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46Y1 -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 Google Patents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46Y1
KR900000446Y1 KR2019870009812U KR870009812U KR900000446Y1 KR 900000446 Y1 KR900000446 Y1 KR 900000446Y1 KR 2019870009812 U KR2019870009812 U KR 2019870009812U KR 870009812 U KR870009812 U KR 870009812U KR 900000446 Y1 KR900000446 Y1 KR 900000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onitoring leakage
present
early det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012U (ko
Inventor
김중현
Original Assignee
김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현 filed Critical 김중현
Priority to KR2019870009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446Y1/ko
Publication of KR890001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제1도는 본 고안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변형된 따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팽창부 2 : 접착제층
3 : 보호용 박리테이프 4 : 부착띠
본 고안은 각종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발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의 누출위험이 가장 많은 가스관의 연결부위에 감싸여 지도록 부착하여 가스의 누출 초기에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기중으로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누출경보장치를 사용했으나 이는 비교적 설치비용이 많이들뿐만 아니라 이미 누출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것이었으며 간단한 가스누출 검지법으로 수시로 가스관의 연결부위에 비눗물을 도액(塗液)하여 기토의 발생유무로 가스의 누출여부를 식별할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법 역시 가스누출을 초기에 발견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수시로 비눗물을 토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폐단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필름을 주름지게 접어서 팽팡부(1)를 형성하고 팽창부(1)의 상, 하, 좌, 우 네단부에 접착제층(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용 박리테이프(3)가 부착되어 있는 부착띠(4)를 고주파 열융착시켜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1)의 중앙에 밸브에 끼워질 수 있는 탄성체(5)를 열융착시켜 사용할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 6'는 가스관, ㄱ은 연결 도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1)의 네단부에 위치하는 부착띠(4)로 붙 보호용 테이프(3)를 벗겨내어 접착제층(2)을 노출되도록 한다음 가스관(6) (6')과 연결도관(7)의 결합된 부위를 감싸여지도록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가스관(6) (6')과 연결도관(7)의 연결된 부위에서 가스가 누출될 경우 주름져 있는 팽창부(1)가 부풀어 오르게 되기 때문에 식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누출된 가스가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조기발견의 효과와 아울러 가스폭발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필름을 주름지게 접어서 팽창부(1)를 형성하고 팽창부(1)의 상, 하, 좌, 우 네단부에 접착제층(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용 박리테이프(3)가 부착되어 있는 부착띠(4)를 융착시켜서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KR2019870009812U 1987-06-19 1987-06-19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KR900000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812U KR900000446Y1 (ko) 1987-06-19 1987-06-19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812U KR900000446Y1 (ko) 1987-06-19 1987-06-19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12U KR890001012U (ko) 1989-03-17
KR900000446Y1 true KR900000446Y1 (ko) 1990-01-30

Family

ID=1926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812U KR900000446Y1 (ko) 1987-06-19 1987-06-19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4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12U (ko) 198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6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d protecting gas main joints
US4245674A (en) Protective cover for a thermoresponsive tube
FI823649L (fi) Belagda, aoterstaellbara produkter
US4673926A (en) Liquid containment and leak detection system
KR960029692A (ko)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ATE322228T1 (de) Endoluminales stent-gewebe mit leckbeständiger dichtung
CA2115092A1 (en) Reusable insulation jackets for tubing, fittings and valves
KR840003360A (ko) 열가소성 구조물의 용접부 시험방법 및 장치
US3439945A (en) Pipe joint seal and method
GB2127922B (en) Pipe seal
JPS5565800A (en) Leakage protecting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ipeline passing through liquid or gaseous medium
KR900000446Y1 (ko) 가스관의 가스누출 조기 발견대
NO155716C (no) Apparatur for lekkasjepaavisning av kryogene materialer.
JP2002082010A (ja) 漏洩検知チューブ
FR2615266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 conduit souple sur un embout rigide
KR840000898A (ko) 웨브상에 융접, 방지선이 있는 액체투과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웨브
ES2041975T3 (es) Un dispositivo hermetizador y protector para tubos.
KR870003373Y1 (ko) 관 밀폐용 기낭(氣囊)
JPH0218876Y2 (ko)
EP0370193A3 (de) Verfahren zum partiellen Sanieren von Rohren, insbesondere von Dränrohren
JPS54108923A (en) Hydraulic test device of flexible pipe coupling
RU20623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повреждений в трубопроводах
KR810001678Y1 (ko) 관접합 장치
KR970002275Y1 (ko) 액화가스 개폐밸브용 가스누출확인장치
KR200284627Y1 (ko) 매설관로의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