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33B1 - Remote control assembly including side snap in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assembly including side snap 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33B1
KR900001733B1 KR1019860009412A KR860009412A KR900001733B1 KR 900001733 B1 KR900001733 B1 KR 900001733B1 KR 1019860009412 A KR1019860009412 A KR 1019860009412A KR 860009412 A KR860009412 A KR 860009412A KR 900001733 B1 KR900001733 B1 KR 90000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arm
guide mea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5191A (en
Inventor
엘 스피즈 아써
Original Assignee
텔레홀렉스 인코퍼레이티드
스티븐 케이 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홀렉스 인코퍼레이티드, 스티븐 케이 첸스 filed Critical 텔레홀렉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has a motion transmitting core (30) including a support fitting (24) having first and second ends and an opening (14) extending through defining a first axis for guiding the core throught a U-shaped sear (16) in a support structure (18). The core is mov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fitting for transmitting motion between the ends. The assembly includes a projection finger (38) spaced laterally from the first axis defined by the opening, for gripping engagement with the support structure, and preventing the end support fitting from moving laterally out of the U-shaped seat. Axial deflection of the finger is limited by a stop member (47).

Description

원격조절 운동전달 장치의 지지구Support of remote control exercise transmission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지지구를 본래의 벽에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tool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original wall.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III-III 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IV-IV 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제5도는 제1도의 V-V 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지구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Figure 6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의 VII-VII 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제8도는 제6도의 VIII-VIII 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제9도는 제6도의 IX-IX 선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지지구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Figure 10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0도의 XI-XI 선 단면도.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of FIG.

제12도는 제10도의 XII-XII 선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of FIG.

제13도는 제10도의 XIII-XIII 선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제14도는 제2지지부재의 횡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제15도는 제2지지부재의 후단면도.15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제16도는 제2지지부재의 후단면도.16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제17도는 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한 경우의 정면도이다.17 is a front view wh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combin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지지구 12 : 안내부재10: support 12: guide member

14, 14' : 제1, 2개구부 16 : U자형 시이트14, 14 ': first and second openings 16: U-shaped sheet

18 : 지지벽체 24, 24' : 지지고정구(support fitting)18: support wall 24, 24 ': support fitting

38 : 손모양돌출부재 47 : 정지부재38: hand protrusion member 47: stop member

본 발명은 도관과 같은 안내부재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된 가요성 운동전달 코어부재에 의해 만곡로를 따라 힘을 전달하는 형태의 원격조절 운동전달 장치의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벽 또는 브래킷의 구멍내에 지지되는 도관을 포함하는 안내수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a remotely controlled exercise transmission device in which a force is transmitted along a curved path by a flexible motion transfer core member detachably supported in a guide member such as a conduit. A guide means comprising a conduit supported in a hole.

종래의 원격조절 운동전달 장치의 지지구는 지지부재내에 지지된 도관을 포함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였는데 이 지지부재는 각종 두께를 갖는 벽중의 한 곳에 안내수단의 배치를 필요로 하였다. 예컨대 1969. 2. 18. 발행된 쵠즈에 대한 미국특허 제3,427, 894호는 도관과 이 도관내에 가동적으로 배치된 운동전달코어부재 및 벽 등의 비원형 구멍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는 구멍을 통하여 지지부재를 지지하기위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지지구는 고정구가 그 안에 삽입되어 그 고정구를 지지하기 위해 구멍의 타단에서의 벽과 결합하도록 구멍을 통해 가동하는 플랜지와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구의 본체로부터 캔틸레버상으로 플랜지를 향해 뻗어 있는 한쌍의 가요성 레그를 포함한다.The support of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exercise transmission device included a guide means including a conduit supported in the support member, which required the placement of the guide means in one of the walls of various thicknesses. For example, U.S. Patent Nos. 3,427, 894 to lenses issued Feb. 18, 1969 include conduits and support members for installation in non-circular holes such as walls and motion transfer core members movably disposed within the conduits. have. Such a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hole, the support being positioned away from the flange that moves through the hole so that the fixture is inserted therein and engages with the wall at the other end of the hole to support the fixture. And a pair of flexible legs extending toward the flange from the body of the support onto the cantilever.

1981.12. 8. 발행된 헤이만의 미국특허 제4,304,149호, 및 1972. 1. 4. 발행된 하이퍼의 미국특허 제3,631,738호는 개구에 지지부재를 지지시키기 위해 캔틸레버상 레그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1981.12. 8. US Patent No. 4,304,149 issued by Hayman, and US Patent No. 3,631,738 issued January 4, 1972,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member comprising a cantilevered leg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in an opening. Yes.

한편, 운동전달코어 부재는 그안에 틈새를 가진벽과 기계적 연동 결합으로 물리는 지지수단에 의해 벽의 길이를 따라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고정구의 일예는 1977. 3.15. 발행, 웨브에 대한 미국특허 제4,011,770호에 기술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tion transfer core member is supported along the length of the wall by a support means that is bitten by mechanical interlocking engagement with the wall having a gap therein. An example of such a support fixture is March 15, 1977. Publication, described in US Pat. No. 4,011,770 to web.

상기 특허 출원의 운동전달 원력제어 조립체는 안내수단이 지지구조물에 있는 대체로 U형 시이트를 통해 코어부재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가 벽체의 개구를 통해 지지되고 지지고정구가 개구를 통해 축방향운동에 대해 고정되어야 하는 구조의 경우와는 달리, 안내수단이 지지부재의 U형 시이트에 있는 경우는 안내수단이 U형 시이트의 측면밖으로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안내수단이 U형 시이트의 측면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The motion transfer force control assembly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such that the support member is guid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wall and the support fixture is axially moved through the opening since the guide means is adapted to guide the core member through a generally U-shaped sheet in the support structure. Unlike the case where the structure is to be fixed relative to the case, when the guide means is in the U-sheet of the support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uide means slides out of the side of the U-she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preventing the guide means from being moved out of the side of the U-sheet.

1975. 5.27. 발행된 올로윈스키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885,767호는 장착상태가 U형 시이트의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장착조립체에 있어서의 스냅을 기술하고 있으나, 그 조립체는 시이트에서의 장착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돌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그 장착의 고정은 체결링이 편향된 위치에 있을때만 제 위치를 갖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May 27, 1975 U.S. Patent No. 3,885,767, issued to Olowinsky et al., Describes a snap in a mounting assembly that prevents the mounting state from moving out of the U-shaped sheet, but the assembly is at least to maintain mounting in the sheet. It needs two projections. In addition, the fixing of the mounting is a problem that has the position only when the fastening ring is in the deflected posi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단부를 갖는 안내수단과 지지부재에서 대체로 U형 시이트를 통하여 제1축이 연장되기 위한 개구 및 안내수단의 단부들 사이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안내수단에 의해 가동적으로 지지되는 코어부재를 포함하는 운동전달코어부재에 의해 만곡로를 따라 힘 운동을 전달하는 형태의 원격조절 운동전달 장치의 지지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조립체는 지지부재의 대체로 U형 시이트에 안내수단을 위치시키기 위한 돌기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an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the support means for transmitting a movement between the openings and the ends of the guide means for extending the first axis through the U-sheet gener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of a remote control exercise transmission device in a form of transmitting a force movement along a curved path by an exercise transfer core member including a movable core member. The assembly includes protrud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guiding means in a generally U-shaped sheet of the support member.

아암은 안내수단과 돌기수단으로부터 측면으로 뻗어 있고 그립(grip) 수단은 지지구조물과 결합하여 안내수단이 U형 시이트의 측면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암에 배치되며, 아암은 가요성이다. 그립수단(gripping means)은 뉴우트러 상태(중립상태)와 편위 상태를 갖는다. 아암은 편위상태(편향된 상태)로부터 뉴우트럴 상태를 향하여 그립수단을 편위시키며, 대체로 L자형으로 안내수단에 관해 약간 거리를 두고 선단부가 있으며 그립수단은 그 말단에 배치되어 있다.The arm extends laterally from the guiding means and the protruding means and a grip means is disposed on the arm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structure to prevent the guiding means from moving out of the side of the U-shaped sheet, the arm being flexible. Gripping means have a Neutral state (neutral state) and a bias state. The arm biases the grip means from the deflected state (deflected state) toward the neutral state, and is generally L-shaped with a tip at some distance from the guide means, with the grip means arranged at its distal en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만곡로로 운동을 전달하는 형태의 원격조절 운동전달 장치의 지지구는 도면에서 10으로 표시되며 같은 숫자는 다른 실시예들 사이에서 유사한 구성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pport of the telecontrolled motion transfer device in the form of transferring motion to the curved path is indicated by 10 in the figures and the same number is used to indicate a similar configuration between different embodiments.

조립체(10)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는 지지부재(24)와 지지벽체(18)에서 U형 시이트를 통하여 코어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축을 한정하고 연장시키는 개구(14)를 포함하고 도면부호 제10으로 표시된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U형 시이트(16)는 지지벽체 (18)의 상면(22)에 개구(20)를 갖는다.The assembly 10 includes a support member 24 having first and second ends and an opening 14 defining and extending an axis for guiding the core member through the U-shaped sheet in the support wall 18 and denoted by reference. And a guiding means designated as a tenth. The U-shaped sheet 16 has an opening 20 in the upper surface 22 of the support wall 18.

안내수단(12)은 지지부재(24) 및 상기 지지부재(24)의 개구(14)에 설치된 상기 지지부재(24)의 개구(14)에 설치된 일단을 갖는 도관(26)을 포함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4)는 제1개구(14)에 의해 한정된 제1축에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있는 제2축을 한정하고 그를 통하여 연장시키는 제2개구(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내수단(12)은 제2개구(14')와 함께 설치된 단부를 갖는 제2도관 (28)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로,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지지부재(24)는 액설러레이터용 및 크루이저 제어용의 2개의 케이블을 수반할 수 있으며, 제6도 내지 13도에 보여준 지지구는 앨설러레이터 케이블에 사용될 수도 있다.The guide means 12 comprise a conduit 26 having a support member 24 and one end installed in the opening 14 of the support member 24 installed in the opening 14 of the support member 24.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5, the support member 24 defines a second axis which is spaced in parallel to the first axis defined by the first opening 14 and extends through the second axis. It may also include an opening 14 '. Guide means 12 comprise a second conduit 28 having an end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14 ′. In this state, the support member 24 shown in Figs. 1 to 5 can carry two cables for the accelerator and the cruiser control, and the support shown in Figs. It can also be used for cables.

조립체(10)는 안내수단(12)의 단부들 사이에서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안내수단 (12)에 의해 가동적으로 지지되는 코어부재(30)를 포함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체(10)는 제2도관(28)에 수반된 제2케이블(30')을 포함할 수도있다. 안내수단(12)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보여준 바와 같이 평평한 단부(32, 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ssembly 10 comprises a core member 30 which is mov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ans 12 for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the ends of the guide means 12. As shown in FIGS. 1-5, the assembly 10 may include a second cable 30 ′ accompanying the second conduit 28. The guiding means 12 may comprise flat ends 32, 32 ′ as shown in FIGS. 1 to 5.

또한, 안내수단(12)은 제6도 내지 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일(male) 구형단부(34) 및 매일구형단부에 끼워지는 와이퍼부재(3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6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단부 고정구는 밀러등에 대한 1979.11.6. 발행의 미국특허 제4,173, 15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안내수단은 그것이 사용되는 특정환경등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guide means 12 may also include a male spherical end 34 and a wiper member 37 fitted to the daily spherical end, as shown in FIGS. The end fixtures shown in FIGS. 6 to 13 are 1979.11.6. It is described in detail in issued US Pat. No. 4,173,157. The guidance means may be of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specific environment in which it is used.

조립체(10)는 지지구조물(18)의 U형 시이트(16)에 안내수단(12)을 위치시키기 위한 돌기수단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또한 지지구조물과 맞물려 결합하여 안내수단 (12)이 U형 시이트의 측면밖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구(14)에 의해 한정된 제1축으로부터 측면으로 떨어져 있는 그립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조립체는 안내수단(12)으로부터 측면으로 뻗어있는 아암(36)과 돌기수단을 포함한다. 그립수단은 아암(36)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구(14)에 의해 한정된 제1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거리를 두고 있는 제2축을 따라 돌출하는 손모양 돌출부재(38)를 포함한다. 회전 멈추개 또는 손모양돌기(38)는 지지벽체(18)에서 호울(40)내에 맞물려 있다. U형 시이트(16)내로의 지지부재(24)의 삽입에 있어, 그 지지부재(24)는 충분히 삽입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손모양돌기(38)가 U형 시이트(16)내에 결합되어 지지고정구(24)가 U형 시이트(16)로부터 미끌어져 빠져 나가지 않게 된다.The assembly 10 includes projection means for positioning the guide means 12 on the U-shaped sheet 16 of the support structure 18. The assembly also includes grip means laterally spaced from the first axis defined by the opening 14 to engage and engage the support structure such that the guide means 12 do not move out of the sides of the U-shaped sheet. In more detail, the assembly includes an arm 36 and a protrus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guide means 12. The grip means is arranged on the arm 36 and comprises a hand-shaped protruding member 38 which projects along a second axis generally spac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xis defined by the opening 14. The rotary stop or hand projection 38 is engaged in the hole 40 at the support wall 18. In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member 24 into the U-shaped sheet 16, since the support member 24 is sufficiently inserted, the hand projection 38 is thus engaged in the U-shaped sheet 16 to support the support fixture ( 24 is not slipped out of the U-shaped sheet 16.

그립수단은 뉴우트럴 상태와 변위상태를 가지며, 그립수단을 편위시키는 아암(36)은 가요성으로서 변위상태로부터 뉴우트럴상태를 향한다. U형 시이트(16)내로의 지지부재(24)의 삽입에 따라 손모양돌기(38)는 지지구조물과 맞물려 그에 의해 변위상태로 이동된다. 지지부재(24)는 U형 시이트(16)내로 충분히 삽입되므로, 손모양돌기(38)가 지지벽체(18)의 호울과 결합하고, 아암(36)은 손모양돌기(38)가 호울 (40)내에 배치되는 뉴우트럴 상태로 상기 손모양 돌기를 편위시킨다. 즉, 아암(36)은 호울(40)대로 손모양 돌기를 편위시켜 그에 의해 지지벽체(18)는 불변위 또는 뉴우트럴 위치로 아암(36)과 U형 시이트(16)에 고정된 지지부재(24)를 유지시킨다. 제4도, 제5도, 제8도, 제9도,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36)은 대체로 L형이며, 지지부재(24)와 관련되어 선단에는 그립수단을 한정하는 손모양돌기(38)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돌기(38)는 U형 시이트(16)로부터 약간 떨어진 점에서 지지벽체 (18)의 호울(40)과 결합된다.The grip means has a neutral and displacement state, and the arm 36 which biases the grip means is flexible and moves from the displacement state to the neutral state. Upon insertion of the support member 24 into the U-shaped sheet 16, the hand projection 38 is engaged with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reby moved in a displaced state. Since the support member 24 is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U-shaped sheet 16, the hand projection 38 is engaged with the hole of the support wall 18, and the arm 36 has the hand projection 38 with the hole 40. The hand projections are biased in a neutral state arranged within. That is, the arm 36 deflects the hand-shaped protrusion along the hole 40 so that the support wall 18 is fixed to the arm 36 and the U-shaped sheet 16 in the displaced or neutral position. Maintain (24). As shown in FIGS. 4, 5, 8, 9, 12, and 13, the arm 36 is generally L-shaped and grip means at the tip associated with the support member 24. Defining hand projections 38 are arranged. In this state, the projection 38 is engaged with the hole 40 of the support wall 18 at a point slightly away from the U-shaped sheet 16.

접촉수단(abutment means)은 지지벽체(18)와 관련되어 지지부재(24)의 축방향운동을 방지하도록 그 사이에서 지지벽체(18)가 끼워지게 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벽체(18)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거리를 둔 플랜지(42,44)를 포함한다. 플랜지 (42,44)의 주위는 대체로 U형 가까우며 플랜지(42,44)는 그 사이에 대체로 U형 채널을 한정하고, 아암(36)은 지지부재(24)로부터 뻗어 있으며 제7도, 제11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로부터 제1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있다. 접촉수단은 또한 U형 시이트(16)와 결합하기 위해 플랜지(42,44) 사이에 배치된 대체로 U형의 중간부(48)를 포함한다. 중간부(48)는 지지벽체(18)와 관련하여 지지부재(24)의 방사상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벽체(18)의 홈으로 삽입하기 위해 그로부터 외방으로 뻗어 있는 탭(50)을 포함한다.Abutment means are a pair extending from the support wall 18 to allow the support wall 18 to be sandwiched therebetween to prevent axi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24 in relation to the support wall 18. Flanges 42 and 44 spaced apart. The circumference of the flanges 42 and 44 is generally close to the U-shape and the flanges 42 and 44 define a generally U-shaped channel therebetween, and the arm 36 extends from the support member 24. As shown in FIG. 14 and FIG. 14, the distance from the channel is axially along the first axis. The contact means also includes a generally U-shaped middle portion 48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42 and 44 to engage the U-shaped sheet 16. The intermediate portion 48 includes tabs 50 extending outwardly therein for insertion into the grooves of the support wall 18 to prevent radi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24 with respect to the support wall 18.

조립체(10)는 또한 제14도 내지 17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 (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24,24')는 그의 상부에서 캐비티(43)를 한정한다.Assembly 10 may also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24 ', as shown in FIGS. 14-17. The support members 24, 24 ′ define the cavity 43 at the top thereof.

제2지지부재(24')의 중간부(48)는 지지부재(24,24')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 (43)내에 배치되기 위해 연장부(60)를 포함한다. 연장부(60)는 지지벽체(18)와 관련하여 제2지지부재(24')의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제2지지부재(24')의 연장부(60)는 제17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4)의 캐비티(43)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제2지지부재(24')는 제1지지부재(24)위에 놓여진다. 다수의 제2지지부재(24')는 이와 같은 상태로 지지부재(24)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이 되었을 때 조립체(10)는 2 또는 그 이상의 코어부재를 수반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ortion 48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includes an extension 60 for placement in the cavity 43 defined by the support members 24, 24'. The extension part 60 preven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with respect to the support wall 18. An extension 60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is disposed in the cavity 43 of the support member 24 as well shown in FIG. 17. In this state,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is plac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members 24 ′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s 24 in such a state. When engaged, the assembly 10 may involve two or more core members.

지지부재(24,24')는 또한 아암(36)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 채널의 위치이내까지 그립수단의 축방향 변위가 제한된다. 정지수단은 아암(36)에 대하여 거리를 둔 지지부재(24,2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있는 정지부재(47)를 포함한다. 아암(37)은 아암(36)의 반경방향변위를 저지하고 지지부재(24, 24')상의 정지부재(47)와 결합하는 보강리브(54)를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s 24, 24 ′ also further comprise stop means for limiting the displacement of the arm 36, thereby limiting the axial displacement of the grip means up to the position of the channel. The stop means comprise a stop member 47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support members 24, 24 ′ spaced relative to the arm 36. Arm 37 includes reinforcing ribs 54 that resist radial displacement of arm 36 and engage stop members 47 on support members 24, 24 ′.

지지부재(24)는 지지벽체(18) 너머로 플랜지(42,44)를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U형 시이트(16)에 장착된다. 손모양돌기(38)가 측면운동을 방지하고 탭(50)이 지지부재(24)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한편 플랜지(42,44)는 안내수단(12)의 축방향운동을 방지하여 지지부재(24)가 U형 시이트(16)의 개구(20)으로부터 미끌어져 나가지 않도록 한다. 제2지지부재(24')는 지지벽체(18)너머로 플랜지를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조립체에 첨가될 수도 있다.The support member 24 is mounted to the U-shaped sheet 16 by sliding the flanges 42 and 44 over the support wall 18. The hand protrusion 38 prevents lateral movement and the tab 50 prevents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24 while the flanges 42 and 44 prevent axial movement of the guide means 12 to support the member. (24) does not slip out of the opening 20 of the U-shaped sheet 16.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may be added to the assembly by sliding the flange over the support wall 18.

조립체(10)는 지지벽체(18)의 상면(22)과 대체로 동일평면으로 U형 시이트 (16)의 개구(20)를 덮기 위한 커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수단은 제3도 및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U형 돌기(46)를 포함하며, 돌기(46)는 지지부재(24)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있다.The assembly 10 may comprise cover means for covering the opening 20 of the U-shaped sheet 16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top surface 22 of the support wall 18. The cover means comprises a U-shaped projection 46, as shown in FIGS. 3 and 5, with the projection 46 extending radially from the support member 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기술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도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운동전달 코어부재(30)에 의해 만곡로를 따라 힘을 전달하고 격벽등의 U형 시이트에 지지되는 형태의 원격조절 운동전달 장치의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제1 및 제2단부와 지지벽체(18)에서 U자형의 시이트(16)를 통하여 뻗어 있고 그를 통해 제1축을 한정하는 개구(14,14')를 갖는 안내수단(12), 상기 안내수단(12)의 단부 사이에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안내수단(12)에 의해 가동적으로 지지되는 코어요소(30), 지지벽체(18)상의 U형의 시이트(16)에 상기 안내수단(12)을 위치시키기 위한 접촉(Abutment)수단, 상기 안내수단과 접촉수단으로부터 측면으로 뻗어 있는 아암(36), 상기 지지구조물(18)과 맞물려(gripping) 결합되어 상기 안내수단(12)이 U형 시이트의 측면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36)에 배치된 그립수단(gripping means)(3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은 가요성이고, 상기 그립수단 (38)은 뉴우트럴 상태와 변위상태를 가지며, 상기 아암(36)은, 상기 변위상태 (deflected condition)로부터 상기 뉴우트럴 상태를 향하여 상기 그립수단(38)을 변위(biasing)시키고, 상기 아암(36)은 대체로 L형으로 상기 안내수단(12)에 관하여 선단(distalend)을 가지며, 상기 그립수단(38)은 상기 선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절 운동전달장치의 지지구.In the support of the remote control exercise transmission device of the type that transmits the force along the curved path by the exercise transmission core member 30 and is supported on the U-shaped sheet such as a partition wall, the assembly is suppor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ds. Guide means 12 having openings 14, 14 ′ extending from the wall 18 through the U-shaped sheet 16 and defining a first axis therethrough, the movement between the ends of the guide means 12. Abutment for positioning the guide means 12 in a U-shaped sheet 16 on the support wall 18, the core element 30 mov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ans 12 for delivery. Means, an arm 36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guiding means and the contacting means and gripping with the support structure 18 to prevent the guiding means 12 from moving out of the side of the U-shaped sheet. Consisting of gripping means 38 disposed on the arm 36. The arm is flexible, the grip means 38 having a neutral and a displaced state, and the arm 36 moves the grip from the deflected condition towards the neutral state. The means 38 are biased, the arm 36 having a distal end with respect to the guide means 12 in a generally L-shape, and the grip means 38 being arranged at the distal end. Support of remote control exercise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은 지지벽체(18)에 관해 상기 안내수단(12)의 축방향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지지벽체(18)와의 접촉결합을 위해 거리를 두고 있는 한쌍의 플랜지(4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The pair of contac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means is spaced apart for contact engagement with the support wall (18) therebetween to prevent axial movement of the guide means (1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wall (18). Assembly comprising a flange (42, 44). 제2항에 있어서, 정지수단(47)은 상기 변위위치까지 상기 아암(36)의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op means (47) limits the displacement of the arm (36) up to the displacement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2,44)는 그 사이에 U형 채널을 한정하며, 상기 아암(36)은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제1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4. The flange (42) of claim 3 wherein the flanges (42, 44) define a U-shaped channel therebetween, and the arm (36) extends from the channel along the first axis at some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47)은 상기 그립수단(38)의 축방향변위를 상기 채널의 끝부분의 위치이내까지 제한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4. An assembl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top means (47) are positioned to limit the axial displacement of the grip means (38) to within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chan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아암(36)에 관해 거리를 두고 상기 안내수단(12)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정지부재(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6.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said stop means comprises a stop member (47)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said guide means (12) at a distance with respect to said arm (3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U형 시이트(16)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42,44)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7. An assembl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contact means comprises an intermediate portion (48) disposed between said flanges (42,44) for engaging with said U-shaped sheet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수단은 상기 제1축으로부터 거의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있는 제2축을 따라 상기 아암(36)으로부터 돌출하는 손모양돌기(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8. An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rip means comprises a hand projection (38) projecting from the arm (36) along a second axis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axi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는 캐비티(43)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9. An assembly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support member (24) defines a cavity (4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48)는 상기 지지벽체(18)에 관해 상기 지지부재(24)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벽체에 있어 홈(52)내로 삽입을 위해 그로부터 외측으로 뻗어 있는 탭(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 The intermediate portion (48) of claim 9, wherein said intermediate portion (48) extends out there for insertion into the groove (52) in the support wall to prevent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24) relative to the support wall (18). Assembly comprising a tab (5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2,44)의 주위는 거의 U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1. An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erimeter of the flange (42, 44) is substantially U-shap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체(18)에 관해 상기 제2지지부재(24')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4)의 캐비티(43)내의 배치를 위한 연장부(60)를 포함하는 중간부(48)를 갖춘 제2지지부재(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 Extension portion (60) for placement in cavity (43) of support member (24) to prevent rotational movement of second support member (24 ') with respect to said support wall (18).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4 ')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48)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24')의상기 연장부(60)는 상기 지지부재 (24)와 제2지지부재(24')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4)와 캐비티(43)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The cavity of claim 12, wherein the extension part 60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24 and the cavity to couple the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Assembly disposed within (4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2)은 지지부재(24)와 상기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재(24')와 상기 그립수단과 상기 제1축에 그를 통하여 뻗어 있는 개구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수단(12)은 다시 상기 제2지지부재(24')와 상기 지지부재(24)의 개구내에 장착된 일단을 갖는 도관(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5. The guide means (12)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guide means (12) comprises a support member (24 ') comprising a support member (24) and the contact means, an opening extending through it on the grip means and the first axis; And the guide means (12) in turn comprise a conduit (26) having one end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 and the support member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36)은 변위에 저항하여 안내수단(12)에서 상기 정지수단(47)을 결합하기 위한 보강리트(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5.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arm (36) comprises a reinforcing litt (54) for engaging the stop means (47) in the guide means (12) against displacemen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48)는 대체로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6. The assembly of claim 15, wherein said intermediate portion (48) is generally U-shaped.
KR1019860009412A 1985-11-08 1986-11-07 Remote control assembly including side snap in KR9000017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640885A 1985-11-08 1985-11-08
US796408 1985-11-08
US796,408 198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191A KR870005191A (en) 1987-06-05
KR900001733B1 true KR900001733B1 (en) 1990-03-19

Family

ID=2516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412A KR900001733B1 (en) 1985-11-08 1986-11-07 Remote control assembly including side snap i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67914A (en)
KR (1) KR9000017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48B1 (en) * 2012-11-02 2013-09-05 (주)이앤씨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up flow fil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67914A (en) 1987-07-24
JPH0143166B2 (en) 1989-09-19
KR870005191A (en) 198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3541A (en) Remote control assembly including side snap in
US5553818A (en) Conduit end fitting with lock condition indicator
US764516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lider element
ES270858U (en)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JPS6335123U (en)
ES291056U (en)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MY134918A (en) Cable gland assemblies
ATE105928T1 (en) CANTILE LIP PIPE COUPLING ELEMENT AND COMPOSITION.
KR890000316B1 (en) Motion transmitting remot control assembly
KR960013123A (en) Control with brake wire assembly end clip
US5596908A (en) Lock for slide and lock L-arm
JP3105173B2 (en) Rotating slide and snap
KR870008332A (en) Tumble Guide Extension
US4955252A (en) Cable-and-sleeve connections
KR900001733B1 (en) Remote control assembly including side snap in
EP0774408A2 (en) Bicycle control device
KR900000632A (en) Remote actuator for trip valve
EP0369872A3 (en) Quick-release electrical connector coupling device
KR900003713A (en) Snap in umbrella
SE7906239L (en) GUIDELINE FOR A SEAT BELT
KR960010173A (en) Bolt tableting device
DE59105507D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243361Y2 (en)
JPH0219510Y2 (en)
KR200149080Y1 (en) Transmission cable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