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852Y1 - 유아용 자동 그네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 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852Y1
KR890005852Y1 KR2019860002856U KR860002856U KR890005852Y1 KR 890005852 Y1 KR890005852 Y1 KR 890005852Y1 KR 2019860002856 U KR2019860002856 U KR 2019860002856U KR 860002856 U KR860002856 U KR 860002856U KR 890005852 Y1 KR890005852 Y1 KR 890005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support frame
spring
children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538U (ko
Inventor
이명기
Original Assignee
이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기 filed Critical 이명기
Priority to KR2019860002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852Y1/ko
Publication of KR870014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아용 자동 그네
제1도는 본 고안 그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그네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지주 2 : 황간
3 : 좌대 4 : 지지틀
6, 6' : 스프링 7 : 연동간
8, 8' : 연결간 9 : 감속모우터
10 : 회전간 10a : 유착공
11 : 작동간 11a : 축핀
본 고안은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유, 소아용 흔들그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으로 현가되는 좌대를 감속모우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작동간으로 왕복 요동되게 하여 인위적인 힘을 빌리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한 유아용 자동 그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유아용 그네는 이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밀거나 당겨주어야만 좌대의 지속적인 요동이 가능하므로 그 사용이 힘겨울 뿐만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시간적 낭비로 인하여 주부들의 일손을 더욱 바쁘고 번거롭게 하는등의 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다리꼴형 양측 지주(1) (1')의 상단 사이에 연결 설치한 지지횡간(2)에 통상의 좌대(3)가 구비된 지지를(4)를 현가하여서 되는 유아용 그네에 있어서, 상기 횡간(2)의 중간 양측부에 설치한 각 고정링(5) (5')에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인장스프링(6) (6')의 상단을 고정하여 이들 각 스프링(6) (6')의 하단에 지지틀(4)의 상단을 연결고정하고, 그 지지틀(4)의 하단 중간부에는 L자형 연동간(7)을 고정하는 한편, 이와같이된 양측지주(1) (1') 하단 받침간(1a) (1'a)의 전방 사이에 걸쳐 평행하게 설치한 연결간(8) (8')의 상부에는 감속모우터(9)를 설치하여 그 감속모우터(9)의 구동축(9a) 선단에 수개의 유착공(10a)이 형성된 (10)을 축착하고, 그 회전간(10)의 일측 유착공(10a)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동간(11)의 일단을 축핀(11a)으로 유착함과 아울러 그 작동간(11)의 타단을 상기의 연동간(7)의 절곡단부에 유착 연결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모우터(9)가 내장되는 케이싱이고, 13은 전압조정 스위치이며, 14 및 15는 본 고안 그네의 보관 또는 운반시 양 지주(1) (1')의 절첩을 위한 분리부 및 유착부를 각기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압조정스위치(13)를 조작하여 감속모우터(9)를 구동시키면 그 구동축(9a)에 축착된 회전간(10)이 회전하게 된고, 이에따라 그 회전간(10)에 연결된 작동간(11)이 전후, 상하로 요동되며 지지틀(4) 하단의 연동간(7)을 연동시키게 되므로 스프링(6) (6')으로 현가된 좌대 지지틀(4)을 반복적으로 흔들어 주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 그네는 그 전압조정스위치(13)의 조정에 따라 좌대의 요동속도를 가감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회전간(10)의 각 유착공(10a) 이 유착되는 작동간(11)하단의 연결위치를 변경시켜 그 요동 폭을 증감 조절할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감속모우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그네를 자동적으로 흔들어 줄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그네의 사용에 따른 제반 난점을 배제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양측 지주(1) (1')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횡간(2)에 좌대(3)가 구비된 지지틀(4)을 현가하여서 되는 유아용 그네에 있어서 상기 횡간(2)의 양측부에 인장스프링(6) (6')의 일단을 고정하여 이들 각 스프링(6) (6') 의 타단에 지지틀(4)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지주(1) (1')의 하단에 설치한 연결간(8) (8') 상부에 감속모우터(9)를 설치하여 그 구동축(9a) 선단에 축착한 회전간(10)의 유축공(10a)에는 상기 지지틀(4) 하단에 고정설치한 연동간(7)에 그상단이 유작되는 작동간(11)의 하단이 축핀(11a)으로 연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 그네.
KR2019860002856U 1986-03-11 1986-03-11 유아용 자동 그네 KR890005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856U KR890005852Y1 (ko) 1986-03-11 1986-03-11 유아용 자동 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856U KR890005852Y1 (ko) 1986-03-11 1986-03-11 유아용 자동 그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538U KR870014538U (ko) 1987-10-06
KR890005852Y1 true KR890005852Y1 (ko) 1989-08-30

Family

ID=1924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856U KR890005852Y1 (ko) 1986-03-11 1986-03-11 유아용 자동 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8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83B1 (ko) * 2014-07-11 2016-02-17 주식회사 두성프라즈마 연동형 그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538U (ko) 1987-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87004327A1 (en) Apparatus for imparting motion to cradles or the like
DE3769629D1 (de) Kinderlaufstall und uebungsgeraet.
US2916745A (en) Power actuated rhythmical movement accessories for children's cribs
US5761755A (en) Foldable devices for a crib frame assembly
JPH11511659A (ja) 開放上面揺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68905865D1 (de) Streuer fuer duenger, samen, salz, sand und sonstiges.
EP1397283B1 (en) Rocking device
US4377011A (en) Infant cradle
US4881285A (en) Motorized cradle
WO1992015233A1 (en) Cry responsive baby crib
US3821822A (en) Combination cradle, crib and youth bed
KR880006642A (ko) 양면북 타봉장치
KR890005852Y1 (ko) 유아용 자동 그네
SE8604961D0 (sv) Vibrationsdempande anordning vid motordrivna gresklippare
US4809373A (en) Baby rocker
EP0233307A3 (en) Zig-zag sewing machine
US5382033A (en) Structure of baby walker
US3451072A (en) Oscillating baby bed
US3056145A (en) mckinley etal
US4135712A (en) Rocking toy
US2964762A (en) Rocking bassinet
GB2150086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ocking a child's bed
US3518789A (en) System and balancing kit for mobile toys
ZA841802B (en) Bucket seat
KR101801928B1 (ko) 요람용 터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