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02B1 - Color crt - Google Patents

Color c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02B1
KR900001702B1 KR1019860004014A KR860004014A KR900001702B1 KR 900001702 B1 KR900001702 B1 KR 900001702B1 KR 1019860004014 A KR1019860004014 A KR 1019860004014A KR 860004014 A KR860004014 A KR 860004014A KR 900001702 B1 KR900001702 B1 KR 90000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lor
electron beam
shadow mask
movab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9467A (en
Inventor
기요시 도끼다
도시나오 소네
미찌오 나까무라
히로시 우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6000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The colour CRT is for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of colour purity such as colour shift of picture image while to improve the shock resistance by setting specific relation between the spring constant of resilient member and the force to be applied onto a stud pin upon fitting of the resilient member and the stud pin. The displacement of electron beam when the colour CRT is subjected to shock has close relation with the spring constant K of resilient member and the force to be applied onto the corresponding stud pin.

Description

컬러 수상관Color award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수상관의 한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설명용 주요부 확대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structure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lor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수상관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or wat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수상관이 충격을 받았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 color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acted.

제4a, b, 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수상관의 탄성부재의 탄성계수(K)에 의한 스터드 핀(stud-pin)에 가해지는 힘(F) 및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화(δ)를 나타낸 특성도.4a, b, c are the change in the electron beam when subjected to the force (F) applied to the stud-pin by the elastic modulus (K) of the elastic member of the color receiv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δ).

제5도는 스트라이프형 형광체 스크린이 있는 컬러 수상관의 형광체층과 전자비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phosphor layer and an electron beam of a color receiver tube having a stripe phosphor screen.

제6도는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의 탄성 부재의 가동편의 길이에 의한 충격을 받았을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을 나타낸 특성도.6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electron beam when subjected to an impact by the length of the movable piece of the elastic member of the color water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동작 경과시간에 의한 미스랜딩량의 변화를 나타낸 특성도.7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mis-landing by the elapsed time of operation.

제8도는 종래의 컬러 수상관의 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lor water pipe.

제9a, b도는 탄성부재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의 열팽창을 억제하는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설명용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9A and 9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description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suppressing thermal expansion of the shadow mask by the elastic member.

제10a, b, c도는 종래의 컬러 수상관을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10A, B, and C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principal portions showing conventional color water tube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패널 4 : 형광체스크린1 panel 4: phosphor screen

7 : 새도우 마스크 8 : 마스크 프레임7: shadow mask 8: mask frame

10, 20 : 스터드핀 13, 33, 331, 332: 탄성부재10, 20: stud pin 13, 33, 33 1 , 33 2 : elastic member

13a, 13a : 지지편 13b, 13b : 가동편13a, 13a: support piece 13b, 13b: movable piece

33d : 고정부착부33d: fixed attachment part

본 발명은 컬러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새도우 마스크의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lor water tub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structure of a shadow mask.

일반적으로 컬러 수상관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패널의 안쪽벽게 삽입되어 있는 스터드핀에 탄성체를 부가하여 새도우 마스크를 매어달린 상태로 걸치고서 패널 전면부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위의 소정된 위치에 전자비임이 투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color receiver tube is attached to a stud pin inserted into an inner wall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el, and an electron beam is projec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hosphor scree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by hanging the shadow mask. It is configured to be.

이와같은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전자비임을 통과시키는 구멍이 있는 슬릿(slit)형 새도우 마스크의 경우 통상 뚫린 구멍을 통과하는 유효 전자비임은 1/3이하이며, 나머지 전자비임은 새도우 마스크에 투사되고, 때로는 80℃정도까지 새도우 마스크를 가열시키게 된다.In such color receivers, for example, a slit-type shadow mask with a hole passing through a rectangular electron beam typically has an effective electron beam that passes through the drilled hole or less than 1/3, and the remaining electron beams are shadowed. It is projected onto the mask and sometimes heats up the shadow mask to around 80 ° C.

이로 인하여 형광체 스크린과 새도우 마스크의 간격(이하 g값이라함)이 변화하여 그 간격(g)의 변화가 허용값 이상이 되면 전자비임은 형광체 스크린의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형광체에 정확하게 랜딩 하지 않으며, 소위 미스랜딩이 생겨서 색순도를 약화시키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hosphor screen and the shadow mask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g value) changes and the change in the gap g becomes more than the allowable value, the electron beam does not accurately land on the stripe-shaped phosphor of the phosphor screen. So-called mislanding occurs, which reduces color purity.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특공소 44-3547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을 바이메탈을 사이에 두고 패널쪽벽에 걸고, 새도우 마스크 전체를 형광체 스크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간격(g)값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범위내에 그치게 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있다.To prevent this, as shown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44-3547, the mask frame is hung on the panel side wall with the bimetal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ntire shadow mask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phosphor screen to substantially allow the change of the g value. It's a way to keep it as far as it can go.

그러나, 이러한 바이메탈을 사용하는 방식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으므로 조립할때의 정밀도가 저하되기 쉬우며 그 결과 색순도도 저하되기 쉬워서 품질이 좋은 컬러 수상관을 비싸지게 된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such a bimetal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tends to reduce the precision in assembling. As a result, the color purity also tends to be lowered, resulting in high quality color receiving tubes.

이점을 보완하는 구조로서, 일본특공소 48-4104호 공보등에도 제안되어있는 컬러 수상관이 있다.As a complementary structure, there is a color water pipe, which is also prop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48-4104.

예를 들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8)과 패널(1)의 안쪽벽에 설치된 스터드핀(10) 사이에 가느다란 스프링(13)을 설치한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thin spring 13 is provided between the mask frame 8 and the stud pin 10 provided in the inner wall of the panel 1.

이것은 새도우 마스크(7)의 가열에 관하여 만족할만한 보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진공 외각용기의 관축(14)과 약 45도의 각도 α로 되어 있으며 핀(10)과 끼워 맞추는 지지편(13a)와 이 지지편(13a)으로 부터 뻗어 나온 가동편(13b)을 갖추고 있는 가느다란 스프링(13)을 설치하므로서 전자비임(5)의 미스랜딩을 방지하는 것이다.This can obtain satisfactory correction with regard to the heating of the shadow mask 7, and thus the support piece 13a and the support are fitted with the pin 10 at an angle α of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the tube axis 14 of the vacuum outer container. It is to prevent mis-landing of the electron beam 5 by installing a thin spring 13 having a movable piece 13b extending from the piece 13a.

이 제안에 의하면 새도우 마스크(7)의 열팽창에 따라 가느다란 스프링(13)의 가동편(13b)이 스터드핀(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새도우 마스크(7)가 형광체 스크린(4)의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미스랜딩을 보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this proposal, the movable piece 13b of the thin spring 13 rotates around the stud pin 1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shadow mask 7 and the shadow mask 7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phosphor screen 4. Slightly shifted to compensate for mislanding.

즉, 제9a, 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7)에 전자비임(5)이 닿기 시작하면 새도우 마스크(7)가 팽창하며 그위의 일점(P)는 관축(14)으로부터 외부쪽 방향 점(P')에 변위 하려고 한다. 점(P)를 통과하는 전자비임(5)을 파선으로 나타내지만, 화살표(P')로 옮겨가면 전자비임(5)의 랜딩위치가 변하므로 색이 어긋나는 일이 생기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9A and 9B, when the electron beam 5 starts to reach the shadow mask 7, the shadow mask 7 expands, and one point P thereon is an outward direction point from the tube axis 14. Try to displace at (P '). The electron beam 5 passing through the point P is shown by a broken line, but when the arrow P 'is moved, the landing position of the electron beam 5 changes, which causes color shift.

이 열로 인한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새도우 마스크(7)의 팽창과 함께 새도우마스크(7) 자체의 위치를 패널(1)쪽으로 이동시키고, 점(P)가 점(Q)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하게되면 점(P)을 통과하는 전자비임(5)은 정확하게 형광체에 도달하게 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ffects of this heat, with the expansion of the shadow mask 7, the position of the shadow mask 7 itself is moved toward the panel 1, and the point P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point Q. The electron beam 5 passing through the point P reaches the phosphor precisely.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의 가느다란 스프링(13)은 지지편(13a)에 설치된 구멍(13c)을 핀(10)에 끼워 맞추어서 지지편(13a)을 핀(10)위에 맞닿은 상태로 움직이게 하므로서 패널(1)내에 매어달리게 걸쳐져 있다.However, the slender spring 13 having such a shape fits the hole 13c provided in the support piece 13a to the pin 10 so as to move the support piece 13a in contact with the pin 10 so as to move the panel 1. It hangs on the inside).

이로인하여 컬러 수상관이 충격을 받거나 진동 되었을 경우 가느다란 스프링(13)이 핀(10)에 따라서 맞닿은 상태로 움직이며, 또는 극단적인 경우에는 가느다란 스프링(13)이 핀(10)으로 부터 분리되는 일이 있다.As a result, when the colored water pipe is shocked or vibrated, the thin spring 13 moves in contact with the pin 10, or in the extreme case, the thin spring 13 is separated from the pin 10. It may become.

이것을 방지하는 방법의 하나로 가느다란 스프링(13)의 스프링 압력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One way to prevent this is to increase the spring pressure of the thin spring 13.

그러나, 이 커다란 스프링 압력은 핀(10)에 의해서 패널유리 위에 전달 되므로 유리에 비틀어짐을 생기게 한다.However, this large spring pressure is transmitted on the panel glass by the pin 10, causing the glass to twist.

따라서, 제조시의 컬러 수상관에 행해지는 통상의 열처리를 하는 도중에 컬러 수상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Therefor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color water pipe may be damaged during the normal heat processing performed to the color water pipe at the time of manufacture.

또한, 이와 같은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는 새도우 마스크(7)를 패널(1)내에서 붙었다 떼기(착탈)를 반복할 경우에 작업자의 손으로 그 붙였다 떼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대규모의 붙였다 떼기 장치를 각 공정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such a color receiving tube, when the shadow mask 7 is attached and detached (removed) in the panel 1, it is difficult to attach and detach it by a worker's h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in a process.

또한, 붙였다 떼기할 때에는 가느다란 스프링(13)이나 마스크 프레임(8) 및 그것에 고정되게 부착된 새도우 마스크(7)에 커다란 압력이 걸리게 되무로 마스크 프레임(8)이나, 새도우 마스크(7)를 변형시킬 우려도 있다.Further,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a larg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hin spring 13 or the mask frame 8 and the shadow mask 7 fixedly attached thereto, so that the mask frame 8 or the shadow mask 7 is deformed. There is also a concern.

한편, 이와 같은 불편에 대해서는 일본 특개소 57-53048호 공보(미국특허 제4,387,321호 명세서)가 제안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7-53048 (US Patent No. 4,387,321 specification) has been proposed for such inconvenience.

이것은 제10a, 10b, 10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 (7)에 일단을 연결한 평탄한 탄성소자(23)가 있는 매어달려서 걸쳐지는 방법으로 새도우 마스크(7)를 패널(1)의 구석 부분에서 매어달린 상태로 걸쳐진 컬러 수상관이다.This is done by attaching the shadow mask 7 at the corner of the panel 1 in such a way that it hangs over and has a flat elastic element 2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hadow mask 7 as shown in FIGS. 10A, 10B and 10C. It is a colored water pipe hanging in a hanging state.

이와 같은 컬러 수상관은 새도우 마스크(7)을 붙였다 떼기가 간단하게 되며, 비뚤어짐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It is explained that such a color receiving tube can be made to attach and detach the shadow mask 7 easily, and can als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kew.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서는 약간의 충격을 받거나 진동이 있어도 탄성소자(23)는 핀(20)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되고 만다.However, with such a structure, the elastic element 23 is simply separated from the pin 20 even if there is a slight shock or vibration.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소자(23)와 핀(20)을 예를 들면 유리에나멜, 세멘트, 또는 각종 용접에 의해서 연결하거나 또는 제10b, 10c도와 같이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부재(24)와 플레이트(25)에 의해서 평탄한 탄성소자(23)의 움직임에 대한 제한부재를 구성하거나 하는 것도 겸하여 제한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ember 24 and the plate 25 which connect the elastic element 23 and the pin 20 by, for example, glass enamel, cement, or various welding or pull the tensions as shown in 10b and 10c. It is also limited to constitute a limiting member for the movement of the flat elastic element 23 by.

그러나, 이 종래의 예와 같이 탄성소자(23)와 핀(20)을 고정되게 부착하였을 경우 이 컬러 수상관이 다음 공정에서 다른 원인으로 인한 불량으로 되더라도 패널(1), 또는 탄성소자(23)를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 계통의 전체에 다시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elastic element 23 and the pin 20 are fixedly attached as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the panel 1 or the elastic element 23 may be fixed even if the color water pipe becomes defective due to other causes in the next step. It is impossible to reuse the entirety of the shadow mask system including.

한편,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부재(24)나 플레이트(25)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 개의 컬러 수상관에 필요한 부품수나 그 조립시간이 증대되거나 하여서 대량 생산성은 매우 약화되고 만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동작초기로부터 장시간에 걸쳐서 전자비임의 미스랜딩을 충분히 적게 하므로써 화상의 색이 어긋나는 등의 색순도 약화를 억제하며, 또한 간단한 지지재에 의해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대량생산성이 풍부한 컬러 수상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tension member 24 or the plate 25,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one color water pipe and the assembly time thereof are increased so that the mass productivity is very weak.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reducing the mislanding of the electron beam sufficiently for a long time from the beginning of operation, the color purity such as color shift of the image is suppressed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improved by a simple supporting material. The aim is to provide color-rich tubes with high productivity.

즉, 본 발명은 새도우 마스크를 유지하고 있는 마스크 프레임을 직사각형의 패널의 구석 안쪽벽에 설치된 스터드핀에 매어 달린 상태로 걸치는데 있어서 탄성부재의 탄성계수 K(kg.f/mm)와 탄성부재가 스터드핀에 가하는 힘 F(kg.f)사이에 1.8

Figure kpo00001
f/k
Figure kpo00002
2.5의 관계가 성립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odulus K (kg.f / mm)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are applied to the mask frame holding the shadow mask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tud pin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ctangular panel. 1.8 between force F (kg.f) on stud pin
Figure kpo00001
f / k
Figure kpo00002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onship of 2.5 is established.

이하, 본 발명의 컬러 수상관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수상관의 단면도이다. 즉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패널(1)과 노출형의 퍼넬(2) 및 넥(3)에 의해서 진공 외각용기가 구성되어 있다.Hereinafter, the Example of the color water pip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or wat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vacuum outer container is comprised by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nel 1, the exposed funnel 2, and the neck 3. As shown in FIG.

그리고, 패널(1)의 내면에는 적, 녹 및 청으로 각각 발광하는 스트라이프형의 형광체 층으로된 형광체 스크린(4)이 피착 형성되고 넥(3)에는 패널(1)의 수평축에 따라서 일렬로 배열되며 적, 녹 및 청에 대응하는 세 개의 전자비임(5)을 사출하는 소위 인라인(in-line)형 전자총(6)이 설치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1 is formed with a phosphor screen 4 made of a stripe phosphor layer which e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respectively, and the neck 3 i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panel 1. And an so-called in-line electron gun 6 which emits three electron beams 5 corresponding to red, green, and blue is installed.

또한, 형광체 스크린(4)에 근접 대향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슬릿형의 뚫린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 수직배열이 수평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새도우 마스크(7)가 마스크 프레임(8)에 의해서 지지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sk frame 8 includes a shadow mask 7 in which a plurality of slit-shaped hol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hosphor screen 4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supported.

또한, 마스크 프레임(8)은 탄성부재(33)을 거쳐서 패널(1)의 스커어트(skirt)부 내부벽에 묻어 넣어진 핀(10)으로 걸려서 지지되어 있다.The mask frame 8 is supported by the pin 10 buried in the inner wall of the skirt portion of the panel 1 via the elastic member 33.

세개의 인라인 배열의 전자비임(5)은 퍼넬(2)의 외부의 편향장치(12)에 의해서 편향되고, 직사각형의 패널(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범위를 주사하고, 또한 새도우마스크(7)의 뚫린 구멍을 통해서 색선별 되어서 스트라이프형 형광체층에 랜딩하고 컬러 영상을 재현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three in-line array electron beams 5 are deflected by a deflector 12 external to the funnel 2, scan a rectangular rang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panel 1, and also provide a shadow mask 7 It is color-coded through the punctured hole of the film to land on the stripe phosphor layer and reproduce the color image.

또한, 전자비임은 지자기(地磁氣)등의 외부 자계의 영향을 받아 스트라이프형 형광제층에 정확하게 랜딩하지 않을 경우가 있으며, 재현 영상의 색순도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퍼넬(2) 내부에 강한 자성을 띤 금속판으로된 자기 차폐체(11)가 프레임(8)을 통해서 걸려져 있다. 또한 제1도에 주요부 확대단면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 beam may not be landed correctly on the stripe-type fluorescent material layer under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such as a geomagnetic field, and strong magnetic properties inside the funnel 2 to prevent the color purity of the reproduced image from being impaired. A magnetic shield 11 made of a metal plate is hung through the frame 8. 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main sectio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n FIG.

섀도우 마스크(7)는 두께가 0.2mm의 냉간 압연강판으로 되었으며 그 옆벽은 두께가 약 1.6mm의 냉간압연 강판으로된 마스크 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다.The shadow mask 7 is made of a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0.2 mm and its side wall is fixed to a mask frame 8 made of a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6 mm.

이 마스크 프레임(8)과 직사각형의 패널(1)의 구석부분의 스커어트부(1a)에는 스터드핀(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스크 프레임(8)과 스터드핀(1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Stud pins 10 are provided in the skirt frame 1a at the corners of the mask frame 8 and the rectangular panel 1, and an elastic member (between the mask frame 8 and the stud pins 10) is provided. 33) is installed.

이 탄성부재(33)는 스터드핀(10)과 끼워 맞추는 구멍(33c)을 갖추고 있으며 관축(14)방향에 따르도록 스터드핀(10)과 끼워 맞추어져 있는 지지편(33a)과 이 지지편(33)에서 관축(13)과의 각도

Figure kpo00003
가 45도가 되도록 형광체 스크린(4)쪽에 연장되어 있는 가동편(33b)과, 이 가동편(33b)에서 전술한 지지편(33a)과 대략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마스크 프레임(8)에 고정되게 부착된 고정부착편(33d)으로 되어 있다.The elastic member 33 has a hole 33c fitted with the stud pin 10, and a support piece 33a fitted with the stud pin 10 so as to conform to the direction of the tube axis 14 and the support piece ( Angle with the tube axis (13)
Figure kpo00003
The movable piece 33b extending toward the phosphor screen 4 so that the angle is 45 degrees, and the movable piece 33b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pport piece 33a described above, and fixed to the mask frame 8. The fixed attachment piece 33d is attached.

또한, 이 탄성부재(33)는 지지편(33a)의 관축방향의 길이 l'가 약 17mm, 폭이 약 15mm, 가동편(33b)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길이를 l, 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된 폭이 약 15mm인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스테인 레스강, 예를 들면 SUS631(일본공업규격 JIS : G4305)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33 has a length l 'of about 17 mm in the tubular direction of the support piece 33a, a width of about 15 mm, and a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piece 33b extends. It is composed of a precipitation hardening type stainless steel having a width of about 15 mm crossed at right angles and a stainless steel, for example, SUS631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G4305).

이 탄성부재(33)의 탄성계수 K(kg.f/mm)와 이 탄성부재(33)가 스터드핀(10)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kg.f)는

Figure kpo00004
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force F (kg.f) applied to the stud pin 10 when the elastic modulus K (kg.f / mm) of the elastic member 33 and the elastic member 33 are fitted to the stud pin 10. )
Figure kpo00004
It is set to be.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는 28인치형 110도 편향컬러 수상관에 있어서,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전자비임의 미스랜딩량과, 새도우 마스크의 패널내에서의 떼었다, 붙이기의 난이도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In the 28-inch type 110 degree deflection color tube having such a struc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amount of mis-landing of the electron beam due to mechanical impact and the difficulty of peeling and pasting in the panel of the shadow mask.

우선,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는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 어떠한 방향의 충격에 대하여 전자비임의 미스랜딩량이 가장크게 나타나는가를 검토하였던바, 관축에 직각이며,또한 스트라이프형 형광체의 길이 방향에 직각, 즉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패널의 기다란 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충격을 가하는 것이 가장 현저한 값을 나타낸다는 것이 판명되었다.First, in the color receiving tube having such a structure, it was examined whether the amount of mis-landing of the electron beam was the greatest in any direction of impact, which was perpendicular to the tube axis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e-shaped phosphor. In general, it has been found that the impac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longated side of the rectangular panel represents the most significant value.

특히 화면의 중앙부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변위량이 크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즉,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축(14) 및 형광체 스크린(4)의 형광체층의 길다란 방향에 각각 수직인 화살표(40)로 표시하는 방향(지면위에서 우로부터 좌)에 충격을 가하였을 경우, 새도우 마스크(7)는 지면위에서 우로부터 좌로 이동한다. 즉, 화면 중앙부에서는 새도우 마스크가 점(C)로부터 점(C1)로 이동하여 그것에 따라서 전자 비임도 화살표(42a)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한다.In particula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electron beam was large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That is,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40 perpendicular to the elongated direction of the phosphor layer of the tube axis 14 and the phosphor screen 4 as shown in FIG. , The shadow mask 7 moves from right to left on the ground. That is, in the screen center part, the shadow mask moves from the point C to the point C 1 and is displaced as indicated by the electron beam arrow 42a accordingly.

그런데 화면우측(지면 위에서 우측)에서는 충격(40)을 받게되면 탄성부재(331)은 그 형상 때문에 화살표(41a)와 같이 스터드핀(10)에 지지되어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새도우 마스크(7)는 형광체 스크린(4)으로 부터 멀어지게 된다.However,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right above the ground), when the impact member 40 is subjected to the impact 40, the elastic member 33 1 has a rotational motion around the part supported by the stud pin 10 as shown by the arrow 41a. As a result, the shadow mask 7 is moved away from the phosphor screen 4.

따라서, 새도우 마스크(7)는 충격(40)을 받게 되면 지면위에서 우로 부터 좌로 이동하는 동시에 아래로 부터 위로도 이동하므로, 새도우 마스크(7)의 지면위의 우측주변부는 점 R로부터 점 R'로 이동하며 그것에 따라서 전자비임(5)도 화살표(42b)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한다.Accordingly, since the shadow mask 7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bottom side when the impact mask 40 is subjected to the impact 40, the right peripheral portion on the ground side of the shadow mask 7 moves from the point R to the point R '. The electron beam 5 is also displaced as indicated by the arrow 42b.

한편, 화면좌측(지면위에서 좌측)에서는 충격(40)을 받게되면 탄성부재(332)는 그형상 때문에 화살표(41b)와 같은 회전이 생겨서 결과로서 새도우 마스크(7)를 형광체 스크린(4)에 가깝게 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left to right on the ground), when the impact member 40 is subjected to the impact 40, the elastic member 33 2 is rotated like the arrow 41b due to its shape, and as a result, the shadow mask 7 is applied to the phosphor screen 4 as a result. Close.

따라서, 새도우 마스크(7)는 충격(40)을 받게되면 지면 위에서 우로부터 좌로 이동하는 동시에 위로부터 아래로도 이동하므로 새도우 마스크(7)는 점(L)로부터 점 (L')로 이동하여 그것에 따하 전자비임(5)도 화살표(42c)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한다.Therefore, when the shadow mask 7 is subjected to the impact 40, the shadow mask 7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at the same time a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shadow mask 7 moves from the point L to the point L '. The electron beam 5 is also displaced as indicated by arrow 42c.

그런데 화면의 좌우에서의 전자비임의 변위량(42b), (42c)는 화면중앙에서의 변위량(42a)보다 항상 작게 된다.However, the displacements 42b and 42c of the electron beam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creen are always smaller than the displacements 42a at the center of the screen.

즉, 화면 우측에 있어서의 새도우 마스크(7)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이동과 화면좌측에 있어서의 새도우 마스크(7)의 위로부터 아래로의 이동은 함께 우로부터 좌로의 새도우 마스크(7)로의 이동으로 인한 전자비임의 변위를 상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며, 이것은 본 발명과 같은 컬러 수상관의 하나의 특징이다.That is, the movement from the bottom of the shadow mask 7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to the top and the movement of the shadow mask 7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gether are the movement of the shadow mask 7 from the right to the left. This is a movement in a direction to cancel the displacement of the electron beam due to this, which is one feature of the color receiving tube as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충격의 크기는 충격 가속도로 표현되며 통상의 컬러 수상관의 수송 및 사용시에 가해진다고 생각되는 값보다 약간 큰 40Gm/sec2을 가하는 것으로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of the impact is expressed by the impact acceleration, and 40 Gm / sec 2 whic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value that is considered to be applied during the transportation and use of the ordinary color water pipe is assumed to be added.

이와 같은 충격에 대해서 각종의 실험을하여 정리한 것이 제4a, 4b, 4c도이며 이하 제1도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도 한다.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summarize such impacts, and FIGS. 4A, 4B, and 4C are also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즉, 횡축은 제1도의 탄성부재(33)의 탄성계수 K, 즉 탄성부재(33)의 지지편(33a) 및 가동편(33b)을 프레임(8) 방향으로 구부려서 핀(1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필요한 힘에 대응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좌측의 종축은 컬러 수상관에 충격을 가했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δ(화면중앙에서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특성곡선(A),(B),(C)에 대응한다, 우측의 종축은 탄성부재(33)가 스터드핀(10)에 끼워 맞추었을때, 스터드핀(10)이 탄성부재(33)로부터 받는 힘 F, 즉 탄성부재가 새도우 마스크(7) 및 프레임(8)을 유지하는 힘을 각각 나타내며, 특성곡선α, β, γ에 대응한다.That is, the horizontal axis is to be separated from the pin 10 by bending the support piece 33a and the movable piece 33b of the elastic member 33 of the elastic member 33 of FIG. 1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8. The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force required at time is shown. The vertical axis on the left represents the displacement amount δ (maximum value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electron beam when the color tube is impacted, and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 curves (A), (B) and (C). When the elastic member 33 is fitted to the stud pin 10, the force F that the stud pin 10 receives from the elastic member 33, that is, the elastic member holds the shadow mask 7 and the frame 8. Forces are respectively represented and correspond to characteristic curves α, β, and γ.

더구나, 탄성계수 K는 탄성부재(33)의 가동편(33b)의 실질적인 길이 l를 바꿈으로써 변화시킨 것이며, 각 실험에서의 길이 l은 각도 면의 횡축상의 괄호안의 수치로 나타냈다.Moreover, the elastic modulus K was changed by changing the substantial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of the elastic member 33, and the length l in each experiment was shown by the numerical value in the parenthesis on the horizontal axis of an angular surface.

또한, 제4, 4b, 4c도는 탄성부재(33)의 두께 t가 각각 0.3mm, 0.4mm, 0.5mm로 하였을 경우의 데이타이다.4, 4b, and 4c are data when the thickness t of the elastic member 33 is 0.3 mm, 0.4 mm, and 0.5 mm, respectively.

그러면 제4a도에 있어서, 탄성부재(33)의 가동편 (33b)의 길이 l을 크게하며 탄성계수 K를 감소시켜 가게되면 특성

Figure kpo00005
로 표시되는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가 감소된다.Then, in FIG. 4A,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of the elastic member 33 is increased and the elastic modulus K is reduced.
Figure kpo00005
The force F applied to the stud pin 10 is reduced.

그것에 따라,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 δ(특성 A)도 증대하지만, 탄성계수 K가 0.75(kg.f/mm)이하, 예를 들면, 가동편(33b)의 길이 l을 12mm로하여 충격을 가하게 되면 패널(1)의 네구석 부분에 배치된 탄성부재(33)중 두개가 스터드핀(10)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새도우 마스크(7)가 형광체 스크린 위에 낙하되어 측정이 블가능하게 되었다. 반대로 가동편의 길이 l을 작게하고, 탄성계수 K를 크게 하게되면,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는 증가하게되고 전자비임의 변위량δ는 작게 된다. 그러나, 탄성계수 K를 2.75(kg.f/mm) 이상 예를 들면 가동편(33d)의 길이 l를 5mm로 하였을 경우는 네개의 탄성부재(33)중 두개는 스터드핀(10)과 끼워 맞출 수는 있으나, 나머지의 두개는 탄성부재(33)의 기계적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져서 작업자의 손으로는 부착할 수가 없으며, 이것도 측정 불가능하였다.As a result, the displacement amount δ (characteristic A) of the electron beam upon impact also increases, but the elastic modulus K is 0.75 (kg.f / mm) or less, for example,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is 12 mm. When the impact was applied, two of the elastic members 33 dispos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panel 1 were separated from the stud pins 10, so that the shadow mask 7 fell on the phosphor screen to make the measurement possible. On the contrary, when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is made small and the elastic modulus K is made large, the force F applied to the stud pin 10 increases and the displacement amount δ of the electron beam becomes small. However, when the elastic modulus K is 2.75 (kg.f / mm) or more, for example, when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d is 5 mm, two of the four elastic members 33 are fitted with the stud pins 10. Although it is possible, the remaining two can not be attached by the operator's hand becau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elastic member 33 is too strong, this also could not be measured.

제4a도에서 점(a2)은 착탈가능한 한계점이고, 상기점(a)에서의 탄성계수 K의 값은 2.75 (kg.f/mm)이며, 가동편의 길이 l는 6mm이다.In Fig. 4a, the point a 2 is a detachable limit point,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K at the point a is 2.75 (kg.f / mm), and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is 6 mm.

다음에 제4b도는 두께 0.4mm의 SUS 631로 탄성부재(33)를 구성하였을 경우의 데이타이며, 특성곡성B는 변위량δ, β는 힘 F에 대응하고 있다. 탄성계수 K를 1.3 (kg.f/mm)이하, 예를 들면 가동편(33b)의 길이 l를 15mm로 하게되면 충격을 받았을 때에 탄성부재(33)중 한 개가 스터드핀(10)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새도우 마스크(7)를 바르게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었다.Next, FIG. 4B shows data when the elastic member 33 is composed of SUS 631 having a thickness of 0.4 mm. The characteristic curvature B corresponds to the displacement amount δ and β corresponds to the force F. FIG. When the elastic modulus K is 1.3 (kg.f / mm) or less, for example,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is 15 mm, one of the elastic members 33 is separated from the stud pin 10 when impacted. The shadow mask 7 could not be correctly supported and measurement became impossible.

한편, 탄성계수 K를 4.7(kg.f/mm)이상 예를 들면 가동편(33b)의 길이 l을 7mm로 하게되면, 네개의 탄성부재(33)중 두개는 스터드핀(10)과 끼워 맞출 수는 있으나, 나머지의 두개의 탄성부재(33)은 작업자의 손으로는 부착할 수가 없었으므로, 이것도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modulus K is 4.7 (kg.f / mm) or more, for example,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is 7 mm, two of the four elastic members 33 are fitted with the stud pins 10. Although the remaining two elastic members 33 could not be attached by the operator's hand, this also became impossible to measure.

제4b도에서의 이의 점(b2)은 한계점이고, 이때의 탄성계수 K의 값은 4.7(kg.f/mm)이며, 가동편의 길이 l은 8.0mm이다.Its point b 2 in FIG. 4b is the limit point,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K is 4.7 (kg.f / mm), and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is 8.0 mm.

또한, 제4c도는 두께 0.5mm의 SUS 631로 탄성부재(33)을 구성하였을 경우의 탄성계수 K에 대한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특성γ) 및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 변위량 δ(특성 C)를 나타내는 데이타이다.In addition, FIG. 4C shows the force F (characteristic γ) applied to the stud pin 10 with respect to the elastic modulus K when the elastic member 33 is composed of SUS 631 having a thickness of 0.5 mm, and the electron beam displacement when subjected to an impact. Data representing δ (characteristic C).

이 경우는 탄성계수 K를 1.6(kg.f/mm)즉 가동편(33b)의 길이 l을 13mm로 하여도 탄성부재(33)가 스터드핀(10)으로부터 분리된다는 일은 없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elastic modulus K is 1.6 (kg.f / mm), that is,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is 13 mm, the elastic member 33 is not separated from the stud pin 10.

충격을 받았을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은 약 168㎛로 매우 크게 되었다.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ectron beam upon impact was very large, about 168 µm.

반대로 가동편의 길이 l을 작게하였을 때에는 부재의 두께가 0.5mm로 두껍고 탄성계수 K 및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도, 매우 크며 탄성부재로서의 기계적강도도 매우 강하게 되었다.On the contrary, when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was made small, the thickness of the member was 0.5 mm thick, the force F applied to the elastic modulus K and the stud pin 10 was also very large,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s the elastic member was also very strong.

그러므로 탄성계수 K가 7(kg.f/mm)를 초과하게 되면, 예를들면 가동편(33b)의 길이 l이 9mm의 경우 탄성부재(33)를 네개 모두 정확하게 스터드핀(10)에 끼워 맞출수 없어서 측정을 할 수 없었다.Therefore, when the elastic modulus K exceeds 7 (kg.f / mm), for example, when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is 9 mm, all four elastic members 33 can be accurately fitted to the stud pin 10. There was no measurement.

제4c도에서의 점(C2)은 착탈가능한 한계점이고, 이때의 탄성계수 K의 값은 7(kg.f/mm)이며, 가동편의 길이 l은 10mm이다.The point C 2 in FIG. 4C is a detachable limit point,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K is 7 (kg.f / mm), and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is 10 mm.

이상의 실험 결과로 컬러 수상관이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는 탄성부재(33)의 탄성계수 K 및 그것에 대응하는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와 일정한 과계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As a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electron beam when the color receiving tube was impacted had a constant system with the force F applied to the elastic modulus K of the elastic member 33 and the stud pin 10 corresponding thereto.

즉, 탄성부재(33)의 탄성계수 K가 크고 또한 탄성부재(33)가 스터드핀(10)에 가하는 힘 F가 크게되면 탄성부재(33)의 지지능력이 크며 또한 충격으로 인한 지지편(33a) 및 가동편(33b)의 변형도 적으므로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 변위량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That is, when the elastic modulus K of the elastic member 33 is large and the force F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33 to the stud pin 10 is large, the supporting ability of the elastic member 33 is large and the support piece 33a due to impact And the deformation of the movable piece 33b are small, so that the amount of electron beam displacement at the time of an impact can be reduced.

반대로 탄성계수 K 및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가 함께 작게 되면 탄성부재(33)의 지지능력도 약화되며 동시에 충격으로 인한 지지편(33a) 및 가동편(33b)의 변형도 크므로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이 증대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force F applied to the elastic modulus K and the stud pin 10 decreases together, the support ability of the elastic member 33 is also weak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deformation of the support piece 33a and the movable piece 33b due to impact is also large.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ectron beam when subjected to an impact increases.

다음에,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이 실용상 어느정도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다,Next, the extent to which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electron beam when subjected to impact was practically allowed was examined.

즉, 일반적을 스트라이프형 형광체 층이 있는 형광체 스크린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S2의 형광체층(50)과 그 양쪽에 빛을 흡수하는 예를 들면 흑연으로 된폭 D2의 빛 흡수띠(51)가 설치되고 폭 B2의 전자비임(52)은 양쪽의 빛 흡수띠(51)에 걸치도록 형광제층(50)위에 투사해서 특정한 색을 발광시키고 있다.That is, a phosphor screen with a stripe phosphor layer generally has a phosphor layer 50 of width S 2 and a light absorption band 51 of width D 2 , for example, of graphite, which absorbs light on both sides thereof, as shown in FIG. Is provided, and the electron beam 52 having a width B 2 is projected onto the phosphor layer 50 so as to span the light absorption bands 51 on both sides, thereby emitting a specific color.

따라서 전자비임(52)가 변위되더라도 인접하는 다른색을 발광하는 형광체층(50-1), (50-2)을 발광시키지 않는한 색순도의 약화는 생기지 않는다.Therefore, even if the electron beam 52 is displaced, the color purity does not deteriorate unless the phosphor layers 50-1 and 50-2 that emit other adjacent colors are emitted.

그런데, 현재 실용화 되고 있는 컬러 수상관에 화면 중앙부에 있어서의 형광체 간격 예를 들면 녹색 형광체층에서 인접하는 다음의 녹색 형광체층의 간격은 최대가 약 810㎛이다.By the way, the maximum space | interval of the next green fluorescent substance layer adjacent to the phosphor space | interval in the center part of a screen, for example, a green phosphor layer, is currently about 810 micrometers in the color picture tube currently used.

이것을 제5도의 각 치수에 적용시키면 전자비임의 폭 BS는 약 210㎛, 형광제층의 폭SS는 약 170㎛ 그리고 빛 흡수띠의 폭 D2은 약100㎛로 된다.When this is applied to each dimension in FIG. 5, the width B S of the electron beam is about 210 μm, the width S S of the fluorescent layer is about 170 μm, and the width D 2 of the light absorption band is about 100 μm.

따라서 전자비임(52)의 인접하는 다른 색을 발광시키는 형광체층(50-1),(50-2)까지의 여유량 G는 G=

Figure kpo00006
로 약 80㎛로 되며, 이값이 실용화되어 있는 컬러 수상관의 화면 중앙에 있어서의 최대 여유로 볼수가 있다.Therefore, the margin amounts G up to the phosphor layers 50-1 and 50-2, which emit different colors adjacent to the electron beam 52, G =
Figure kpo00006
It becomes about 80 micrometers, and can be seen with the maximum allowance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color water pipe which this value is put to practical use.

즉, 일반적으로 외부 지름치수가 작은 컬러 수상관이나 형광체 층 간격의 보다 작은 컬러 수상관은 그 여유량 G가 그것에 따라 작아지는 경향이며, 전술한 여유량 80㎛이상으로 될 경우는 색순도가 약화되어 컬러 수상관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할 수가 없다.That is, in general, a color receiver tub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dimension or a smaller one of the phosphor layer spacing tends to have a smaller margin G accordingly, and when the margin amount is 80 µm or more, the color purity is weakened and the number of colors can be reduced. I cannot maintain dignity as a superior.

이와 같은 사실을 본 발명자들이 실험해서 얻은 제4a, 4b, 4c도 의 데이타와 대조하여 보게되면, 전자비임의 변위량δ가 80㎛로 되는 특성 (A)(B)(C)의 각점 (a1)(b1) 및 (c1) 에 대응하는 특성 (α),(β),(γ)의 각각의 점 (α1)(β1)(γ1)에 있어서의 탄성부재(33)의 탄성계수 K와 스터드핀(10)에 가하여지는 힘 F와의 관계는 각각 (F/K)α1=2.50, (F/K)β1=2.59 및 (F/K)γ1=2.66으로 된다.In contrast with the data of Figs. 4a, 4b, and 4c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ors from the experiments, each point of the characteristic (A) (B) (C) where the displacement amount δ of the electron beam is 80 µm (a 1 of the elastic member 33 at the respective points (α 1 ) (β 1 ) (γ 1 ) of the characteristics (α), (β), and (γ) corresponding to (b 1 ) and (c 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ic modulus K and the force F applied to the stud pin 10 is (F / K) α1 = 2.50, (F / K) β1 = 2.59 and (F / K) γ1 = 2.66, respectively.

그러므로 F/K가 2.5이하로 되도록 탄성계수 K 및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압력 F를 선택하게 되면 전자비임 변위량이 80㎛ 이하로 되어 실용가능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F applied to the elastic modulus K and the stud pin 10 is selected such that the F / K is 2.5 or less, it has been found that the electron beam displacement amount is 80 µm or less, which makes it practical.

한편, 본 발명자들이 실용성을 판단하는 또 하나의 요소로는 새도우 마스크를 패널안에 매어달린 상태로 걸치거나, 반대로 패널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통상의 작업자가 손으로 착탈시킬수 있는 가능성의 여부에 대한 것이 있고, 이와같은것은 제품을 공업적으로 양산시키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another factor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judge practicality is whether or not the shadow mask is suspended in a panel, or conversely detached from the panel by a general worker. This is a fundamental factor in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products.

이 관점으로 제4a, 4b, 4c도의 데이타를 보게되면 탄성부재(33)를 스터드핀(10)에 부착할 수 있는 최대의 탄성계수 K와,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와의 관계는 특성α,β,γ위에 있어서 각각 α2,β2및 γ2로 표시되며 각각 (F/K)α2=1.74, (F/K)β2=1.8 및 (F/K)γ2=1.8 로 되므로 이 F/K가 1.8이상이면 패널내에 있어서의 새도우 마스크의 붙였다 떼기는 작업자의 손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view of the data of FIGS. 4A, 4B, and 4C from this viewpoi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um elastic modulus K that can attach the elastic member 33 to the stud pin 10 and the force F applied to the stud pin 10 is The characteristics α, β, and γ are expressed as α2, β2 and γ2, respectively, so that F / K becomes (F / K) α2 = 1.74, (F / K) β2 = 1.8 and (F / K) γ2 = 1.8 respectively. Is 1.8 or more, the shadow mask in the panel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operator's hand.

또한 탄성부재(33)의 보다 구체적인 실용치수를 구하기 위해서 제4a, 4b, 4c도에 나타낸 데이타를 사용하여 횡축에 탄성부재(33)의 가동편(33b)의 길이 l을 취하고 탄성부재(33)의 가동편의 두께 t를 파라미터(parameter)로 하고, 종축에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 δ을 취한 것이 제6도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more practical practical dimension of the elastic member 33,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33b of the elastic member 33 is taken on the horizontal axis using the data shown in FIGS. 4A, 4B, and 4C, and the elastic member 33 FIG. 6 shows the thickness t of the movable piece as a parameter and the displacement amount δ of the electron beam when the longitudinal axis is impacted.

즉, 특성(A), (B), (C)는 t가 각각 0.3mm, 0.4mm, 0.5mm일때에 대응하는 것이다.That is, the characteristics (A), (B), and (C) correspond to when t is 0.3 mm, 0.4 mm, and 0.5 mm, respectively.

이 도면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이 80㎛로 되는 점(a1), (b1), (c1)에 있어서의 탄성부재(33)의 가동편의 길이 l와 두께 t의 관계는 제4도의 점(a1), (b1), (c1)에 대해 수치를 판독해 보면 점 (a1)은 l=10.29이고 t=0.3인 것을 나타내고, 점 (bl)은 l=12.4이고 t=0.4인 것을 나타내며, 점(c1)은 l=15.1이고 t=0.5인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관계식으로 l/t를 구해보면 각각(l/t)a1=34.3, (l/t)b1=31.0, (1/t)c1=30.2이다.In this fig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l and the thickness t of the movable piece of the elastic member 33 at points a 1 , b 1 , and c 1 at which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electron beam becomes 80 μm when subjected to an impact in this drawing. Reading the values for points (a 1 ), (b 1 ), (c 1 ) in FIG. 4 indicates that point (a 1 ) is l = 10.29 and t = 0.3, and point (bl) is l = 12.4 and t = 0.4, and the point (c1) indicates that l = 15.1 and t = 0.5, so if you find l / t in relation, (l / t) a 1 = 34.3, (l / t) b 1 = 31.0, (1 / t) c 1 = 30.2.

따라서 l/t가 30이하이면 충격에 의한 전자비임의 변위량 δ을 80㎛ 이하로 되어 실용 가능한 컬러 수상관 이 얻어진다.Therefore, when l / t is 30 or less, the displacement amount δ of the electron beam due to the impact becomes 80 µm or less, thereby obtaining a practical color picture tube.

한편, 작업자가 손작업으로 탄성부재(33)를 패널1내에 붙였다 떼기 할 수 있는 한계는 각 특성의 점(a2), (b2),(c2)으로 표시되며, 이들의 각점에 있어서의 탄성부재(33)의 가동편(33b)의 길이 l와 두께 t와의 관계를 제4a, b, c도에서의 각각의 점(a2)은 l=6.0이고 t=0.3인 것을 나타내고, 점(b2)은 l=8.0이고 t=0.4인 것을 나타내며, 그리고 점c2은 l=10.0이고 t=0.5인 것을 나타내므로 이것으로 부터 관계식 lt를 구해보면 (lt)a2=20.0, (lt)b2=20.0, (lt)c2=20.0으로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mit that the operator can attach and detach the elastic member 33 in the panel 1 by hand is indicated by the points (a 2 ), (b 2 ), and (c 2 ) of each characteristi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l and the thickness t of the movable piece 33b of the elastic member 33 indicates that each point a 2 in FIGS. 4a, b, and c is l = 6.0 and t = 0.3, b 2 ) represents l = 8.0 and t = 0.4, and point c2 represents l = 10.0 and t = 0.5, so from this we find the relation lt (lt) a 2 = 20.0, (lt) b 2 = 20.0, (lt) c 2 = 20.0.

따라서, lt가 20이상이면 작업자가 손작업으로 새도우마스크를 패널내에서 붙였다 떼기할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lt is 20 or more, the operator can attach and detach the shadow mask in the panel by hand.

더구나, 가동편부의 길이 l은 실질적으로 스크린의 대각선에 연한 길이인 것을 말할 나위도 없다.Moreo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is substantially a light length on the diagonal of the scree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성이 양호하고 충격에 대해서 전자비임의 변화량이 작은 컬러 수상관을 얻게 되는 셈이지만,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인 동작 초기로부터 장 시간에 걸친 전자비임의 미스랜딩도 충분히 적게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receiver tube having good workability and a small change amount of the electron beam with respect to impact is obtained, but the mislanding of the electron beam over a long time from the initial operation, which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Could be small enough.

이것을 제7도 및 제1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는 28인치 110도편향 즉 관축(14)과 전자비임(5) 사이의 각 β가 55도의 스트라이프 형광제층을 가지는 컬러 수상관을 이용해서 행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This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FIGS. 7 and 1. FIG. 7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a 28-inch 110-degree deflection, that is, a color picture tube in which each β between the tube axis 14 and the electron beam 5 has a stripe fluorescent layer of 55 degrees.

우선, 이 컬러 수상관의 구조는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대략 동일하며 두께 약 0.2mm의 냉간압연 강탄으로된 새도우 마스크(7)의 옆벽은 판두께가 약 0.5mm의 냉각 압연 강판의 마스크 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다.First, the structure of this color water tub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1, and the side wall of the shadow mask 7 made of cold rolled steel with a thickness of about 0.2 mm has a mask frame of a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a plate thickness of about 0.5 mm. It is fixed to 8).

이 마스크 프레임(8)과 패널(1)의 네구석의 스커어트부(1a)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스터드핀(10)에는 두께가 0.4mm의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강, 예를 들면 SUS 631된 탄성부재(33)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The stud pin 10 provi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sk frame 8 and the four corner skirt portions 1a of the panel 1 has a thickness of 0.4 mm of precipitation hardening stainless steel, for example, an SUS 631 elastic member. (33) is fitted.

이 탄성부재(33)에는 스터드핀(10)과 끼워 맞추는 구멍(33c)을 가지고 있고, 스터드핀의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을 이루고 관축(14)에 따르는 방향의 길이 l'가 17mm이고, 그것에 직각인 방향의 폭이 약 15mm인 지지편(33a)이 있다. 그리고 이지지편(33a)로부터 연장되고, 이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 l이 약 12mm이고 그것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l이 약 15mm이며, 관축(14)과 이루는 각α가 45도인 가동편(33b) 및 이 가동편(33b)에서 지지편(33a)과 대략 평행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있고, 마스크 프레임(8)에 고정되는 고정부착편(33d)을 갖추고 있다.The elastic member 33 has a hole 33c fitted with the stud pin 10, which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tud pin and has a length l 'of 17 mm in the direction along the tube axis 14, There is a support piece 33a having a width of about 15 mm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 movable piece extending from the support piece 33a, having a length l in this extending direction of about 12 mm, a width in a direction crossing at right angles thereof l is about 15 mm, and an angle α of the tube shaft 14 being 45 degrees ( 33b) and the fixed attachment piece 33d extended in the same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pport piece 33a in this movable piece 33b, and being fixed to the mask frame 8. As shown in FIG.

이 탄성부재(33)의 탄성계수 K(kg.f/mm)와 이 탄성부재(33)가 스터드핀(10)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의 스터드핀(10)에 가해지는 힘 F(kg.f/mm)와의 관계가

Figure kpo00007
로 되도록 설정되어있다.Force F (kg.f) applied to the stud pin 10 when the elastic modulus K (kg.f / mm) of the elastic member 33 and the elastic member 33 are fitted to the stud pin 10. / mm)
Figure kpo00007
It is set to be.

제7도는 횡축에 동작 경과시간(분)을, 종축에 전자비임의 변위량, 즉 미스랜팅 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7 shows the elapsed time (minutes) of operation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change in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electron beam, that is, the non-landing amount, on the vertical axis.

전술한 컬러 수상관을 통상의 고압 25KV, 비임전류 1400uA의 백(白)화면으로 동작시켰을 때의 스크린의 중심으로부터 330mm 떨어진 대각선위의 점에 있어서의 전자비임의 변위를 측정한 것으로써, 형광체 스크린 중심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멀어져가는 방향을 「정」으로하고 반대로 스크린의 중심으로 향하는 움직임을 「부」로 하여 행하였다.The phosphor screen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electron beam at a point diagonally 330 mm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when the above-mentioned color water tube was operated with a white screen having a normal high pressure of 25 KV and a beam current of 1400 uA. The direction moving away from the cente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as "positive" and the movement toward the center of the screen was made "part".

제7도에 있어서 특성 A는 일본특공소 44-3547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을 바이메탈을 통해서 직사각형 패널 각변의 대략 중앙쪽벽에 걸은 종래 방식의 28인치, 110도 편향 컬러 수상관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44-3547, characteristic A in FIG. 7 is a change of the conventional 28-inch, 110-degree deflecting color water pipe, which has a mask frame hooked to approximately the central wall of each rectangular panel side. Indicates.

이것에 대하여 특성 B는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28인치 110도 편향 컬러 수상관의 경우의 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characteristic B shows data in the case of the 28 inch 110 degree deflection color water tube by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제7도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특성 B는 종래 특성 A에 대하여 미스랜딩의 시간적 변화는 매우 감소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As apparent from Fig. 7, the characteristic 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nds that the temporal change of the mislanding is significantly reduced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characteristic A.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직사각형의 패널의 네구석에서 새도우 마스크를 메어달린 상태로 걸치게 되면 지지틀로서의 마스크 프레임의 강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마스크 프레임을 종래보다 얇게 할수 있게된다.In addition, when the shadow mask is worn in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pane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gidity of the mask frame as the support frame is increased, and conversely, the mask frame can be made thinner than before.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의 두께를 0.5mm로 하게되면 종래 1.6mm에 비하여 중량이 약 70%감소한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mask frame is 0.5mm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 is reduced by about 70% compared to 1.6mm.

즉, 종래 1.6mm의 중량이 1.6Kg인 것에 대하여 0.5mm 의 마스크 프레임은 약 0.5kg으로 매우 경량화 할 수가 있어서, 그 경량화에 의하여 컬러 수상관이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을 억제하는 것으로도 된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1.6mm weight is 1.6Kg, 0.5mm mask frame can be very light weight of about 0.5kg, and the weight reduction of the electron beam when the color receiving tube is impacted by the weight reduction. You may also

실제, 본 실시예의 28인치, 110도 컬러 수상관을 전술한 바와 같은 충격 테스트를 실시하였던바, 화면 중앙에서의 전자비임의 변위량이 64㎛로 되었다.In fact, the 28-inch, 110-degree color water tube of the present embodiment was subjected to the impact test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electron beam at the center of the screen was 64 mu m.

이것은 마스크 프레임의 재료 두께가 1.6mm일 때의 전자비임의 변위량 즉, 제4b도의 점 z로 표시되는 71㎛에 비하여 약 10%나 개선된 것으로 되며 이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을 경량화 하였으므로, 충격에 의한 전자비임의 변위량을 억제할수 있다.This is about 10% improvement compared to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electron beam when the material thickness of the mask frame is 1.6 mm, that is, 71 μm represented by the point z in FIG. 4B. The displacement of the beam can be suppressed.

물론, 이 전자비임 변위량 63㎛는 일반적으로 색순도의 약화를 초래하는 전자비임 변위량의 한계값 80㎛보다 작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품질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더구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스터드핀에 대략 직각으로 끼워 맞추는 지지편과, 이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되는 가동편이 있는 탄성부재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탄성부재의 형상에만 그치는 것은 아니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lectron beam displacement of 63 µm is generally a quality that is smaller than the limit of 80 µm of the electron beam displacement, which causes the color purity to be weak, and has no practical problem. Moreover,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n elastic member having a support piece fitting at right angles to the stud pin and a movable piece extending from the support pie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such an elastic member.

예를 들면 제10a도에 나타낸 일본특개소 57-53048호 공보(미국특허 제4,387,321)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편과 가동편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평탄한 탄성소자(23)의 경우도 적용할 수 있으면, 그 스프링 정수 K와 스터드핀에 가해지는 힘 F와의 관계가 본 발명의 관계를 충족시키게 되면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은 명백하다.For example, as prop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7-53048 shown in FIG. 10A (US Pat. No. 4,387,321),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the flat elastic element 23 in which the support piece and the movable piece form the same plane. If present, it is apparent that the same effect is obtained as lo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ring constant K and the force F applied to the stud pin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이 경우의 가동편(23a)의 길이 l은 가동편(23a)과, 고정부착편(23b)와의 경계와 그것에 가장 가까운 스터드핀(20)과의 끼워 맞추는 점까지의 거리이다.However, the length l of the movable piece 23a in this case is the distance between the boundary of the movable piece 23a and the fixed attachment piece 23b, and the point of fitting with the stud pin 20 closest to i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가 마스크 프레임에 고정 부착되고, 간접적으로 새도우 마스크를 매어단 상태로 하였으나, 탄성부재가 직접 새도우 마스크에 고정 부착되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is fixedly attached to the mask frame and indirectly attached to the shadow mask, but the elastic member is fixedly attached to the shadow mask, bu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바이메탈 보정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동작 초기로 부터 장시간에 걸쳐서 미스랜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어서 색의 엇갈림, 색의 얼룩등의 색순도의 약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할수 있는 매우 공업적 양산에 적합한 컬러 수상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resistance can be improved without using a complicated bimetallic correction device, and the amount of mislanding can be remarkably redu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for a long time, thereby resulting in color purity such as color shift and color unevenness. It is now possible to provide a color receiving tube suitable for very industrial mass production, which can effectively improve the weakening of the product.

Claims (2)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그 구석부분의 스커어트부에 스터드핀이 있는 패널과, 그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과, 이 형광체 스크린에 근접대향하도록 전술한 스터드핀과 끼워 맞추는 구멍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전술한 스터드핀에 매어달린 상태로 걸쳐지게된 새도우 마스크로 구성된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K(kg.f/mm)그리고 전술한 탄성부재가 전술한 스터드핀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전술한 스터드핀에 실질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F(Kg.f)
Figure kpo00008
로 하였을 때인 관계가 성립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Substantially rectangular, by means of a panel with stud pins in the skirt portion of its corners, a phosphor scree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holes for fitting with the stud pins described above so as to face the phosphor screen. In the color receiving tube composed of the shadow mask which is attached to the above-described stud pin,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 is set to K (kg.f / mm) and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ud pin. When fitted, the force actually applied to the stud pins described above is F (Kg.f).
Figure kpo00008
Color award h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en.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탄성부재가 전술한 스터드핀과 끼워 맞추는 구멍이 있는 지지핀과 이 지지핀으로부터 연장되어있는 가동편을 설비하고 있으며, 전술한 가동편의 두께를 t(mm)로 하고, 전술된 가동편의 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따르는 실질적 길이를 l(mm)로 하였을 때
Figure kpo00009
인 관계가 성립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The above-mentioned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in with the hole which fits with the stud pin mentioned above, and the movable piece extended from this support pin, The thickness of the movable piece mentioned above shall be t (mm), When the substantial length along th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ing piece of the movable piece described above is l (mm)
Figure kpo00009
A color award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KR1019860004014A 1985-05-21 1986-05-21 Color crt KR9000017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06954 1985-05-21
JP60106954A JPH0824032B2 (en) 1985-05-21 1985-05-21 Color picture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467A KR860009467A (en) 1986-12-23
KR900001702B1 true KR900001702B1 (en) 1990-03-19

Family

ID=1444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014A KR900001702B1 (en) 1985-05-21 1986-05-21 Color cr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4032B2 (en)
KR (1) KR9000017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467A (en) 1986-12-23
JPH0824032B2 (en) 1996-03-06
JPS61267238A (en) 1986-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180A (en) Color picture tube with support members for the mask frame
US4677339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89000484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207724B1 (en) Colour cathode ray tube
KR900001702B1 (en) Color crt
JPS60225336A (en) Color picture tube
KR100269557B1 (en) Cathode ray tube with support members for the shadow mask frame
JPH1145664A (en) Color picture tube
EP0782168B1 (en) Color cathode-ray tube
JP2525820B2 (en) Color picture tube
JP2645042B2 (en) Color picture tube
JP2937411B2 (en) Color picture tube shadow mask support
US6812627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mask assembly for displaying clearer images
KR90000819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3535386B2 (en)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JPH09293459A (en) Color picture tube
KR20030071123A (en) The Rail Structure For The Flat Type CRT
JPH07114113B2 (en) Color picture tube
JP2000133163A (en) Color picture tube
JPH0724195B2 (en) Color picture tube
EP0677863A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H117901A (en) Cathode-ray tube for multimedia and its manufacture
JPS60157145A (en) Color picture tube
KR20040009087A (en) Tension mask-frame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S622432A (en) Color cathode-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