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75Y1 - 오존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오존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75Y1
KR900001975Y1 KR2019870013147U KR870013147U KR900001975Y1 KR 900001975 Y1 KR900001975 Y1 KR 900001975Y1 KR 2019870013147 U KR2019870013147 U KR 2019870013147U KR 870013147 U KR870013147 U KR 870013147U KR 900001975 Y1 KR900001975 Y1 KR 900001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zone
needle
generated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08U (ko
Inventor
문재덕
Original Assignee
문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덕 filed Critical 문재덕
Priority to KR2019870013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975Y1/ko
Publication of KR890004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존 발생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수 개의 침상전극이 삽설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제 5 도는 내부 전극에 침상전극을 삽설한 본 고안의 응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전극 (2) : 침상전극
(2') : 침상 (3) : 조절전극
(4) : 내부전극 (5) : 절연지지체
(6)(6') : 접속단자
본 고안은 고전압으로 공기중의 산소를 해리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에서 관한 것으로서 본인의 특허 제23483호 "오존발생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특허 제23483호 "오존발생장치"는 한개 이상의 침상전극이 형성된 내부 다침 디스크 전극의 양면에 고리 모양의 전계조절전극을 연접시켜서된 코로나전극을 접지된 원통형 외부전극의 중앙에 절연지지봉으로 고정시키고 절연 지지봉의 중심을 통해 직류 또는 교류 및 펄스 고전압을 코로나전극 및 외부 원통형 전극간에 인가하므로서 코로나 전극에 강력한 스트리머성 코로나를 발생시켜 방전공간에 오존을 발생토록 한 것으로서 이는 코로나 전극이 외부 원통형 접지전극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코로나 방전시 침상전극에서 발생되는 열이 대부분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내부방전 공간내에 머물게 되므로 오존발생 공간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생성된 오존이 산소에로의 환원량이 크게 증대되고 상대적으로 오존의 발생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오존은 그 자체가 불안정하므로 온도 상승과 더불어 급격히 해리(解離)되어 산소로 되돌아가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오존 생성 공간은 가능하면 냉각시켜줄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간에 환봉형 내부 전극을 형성하고 외부 원통형 전극의 내주면에 침상전극을 구성하므로서 이 침상전극의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발열을 수냉이나 강제 공냉이 용이한 외부원통 전극의 외주면을 통하여 방출토록 하므로서 방열효과를 크게 증대시킨 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전체로 형성된 원통형 외부전극(1) 내에 한 개 이상의 침상(2')이 내주면에 돌설된 링형 침상전극(2)을 삽설하고 침상전극(2)의 양측에 도전체인 전계조절전극(3)을 삽설하였으며 외부전극(1)의 중심부에는 도전성 환봉으로된 내부전극(4)을 횡설하여 외부전극(1)과 내부전극(4)의 양단을 절연지지체(5)로 고정하였으며 이 외부전극(1)과 내부전극(4)의 접속단자(6)(6')에는 고전압 발생부의 출력전압을 인가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존 발생기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곡률반경이 적은 침상전극(2)의 침상(2') 끝에 전계가 집중되고 이 침상전극(2) 부근 공기의 부분 절연 파괴가 일어난다.
따라서 내부 전극(4)과의 사이에 강력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며 이 때 오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본인의 특허 제23483호의 "오존발생장치"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침상전극(2)이 외부전극(1)에 접하고 있으므로 코로나방전시 침상전극(2)에서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외부전극(1)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침상전극(2)의 온도를 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부전극(1) 외주면의 표면적을 넓히고 수냉 또는 강제 공냉의 방법으로 외부 전극을 냉각시켜 주면 더욱 강력하고 확실한 냉각효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발생된 오존이 산소로 환원되는 환원율(온도가 높아질수록 오존은 급격히 산소로 환원된다)이 크게 감소되므로 오존의 발생 효율이 상대적으로 증대되고 같은 량의 오존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경우 침상전극(2)이 내부전극에 위치하는 것 보다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펄스고전압 발생부는 통상의 펄스전압제어방식 또는 펄스 주파수제어방식에 의해 출력 전력을 제어하여 오존 발생기에 인가하므로서 코로나방전의 세기를 조정하여 발생오존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외부전극(1)의 내주면에 수 개의 침상전극(2)과 전계조절전극(3)을 교호로 삽설하여 사용하면 그만큼 오존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또 "제 4 도"에서와 같이 외부 전극(1)은 물론 내부전극(4)에도 침상전극(7)을 삽설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내주면에 한 개 이상의 침상(2')이 돌설된 링형 침상전극(2)과 전계조절전극(3)을 외부전극(1)내에 삽설하고 외부전극(1)의 중심부에 내부전극(4)을 횡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발생장치.
KR2019870013147U 1987-08-04 1987-08-04 오존 발생 장치 KR900001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147U KR900001975Y1 (ko) 1987-08-04 1987-08-04 오존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147U KR900001975Y1 (ko) 1987-08-04 1987-08-04 오존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08U KR890004908U (ko) 1989-04-18
KR900001975Y1 true KR900001975Y1 (ko) 1990-03-12

Family

ID=1926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147U KR900001975Y1 (ko) 1987-08-04 1987-08-04 오존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9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08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89751T1 (de) Plasma generierende zündkerze mit eingebauter spule
JPS6120484B2 (ko)
KR900001975Y1 (ko) 오존 발생 장치
JPH10182109A (ja) オゾン発生器
DK0678886T3 (da) Mellem- eller højspændingsafbryder
KR950008028Y1 (ko) 오존 방전관
KR100243046B1 (ko) 전자렌지용 전원공급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고압퓨즈
JP2824069B2 (ja) エキシマレーザ装置
US6628693B1 (en) Discharge electrode for laser device
CN215249564U (zh) 放电体以及电场装置和臭氧发生器
JPH0935890A (ja) 静電気除去方法とその装置
SU175464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озо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RU2136582C1 (ru) Генератор озона
KR940005191A (ko) 전기 램프
SU15003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 пены
JP2576590B2 (ja) オゾン反応器
JP2581377B2 (ja) エキシマレーザ装置
RU2155421C1 (ru) Электр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ионизацией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м излучением от коронного разряда
RU200212608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импульса напряжения
JPH0328365B2 (ko)
RU1798084C (ru) Плазмотрон
CN114314519A (zh) 放电体以及电场装置和臭氧发生器
KR960004376Y1 (ko) 티그 용접기용 고주파 발생 다전극 고정장치
KR100290521B1 (ko) 오존발생장치
KR930011911B1 (ko) 레이져 발생기의 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