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739B1 -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739B1
KR900002739B1 KR1019860007661A KR860007661A KR900002739B1 KR 900002739 B1 KR900002739 B1 KR 900002739B1 KR 1019860007661 A KR1019860007661 A KR 1019860007661A KR 860007661 A KR860007661 A KR 860007661A KR 900002739 B1 KR900002739 B1 KR 90000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telephone
voice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71A (ko
Inventor
최병운
장종훈
서화식
Original Assignee
최병운
장종훈
서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운, 장종훈, 서화식 filed Critical 최병운
Priority to KR101986000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739B1/ko
Publication of KR88000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인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고 및 도난방지장치의 전체구성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전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제 1 도의 부분상세회로도.
제 4 도는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의 출력신호파형도.
제 5 도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의 출력신호파형도.
제 6 도는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의 설명도.
제 7 도는 명령키보드 및 LED표시기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화기 2 : 전화국
3, 4 : 릴레이 4, 5 : 브릿지다이오두드 회로
7 : 버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 8 : 다이알식 전화번호 분석회로
9 : 감지신호 입력단자 10 :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
11 : 선택용 전환스위치 12 :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
13 : 녹음 및 재생스피커 14 : 음성기억회로
15, 17, 22 : 증폭기 16 : 임피던스매칭회로
18 : 버튼/다이알식 다이얼링회로 19 : 응답신호음 감지회로
20 : 중앙처리장치 21 : 경보음 발진회로
23 : 경보음 스피커 24 : LED표시기 구동회로
25 : LED표시기 26 : 명령키보드
27 : 시건장치 구동회로 28 : 전자시건장치
29, 30 : 전원 R1-R5: 저항
C1-C6: 커패시터 Ds, D1-D15: 다이오우드
S1, S2: 릴레이접점 HS1: 후크스위치
X-1 : 발진기 VS-1 : 누름스위치
본 발명은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고 및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난경보기 방식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기계식 경보장치(예로서 비상벨)와 초음파 및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도난경보시스템 또는 임의의 비밀번호를 사전에 기억시켜 입력되어 번호가 맞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는 장치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계식 경보장치는 전용선로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선로특성상 길이의 제한과 잦은 선로고장으로 인하여 도난경보의 전송 및 관리에 많은 기계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용선로를 가설해야만 하는 경제적 낭비와 인력소모의 문제점도 야기되었다. 도안경보시스템 운용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감시요원이 항시 장비를 휴대하고 순찰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인적 및 물적인 낭비가 초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비밀번호 기억방식의 경우는 자체 내부보안은 되지만 외부에 도안경보상태를 전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하여 시건을 시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도난시 자동으로 시건되지 않으므로 인해 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존의 전화선에 연결되여 원칩마이크로컴퓨터(이하에서는 중앙처리장치라 한다)에 도난신호 혹은 화재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에 사전에 기억시킨 전화번호(예로서 경찰서, 소방서, 경비실)에 전화를 걸어 사전에 기억시킨 음성 메시지로 현재의 위급한 상태를 알림은 물론 경보음을 발생시켜 도난 및 화재의 비상상태를 내외부에 알릴 뿐만 아니라 특히 도난 발생시에는 자동으로 금고등의 전자시건장치의 시건유무를 확인하여 시건이 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시건시킬 수 있는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고 및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자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인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고 및 도난방지장치를 첨부된 도면 제 1 도 내지 제 7 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설치에 따른 전체 구성 블럭도로서 기존의 전화선로(A)와 본 발명의 장치(B)로 구분되며 상기 두 부분(A, B)의 접속시는 전화국(2)에서 인입되는 두선로(T, R)중 단자(T)는 본 발명장치(B)의 단자(Tin)및 전화기(1)측 단자(T1)에 연결되고 단자(R)는 본 발명장치(B)의 단자(Rin, Rout)를 거쳐 전화선로(A)의 단자(R)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인 B부분은 중앙처리장치(20)를 중심으로 모든 신호가 처리되고 선택용 전환스위치(11)에 의해 버튼식 혹은 다이얼식으로 동작하게 되어 있어서, 감지신호 입력단자(9)로부터 도난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정상상태시는 사용자가 전화기(1)를 통해 통상적인 전화통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전화기(1)로부터 버튼식 혹은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7, 8)를 통해 입력되는 번호가 명령키코드(26)에 의해 사전에 기억시킨 중앙처리장치(20)내의 비밀번호와 비교되어 일치여하에 따라 전자시건장치(28)가 개폐되고, 감지신호 입력단자(9)로부터 도난신호가 감지되고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10)로부터는 무효처리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도난발생시는 중앙제어장치(20)에 기억된 전화번호에 버튼/다이얼식 다이얼링 회로를 통해 다이얼링하고 다이얼링된 신호가 임피던스 매칭회로(16) 및 브릿지다이오우드 회로(4, 5)를 통해 전화선호(A)에 송출되도록 릴레이(3, 6)가 구동되어 전화선호(A)와 접속되게 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신호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0)가 감지하며 최종적으로 음성기억회로(14)에 기억된 음성메시지가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를 통해 전화선로(A)에 송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6 도는 음성메세지를 기억 또는 재생시키는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와 녹음 및 재생스피커(13), 음성기억회로(14)에 대한 설명도로서, 사용자가 명령키보드(26)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0)에 명령을 주어 녹음 및 재생스피커(13)에 육성으로 메시지를 입력시키면 상기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에서 디지탈신호로 합성되고 합성된 신호는 4개의 D-램이 병렬로 접속된 음성기억회로(14)에 기억되며 역으로 기억된 신호는 역시 키보드(26)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에 순차적으로 읽어들여져 리얼타임 방식으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스피커(13)를 통해 기억시킨 내용을 학인할 수 있음은 물론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신고장소측에 송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7 도는 비밀번호의 기억과 제 1 및 제 2 신고장소 전화번호의 기억 및 음성기억회로(14)에 음성신고메시지를 기억시키거나 재생할 때 사용되는 명령키보드(26)와 상기 명령키보드(26)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기(25)의 중앙처리장치(20)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먼저 키보드(26)의 store키이를 누른후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0-9사이의 숫자들을 누르고 SeRc키이를 누르면 전자시건장치(28)의 비밀번호가 중앙처리장치(20)내의 비밀번호 기억부에 기억되고, store키이를 누른후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0-9사이의 숫자들을 누르고 나서 * 명령키이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20)내의 제 1 신고장소 전화번호 기억부에 제 1 신고장소 전화번호가 기억되며, 같은 과정을 거친 후 * 키이 대신 #키이를 누르면 제 2 신고장소 전화번호가 제 2 신고장소 전화번호 기억부에 기억되고, store키이를 누른 후 Voice키이를 누르고 이어서 제 6 도의 누름스위치(Vs-1)를 누른 후 녹음 및 재생스피커(13)를 통하여 신고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말하면 최대 32초의 범위내에서 음성기억회로(14)에 음성메시지가 기억되고 키보드(26)의 숫자 1을 누르면 기억이 완료되며 Recall키이를 누르면 재생되어 기억시킨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Reset키이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20)내의 기억소자에 기억된 각 내용은 그대로 인체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따라 모두가 정상상태로 되어 전자시긴장치(28)가 잠겨진 상태이면 열어주고 선호전환용 릴레이(3)와 후크스위치용 릴레이(6)는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플로우차트인 제 2 도에 의거하여 도난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정상상태시와 도난신호가 감지되는 도난상태시의 두 종류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정상상태시의 동작]
먼저, 상기한 바와같이 중앙처리장치(20)내의 각 기억부에 제1 및 제 2 신고장소 전화번호와 전자시건장치(28)의 설정된 비밀번호가 기억되어지고 음성기억회로(14)에는 도난신고 음성메시지가 기억되어 있으며 전화기(1)의 방식에 따라 선택용 전환스위치(11)에 의해 버튼식 혹은 다이얼식으로 선택되어져 중앙처리장치(20)가 이에 따라 동작하게 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계속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를 통해 전화기(1)의 후크스위치(HS)의 온 오프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만약 전화기(1)의 수화기가 들려서(제 3 도 참조)후크스위치(HS1)가 오프상태가 되면 전화국(2)측 단자(R), 본 발명의 장치측 단자(Rin),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 광결합소자의 다이오우드(Ds) 브릿지다이오우드회로(5)의 다이오우드(D3), 단자(Rout), 후크스위치(HS1), 단자(T1) 및 단자(T)로 이어지는 폐회로가 형성되어져서 인가된 전압에 의해 다이오우드(Ds)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Tr1) 역시 도통되어져서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의 출력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며 이는 사전에 이를 인식토록 프로그램화된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되어져 전화기(1)의 수화기가 들렸음을 알리게 된다. 이와 반대로 수화기가 놓여 있을때에는 상기 다이오우드(Ds)가 차단되므로 인해 트랜지스터(Tr1)도 차단됨으로써 상기 분석회로(8)의 출력측은 "하이"상태가 되고 상기 신호는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되어 이를 인식하게 한다. 이와같은 상기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인 광결합소자의 출력파형을 제 4 도(a,b)에 도시하였으며 이중 제 4 도(a)는 후크스위치(HS1)가 "오프"상태딘 "로우"레벨상태에서 "온"상태인 "하이"레벨상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 4 도(b)는 역으로 "온"상태인 "하이"레벨 상태에서 "오프"상태인 "로우"레벨상태로 전환된 경우의 출력신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중 전환된 후의 시간(T1, T2)이 모두 150ms 이상이면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되어져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0)가 전화기(1)의 후크스위치(HS1)의 "온""오프"상태 즉, 전화기(1)의 수화기가 들렸는지 혹은 안들렸는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된 후 버튼식 혹은 다이알식 전화기(1)로부터 눌러지거나 혹은 돌려져서 전자시건장치(28)를 열기 위한 번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전화기(1)의 방식에 따라 사전에 버튼/다이알식의 선택용 전환스위치(11)에 의해 선택된 방식으로 동작하게 되어 있으므로 다이알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 혹은 버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7)를 통해 상기 번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다이알식의 경우의 후크스위치(HS1)가 오프되므로 인해 제 1 도의 전화선로(A)와 본 발명의 장치(B)사이에 상기한 폐회로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전화기(1)를 통해 입력되는 번호에 따라 전화기(1)의 다이얼을 돌릴때 마다 제 3 도의 다이오우드(Ds)가 도통되어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오우드(Ds)가 차단되어 트랜지스터(Tr1)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형태로 되는 비율 60 :40의 브레이크 : 메이크 펄스신호가 발생된다. 이 출력신호를 제 4도(c)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간폭(T3, T4)이 각각 60ms, 40ms로 측정되었다.
상기 펄스신호는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되고 중앙처리장치(20)는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 번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 4 도(d)는 다이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를 통해 출력되는 전화벨 소리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25ms로 측정되어졌다. 여기서 제 3 도중의 저항(R1)과 커패시터(C1)의 기능은 전화벨 소리가 울릴때 발생되는 과전압으로부터의 회로보호용이다.
또한, 버튼식의 경우는 입력시키고자 하는 번호에 따라 전화기(1)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제 3 도의 커패시터(C2, C3)와 저항(R2, R3)을 거쳐 직류성분은 차단되고 버튼식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2개의 주파수(dual Tone Modulation Frequency)만 통과되어 전화선로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버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7)에 입력되어 거기에서 2진 코드형태로 변환된 후 중앙처리장치(20)에 전송되어져서 중앙처리장치(20)로 하여금 번호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버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7)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신호를 표(1)에 나타내었으며, 표 1에서 KEY는 버튼식 저화기의 12개 버튼 부호를 나타낸 것이고 2주파수(Flow, Fhigh)는 상기 12개 부호의 각각에 해당되는 것으로 커패시터(C2, C3)와 저항(R2, R3)을 통과하여 버튼식 전화번호 분석회로(7)에 입력되는 신호의 로우(low)와 하이(high)상태의 주파수를 나타낸 것이며 부호(Q1-Q4)는 상기 분석회로(7)의 출력신호로서 2진코드형태로 변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금고등에 설치된 전자시건장치(28)를 열기 위한 버튼식 혹은 다이알식 전화기를 통한 번호가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되는 한편 감지신호 입력단자(9) 및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10)로부터는 상기 단자(9, 10)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신호가 입력되고 중앙처리장치(20)에 전송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도난 혹은 도난무효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센서는 본 발명의 구성과는 무관하며 통상의 것들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그네틱스위치등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 적외선 센서등 빛에 의한 장치, 금속물체에 전자결합을 한 장치, 초음파의 반사효과를 이용한 장치등 여러종류의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접설치되는 상기 감지신호 입력단자(9) 및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10)에 입력되는 도난감지신호 혹은 이에 대한 무효처리신호가 중앙처리장치(20)의 감지수행이 가능토록 100ms이상의 시간폭을 갖는 단독펄스 혹은 하이레벨상태의 지속적인 신호를 줄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상기한 각종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도난신호를 감지신호 입력단자(9)에서 감지하는 방법은 센서의 종류에 따라 대략 두가지로 구분되며 본 발명의 장치에 모두 사용되어질 수 있다. 첫째는 센서가 스위치 접점식인 경우로서 금고나 대문에 설치되어 도난침입이 발생되면 스위치가 달라붙게 되고 인가되어 있던 "하이"상태의 펄스전압이 상기 감지신호 입력단자(9)에 입력됨으로써 상기 신호가 중앙처리장치(20)에 전송되면 도난 발생중임을 알리게되며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접점 시간이 100ms이상의 폭을 갖는 "하이"상태의 펄스신호이면 된다. 두번째는 감지센서의 출력이 빛등에 의한 무선방식으로 단자(9)에 입력되는 경우로서 출력신호는 직렬펄스코드(serial pulse code)형태이며 중앙처리장치(20)내에는 도난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시의 센서의 출력신호인 직렬펄스코드가 기억되어 있어서 도난침입이 발생되어 센서로부터 다르게 출력되는 직렬코드가 감지신호 입력단자(9)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난발생중임을 인식하게 된다. 통상 상기 직렬펄스코드는 15비트로 구성되어 그중 12비트는 오동작 방지를 위한 센서의 고유 코드이고 나머지 3비트는 센서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비트로 구성되며 상기한 센서는 여러장소에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전화기(1)로부터의 비밀번호가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되고 도난 및 무효처리의 각 센서로부터 감지신호 및 무효처리 신호입력단자(9, 10)를 통하여 수시로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단자(9)로부터 도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입력되지 않을시에는 도난발생 상태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전화기(1)로부터 입력되는 버튼식 전화번호 감지회로(7) 및 펄스식 전화번호 분석회로(8)를 거쳐 전송되는 번호가 사용자 본인이 명령키보드(26)의 조작을 통해 사전에 기억시킨 최대 12자리수의 실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같으면 전자시건장치(28)가 잠겨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잠겨져 있으면 풀어준 후 다시 처음의 정상 동작과정으로 돌아가게 되나(제 2 도 참조)입력되는 번호가 실제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10)로부터 도난감지신호에 대한 무효처리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시에는 도난발생으로 간주하여 도난발생시의 작동을 행하게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전에 열쇠의 사용 및 스위치 조합등의 특정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10)에 무효처리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시켜 도난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도난으로 처리하지 않고 정상동작상태를 계속 수행하게끔 응용될 수 있다.
[도난발생시 동작]
이하에서는 도난발생시의 작동을 플로우챠트인 제 2 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센서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어지고 무효처리신호 입력단자(10)로부터는 중앙처리장치(20)로 전송되는 무효처리신호가 없을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이를 도난발생으로 간주하여 중앙처리장치(20)의 통제를 통해 전자시건장치(28)를 잠구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2진 코드형태의 구동신호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표 2에서 부호(D0, D1)는 시건장치용 구동회로(27)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이며 내용란은 그에 따른 전자시건장치(28)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문 혹은 금고등의 개폐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시건장치(28)를 동작시켜 자체보안동작을 하게되며 동시에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 1 도의 경보음발진회로(21) 및 증폭기(22)를 통하여 싸이렌 경보음을 스피커(23)에 출력시켜 도난중임을 경보하게 된다. 상기 자체 보안동작을 종료한 후 본 발명의 장치는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의해 사전에 명령키보드(26)를 통해 기억시킨 음성기억회로(14)내의 도난메세지를 제 1 신고장소 및 제 2 신고장소에 전하기 위하여 먼저 전화기(1)의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평상시 제 3 도의 선로전환용릴레이(3)의 접점(S1)을 통하여 전화기(1)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선로를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신호를 받은 선로전환용 릴레이(3)가 구동되어 단자(Rin)을 접점(S1)에서 접점(S2)으로 전환접속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에 연결시키게 된다. 즉 감지신호입력단자(9)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도난발생으로 확인되어 중앙처리장치(20)가 릴레이(3)에 구동신호를 주어 단자(rin)가 접점(S2)에 전환접속되면 전화선로의 단자(Rin)는 상기 접점(S2)를 통해 브릿지다이오우드회로(4)의 다이오우드(D5, D7)를 통하여 양방향으로 후크스위치용릴레이(6)에 연결되며 이피던스 매칭회로(16)를 거쳐 다시 선로 임피던스 분리용 브릿지 다이오우드회로(4)의 다이오우드(D6, D8)를 통하여 양방향으로 단자(T)에 연결되어 전화통화루프가 형성됨으로써 전화선로는 본 발명의 장치로 전환접속되어지는 것이다.
전화선로가 본 발며의 장치로 전환접속되면 중앙처리장치(20)는 응답신호감지회로(19)를 통하여 전화국(2)에서 착신자측에 전화를 걸기 위해 보내는 발신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착신자측의 전화기가 통화중이면 중앙처리장치(20)는 후크스위치용릴레이(6)를 오프시켜 일단 선로를 끊은 후 "온"시킴으로써 전화국(2)로부터 새로운 발신음을 받아 재통화가 가능토록 되어 있어서 도난발생의 신속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로전환용 릴레이(3)가 선로를 전환시킨 뒤 800ms 이후에 상기 후크 스위치용릴레이(6)가 다시 "온"되어 통화가능상태로 만들어 주도록 되어있다.
전화국(2)으로부터 발신음이 떨어지면 중앙처리장치(20)는 사전에 명령키보드(26)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20)내의 램소자에 기억시킨 제 1 신고장소 및 제 2 신고장소의 전화번호(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대 16자리)로 전화기(1)의 방식에 따라 제 1 도의 버튼/다이얼식 전환스위치(11)에 의해 사전에 선택되어진 버튼식 및 다이얼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다이얼링회로(18)를 통해 다이얼링하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20)는 기억된 순서대로 먼저 제 1 신고장소의 전화번호를 출력시키며 상기 버튼/다이얼식 다이얼링회로(18)를 통해 송출되는 제 1 신고장소의 전화번호는 임피던스매칭회로(16), 후크스위치용 릴레이(6)의 접점(S2), 전화선로와 본 발명의 장치와의 임피던스 분리용 브릿지 다이오우드 회로(4) 및 선로 전환용 릴레이(3)를 통해 전화국(2)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식으로 다이얼링한 경우의 버튼/다이얼식 다이얼링회로(18)의 출력주파수를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다이얼식으로 다이얼링된 경우의 출력파형은 제 4 도(d)에 도시한 펄스파형과 같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 1 신고장소의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면 착신자측의 상태에 따라 전화국(2)으로 부터 호출신호음, 통화중신호음 및 착신자측의 응답음성등의 제 1 도와 제 3 도의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0)에 전송된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전화국(2)으로 부터 전송되는 응답신호는 현재 제 1 신고장소가 통화중인가 또는 호출신호음이 있는가 또는 전화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화국(2)으로 부터 임피던스매칭회로(16)를 거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기(17)에 의해 일정레벨(약 30dB) 이상으로 증폭하여 일정 레벨이상의 신호만을 정류시켜 전화국(2)으로 부터 전송되는 응답신호음이 유무에 따라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는 응답신호음이 없을 시에는 직류 OV의 "로우"레벨신호를 출력시키고 통화중음, 호출신호음 및 응답음이 있으면 "하이"레벨의 직류구형파로 변환 출력시켜 이를 중앙처리장치(20)에 전송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20)로 하여금 착신측의 상태를 감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신호음 감지신호(19)에 입력되는 파형과 직류구형파 형태로 출력되는 파형을 제 5 도에 나타내었으며 도시된 파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현재 국내 전화국에서 규격화되어 있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각 파형의 시간폭은 다이얼식 및 버튼식의 두 종류로 나누어 표시하였다. 이를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 도(e)는 전화국(2)으로부터 본 발명의 장치의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 입력되는 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5 도(E')는 제 5 도(e')의 신호가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 의하여 직류구형파로 변화된 파형형으로서 시간폭 T7=2sec이다. 제 5 도(f)는 전화국(2)으로 부터 전송되는 다이알식 통화중음의 신호 파형이며 제 5 도(f')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 의해 제 5 도(F)가 직류구형파 형태로 변화된 파형으로서 시간폭 T8=150ms이고 T9=475ms이다. 제 5 도(g)는 전화국(2)으로부터 전송되는 버튼식 통화중음 신호파형이며 제 5 도(g')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서 직류구형파 형태로 변환출력되는 형으로서 시사간폭은 T10=0.5sec, T11=0.5sec이다. 제 5 도(h)는 전화국(2)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이얼식 호출신호음이며 제 5 도(H')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 의해 직류구형파 형태로 변환출력되는 파형으로서 시간폭은 T12=1sec, T13=4sec이다. 제 5 도(j)는 버튼식 호출신호음이며 제 5 도(j')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서 직류구형파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시간폭 T14=1sec, T15=2sec이다. 제 5 도(k)는 전화국(2)으로부터 전송되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음성신호음파형이며, 제 5 도(k')는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 의하여 직류구형파형태로 변환된 출력신호파형으로서 시간폭(T16, T17, T18)이 서로 다른 불규칙적인 직류구형파이다.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이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여 통제하게 되는데, 만약 제 1 신고장소로 부터의 응답신호가 제 5 도(f, g)와 같은 버튼식 및 다이얼식의 통화중을 신호인 경우와 상기 통화중음신호는 없는 대신 제 5 도(h, i)와 같은 호출신호음은 있으나 호출신호음이 오고 있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만약 착신자측에서 전화를 받지 않아 계속하여 10회동안 호출신호음이 계속 들어오게 되는 경우에는 착신자측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선로전환용릴레이(3)는 "온"시킨 상태에서 후크스위치용릴레이(6)를 오프시켜 선로를 개방시킨 다음800ms이후 다시 "온"시켜 wjs화국(2)으로부터 새로운 발신음을 받은 후 상기 제 1 신고장소가 전화를 받지 않으므로 신속한 신고를 위해 장소를 바꾸어 제 2 신고장소의 전화번호에 다이얼링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제 1 신고장소가 통화중인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통화중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고 이어 호출신호음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호출신호음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착신측에서 전화를 받았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에 제 5 도(k)와 같은 주기가 불규칙적인 음성파형이 전화국(2)으로부터 입력되고 제 5 도(k')와 같은 신호가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200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제 1 신고장소측에서 전화를 받은걸로 간주하여 음성기억회로(14)에 사전에 명령키보드(26)를 통해 기억시킨 음성 도난신고 메시지를 독출하여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에서 재생시켜, 재생된 음성메시지가 증폭기(15)에서 증폭된후 임피던스매칭회로(16), 후크스위치용릴레이(6), 브릿지다이오우드회로(4) 및 선호전환용릴레이(3)를 거쳐 전화선로에 송출되고 제 1 신고장소에 전송됨으로써 도난발생중임을 알리게 된다. 한편 제 1 신고장소에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였을 때 제 5도(f", g)와 같은 통화중음의 응답신호음이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한 바와같이 선로전환용릴레이(3)는 그대로 "온"시킨 상태에서 후크스위치용릴레이(6)를 800ms 동안 "오프"시킨 다음 다시 "온"시킴으로써 전화국(2)으로부터 새로운 발신음을 받아 신속한 신고를 위해 장소를 바꾸어 제 2 신고장소에 버튼/다이얼식 바이얼링회로(18)를 통해 다이얼링하게 되나, 만약 제 2 신고장소로부터의 응답신호음 역시 통화중음 신호이면 상기한 바와같이 선로전환용릴레이(3)는 계속 "온"시킨 상태에서 후크스위치용릴레이(6)를 "오프"시켜 전화선로를 개방시킨 후 800ms 이후에 다시 "온"시켜 새로운 발신음을 받은 후 버튼/다이얼식 다이얼링회로(18)를 통해 다시 장소를 바꾸어 제 1 신고장소에 다이얼링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제 1 및 제 2 신고장소중 어느 한 곳이라도 신고가 되지 않으면 상기한 동일 과정으로 계속 다이얼링하여 두장소 모두에 신고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두신고장소 모두에 도난신고 음성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신고가 모두 끝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제 2 도의 초기상태인 정상상태로 돌아가 새로운 전자시건장치(28)의 개폐신호 및 도난발생신호에 대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동작중 어느때나 필요에 의해 동작을 정지코자 할 경우에는 명령키보드(26)의 Reset 키이를 누르면 모든 상태가 처음의 정상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정상상태시와 도난발생시의 2종류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응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개의 장소에 설치되는 센서가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화재센서이되, 화재가 감지된 경우 감지신호입력단자(9)에 100ms이상의 펄스신호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명령키보드(26)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0)로 하여금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를 작동시켜 음성기억회로(14)를 사전에 기억시키는 음성메시지가 화재신고용메세지이면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화재신고용으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화선로에 연결설치되어 사용됨으로 인해 경보시스템을 온라인화하여 사용하는데 응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고 및 도난방지장치는 기존 전화기의 사용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손쉽게 전화선로에 연결하여 설치되며 모든 것이 무인으로 운용토록 되어 있어서 특별한 선로구성의 불필요, 특별한 시설의 불필요, 인력절감, 신고의 정확성, 효율적인 도난관리시스템의 운용등의 효과가 있으며, 도난 혹은 화재시 이에 대한 음성신고메시지를 설정된 장소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도난발생신호감지시에는 금고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시건장치를 자동으로 시건시키게 되어 있어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감지신호입력단자(9) 및 무효처리신호입력단자(1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는 정상 및 이상상태를 판별하되, 이상상태에서는 버튼/다이얼식 다이얼링회로(18)와 임피던스매칭회로(16) 및 브릿지다이오드회로(4, 5)를 통해 기존의 전화선로(A)와 연결되도록 릴레이(3, 6)가 작동되게 접속시키고, 명령키보드(26)를 통해 내부에 기억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고 응답신호음 감지회로(19)를 통해 응답신호가 감지되면 음성합성 및 분석회로(12)를 통해 음성기억회로(14)에 기억된 음성신고메시지를 전화선로로 전송하도록 접속하며, 또한 버튼식 및 다이얼식 전화번호분석회로(7, 8)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와 사전에 명령키보드(26)를 통해 내부에 기억시킨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정상 및 도난상태를 판별하되, 도난판단시에는 경보음발진회로(21)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함과 동시에 전자시건장치(28)가 자동으로 시건되게 접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고 및 도난방지장치.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표 3]
    Figure kpo00003
KR1019860007661A 1986-09-12 1986-09-12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KR90000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661A KR900002739B1 (ko) 1986-09-12 1986-09-12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661A KR900002739B1 (ko) 1986-09-12 1986-09-12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71A KR880004671A (ko) 1988-06-07
KR900002739B1 true KR900002739B1 (ko) 1990-04-28

Family

ID=1925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661A KR900002739B1 (ko) 1986-09-12 1986-09-12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7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71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391A (en) Alarm system backup with cut line detector
CA1268228A (en) Voice interactive security system
US5305370A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communications system
US47649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doorbell answering
US5278539A (en) Alerting and warning system
US5103474A (en) Drive-by personnel monitoring system with radio link
US6614884B2 (en) Automatic home alarm system and method
US20110065414A1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US4935952A (en) Alarm-responsive apparatus and method
WO1997013230A2 (en) A security system
US5173932A (en) Security system comprising a signal transmitter
US4631527A (en) Transmitter-receiver coded security alarm system
US4598179A (en) Telephone privacy system
AU672174B2 (en) Alarm installation
KR900002739B1 (ko) 전화선을 이용한 음성자동신호 및 도난방지장치
WO1997048220A2 (en) Programmed telephone security system
US5768343A (en) Alarm system backup
KR20020075967A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EP0197815A1 (fr) Procédé pour assurer la surveillance de personnes et/ou de biens et systèm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EP1087602A2 (en) Alarm system
KR20070108662A (ko) 방범 알림 장치
KR20070020666A (ko) 방범 시스템
JPH077929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950020350A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보 상황 통보 제어방법
KR200360304Y1 (ko) 침입 감지 및 통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