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54Y1 -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54Y1
KR900002054Y1 KR2019860006137U KR860006137U KR900002054Y1 KR 900002054 Y1 KR900002054 Y1 KR 900002054Y1 KR 2019860006137 U KR2019860006137 U KR 2019860006137U KR 860006137 U KR860006137 U KR 860006137U KR 900002054 Y1 KR900002054 Y1 KR 900002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ocus
light
camera
photo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783U (ko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6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054Y1/ko
Publication of KR870018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4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djusting position of image plane without moving lens
    • G03B3/06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djusting position of image plane without moving lens using movable reflectors to alter length of light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빛의 농도형 초점 검출 장치도.
제 2 도는 경우에 따른 감광소자의 초점 검출 신호 대비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제 4a, b 도는 제 3 도의 감광소자 측면도 및 정면도.
제 5,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2 : 반반사거울
3 : 보조거울 4 : 평면감광소자
5 : 신호멀티플렉스 6 : 초점 검출회로
본 고안은 일안 방사형 사진기의 자동 초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자동 초점 장치는 통상 위상 검출형파 빛의 농도(contrast) 검출형이 있는데, 본 고안은 특히 빛의 농도 검출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점 검출 장치 구조를 보면 도면 제 1도에서와 같이, 일안 반사형 가진기는 거리계를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피사체에서 나온 광이 사진기의 촬상렌즈(1)에 의해 접속되며, 이 빛은 파인더용 반사거울(2)에서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의 빛은 투과하여 보조거울(3)에 의해 초점 검출 장치로 보내진다.
초점 검출 장치는 3개의 반반사거울(41')(42')(43')을 가지는 다층 반반사 프리즘(4')으로 구성되므로서, 빛을 나누어 각각의 광속을 배열된 감광소자(91)(92)(93)에 의하여 전기적인 고유의 신호(A)(B)(C)로 바꾸어져, 각 소자(91)(92)(93)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로 초점의 위치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촬상렌즈(1)에서 감광필름면(8) 까지의 거리가 촬상렌즈(1)에서 감광소자(9) 까지의 광학적인 거리와 동일하여 초점이 맞을 경우, 도면 제 2 도에서와 같이 중앙 감광소자(92)에서 발생하는 신호(B)의 크기의 변화량 및 첨두치가 다름 감광소자(A)(C)에서 발생하는 신호 보다 커지게 되므로서 초점이 맞는 것을 알려준다.
만약 초점이 맞지 않으면 거리에 따라 중앙 감광소자(92)가 아닌 다른 감광소자(91)(93)에서의 출력신호의 첨두치 전압이 크게 발생되고, 이것으로서 초점이 벗어난 것을 알게 되거나, 렌즈계의 초점 조절 장치를 구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위와같은 종래의 검출 장치는 반반사거울(2)에 의해 감광소자에 도달하는 빛이 약해지고, 렌즈의 구경비가 변함에 따라 초점심도에 의한 상의 해상도 검출능력이 달라져서 초점 검출 가능한 구경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반반사 거울에 의한 빛의 감량이 없고 갯수를 구경비 변화에 따른 판별 능력을 보상 하므로서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정밀도 제고와 조정갯수를 줄이고져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촬상렌즈(1)로부터 주반반사거울(2)의 보조거울(3)을 거쳐 입사된 피사체의 광을 일정한 신호형태(A, B, C)로 초점 검출 회로(6)에 전달시키기 위한 초점검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면 제 3, 4 도에서와 같이, 수광소자를 평면감광소자(2차원 감광소자)(4)로 구성하면서, 수광소자의 각 검출신호의 스캔방향을 광측에 수직인면을 유지하고, 광축의 수직연장선에 대하여 θ가 되게 기울여 주므로서, 2차원 감광소자(4)의 각 스캔선의 선형 감광소자가 거리를 다르게 하여 렌즈(1)의 구경에 따라 스캔의 정도를 보상할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별도의 마이크로 컴퓨터(51)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멀티 플렉스(5)가 감광소자(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중 알맞은 신호를 선택하여 초점 검출 회로(6)로 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각 선형 감광소자의 간격을 d라 하면 d sinθ로 주어지는 광로차를 거지게 되므로, 한 스캔선에 있는 선형감광소자의 갯수가 n이면 총 광로차는 n, d. sinθ가 된다.
따라서, 2차원 감광소자(4)의 선형 감광소자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총광로차 n, d. sinθ 내에서 렌즈(1)의 구경비에 따라 신호멀티 플렉트(5)에서 적절한 수개의 스캔라인 신호를 선택한다.
이때, 촬상렌즈에 의하여 돌아온 광에 의해 첨두치 전압이 발생하는 선형 감광소자의 위치와 구경비에 따라 선택된 스캔라인의 위치를 비교하여 초점이 벗어난 것을 알려주거나, 렌즈계의 초점 조절 장치를 구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수광소자를 평면감광소자로 대체 하므로서 비교적 고가인 다층 반반사 프리즘을 배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반반사 거울에 의한 빛의 감량이 없고, 렌즈의 구경비 변화에 대응하여 평면감광소자(4)의 설치 경사각(θ)을 변경하면 판별능력을 보상할수 있으며, 조립시에 기준스캔라인을 전기적으로 선택할수 있어서 제품의 기계적 정밀도 향상과 조정갯수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반반사거울(2)과 감광소자(4) 사이에 프리즘(7)을 위치시키거나, 반반사거울(2)의 설치각도를 변경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촬상렌즈(1)를 통과한 빛이 주반반사 거울(2)의 보조거울(3)을 거쳐 파인더로 들어가도록 구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수광소자를 소정 크기의 평면 감광소자(4)로 구성하면서 렌즈로부터 수광소자 까지의 광학적 거리가 다르게 광축의 수직연장선과 일정각도(θ)로 경사 설치 하였고, 그 후방에 적절한 스캔라인 선택을 위한 신호 멀티 플렉트(5)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장치.
KR2019860006137U 1986-05-02 1986-05-02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KR900002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137U KR900002054Y1 (ko) 1986-05-02 1986-05-02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137U KR900002054Y1 (ko) 1986-05-02 1986-05-02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783U KR870018783U (ko) 1987-12-24
KR900002054Y1 true KR900002054Y1 (ko) 1990-03-13

Family

ID=1925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137U KR900002054Y1 (ko) 1986-05-02 1986-05-02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0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783U (ko) 198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1810A (en) Range finder
US6765653B2 (en) Electronic distance meter
US4223988A (en) Camera having a focusing device
US485577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focus adjusted state of an objective lens
US4833497A (en) Apparatus for adjusting focus in the macro-photographing mode of an automatic focus camera
US4801963A (en) Focus detecting system
US4417139A (en) Focus detecting apparatus
US4370551A (en) Focus detecting device
US4632532A (en) Focus detecting apparatus
US4189218A (en) Apparatus for detecting focal point
JP2629281B2 (ja) レーザ走査装置
US4548495A (en) Proper focusing state detecting device
KR900002054Y1 (ko) 일안 반사형 사진기의 초점 검출 장치
US4307947A (en) Focus detecting device for camera
US4200786A (en) Electrooptical focus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cameras
GB1578367A (en) Camera incorporating focussing means
US4159169A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US4456352A (en) Light receiving apparatus for use in single-lens reflex camera
US4259688A (en) TV camera
US20010048517A1 (en) Electronic distance meter
US6229602B1 (en) Photometering apparatus
US6339499B1 (en) Beam splitter for automatic focusing device
US4723142A (en) Focus detecting device
US4592637A (en) Focus detecting device
US4618762A (en) In-focus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