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648Y1 - 인입선 단자함 - Google Patents

인입선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648Y1
KR900000648Y1 KR2019870006299U KR870006299U KR900000648Y1 KR 900000648 Y1 KR900000648 Y1 KR 900000648Y1 KR 2019870006299 U KR2019870006299 U KR 2019870006299U KR 870006299 U KR870006299 U KR 870006299U KR 900000648 Y1 KR900000648 Y1 KR 90000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lead
connection terminal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643U (ko
Inventor
김명보
Original Assignee
김명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보 filed Critical 김명보
Priority to KR2019870006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648Y1/ko
Publication of KR880020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입선 단자함
제1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제외한 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밀폐상태의 전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구 작동 상태를 예시한 확대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전주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단자함에 사용되는 접속단자 본체의 일부절결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을 벽등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결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을 전주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분기대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1' : 뚜껑
2 : 고정구 3a, 3a, 3b, 3b : 접속단자 본체
4 : 인입접속단자 4' : 인출접속단자
5 : 인출전선의 인입구멍 6 : 단자함 고정편
6' : 고정편 삽입공 7a, 7b : 분기대
7' : 분기공 7' : 안내고리
A : 전주 B' : 볼트
C : 나비너트 D : 인입선
D' : 인출선 F : 휴즈
H : 단자볼트
본 고안은 고압선으로부터 변압기에 의해 나누어지는 저압선을 일정한 배선 형태를 갖춘 단자함을 통과토록 하여 무질서하게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선의 배선상태를 정연하게 함과 동시에 이상기상으로 인한 전기 재해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한 인입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의 배전선 하부에 횡설되는 각목이나 앵글에 설치되어 배전선으로부터 가옥으로 인출되는 많은 숫자의 저압선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단상 삼선식 인입선 인출단자가 있었으나 이는 전선의 인출량이 제한적이었고 강풍이나 태풍이 불때에는 본체가 파손되는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국내 실용신안 공보(공고 번호 제 82-1207)에 게재된 것은 열가소성 경질수지로된 본체에 인출선 인입공을 천공하여 인출선을 일일이 삽입시키고 인입선을 인입선 인입공이 천공된 덮개에 각각 삽입시킨 삽입시킨 다음 본체와 덮개를 조립하여 인입선 인출단자를 완성하였기 때문에 조립시에 있어서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능률이 양호하지 못하였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점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개의 접속단자를 갖는 접속단자 본체를 단자함에 내설하고 이 단자함의 하부로 분기공이 다수개 형된 분기대를 설치하여 질서정연하게 각 가정으로 전선이 배선되도록 하고, 전압이 다른 전기(110V, 220V)도 별도의 장치를 거치지 않고 공급받을수 있게함과 동시에 시공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구(2)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뚜껑(1')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기대(1)의 전면부로 전선인입구멍(5) 및 인입접속단자(4)와 휴즈(F)를 통해 연결되게 인출 접속단자(4')가 매립된 접속단자본체(3a), (3b), (3c), (3d)를 단층지게 고정부착한후 삽입공(6')이 형성되고 핀(6a)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호형 고무를 갖는 고정편(6)을 상기 고정구(2)에 조립시켜 고정하며 그 하부로 안내고리(7")와 분기공(7')을 갖는 분기대(7a), (7b)를 설치하여 인입선의 분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통상의 전주B, B'는 고정편(6)을 이용하여 전주(A)에 단자함이나 분기대(7a), (7b)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체결볼트, C는 뚜껑의 개폐를 단속하는 나비너트, D는 변압기로 부터 인출된 저압선, D'는 본 고안의 단함을 통하여 배선된후 각 가정으로 분배되는 인출선, E는 접속단자 본체를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한 안내편, G는 변압기, H는 접속단자 본체에 전선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단자 볼츠트 각각 표시한다.
이러한 구조로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3도와 제4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삽입공(6')이 형성된 고정편(6)을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접속단자 본체(3a), (3b), (3c), (3d)를 갖는 기대(1)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구(2)에 위치가 일치되게 한후 조립하게되면 장방형으로 고정구(2)보다 약간 더크게 뚫어진 삽입공(6')이 원활히 조립된후 원형의 축봉의 위치에 고정편(6)의 선단이 오게되어 인위적으로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구(2)와 삽입공(6')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하면 고정편(6)은 회전이 자유로우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기대(1)에 걸리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전주(A)와 동일곡선으로 각각 호형지게 된 고정편(6)의 끝단을 체결볼트(B)로 체결하고 기대(1)의 직하단부의 위치로 분기대(7a), (7b)를 첨부도면 제8도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체결볼트(B')로서 각각 고정시켜 준다.
이 분기대(7b)의 안쪽은 전주(A)의 외주면의 원형굴곡면과 거의 같게 굴곡시켰으므로 고정후 강한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견고히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
이어서 기대(1)이 전면에 덮어져 있던 뚜껑(1')을 열고 변압기(G)를 통하여 저압으로 변압후 배선되는 공지의 110V, 210V용 인입선(D)을 각각 경사 설치된 접속단자 본체(3a), (3b), (3c), (3d)의 상단으로 인입 접속단자(4)에 뚫여진 전선 인입구멍(5)에 인입시켜 단자 볼트(H)로 조여 고정되게 되는데, 4개의 본체중 1측은 공통단자로 하고 2개라인을 110V와 220V가 접속되게 변압기로 부터 연결시킨 다음 타측 마지막은 접지선을 연결하되 그 직타방으로 접속단자(3a), (3b), (3c), (3d)에 매립되어진 인출 접속단자(4)와는 휴즈(F)로 도통되게 접속연결하여 이상 현상시 전원을 안전하게 차단케 하였다.
여기에서 접속단자 본체(3a), (3b), (3c), (3d)를 경사지게 설치한 이유는 어느 일측의 접속단자 본체(3a)의 단자볼트(H)나 전선인입구멍(5)이 대응한 다른 접속단자 본체(3b)의 단자볼트(H)나 전선 인입구멍(5)과 엇갈린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전선설치시서로 방해받지 않고 작업공구등을 수월히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제7도에서는 본 고안에 의해 배선되는 상태를 나타내었는바, 휴즈(F)를 통해 도통되게 연결된 4개의 접속단자 본체(3a), (3b), (3c), (3d)중에 1개는 110V로 변환되어진 인출선(D')을 단자볼트(H)로 접속되게 하고, 또 한개는 220V로 변환된 것을 접속하며, 또다른 한 개는 110V와 220V의 공통단자를 각각 접속시킨 다음, 가장 우측의 나머지 단자 본체는 변압기(G)로 부터 인출되어진 접지선을 각각 접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접지용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접속 단자 본체(3a), (3b), (3c), (3d)로부터 접속되어진 인출선은 기대(1)의 직하방에 설치된 분기대(7a), (7b)의 안내고리(7")를 통해 정연하게 모여진 상태로 통과시킨 다음 ""형으로 단면이 형성된 분기대(7a), (7b)의 평면으로 일정간격 뚫어진 분기공(7')으로 다시 각각의 인출선(D')을 통과시킨후 각 가정으로 배선 시키면 전부(A)를 기준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전선을 배선하더라도 상호 복잡하게 얽히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 할수가 있어 질서정연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전기고장이나 점검시에 그 수리능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기대(7a), (7b)의 인출선(D')분기 범위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주(A)외면에 좌우 전후로 몇 개라도 더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주(A)에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첨부도면 제6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기대(1)을 걸수 있는 걸고리체(20)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부착 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변압기로부터 각 가정으로 배선되는 전선을 질서정연하게 배선하여 거리의 환경미화를 아름답게 꾸며줄수 있고 접속 단자 본체(3a), (3b), (3c), (3d)에 인입선을 볼트(H)로 접속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선의 중간부위를 절단하거나 칼로 외피를 벗기며 테이프로 감는 작업에 따른 많은 불필요한 작업을 배제함과 동시 전선훼손을 방지하고 인입선 고정용 볼트(H)가 표면에서부터 안쪽으로 묻히게 위치되어 부주위로 접속 단자 본체(3a), (3b), (3c), (3d)를 만지더라도 감전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며 배선공정의 노동력을 절감하여 주게 되고 이상 기후에 대하여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으며 사용시 저압선이 합선되는 위험시에 변압기는 안전한 상태로 단자함내의 휴즈(F)만이 단락되어 보수작업을 간편히 함과 동시 값비싼 변압기를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고정구(2)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뚜껑(1')을 유설한 기대(1)의 전면부로 전선 인입구멍(5) 및 인입 접속단자(4)와 휴즈(F)를 통해 연결되게 인출 접속단자(4')가 매립된 접속 단자 본체(3a), (3b), (3c), (3d)를 단층지게 고정부착한후 삽입공(6')이 형성되고 핀(6a)으로 유설되어 호형절곡부를 갖는 고정편(6)을 상기 고정구(2)에 삽입시켜 고정하며 그 하부로 안내고리(7")와 분기공(7')를 갖는 분기대(7a), (7b)를 설치하여 인입선의 분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단자함.
KR2019870006299U 1987-04-28 1987-04-28 인입선 단자함 KR90000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299U KR900000648Y1 (ko) 1987-04-28 1987-04-28 인입선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299U KR900000648Y1 (ko) 1987-04-28 1987-04-28 인입선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43U KR880020643U (ko) 1988-11-30
KR900000648Y1 true KR900000648Y1 (ko) 1990-01-30

Family

ID=1926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299U KR900000648Y1 (ko) 1987-04-28 1987-04-28 인입선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37B1 (ko) * 2007-05-25 2008-11-27 (주) 나우엔지니어링 배전 선로의 인입선 정리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37B1 (ko) * 2007-05-25 2008-11-27 (주) 나우엔지니어링 배전 선로의 인입선 정리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43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8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lightning arrester for electric pole
KR900000648Y1 (ko) 인입선 단자함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US7025311B1 (en) Low profile support for outdoor light fixture
KR20080011840A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KR100851250B1 (ko) 배전선 접지장치
CN213937052U (zh) 一种电力计量箱进出表配线装置
KR200251758Y1 (ko) 전선케이블의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애자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CN110581033A (zh) 一种组合式绝缘操作杆
KR200289741Y1 (ko) 접지함
KR20120008163A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20020002757A (ko) 배선용 인장 클램프
CN206657971U (zh) 一种配电柜
KR20110006154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CN216450836U (zh) 变电站母线桥接地装置
KR100206659B1 (ko) 전주의 조류둥지용 유도구
CN110556203A (zh) 高铁隧道照明用扁平电缆及带插座分支模块
HU189686B (en) Position fixing device for ensuring position of lin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of transmission lines of at most 1 kilovolt
CN210925614U (zh) 带安全罩的防雨雪防鸟害防雷瓷瓶绝缘子
CN213717334U (zh) 一种具有束线功能的开关电柜
CN215897085U (zh) 一种穿线式检修电源箱
CN219016397U (zh) 电气高压试验接线杆
CN213817131U (zh) 一种用于盾构管片施工的钢筋计电缆保护装置
CN217444565U (zh) 储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