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434B1 -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Mulching devices for a lawn-mower) - Google Patents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Mulching devices for a lawn-m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434B1
KR900003434B1 KR1019870004550A KR870004550A KR900003434B1 KR 900003434 B1 KR900003434 B1 KR 900003434B1 KR 1019870004550 A KR1019870004550 A KR 1019870004550A KR 870004550 A KR870004550 A KR 870004550A KR 900003434 B1 KR900003434 B1 KR 90000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wer
grass
base plate
attach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772A (ko
Inventor
듀 뮤린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듀 뮤린 에드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 뮤린 에드워드 filed Critical 듀 뮤린 에드워드
Publication of KR87001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2/00Mowers convertible to apparatus for purposes other than mowing; Mower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other than mowing
    • A01D42/005Mulc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Mulching devices for a lawn-mower)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나타낸 공급호퍼를 약간 변형시킨 개략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서 나타낸 장치의 평면도.
제 4 도는 컷터바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나타낸 장치의 일부분만을 나타낸 평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평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종래의 목초 예취기에 설치되어 접혀져 있는 상태의 측면도.
제 10 도는 컷터바아의 일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베이스플레이트 2, 102 : 바퀴
3, 4, 106, 107 : 예취기의 바퀴 5, 108 : 원형랜드(land)
6, 109 : 공급통로의 입구 7 : 개방부
8, 110 : 공급호퍼 9, 111 : 공급통로
10, 112 : 제1주입구 11, 113 : 뚜껑
12, 118 : 컷터바아 13 : 중앙바아
14 : 칸막이 15 : 베이스
16, 117 : 제2주입구 17 : 뚜껑
18 : 전면판 19 : 제2주입구
20 : 뚜껑 103 : 회동아암
105 : 레버 114 : 협지부
115 : 핀 119 : 보조컷터바아
본 발명은 멀치장치(mulching device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목초예취기(conventional rotarymotor lawnmower)에 설치하도록 된 멀치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초로부터 유용한 원예용 멀치(mulch)를 만들어내는 장치가 많이 알려져 있는바, 예컨대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번호 제28,344/77호(특허 제513,253호)와 제33,134/78호 및 25,297/84호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컷팅작업의 직경이 약 100mm에서-150mm이고, 컷팅블레이드가 약 1.5마력짜리 단상전기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멀치기계는 그 가격이 매우 비싸면서도 컷팅블레이드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이의 원주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또 여러가지 다른 멀치기계와 마찬가지로 풀잎이나 컷팅블레이그가 젖어 있을때 풀잎이 기계속에 끼워져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의 제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목초예취기에 설치하도록 된 멀치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목초예취기가 윗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목초를 저장하여 멀치쪽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윗면과 공급통로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통로를 통하여 공급호퍼속에 주입저장되어 있던 목초를 예취기의 컷팅구역으로 이송시켜 세절하고, 세절된 목초를 예취기의 방출통로를 통하여 집초장치를 나아가도록하는 공급호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윗면에는 윗쪽으로 돌출된 일부원형의 랜드(land)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랜드에 예취기의 스커트가 끼워 맞추어져 공급통로의 입구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랜드 내에는 일정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배출슈트를 통하여 배출된 목초가 집초장치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치부착장치의 제1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1쌍의 바퀴(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 위에는 종래의 목초예취기가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도면에서 예취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취기의 바퀴(3,4)갸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예취기의 스커트가 베이스플레이트(1)의 윗면에 돌출되어 있는 원형랜드(5) 속에 꼭 맞게 끼워져서 공급통로의 입구(6)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랜드(5)에는 일정간격의 개방부(7)가 형성되어 이송되어온 목초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예취기의 집초장치속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예취기는 오우버 센터클램프나 토글클램프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의 윗면에 부착되게 되는데, 이때 예취기의 스커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가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랜드(5) 안쪽에 탄성체로된 환형가스켓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베이스플레이트(1)가 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 θ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의 각도 θ는 5°에서 30°사이로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는 나무나 칩보드, 금속 또는 기타 적당한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에는 플라스틱성형물 또는 금속으로된 공급호퍼(8)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급호퍼(8)는 공급통로(9)와 이 통로의 입구(6)를 거쳐서 베이스플레이트(1)이 윗면과 통하도록 되어 있다. 공급호퍼(8)의 제1주입구(10)에는 뚜껑(11) 의 축선회 설치되어 있어서 분쇄(mulch)되어야할 목초가 상기 주입구(10)를 통하여 호퍼(8)속에 주입 저장되고, 이와같이 호퍼(8)속에 저장된 목초는 다시 공급통로의 입구(6)를 통하여 예취기의 컷팅구역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호퍼(8)가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공급통로의 입구(6)에 금속으로된 컷터바아(12)를 부착시켜야 하는 바, 이때 컷터바아(12)는 예취기의 컷터블레이드(mower blades)에 의한 계속적인 절단작용으로 인하여 접촉마모되어지면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제 4 도에서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컷터바아(12)에 중앙바아(13)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목초를 더욱더 분쇄시킬 수가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으로 여러개의 컷터바아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급호퍼(8)속에 칸막이(14)를 설치할수도 있는바, 칸막이(14)를 호퍼(8)의 배이스(15) 안쪽으로 설치하여 공급호퍼(8)의 앞면으로 개방되는 제2주입구(16)를 형성시키므로서 이 주입구(16)를 통하여 잘게 부수거나 세절할 목초를 공급호퍼(8)속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주입구(16)는 역시 축선회 설치된 뚜껑(17)에 의해 닫혀지게 되고, 상기 내부칸막이(14)는 목초를 안내하여 컷팅구역으로 이송시키는 안내판 또는 채널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제 2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호퍼(8)의 전면판(18)을 상기 칸막이(14)와 같이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2주입구는 참조부호(1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18)의 하단에 형성시키고, 이 주입구(19)에도 역시 축선회되는 뚜껑(20)이 설치되어 닫혀지게 된다.
제 5 도와 제 6 도에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상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는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취기 속에서 분쇄되게 되는 모든 재료가 간단하게 형성되어 있는 공급호퍼(8)에 갖추어져 있는 1개의 주입구(21)만을 통하여 주입되도록 되어 있고, 호퍼의 베이스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최적각도 θ가 약 15°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급통로(9)속으로 흡입되어 공급통로의 입구(6)에서 컷팅구역으로 이송되는 목초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 실시예의 호퍼(8)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1)에도 축선회되는 뚜껑(11)을 설치할 수 있다. 길게 컷팅된 풀의 줄기 또는 잔가지가 공급호퍼(8)의 베이스(15)위에 단순하게 얹혀져 있다가 수동으로 공급통로(9) 쪽으로 이송되면, 예취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의 줄기 또는 잔가지가 공급통로의 입구(6)에서 컷팅지역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제 7 도 내지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멀치부착장치는 지면과 접촉하게되는 바퀴(102)를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101)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바퀴(102)는 1쌍의 회동아암(swingable arms)(103)끝에 1개의 공통 축(10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바쿼(102)를 회동아암(103)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01)에 대한 바퀴(102)의 각도를 조절할수가 있어서, 제 9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최소한의 각도로 접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거운 예취기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 위로 굴려올려서 예취기 자체의 높이조절기구를 작동하여 제 위치에 세팅시킬 수 있게 되고, 예취기가 베이스플레이트(101)위에 정확하게 위치되고나면 보울트나 오우버센터클램프 또는 토글클램프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레버(105)를 작동시켜 회동아암(103)을 펼쳐서 베이스플레이트(101)가 지면에 대해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게 한다.
도면에는 예취기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취기의 바퀴(106,107)가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예취기의 스커트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윗면에 돌출되어 있는 원형랜드(108)속에 꼭맞게 끼워져서 공급통로의 입구(109)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예취기의 스커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긴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랜드(108)의 안쪽에 탄성체로 된 환형가스켓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는 나무나, 칩보드, 금속 또는 기타 적절한 프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1)에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성형물 또는 금속등으로된 공급호퍼(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호퍼(110)는 공급통로(111)와 이 공급통로의 입구(109)를 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윗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이 공급호퍼(110)에 목초를 주입하기 위한 제1주입구(112)가 갖추어져 있고, 이 제1주입구(112)에는 뚜껑(113)이 축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치부착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110)의 베이스(113A)와 지면과의 사이의 각도 θ가 크면 클수록 목초의 이송이 더욱 더 잘되게 된다. 예컨대, 나뭇잎이나 풀잎과 같은 물질이 뭉치지 않아 공급통로를 막지않게 되고 공급통로의 입구(109)를 통하여 상기한바의 물질의 이송이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적 각도 θ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수평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거나, 즉 베이스플레이트(101)와 공급호퍼의 베이스(113A)가 평행하거나, 이와 거의 유사한 각도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호퍼의 베이스(113A)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를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 실제 작동상에 있어서, 상기 각도 θ를 15°로 하면 이송속도가 낮아지는 반면 임의의 일순간에 예취기의 컷터 블레이트와 접촉하는 목초의 량이 적기 때문에 파쇄효과는 높아지게 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각도 θ를 30°로 하면 이송속도가 훨씬 빨라지는 한편, 이송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여러번의 컷팅 구역을 통과 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하계 파쇄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호퍼(110)의 내부에는 벽면에서 돌출되어 나온 여러개의 칸막이나 관 또는 핀(15)이 설치되어 협지부(114)를 형성시키고 있는데, 상기 협지부(114)의 크기는 작동자의 손이 컷팅구역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정도로 한다.
비교적 길이가 긴 풀이나 잔가지, 덩굴등과 같은 목초를 세절하고자 할때에는 폭이 좁은 제1주입구(112)를 통하여 컷팅구역으로 공급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호퍼(110)의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는 전면벽에 충분한 폭을 갖는 제2주입구(117)를 형성시켜 여기를 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초를 공급한다. 상기 제2주입구(117)의 하단은 호퍼의 베이스(113A)와 연속되어 있으며, 이의 높이는 세절하고자 할 목초가 들어가기에는 충분하지만 작업자의 손이 컷팅구역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공급호퍼(120)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급통로입구(109)의 끝에는 세절작업이 주로 이루어지게 되는 제1컷터바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예취기의 세절작업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예취기의 구동축에 대한 반경방향으로 보조컷터바아(119)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컷터바아(119) 적절히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최대의 전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모든 컷터바아의 끝은 컷터의 수명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 경화처리를 할 수가 있고, 주강, 단조강 또는 합금강 및 기타 다른 적절한 재료중의 하나로 만들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예취기를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예취기의 스커트가 베이스플레이트의 방출 개방부를 제외한나머지 부분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클램핑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다음, 예취기의 모우터를 가동시키고 세절하여야할 목초를 공급입구를 통하여 블레이드 쪽으로 이송시키는데, 이때 세절하여야할 목초가 작은 경우에는 제2주입구는 닫아두고 제1주입구로만 주입공급하는 한편, 세절시켜야할 목초가 잔가지이거나 길이가 길 때에는 제2주입구를 통하여 주입공급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올리브잎이나, 나무껍질, 침엽수의 솔방울, 큰가지 및 나무줄기등과 같은 거친 목초도 세절할 수가 있으며 공급주입구의 선택은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임의선택되는 것이다.
공급호퍼에 적재되어 있는 목초는 예취기외 구동모우터가 회전할때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예취기의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끌려 들어갈때까지 공급통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예취기의 블레이드에 의해 파쇄된 목초는 방출개방부를 거쳐서 예쥐기의 집초기속으로 방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치부착장치는 무게가 가벼워 이송하기가 용이하고(특히 이의 구조를 플라스틱으로 한 경우에는 더욱더 용이하다), 전기동력의 공급에 상관없이 세절하여야 할 목초가 있는 곳으로 이송시켜 현장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사용하는 1.5마력짜리의 전기 모우터 대신에 3.5마력짜리의 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그 효과와 성능이 월등히 뛰어나며, 예취기 블레이드의 원주속도가 종래의 동일한 R.P.M을 갖는 멀치기계의 경우보다 약 3배 이상을 갖게된다. 즉, 종래의 약 150mm정도의 컷팅직경을 갖는 멀치기계에 비해 약 450mm정도의 컷팅직경을 갖는 속도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목초가 젖어있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도 기계속에 끼이게 되는 등의 경우가 없이 항상 자체적으로 소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7)

  1. 목초용 예취기가 윗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1)와,목초를 저장하여 멀치쪽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1)의 윗면과 공급통로(9,111)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통로(9,111)를 통하여 공급호퍼(8,110)속에 주입저장되어 있던 목초를 예취기의 컷팅구역으로 이송시켜 세절하고, 세절된 목초를 예취기의 방출통로를 통하여 집초장치로 방출되도록 하는 공급호퍼(8,110)를 구비한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01)는 그 윗면에 돌출된 원형랜드(5,108)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원형랜드(5,108)속에 예취기의 스커트가 끼워져 목초공급통로(9,101)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랜드(5,108)에는 세절된 목초가 방출통로를 통하여 집초장치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01)가 지면에 대해 5° 내지 3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1)는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지면과 접촉되어있는 바퀴(2,102)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호퍼(8,110)에는 상단으로 개구되어 있는 제1주입구(10,112)와 전면으로 개구되어 있는 제2주입구(16,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통로의 입구(6,109)에는 세절작업이 주로 일어나는 부분을 따라 개 이상의 컷터바아(12,11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01) 가 예취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2,102)쪽으로 낮추어지고, 예취기가 설치되어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1)가 올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
KR1019870004550A 1986-05-09 1987-05-09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Mulching devices for a lawn-mower) KR900003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H5816 1986-05-09
AUPH581686 1986-05-09
AUPH942486 1986-12-10
AUPH9424 1986-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72A KR870010772A (ko) 1987-12-18
KR900003434B1 true KR900003434B1 (ko) 1990-05-19

Family

ID=2564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550A KR900003434B1 (ko) 1986-05-09 1987-05-09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Mulching devices for a lawn-mow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912917A (ko)
EP (1) EP0245114A1 (ko)
KR (1) KR900003434B1 (ko)
CA (1) CA129261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2917A (en) * 1986-05-09 1990-04-03 Moulin Edward Du Mulcher
US5215267A (en) * 1991-03-20 1993-06-01 Master Garden Products, Inc. Composter
CA2141151C (en) * 1995-01-26 1999-12-21 Michael T. Puszkar Mulcher attachment for lawn mower
CN108551897B (zh) * 2018-01-08 2020-09-22 蒋玉素 一种秸秆自动收集打碎机车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8782A (en) * 1973-05-21 1974-05-07 S & M Enterprises Inc Shredder adaptor
US3908914A (en) * 1974-08-29 1975-09-30 Maurice E Cushman Shredder attachment for rotary mowers
US4169561A (en) * 1975-01-13 1979-10-02 Saxton Wilbur L Lawn mower chopping attachment
US4150796A (en) * 1975-04-14 1979-04-24 Kudo Ben B Apparatus for shredding vegetation
US4057952A (en) * 1976-01-19 1977-11-15 Brokaw George K Rotary mower and shredder device
AU519237B2 (en) * 1977-05-09 1981-11-19 J. J Giles Shredder attachment for rotary mower
US4307844A (en) * 1979-06-06 1981-12-29 Bruno Caron Mulching stand for rotary lawnmower
US4263771A (en) * 1979-08-30 1981-04-28 Albert Iaboni Mulching mower and clean-up machine
FR2492218A1 (fr) * 1980-10-20 1982-04-23 Hesston Sa Machine pour hacher les plantes fourrageres
US4446679A (en) * 1982-08-02 1984-05-08 Thomas Perry W Lawnmower powered implement
DE3404733A1 (de) * 1984-02-10 1985-10-17 Hermann 7474 Bitz Michel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gartenabfaellen mit hilfe eines rasenmaehers
US4912917A (en) * 1986-05-09 1990-04-03 Moulin Edward Du Mulcher
FR2928957B1 (fr) * 2008-03-18 2010-04-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e guidage de vitre ameliore pour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92616C (en) 1991-12-03
US5022220A (en) 1991-06-11
KR870010772A (ko) 1987-12-18
EP0245114A1 (en) 1987-11-11
US4912917A (en)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6074A (en) Lawnmower deck
US6192666B1 (en) Lawn mower
US5142852A (en) Dethatching apparatus
US3925968A (en) Power lawn mower and mulcher-bagger combination
US5809765A (en) Counterrotation mulching mower and blade assembly
US5117616A (en) Mulching lawn mower
US4890446A (en) Mulching attachment for lawn mowers
US4526180A (en) Straw chopper and spreader assembly
US4450673A (en) Mulching mower
US3674220A (en) Chipper shredder
US5669213A (en) Counterrotation mulching mower
US4308676A (en) Lawn mower power take-off and accessories
US6062013A (en) Mulching mower with uniform cut and particulate distribution
US5357738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lawns
US2634571A (en) Rotary hinged disk type mower
US5036651A (en) Dethatching apparatus
KR900003434B1 (ko) 목초예취기 부착용 멀칭장치(Mulching devices for a lawn-mower)
US3974629A (en) Lawn mower with improved mulching attachment
US5189868A (en) Leaf mulcher
US4314435A (en) Foliage trimmer
US5197265A (en) Mulching type power lawn mower
US3107472A (en) Rotary mower
US2162783A (en) Grass catching and distributing device
DE59306711D1 (de) Mähhäcksler für stengelige Pflanzen und Gehölze
US3115741A (en) Weed cutter and chopper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