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본체(1)전면 상부로 판넬(2)의 중앙부로 키에 의해 도어 (3) (3')가 개폐될수 있게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키(4)가 삽입 조작될 수 있게 연결판(5)면에 장착된 작동케이스(6)의 전면 으로는 안내턱(7)이 돌출되어진 회전판(8)이 이 후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대(9)가 삽지되고 회전판(8)과 작동케이스(6)면에는 함께 인장스프링 (10)의 양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또한 누름대(11) (11')가 끼워지며 걸림봉(12) (12') 이 일체로 형성된 누름봉(13) (13')이 압축스프링 (14) (14')을 삽지한 상태로 작동케이스(6)면에 형성된 삽입구(15) (15')내에 각각 삽입 인착되어지되 작동케이스(6)의 중간부에는 탄력스프링 (16)이 삽입되어 안내구멍(17), 잠김 해제 구멍(18) (18')이 뚫려진 안내편(19)이 삽입되고 작동케이스(6)의 후부일측에는 마이크로 스윗치(20)가 부착안내편(19)에 의해 동작됨에 따라 본체(1)내부에 불이 켜질 수 있고 또한 연결판(5)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고정스크류(21)에 의해 덮개(22)가 고정된 로킹케이스(23)가 장착되어 지면서 누름봉(13) (13')에 의해 연결 동작될 수 있게 덮개(22)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4) (24')에는 작동편(25) (25')이 와샤(26) (26') 고정스크류(21') (21")에 의해 이탈이 되지 않게 결합되고 또한 로킹케이스(23)의 내부로 형성된 삽입구(15") (15"')내에는 로킹편(27) (27') 삽지될 수 있게 고정홈(28) (28')이 뚫리고 압축스프링(14'') (14"')이 삽입된 삽지봉(29) (29')이 일체로 형성된 삽지대(30) (30')가 각각 삽입되어지되 작동편(25) (25')의 후단에 뚫려진 걸림흠(31) (31')에는 삽지대(30) (30')의 상면 일측에 삽지홈(32) (32')이 형성되어 인장스프링(33) (33')이 각각 탄력 삽지될 수 있게 스프링 걸림구(34) (34')가 형성된 고정편(35) (35')의 상단 걸림턱(36) (36')이 각각 걸려 있으면서 잠김 해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KR2019870008265U 1987-05-27 1987-05-27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KR900003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265U KR900003456Y1 (ko) 1987-05-27 1987-05-27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265U KR900003456Y1 (ko) 1987-05-27 1987-05-27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663U KR880022663U (ko) 1988-12-27
KR900003456Y1 true KR900003456Y1 (ko) 1990-04-23

Family

ID=1926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265U KR900003456Y1 (ko) 1987-05-27 1987-05-27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4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663U (ko) 198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0076B2 (ko)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KR900003456Y1 (ko) 전축 데크 도어 개폐장치
KR100190441B1 (ko) 노치된 회전막대 자동정렬 단추와 설치 캐치를 갖는 키이-인 문조립체
KR940006480Y1 (ko) 도어 로크 장치
KR940005680Y1 (ko) 손잡이의 공회전을 이용한 도어로크의 해정 방지 장치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19980065803A (ko)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KR0119867Y1 (ko) 매립형 손잡이 겸 자물쇠
KR900003452Y1 (ko) 오디오 랙의 도어 괘, 해정장치
RU2100550C1 (ru) Защелка дверная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200279071Y1 (ko) 개방이 용이한 문손잡이구조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960001231Y1 (ko) 매립형 손잡이겸 자물쇠
KR920005012Y1 (ko) 출입문 자물쇠의 양면개폐장치
SU1747660A2 (ru) Кодовый замок
KR0116562Y1 (ko) 레버형 도어록의 레버방향 절환장치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910000720Y1 (ko) 전자렌지의 도어 록킹장치
KR200272733Y1 (ko) 누름방지부재가 장착된 회전식 문손잡이
KR200146377Y1 (ko) 도아용 평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